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04

        1681.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eraria lobata (Willd.) Ohwi was investigated to check its modulatory effects on the activation of macrophages upon inflammatory conditions treatment.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several inflammatory responses such as nitric oxide (NO) productio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cytoprotection and phagocytosis under the treatment of methanol extract from P. lobata (Pl-ME). Pl-ME dose-dependently blocked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 stimulated RAW264.7 cells but not sodium prusside (SNP)-generated NO release. The NO inhibition seemed to be due to blocking inducible NO synthase (iNOS), since Pl-ME suppressed its expression in a NF-kB-independent manner. Similarly, this extract also effectively protected RAW264.7 cells from LPS-induced cytotoxicity. However, Pl-ME did not block ROS generation and rather it enhanced. Finally, this extract negatively modulated FITC-dextran uptake. Therefore, our data suggested that Pl-ME may be involved in negatively regulating some macrophage-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such as NO production and phagocytic uptake.
        1682.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t-butyl hydroperoxide(t-BHP)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원지(Polygalae Radix, PR)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배양 C6 glioma 세포를 재료로 세포생존율을 비롯하여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을 비롯하여 lactate dehydrogenase(LDH) 활성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 t-BHP는 농도 의존적으로 배양 C6 glioma 세포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한편, t-BHP의 세포독성에 대한 원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의 정량분석에 있어서 원지 추출물은 t-BHP의 산화적 손상으로 감소된 세포생존율의 유의한 증가를 비롯하여 LDH 활성감소 및 SOD 유사 활성을 보임으로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1688.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검정콩 안토시아닌의 항산화력과 암세포독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안토시아닌 함량은 일품검정콩이 공시재료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C3G 함량은 타 계통보다 2배 이상 높았다. 2. 안토시아닌을 분획한 후 각각의 pigment로 항산화 효과를 분석한 결과 TEAC 법과 DPPH법 모두 C3G, D3G, 및 Pt3G의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C3G와 D3G의 항산화력이 높게 나타났다. 일품검정콩과 재래속청간 품종 비교에서는 일품검정콩이 3가지 분획 모두 재래속청 보다 항산화 효과가 높았으며, 이는 TEAC 법과 DPPH법 공히 같은 경향이었다. 3. 인간 암세포인 Jurkat T 세포와 MCF-7 세포에 안토시 아닌 개별색소(C3G, D3G 및 Pt3G)를 100~500ug/mL 농도로 처리하고 암세포에 대한 독성을 관찰한 결과, 3가지 시험물질 모두 두 가지 암 세포에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검정콩 안토시아닌이 여러 가지 생리활성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로 판단된다.
        1689.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인공적인 단백질인 MCL-1ES BH3M에 관한 것으로 MCL-1ES BH3M를 과발현시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MCL-1L을 주형으로 재조합 PCR을 통해서 MCL-1ES BH3M를 클로닝하였다. 새롭게 클로닝한 단백질인 MCL-1ES BH3M 단백질은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PEST 도메인이 제거되어 있으며, 다른 BCL-2 패밀리 단백질과의 결합을 조절하기 위해서 BH3도메인의 Leu-Arg-Arg-Val-Gly-Asp-Gly 서열을 7개의 Ala 잔기로 인위적으로 돌연변이를 유도하였다. MCL-1ES BH3M를 293T 세포에서 과발현할 경우 세포사멸을 유도하였고, 항-세포사멸 단백질인 MCL-1L을 같이 과발현하더라도 세포사멸을 유도하였다. 또한, 과발현시 Caspase 9과 3를 활성화하였으며 면역염색법을 통해서 MCL-1ES BH3M 과발현시 미토콘드리아에 MCL-1ES BH3M 단백질이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MCL- 1ES BH3M는 Caspase 9과 3의 활성을 통해서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새로운 molecule을 클로닝하였고, 이 molecule에 의한 세포사멸 기능을 확인하였다.
