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17

        581.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uberculation and slime accumulated in water mains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ifying water quality of drinking water.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at what materials were accumulated, and what components were included in the tuberculation and slime of water mains. The Various tuberculation and slime sample were collected from the 12 water mains to analyze thei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crystal structure. As a analysis method, VSS(Volatile suspended solid),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EDS(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e),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and XRD(X-Ray Diffractomete) were used.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samples, the representative materials were verified such as iron corrosion products, the fine sand particles generated during backwash, fine particles of activated carbon, aluminum used in coagulation process, and manganese included in raw water.
        4,300원
        583.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생물자원관 곤충표본실, 서울대학교 곤충표본실 및 국립농업과학원 곤충 표본실에 소장된 표본 조사와 문헌조사 결과 국내에는 말벌과에 총 5개 속의 31개 종 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말벌 속에 속하는 Vespa analis parallela Andre (좀말벌), Vespa crabro flavofasciata Cameron (말벌), Vespa ducalis Smith (꼬마장수말벌), Vespa mandarinia Cameron (장수말벌), Vespa simillima simillima Smith (털보말벌)의 독액을 오염 없이 분리하여 내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발굴된 표준 독낭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5종의 말벌 독액을 채취하였다. 그 중에 현 재까지 단백체와 발현 유전체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Vespa analis parallela Andre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발현 유전체 분석을 위해서는 살아있는 말벌의 독샘을 적출 한 후 전체 RNA를 추출하여 RNA seq을 실시하였다. 단백체의 분석 을 위해서는 독액을 Tandem Mass-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대사 체의 분석을 위해서는 High-resolution magic angle spinning NMR (700mHZ)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분석된 기능성 물질에 대한 활용성 연구를 실시 할 예정이다.
        584.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숙주와 장내 공생균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한 다양한 모델 중 우리는 중장 의 특이적인 구간인 M4 내에 오직 한 종류의 공생균(Burkholderia)를 가지는 톱다 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pedestris)를 연구 모델로써 사용하였다. 본 모델은 노 린재의 공생균을 대량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배양한 Burkholderia가 숙주안에 공생균으로 적응하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이 라 예상하고, 먼저 세포벽의 형태학적 차이를 전자현미경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장내 공생균의 세포벽이 시험관 내에서 배양한 균보다 안정성이 떨어져 보이 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계면활성제인 SDS에 대한 감수성이 공생균 이 배양균보다 높은 것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는 M4 구간에 공생균의 세포 벽을 변화시키는 물질이 있다고 가정하고, M4구간의 추출물이 배양한 Burkholderia의 SDS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M4구간 추출 물을 처리한 배양균이 M4 추출물 양에 비례하여 SDS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다음으로, 곤충 장에서 공생균의 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지는 항균펩타이드인 riptosin에 대한 감수성도 M4 추출물에 의해 증가되는지 알 아보았다. 배양균에 M4구간 추출물을 처리하면 riptocin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M4구간에 공생균의 세포벽을 변화시키는 어떤 물질을 있다는 것을 사실을 증명하였다. 더 나아가, 공생균이 M4 구간의 세포벽을 변화시키는 물질에 의해 항균펩타이드에 더 민감해져 숙주가 장내 공생균의 수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추정해 볼 수 있었다.
        58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 key technologies of horizontal drilling and hydraulic fracturing are recognized to achieve the rapid growth of shale gas production, in specific, in the United States during last decade. The claims between environmentalists and oil companies have been debating in terms of water contamination. Nowadays, voluntary publication of chemicals from shale gas players are available in the website, FracFocus. This paper introduces chemicals that are currently used in hydraulic fracturing process. Among chemicals, guar gum and guar derivatives are dominantly consumed to increase the viscosity of hydrofracking fluids. The role of additional additives, such as breakers and biocides, is presented by explaining how they cut down the molecular structure of guar gum and guar derivatives. In addition, crosslinking agent, pH controller, friction reducer, and water soluble polymers are also presented
        4,000원
        58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배지의 발효를 효율적으로 행하면서 버섯의 재배 시 빈번하게 발생하는 푸른곰팡이 병의 원인 균주인 Trichoderma sp. 곰팡이 성장을 억제하는 세균의 분리를 행하였다. 균원시료로부터 1차 분리한 약 200여 균주 중에서 성장속도가 빠르고, SM, AM 및 CM의 평판배지 상에서 clear zone이 뚜렷한 6균주를 2차 분리하였다. 분리한 6균주 중 cellulase, amylase 및 protease의 효소활성이 높고 T. virens와 T. harzianum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C-1균주를 최종 분리균주로 선정하였다. 분리한 C-1균주는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에 의한 동정과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행한 결과 Paenibacillus polymyxa 밝혀져 P. polymyxa CK-1으로 명명하였다. P. polymyxa CK-1균주의 생육조건을 검토한 결과 최적배양온도는 45˚C, 생육을 위한 배지의 최적 pH는 6.0~7.0 범위로 나타났다. T. virens와 T. harzianum 곰팡이의 생육억제를 위한 P. polymyxa CK-1의 배양시간은 22~36시간이 적당하였다. 그리고 P. polymyxa CK-1균주의 24시간째 배양용액을 처리한 petri dish에 두 곰팡이를 각각 접종한 후 10일 동안 방치하여도 곰팡이의 생육은 관찰되지 않았다. P. polymyxa CK-1 균주가 생산한 길항물질의 열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60˚C 및 100˚C로 20분 동안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두 곰팡이의 균사성장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지만 121˚C에서 20분 동안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약간의 균사성장이 관찰되었다. P. polymyxa CK-1배양액이 버섯균사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팽이버섯, 표고버섯 등의 다양한 버섯균사 생육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87.