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overnment expands its investment on R&D programs for economic growth, thus there are growing attention on the result of R&D programs. However, our existing research is in the circumstance of only measuring efficiency, but not reflect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R&D programs. In this study, it provides more developed method for efficiency analysis in national R&D programs by using partial efficiency concept and measuring influence of input factors. It analyzes the influence of each input factor on efficiency by using partial efficiency concept. And it also determines input factors in similar influence throughou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Finally, it suggests new method to improve discriminatory power of efficiency analysis by determining representative factors.
Following the Enterprise's globalization grows, we are going to focus on the performance of branch more. Choosing the performance index is very important today. Thus, this research is regarding the methodology of new measurement of performance in branch business and consist of DEA(Data envelop analysis) and ANP(Analytic network process). First, I find out weight values using ANP, then using it as criterion, I choose the main influential factors on branch's activities and production. Then I suggest DEA-2Stage methodology and conduct the analysis of actual proof on the public enterprise The DEA-2Stage methodology is for discrimination the activity's effectiveness and the production's efficiency. The DEA-2Stage in branch methodology can help guide the strategy's direction as well as can measure the performance. Also the result of ANP is from the paired comparison made by current personnel and professional so it can applicate the suggestion of the branch strategy in future. Based on the DEA result, it also give the benchmark branch model to the branch which has low effectiveness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기업의 해외자회사 기술이전에 있어, 과거연구를 통해 밝혀진 국제기술이전의 다차원적인 선행요인들이 어떠한 프로세스를 통해 기술이전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기업의 해외자회사 중 현지 생산기능을 확보하고 있는 17개국 소재, 195개 자회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설을 실증 분석한 결과, 첫째, 모기업의 전수능력과 자회사의 흡수역량은 기술이전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수능력은 기술이전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흡수역량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도 기술이전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둘째, 모기업의 전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기술의 암묵성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의 특유성 및 모기업의 기술 개발능력과 공유의지, 자회사와의 조직문화 유사성, 관계의 질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회사 흡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이전되는 기술의 특유성 및 자회사의 기술개발능력, 인적역량, 도입의 지, 자회사의 경영 자율성, 시장잠재력이며, 이들 변수는 흡수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술이전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수능력과 흡수역량이며, 다른 선행요인들은 전수능력 및 흡수역량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기술이전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를 통해 밝혀진 다차원적인 특성 요인들이 어떠한 프로세스를 통해 기술이전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할 수 있는 통합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국내기업의 해외자회사 기술이전을 위한 전략수립 및 조직운영방안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의 검토 대상은 ‘한자․한문교육 현장실천 교수-학습 방법’이다. 그간의 연구현황 및 성과를 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의 과제점검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자료는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지『한자한문교육』과 한국한문교육학회지『한문교육연구』이다.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한국한문교육학회 창립 30주년기념 학술대회(2011)와 한국한문교육연구총서『한문과 교수-학습 방법론』(2012)에서 그간의 연구실적을 정리하였다. 연구의 현황과 성과는 ‘한자’, ‘어휘’, ‘한시’, ‘산문’으로 분류하고,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일반자료’로 모아서 정리 하였다. 또한 ‘매체 활용교육’ 관련 자료도 별도로 언급하였다. 이상을 검토해 본 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과제가 확인되었다.첫째, 한시․산문 관련 교수-학습 방법 연구 성과가 부족하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학회차원에서 기획주제로 다루어 이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업모형’이나 ‘교수-학습 방법의 체계화’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해져서 연구성과가 교육과정에 더 많이 축적되어야 하겠다. 현장교사들에게 있어 교육과정은 직접적인 수업안내 지침이기 때문이다. 셋째,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이론연구보다 현장실천 연구실적이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이의 해결을 위해 전공교사들의 학회 참여 유도가 필요하리라 본다. 