        1690.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해산어를 이용하여 bisphenol A(BPA)와 nonylphenol(NP)이 난모세포 성숙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해 성숙단계에 있는 노래미(Hexagrammos agrammus) 난모세포(난경 약 1.88 ㎜)를 대상으로 in vitro에서 BPA와 NP 처리에 의한 난모세포의 성스테로이드 생성농도를 조사하였다. 난모세포에 BPA와 NP를 농도구별(0.1, 1, 10, 100, 1,000 ng/㎖)로 첨가하고, 50 IU의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를 농도구별 BPA 또는 NP와 함께 첨가하거나 하지 않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 내의 17α,20β-dihydroxy-4-pregnen-3-one(17α20βOHP), estradiol-17β(E2) 그리고 testosterone(T)의 농도를 방사면역측정법(RIA)을 통해 정량하였다. BPA 처리구에서는 100 ng/㎖의 농도구에서 HCG 처리 유무에 상관없이 E2 생성이 촉진되었다. HCG 처리하에서 0.1 ng/㎖의 농도구에서 T 생성은 촉진되었으나, HCG를 처리하지 않은 실험구의 모든 농도구에서 T 생성은 저해되었다. NP 처리구에서는 HCG를 처리하지 않은 실험구의 10 ng/㎖의 농도구에서 17α20βOHP와 T 생성이 촉진되었고, 1 ng/㎖의 농도구에서는 E2 생성이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노래미의 성숙단계의 난모세포에서 BPA는 약한 estrogen-agonistic 효과를, NP는 estrogen- antagonistic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사료된다.
        1691.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만세포는 세포질 내에 다양한 신호전달물질을 과립형태로 함유하고 있는 세포로써, 피부, 기도, 소화관 등의 점막과 결합조직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염증반응, 자기방어, 조직재생, 자가면역질환 등 다양한 생리적, 병리적 현상에 관여하고 있는 면역세포이다. 본 연구는 생쥐 연령별 자궁의 발달과 퇴행에 따른 자궁조직 내 비만세포의 분포와 밀도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생쥐 자궁에서 비만세포의 기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자궁조직 내 비만세포는 발정주기가 시작되는 생후 6주 이전에는 매우 적은 수가 관찰되었으나, 생후 7주부터 자궁의 조직형태적 발달과 더불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32주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생후 38주부터는 자궁조직의 퇴행과 더불어 비만세포의 밀도도 감소하였다. 비만세포는 자궁의 근층조직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주요 세포외기질인 교원섬유도 자궁의 발달, 비만세포의 밀도 증가와 더불어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가 자궁의 퇴행과 함께 감소하였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비만세포는 자궁 근층조직에서 평활근세포, 섬유모세포, 교원섬유와 근접하고 있는 형태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비만세포가 자궁에서의 면역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분만, 생리주기에 따른 자궁조직의 재생 및 재구성, 그리고 평활근조직의 수축 등에도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1692.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줄기세포를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체외에서 증식 과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배아줄기세포와는 달리 성체줄기세포는 체외에서 증식할 경우 일정시간이 지나면 줄기세포의 특성을 잃기 때문에 임상사용에 있어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줄기세포의 특성을 잃지 않게 세포를 보존하는 방법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탯줄 유래 줄기세포를 동결 보존한 후 해동시켜 줄기세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람의 탯줄 유래 세포를 분리하여 체외에서 배양한 후 2번째 또는 3번째 계대의 세포를 25% FBS와 10% DMSO가 첨가된 냉동배양액에 넣어 196℃에서 동결보존한 후, 6개월 뒤에 해동시켜 세포의 성장 속도와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살펴보았다. 냉동 보존한 후 세포를 해동시킨 결과74%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이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하였을 경우, 냉동보존하기 전의 세포와 유사하게 방추사 모양의 섬유아세포의 형태를 나타냈다. 또한, 성장 속도 역시 냉동보존하기 전의 세포와 똑같이 10번째 계대까지 배양되었으며, 42번분열 능력을 나타냈다. RT-PCR 결과, 냉동 전후 세포 모두에서 Oct-4, nanog, SCF, NCAM, nestin, GATA4, BMP4, HLA-1 유전자는 모두 발현하였으며, Brachyury와 HLA-DR은 발현하지 않았다. 면역세포 화학 염색 결과, 배아줄기세포 단백질로 알려진 SSEA-3, -4, Oct-4 그리고 중간엽줄기세포 단백질인 Thy-1은 모두 발현하였으며, vimentin, fibronectin, HLA-1, HCAM, ICAM 모두 발현하였다. 그러나 SSEA-4과 Thy-1, vimentin, fibronectin, HLA-1는 냉동보존한 후 배양된 탯줄유래 세포에서 발현량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CD44와 CD54는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조직적합성복합체 항원인 HLA-DR은 냉동보존 전후 탯줄 유래 세포에서 모두 발현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유전자와 단백질의 발현은 냉동보존하기 전후의 탯줄 유래 세포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냉동 보존된 탯줄 유래 세포는 세포의 분열능력과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이 냉동 보존 전 세포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냉동보존법이 임상적으로 세포 치료 시 적절한 세포의 수나 시간을 맞추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693.