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zardous air pollutants such as NO2, VOCs and PM10 were measured Daegu, Korea in major micro-environments,where housewives spend the most of their time, and personal exposure times were estimated by using time activitypatterns and exposure scenarios. The major microenvironments of housewives were selected using the ‘Time-Use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Korea in 2009. A total of 4,514 (weekdays) and 3,063(weekends) housewives were recruited for the ‘Time-Use Survey.’ It seems that housewives are spending about80% of their time in the house, and about 5% of their time outdoors during weekdays and weekends. The indoor/outdoor ratio of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NO2 was more than 1, which indicated that the source was indoors.Toluene was shown to have higher concentrations indoors than outdoors. Ethylbenzene and xylene displayedsimilar characteristics to toluene, and the concentration ratio for indoor/outdoor was shown to be 1.29 ± 0.76 and1.04 ± 0.45, respectively, higher concentrations indo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ime activity patterns ofparticipants, 3 kinds of exposure scenarios were formulated. The spent time and air concentration in eachenvironment were assumed as normal and lognormal distribution, respectively. And then the Monte-Carlosimulati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the exposures to hazardous air pollutantsrevealed an increasing pattern as housewives visits other indoor environments such as supermarkets.
        4,000원
        589.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fire/explosion accidents caused by chemical substances used in new small/medium sized construction, reconstruction, or extension sites. There is vast room for improvement, especially in safety training, safety inspection, and selection of countermeasures because training, technicality, and management systems regarding fire·explosion risks in small/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are very immature in most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fferentiated technical, educational, and management application plan for preventative management of fire·explosion accidents caused by chemical substances used in small/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4,000원
        590.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in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Fermented G. elata Blume powder by Phellinus linteus repeated thrice (3rd FGP) showed mor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a non-fermented G. elata Blume powder (NFGP), and once fermented G. elata Blume powder (1st FGP) at a concentration of 500 and 1,000 ppm.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3rd FGP was similar to that of BHA at a dose of 1,000 ppm. Moreover,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3rd FGP increased compared to NFGP and 1st FGP at a concentration of 31.25 ppm.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ncreased as fermentation progressed. Ergothioneine content was increased more than 8 times in the 1st FGP, 3 times in the 3rd FGP, respectively than NFGP.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 contents of G. elata Blume were increased depending on the fermentation number.
        4,000원
        591.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 studies have been reported the presence of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EDC/PPCPs) in surface and wastewater, which could potentially affect to the complicate behavior in coupled presence of nano-colloid particles and surfactants (adsorption, dispersion, and partitioning). In this study, the adsorption of EDC/PPCPs by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s (SWNTs) as a representative of nano-particles in cationic surfactant solutions were investigated. Hydrophobic interactions (π-π Electron Donor-Acceptor) have been reported as a potential adsorption mechanisms for EDC/PPCPs onto SWNTs. Generally, the adsorptive capacity of the relatively hydrophobic EDC/PPCPs onto SWNTs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cationic surfactant (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CTAB).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ompetitive adsorption occurred between CTAB cations and EDC/PPCPs by occupying the available SWNT surface (CTAB adsorption onto SWNTs shows five-regime and maximum adsorption capacity of 370.4 mg/g by applying the BET isotherm). The adsorption capacity of 17α-ethinyl estradiol (EE2) on SWNT showed the decrease of 48% in the presence of CTAB. However, the adsorbed naproxen (NAP) surely increased by forming hemimicelles and resulted in a favorable media formation for NAP partition to increase SWNTs adsorption capacity. The adsorbed NAP increased from 24 to 82.9 mg/g after the interaction of CTAB with NAP. The competitive adsorption for EDC/PPCPs onto SWNTs is likely to be a key factor in the presence of cationic surfactant, however, NAP adsorption showed a slight competition through CH3-CH3 interaction by forming hemimicelles on SWNT surface.