교사 개인이 지닌 우수 지도방안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목적: 전통적으로 수동 각막곡률반경측정계(keratometer)로 측정할 수 있었던 각막 주변부는 대상자의 각막 중심에서 30도 떨어진 지점으로 대상자가 장비에 달린 지시침을 주시하면 측정 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이에 문제점을 제기하고 곡률반경측정계를 사용한 주변 부 각막굴절력을 측정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모색해 보고 측정 값을 토대로 적용 가능한 영역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대 성인 남녀 총 29명(남16명, 여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의 편심률 측정 방법 으로는 뚜렷한 마이어 상을 대상자에게서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막곡률계 상에 임의의 주시점을 중심에서 4mm 떨어진 위치에 표시를 하고 대상자가 주시하게 하였다. 측정은 우안만 하였으며 중심부 각막굴절력 측정 후 주변부 각막굴절력 측정은 각막 중심을 기준으로 이측, 비측, 상측, 하측 방향을 측정했다. 결과: 대상자의 각막을 중심으로 4mm 떨어진 위치에서 각막의 주변부 각막굴절력을 측정했 다. 비측에서 측정한 수평경선과 수직경선 간 편차는 4.2D로 수직경선의 굴절력이 더 컸으며 이측에서도 3D 수직경선이 더 컸다. 이에 반해 상측에서 측정한 값에서는 수직경선이 0.9D 더 컸으며 하측에서는 수직경선이 1.4D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남녀 성간 비교에서는 네 개 방향 모두에서 여자의 수평경선 평균 값이 남자의 평균 값보다 더 컸다(비측p<0.02, 이측 p<0.000, 하측p<0.02, 상측p<0.02). 결론: 수동 각막곡률계를 사용하여 전통적 주변부 각막굴절력 측정법으로는 측정이 불가능했지 만 자체 개발한 방법을 통해 쉽게 측정할 수 있었다. 남여 간에 유의미한 각막굴절력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비측과 이측은 2D이상 큰 차이를 보였다.
Lumbopelvic stabilization exercise has become the most popular treatment method in lumbar rehabilitation since its effectiveness was shown in some aspects of pain and disability.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DIM) has been extensively implemented to promote lumbopelvic stability. However, performing ADIM correctly is difficult even for healthy subjects, and it is time consuming to train people in ADIM.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bdominal muscle [rectus abdominalis (RA), external oblique (EO), and transverse abdominis/internal oblique (TrA/IO)] activity during lumbopelvic stabilization exercises (ADIM only, ADIM with a ball, maximum exhalation only, and maximum exhalation with a ball) performed in a supine position with feet against a wall. Fifteen healthy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measure abdominal muscle activity during lumbopelvic stabilization exercises. A one-way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RA, EO, and TrA/IO muscle activity during four lumbopelvic stabilization exercises. Both-side TrA/IO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greater with maximum exhalation with a ball than with ADIM only or ADIM with a ball (p<.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ximum exhalation with a ball can be used as an effective lumbopelvic stabilization exercise to increase TrA/IO muscle activity in healthy subjects.
The two experiments were done on stationary car at 800rpm, 1500rpm and running car on oscilloscope and chassis dynamometer at the speeds of 20km/h, 60km/h. In this experiment, the relativity between waveform, exhaust emissions and fuel consumption through two experimental methods were measured in case of cars with failures in MAP sensor, O sensor, spark plugs.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by analyzing the data relativity between two experimental methods, such as stationary and running tests. A simple stationary test under the maintenance of a decrepit gasoline vehicle would be realistic possibility to predict the fuel consumption and the exhaust emission comparable to results of running test with a chassis dynamomet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consumption, and acceptability of convenience mealsin low-income female elderly attending a lunch program at a community well fare center. Using in-depth interview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11 elderly females (62.5±11.2y) living in Seoul. Participants tried to eat various foods in small-portionsat home, although they ate out what they were offered. Elderly females preferred lunch box-type meals containing a bowl of rice served with toppings, gruel, or Bibimbop due to the growing unavailability of cooking or preparing a meal. Side-dish type convenience mealswere also preferred among elderly females since boiled rice can be easily prepared according to individual preferences. In addition, participants preferred healthy foods. Convenience meal planning and production, appropriate kinds of foods, cooking methods, menus, and packaging should be selected based on the elderly's functional atrophy in chewing, swallowing,digestion, and metabolic diseases. Furthermore, food preferences and comfort foods among the elderlyneed to b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Therefore, more information, including bite size, cutting size, and food texture, should be provided to understand and develop convenience meals for the elderly.