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utan cortex, the root bark of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Paeoniaceae), has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anti-inflammatory, antiallergic, analges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 investigated a methanol extract of Moutan cortex for neuroprotective effects on neurotoxicity induced by amyloid β protein (Aβ) (25-35) in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Exposure of cultured cortical neurons to 10 μM Aβ (25-35) for 24 h induced neuronal apoptotic death. Moutan cortex inhibited 10 μM Aβ (25-35)-induced neuronal cell death at 30 and 50 μg/ml, which was measured by a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Hoechst 33342 staining. Moutan cortex inhibited 10 μM Aβ (25-35)-induced elev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a2+]i),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hich were measured by fluorescent dyes. Moutan cortex also inhibited glutamate release into medium induced by 10 μM Aβ (25-35), which was measured by HPLC.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utan cortex prevents Aβ (25-35)-induced neuronal cell damage by interfering with the increase of [Ca2+]i, and then inhibiting glutamate release and ROS generation. Moutan cortex may have a therapeutic role in preventing the progression of Alzheimer's disease.
        1694.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lavonoid는 거의 모든 야채와 과일에 함유된 주요한 구성 성분이며 flavonol은 flavonoid 그룹 중 하나로 우리가 식품으로 섭취하는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kaempferol과 quercetin이 알려져 있다. kaempferol과 auercetin은 퇴행성질병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산화제로도 알려진 kaempferol과 quercetin을 이용하여 다양한 농도에서의 소의 폐혈관내피 세포주에 대한 각각의 산화스트레스 보호효과와 두 가지 물질의 동시 처리 시에 나타날 수 있는 상승효과를 밝히기 위함이다. 1 mM의 H2O2를 처리하여 산화스트레스를 가한 세포나 가하지 아니한 세포에서나 모두 kaempferol과 quercetin의 처리로 세포의 활성도가 높았다. 그러나 특히 산화스트레스를 가한 세포에서 항산화물의 산화스트레스 극복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항산화물의 농도가 고농도의 경우 오히려 증가된 세포활성도가 저하되는 반응을 보여 너무 높은 농도의 처리는 오히려 항산화효과를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섭취하는 식품에는 kaempferol과 quercetin이 함께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두 가지 물질을 일정 비율로 서로 섞은 다음 산화스트레스 처리와 함에 처리하여 조사한 결과 단독으로 처리한 결과와 달리 고농도 조건에서도 세포활성도가 아주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항산화물은 생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많은 산화스트레스 상태를 완화시킬 수 있으나 가장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적정 농도의 조사가 중요하며 특히 각각의 항산화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보다 함께 사용하는 것이 상승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695.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myloid peptide()은 지방산화 및 free radical의 생산에 의해 신경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거나 산화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알츠하이머와 같은 신경계 질환은 뇌에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들의 축적에 의해서 일어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분 활성도 0.813인 분말 녹차를 저장기간별로 저장한 후 에서 5분간 추출한 분말 녹차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아밀로이드 베타단백질에 의해 유도된
        1696.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earch for immunoactive natural products exert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we have evaluated the effects on the water extract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APP)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NO),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nd prostaglandin E2 (PGE2) production by RAW 264.7 macrophage cell line. Our data indicate that this extract is a potent inhibitor of NO production and it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PGE2 and TNF-α production. Consistent with these results,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level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was inhibited by water extracts of APP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 may exert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possibly by suppressing the inducible NO synthase and COX-2 expressions.