        4,200원
        592.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eezing of the pure water saturating a packed bed of spheres in a rectangular cavity is performed experimentall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ad diameter on the heat transfer rate and temperature vs. time history for the pure water freezing experiments were compared with the freezing of the binary solution(HO-NaCl). Spherical soda-lime glass beads of 2.85mm and 6mm in average diameter constitute the porous medium. The system is cooled through its bottom surface, and the top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above the liquids. There was small effect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system of the porosity difference.
        4,000원
        59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 of packaging methods on the color and taste-related precursors in Hanwoo (Korean cattle) beef during aging. Following packaging with vacuum (VACP), low oxygen-modified atmosphere (LOMAP; 0% O2/20% CO2/80% N2) or vacuum skin+LOMAP (VSP+LOMAP), the loins and top rounds were aged at 2℃ for 14 days and lipid oxidation (TBARS content), surface color, glucose and lactate contents were measured. TBARS and glucose contents were not different by packaging methods in both loins and top rounds. The a* (redness), b* (yellowness) and C* (chroma) values were higher (p<0.05) in VACP-aged beef as compared to the other beef. Lactate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both LOMAP- and VSP+LOMAP-aged beef than in VACP-aged beef at day 14 of aging.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VACP was the most effective in maintaining color stability but LOMAP was more effective in maintenance of some taste-related precursor compared to VACP.
        4,200원
        595.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양념 닭 가슴살의 양념 액에 귤 껍질 추출물(CPE, 2%), 양파 껍질 추출물(OPE, 2%), calcium lactate(2%), 난황 유래 phosvitin(0.1%)과 CPE, OPE 및 calcium lactate 복합처리를 첨가하였을 때 서로 다른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항균 효과 및 품질 변화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모든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서 CPE, OPE 및 복합 처리군의 총 호기성 세균 수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확인되었으며, 가장 높은 미생물 생장 억제 효과가 있었던 처리군은 CPE 처리군이었다. 하지만, calcium lactate와 phosvitin 처리군의 미생물의 성장 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pH의 경우, calcium lactate와 OPE 처리군은 모든 저장온도의 저장 0일차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OPE 처리군은 모든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적색도를 나타내었고, CPE와 함께 저장온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이러한 OPE 처리군은 풍미, 맛 및 종합적 기호도에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며, calcium lactate와 phosvitin 처리군의 종합적 기호도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양념 닭가슴살의 CPE, OPE 및 복합처리군에서 저장온도를 달리한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관능적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200원
        596.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의 장내에 공생하는 미생물은 곤충의 소화, 발육, 생존, 번식, 필수성분의 합성 등의 특수한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최근에 여러 물질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환경적, 산업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꽃무지과의 곤충 중에서 약용 곤충으로 알려진 흰점박이꽃무지의 3령 유충을 대상으로 공급한 먹이와 배설물, 그리고 장내의 미생물을 분리·동정하여 각각의 미생물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나 절지류들은 그들의 장속에서 먹이를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분비하는 미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 이용된 흰점박이꽃무지의 먹이 및 장내 서식하는 미생물들의 cellulose, skim-milk, starch, lignin의 분해 능력을 확인하여 특정 물질에 대해 우수한 분해 능력을 가진 미생물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의 3령 유충의 소화기관을 채취하여 마쇄한 것과 부엽토, 배설물을 각각 NA배지에 배양한 후 장내세균을 분리 및 동정한 결과, 장에서는 Citrobacter rodentium균주를 포함해 총 7균주, 먹이에서는 Bacillus toyonensis균주를 포함해 총 12균주, 배설물에서 Klebsiella oxytoca균주를 포함해 총 12균주가 확인하였다. 각각에서 분리한 균주들의 물질에 대한 분해 능력을 확인하였는데 cellulose 배지는 Klebsiella oxytoca균주 외 7균주, skim-milk배지는 Bacillus toyonensis균주 외 5균주, starch배지는 Bacillus toyonensis균주 외 4균주, lignin배지는 Citrobacter rodentium균주 외 2균주에서 분해 능력을 확인하였다.