In order to develop tea by using the leaves of stevia, which is a herbal plant, and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stevia dried leaf tea, we have manufactured the steamed tea, stir-fried tea and fermented tea by changing the manufacturing processes. As a result of the sensory tests, the steamed tea, stir-fried tea and fermented tea received higher evaluations than the dried leaf tea. In terms of efficiency, it is desired that the total number of steaming and stir-frying is only once, but the fermentation is found to be the most desirable for 2 days. There are no trends for changes in the general ingredients, mineral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of stevia leaf teas by different manufacturing processes. As a result for the measur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the steamed tea and dried leaf tea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stir-fried tea and the fermented tea show significantly low antioxidant activities as compared to the steamed tea. The contents of stevioside in both the stir-fried tea and the fermented tea were less than that in the dried leaf tea, but in the steamed te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stevioside. Base on the present observations, this study supports high potentials of steaming process in order to produce new stevia leaf tea.
Pt has been widely used as catalyst for fuel cell and exhausted gas clean systems due to its high catalytic activity.Recently, there have been researches on fabricating composite materials of Pt as a method of reducing the amount of Pt due toits high price. One of the approaches for saving Pt used as catalyst is a core shell structure consisting of Pt layer on the core ofthe non-noble metal. In this study, the synthesis of Pt shell was conducted on the surface of TiO2 particle, a non-noble material,by applying ultraviolet (UV) irradiation. Anatase TiO2 particles with the average size of 20~30 nm were immersed in the eth-anol dissolved with Pt precursor of H2PtCl6·6H2O and exposed to UV irradiation with the wavelength of 365 nm. It was con-firmed that Pt nano-particles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TiO2 particles by photochemical reduction of Pt ion from the solution.The morphology of the synthesized Pt@TiO2 nano-composite was examined by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우리나라에서 악기상으로 인한 재해 유발 가능성이 높아짐으로써, 방재 및 수자원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국지성 강한 강우에 대한 방재를 위해서는 강우량을 정량적으로 관측 및 예측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우추정 오차의 지구통계학적 유효반경을 LGC 방법에 적용하여 레이더 추정강우를 조정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지구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레이더 강우의 실제오차에 대한 유효반경을 결정하였고, LGC 방법을 기반으로 여름철 집중호우 네 사례의 레이더 강우를 조정하였다. 여름철 집중호우 사례의 레이더 1시간 누적강우량과 총누적강우량의 오차는 조정 후 각각 약 40%와 60% 이상 개선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여름철 국지적으로 강한 강우 현상의 레이더강우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근육의 줄기세포라고 알려진 근육위성세포(satellite cells, SCs)는 근육의 성장과 발달 및 구조적, 대사적 형질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근육에서 추출한 SCs의 in vitro분화 성상과 형질을 분석함으로써 SCs가 근육의 성장 및 재생시 형질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6주령 자돈의 Semitendinosus(ST) 근육의 적색근(red semitendinosus; RST)과 백색근(whitesemitendinosus; WST)에서 SCs를 추출한 후 in vitro 상에서 배양하여 SCs의 증식율, 분화율, 근육 구조단백질인 myosin heavy chain (MyHC) isoforms의 발현 성상을 분석하였다. 추출된 SCs의 숫자는 WST(63 ± 2 × 103 cells/g)보다 RST(79 ± 2 × 103 cells/g)에서 높게 (P<0.01) 나타났다. Celldoubling time은 RST에서 추출된 SCs가 WST보다 낮았고, 분화도 빨라 WST보다 먼저 근섬유를 형성하였으나, 분화 24h 후에는 WST 유래 SCs의 분화율이 RST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하지만, 분화48h 후 RST와 WST의 SCs간 분화율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yHC type I isoform의 발현은 RST 유래 SCs에서 WST에 비해 높았으나 (P<0.01), type II isoform은 WST 유래 SCs에서 높게 나타났다 (P<0.05). 이 결과는 in vitro에서 배양된 SCs 에서 분화한 근섬유의 성장패턴 및 형질이 유래 근육의 형질을 그대로 반영한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근육 내에 존재하는 SCs는 유래 근육의 형질을 기억하고 있거나, 특정 형질로만 분화되도록 정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Recently, Pharmaceutical Logistics Center in the introduction of automated equipment and systems for the efficiency of logistics is very important. However, the base of a distributed logistics, shipment data analysis and process improvement and automation, if not considered as an automated logistics center can not function well in many cases. To do this, we first classify the specific background factors in pharmaceutical environment factor and then develop the automation system model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harmaceutical distribution center. We also develop a efficiency of Logistics Center thorough DPS(Digital Picking System), DPC(Digital Picking Cart System), Sorter such as factory automation equipment by improving the process and data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