        1697.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 barbata의 열수 추출물 (Sb-HWE)은 대표적인 염증과정인 LPS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로 부터의 NO생성, LPS 매개에 의한 세포사멸작용, 및 FITC-dextran의 대식세포내 탐식작용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러나 본 추출물은 SNP로 유도된 라디칼 소거능은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NF-kB-매개에 의한 루시퍼라제 활성, 및 NF-kB 활성 관련 신호전달 단백질 (Akt 및 IkBα)에 대한 저해작용은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이들 추출물의 대식세포 면역반응 조절 기전은 기존의 알려진 방법과는 다른 기전에 의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1698.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8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전라남도 대흑산도 연안에서 채집한 비단가리비를 대상으로 생식소중량지수, 생식세포 분화 및 난소주기를 조직, 세포학적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초기 난황형성 난모세포에서, 골지체, 미토콘드리아 및 조면소포체들은 지방적 형성에 관여하였다. 후기난황형성난모세포에서 생식상피상에 존재하는 외인성 물질들 즉, 글리코겐 입자들 및 지방 과립상 물질들이 난황막의 미세융모를 통해서 난모세포의 난질로 통과해 들어갔다. 후기난황형성난
        1699.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variety of stem cells has been emerging as therapeutic cells that can replace organ transplantation in human liver disease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whether human eyelid adipose-derived stem cells (HAD) might differentiate into functional hepatocyte-like cells in vitro. HAD were isolated from human eyelid adipose tissue. Effect of dimethyl sulfoxide (DMSO), fibroblast growth factor (FGF)-2 and FGF-4 on the hepatic differentiation of HAD have been examined in vitro. Immunocytochemical analysis and PAS staining showed that HAD cultured in both DMSO and FGF-4 exhibited the most intense staining than HAD of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 These HAD expressed numerous hepatocyte-related genes. Immunoblotting analyses showed that HAD cultured in the presence of DMSO and FGF-4 secreted higher amount of human albumin than HAD cultured in other conditions. Urea analysis also demonstrated that these HAD produced higher amount of urea than any other groups of HAD. In conclusion, combined treatment of DMSO and FGF-4 could effectively induce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HAD into hepatocyte-like cells.
        1700.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anog is a newly identified member of the homeobox family of DNA binding transcription factors that functions to maintain the undifferentiated state of stem cells. However,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function of Nanog remain largely unknown. To elucidate the regulatory roles of Nanog involved in maintenance of P19 embryonal carcinoma (EC) stem cells, we transfected three small interfering RNA (siRNA) duplexes targeted against different regions of the Nanog gene into P19 cells. The Nanog siRNA-100 duplexes effective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Nanog up to 30.7% compared to other two Nanog siRNAs, the Nanog siRNA-400 (67.9 %) and -793 (53.0%). When examined by RT-PCR and real-time PCR, the expression of markers for pluripotency such as Fgf4, Oct3/4, Rex1, Sox1 and Yes was downregulated at 48 h after transfection with Nanog siRNA-100. Furthermore, expression of the ectodermal markers, Fgf5 and Isl1 was reduced by Nanog knockdown. By contrast, the expression of other markers for pluripotency such as Cripto, Sox2 and Zfp57 was not affected by Nanog knockdown at this time.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of Lif/Stat3 pathway molecules and of the endoderm markers including Dab2, Gata4, Gata6 and the germ cell nuclear factor was not changed by Nanog knockdow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knockdown of Nanog expression by RNA interference in P19 cells was sufficient to modulate the expression of pluripotent markers involved in the self-renewal of EC stem cells. These results provide the valuable information on potential downstream targets of Nanog and ad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Nanog in P19 EC stem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