        597.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H.)과 곡식수시렁이(Trogoderma granarium E.)는 식품제조 관련기업들의 곤충 이물관련 클레임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주요 저장해충 종으로, 기업들은 제품으로의 해충 접근을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와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제품의 외포장에 주로 사용하는 골판지박스의 경우 박스의 골 사이 틈새와 접힌 부분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해충 유입에 취약하며 최근 온라인, 택배 시스템을 이용한 유통이 증가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해충이 유입되는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식품공전 상에 등재된 한약재 배합물에서 추출한 기피물질을 10% 농도로 희석하여 골판지박스 내부에 분무 처리한 후 먹이(씨리얼)를 투입하고 박스를 밀봉한 후 실험장에 화랑곡나방과 곡식수시렁이 4령 유충을 각각 투입하고 골판지박스 내부로의 침입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화랑곡나방의 경우 박스내부 개체수에서 무처리 2.88, 처리 1.38마리, 골판지 골 사이에서 무처리 14.88, 처리 9.38마리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박스내부; df=14, t=2.17, P<0.05, 골판지틈새; df=14, t=2.65, P<0.05), 곡식수시렁이 처리에서도 박스내부는 무처리 5.5, 처리 2.23마리, 골판지틈새에서는 무처리 17.88, 처리 11.25마리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박스내부; df=14, t=3.61, P<0.05, 골판지틈새; df=14, t=7.62, P<0.05). 식품포장 박스에 방충물질을 도포하였을 경우 제품으로 화랑곡나방과 곡식수시렁이 유충의 접근을 억제 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598.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설하우스에서 비점오염원으로 인해 배출되는 오염된 농업배수를 인공습지에서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인공습지에서 여재종류, 조합방법 및 부하량에 따른 오염물질 정화효율을 평가하였다. 인공습지의 조합방법은 수직-수평흐름조, 수평-수직흐름조, 수평-수직-수평흐름조 및 수직-수평-수평흐름조로 구분하여 설계 및 시공하였으며, 여재는 왕사, 쇄석, 방해석 및 혼합여재로 구분하여 각 조에 충진하였다. 또한 농업배수 부하량을 150, 300, 600 L m-2 day-1으로 달리하여 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을 조사하였다. 조합방법별 수처리효율은 HF-VF-HF 조합방법이 다른 조합방법에 비해 높은 처리효율을 보였으며, 최적여재는 COD 처리효율은 왕사가 가장 높았고, T-N은 쇄석, T-P는 방해석이 가장 높았다. 하지만 모든 처리효율과 경제성 부분을 고려하였을 때 최적여재는 혼합여재가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배수의 부하량에 따른 처리효율 결과 COD는 농업배수 부하량 600 L m-2 day-1까지 안정적인 처리효율을 보였으나, T-N 및 T-P는 150 L m-2 day-1≒300 L m-2 day-1¤600 L m-2 day-1의 순으로 농업배수의 부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시설하우스 농업배수 처리를 위한 인공습지 농업배수처리장의 최적조건은 HF-VH-HF 조합형 인공습지에 왕사, 쇄석 및 방해석이 혼합된 혼합여재로 충진하고 부하량 300 L m-2 day-1 이하의 농업배수를 주입하는 것이 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599.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서류는 육상과 수상생태계를 연결하는 먹이사슬의 연결자로 진화적 생태적 지이를 갖는다. 양서류의 배아와 유생은 모체와 독립되어 수환경 내에서 초기발생 및 성장하기 때문에 수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화학물질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Azole계열 항곰팡이제는 농업 및 의료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화학물질로서 농지, 하수처리장 등으로 부터 수계로 유입된다. 최근, 양서류에서 이러한 azole계 물질에 의한 기형유발, 내분비계장애 효과가 증가하고 있다. 본 소고에서는 azole계 물질의 양서류 독성을 파악하고 azole계 물질의 안전한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azole계열에 속하는 imidazole, triazole, thiazole, oxazole, pyrazole 항곰팡이 물질이 양서류의 발생, 분화, 생식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최근까지의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4,800원
        600.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leachate treatment facility (outlet, facility inside) and landfill sections (vent systems, landfill surface)of nine landfills is being buried in korea were studie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compounds. Air dilutionvalue in ventpipes of landfill section was generally highest and was more 3 times higher than emission standard(air dilution value of facilities outlet : 500) in Daejeon, Tongyeong, and Busan landfill. Outlet of leachate treatmentfacilities in Tongyeong and Daegu landfill, in case, was higher respectively 20 times, 6 times than other landfills,commonly show that a large contribution to the odor of hydrogen sulfide. In case of ordor emission rate, ammoniaand hydrogen sulfide were surveyed to comprise a high rate for odor emission rate. Odor emissions based onlandfill scale, large landfill (Sudokwon) and small landfills (Yeosu, Chuncheon, Chungju) is low in odor emissionsper unit area, whereas medium landfill (Busan, Daejeon, Daegu) was estimated to be high odor emissions. In caseof large landfill, leachate treatment facilities is management in good condition and discharged odor emission oflandfill sections was low into ambient air. In case of small landfill, decay gases and leachate is few. Thereforeodor emissions is fewer than estimated medium landfill. In case of medium landfill, management condition ofleachate treatment facility was in poor and landfill sections was under not stabilization stage. Thus, mediumlandfills was identified that needs to be intensive care.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