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92

        86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예이츠의 시 「청금석」의 상반되는 동서학자들의 분석을 검토 한다. 서구의 학자들이 이 시에서 비극적 기쁨의 보편적 의미를 보려 하지만, 동양의 학자들은 이 시가 예이츠의 동양의 예술과 미학에의 심취를 들어 낸 것으로 읽고자 한다. 이 상반된 견해는 칼빈 비디언트와 주단이 이 시의 중국의 풍경화를 논의한 연구에서 가장 잘 대비된다. 비디언트는 중국의 풍경화를 시인의 나르시스트적 자기표현 으로 보지만, 주단은 그 풍경을 시인 자신의 영감의 원천으로 읽는다. 본 논문은 이 시에서 중국의 풍경이 촉발한 동서 회화시의 전통의 충돌로 읽는 제임스 헤퍼넌의 시 각예술과 문학 사이의 긴장된 협상으로 보는 회화시 이론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예이 츠 자신의 시작 과정에서 동서의 영향의 복잡성을 들어내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 때 엑스프라시스는 범텍스트적, 범 문화적 사건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세계적인 예이 츠 연구 동향에 미루어, 이 논문은 엑스프라시를 읽는 방법으로서 범텍스트적, 범문화 적 접근이 해석학적 근거와 문맥의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6,100원
        86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캐나다 시의 정원에 뿌려진 씨앗 중에서 예이츠가 1차세계대전 이후의 캐나다의 대표적 시인들과 문학운동에 미친 직간접적 영향은 무시할 수 없다. 이 논문 은 아직 예이츠 연구분야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은 예이츠의 북미 강연여행(1903-4년)의 흔적을 찾고자 한다. 그리고 캐나다 본연의 목소리를 내고자 하는 작가들에게 캐나 다의 몇몇 도시에서 행한 예이츠의 강연이 어떤 영감을 주는 지 연구할 것이다. G.D. 로버츠와 블리스 카먼의 작품에서처럼 예이츠와 그의 작품에 대한 수많은 비유와 비 교점은 캐나다의 시에 깊이 베어있다. 시의 요람으로서 캐나다 남부와 몬트리올의 맥 길대은 캐나다의 모더니스트 시인들을 생산하는데, 스미스를 대표로 하는 맥길그룹은 A.J.M 스미스와 F.R. 스콧이 편집하는 􋺷맥길 격주 리뷰􋺸와 같은 군소 문예지를 통해 서 캐나다의 시에 체계적인 모더니즘 운동을 소개한다. 특히 스미스는 이전의 캐나다 의 시 기법에 아일랜드의 모더니스트적 기법을 녹여서 시의 혁신을 가져온다. 스미스 자신의 작품은 시작법과 강한 어조는 쉽게 예이츠의 시를 연상시킨다. 이 논문은 예이 츠와 아일랜드 문예부흥운동이 캐나다의 모더니스트 시 운동에 미친 가닥을 찾아서 문학의 직물을 짜고자 한다.
        4,300원
        86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A(ionic contrast) 조영제와 B(Non-ionic contrast) 조영제를 사용 후 Breast 병변 환자의 dynamic검사 시 병변확인에 중요한 요소인 Time-signal intensity curve의 곡선변화를 분석하여 병변을 wash-out 으로 판단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조영제가 어떤 조영제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연구 대상은 본원에 Breast MRI를 위해 내원한 환자 중 종양으로 진단 된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검사 기간은 2015년 6월부터 2015년 12월 까지 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4.1세(35~67세)이었다. 장비는 3Tesla 자기공명영상장치(Magnetom Verio, Siemens, Germany)와 Breast코일을 사용하였으며, 영상의 획득은 T1 FLASH 3D 방법을 이용하여 검사하였고, Auto shimming 시행 후 조영제 자동주입기를 통해 ionic 조영제인 A(2ml/sec)조영제와 생리식염수(30ml, 2ml/sec)를 주입하였고 non-ionic조영제인 B(1ml/sec)조영제와 생리식염수(30ml, 1ml/sec)를 주입하여 영상을 얻었다. Time-signal intensity curve에 대한 분석은 Syngo MR MEAN CURVE Card(Siemens)를 통하여 평균 ROI의 직경을 5mm로 하고 Time-signal intensity curve의 peak time으로부터 기울기를 구해 비교 분석하였다. ionic 과 non-ionic 조영제의 Time-signal intensity curve 값에 대한 비교 분석은 Independent two – sample (T- Test)를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검정하였다. 결 과:Breast cancer 로 확진된 환자 32명의 ionic 과 non-ionic 조영제의 Time-signal intensity curve를 분석한 결과 ionic 평균 기울기는 -7.70(sd=4.78) 이며, non-ionic 조영제 평균 기울기는–12.45(sd=4.84)이였으며 ionic 과 non-ionic 조영제의 Time-signal intensity curve에 대한 T- Test 검정결과 P Valu 값이 0.01으로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 론:병변판단에 중요한 기준이 되는 Time-signal intensity curve는 검사 시간에 따라 기울기에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제한적인 시간내의 곡선변화는 병변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ionic contrast와 non-ionic contrast를 개별적으로 사용한 결과 non-ionic 조영제를 사용한 검사의 Time-signal intensity curve 기울기가 ionic 조영제를 사용한 검사의 기울기보다 좀 더 큰 변화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breast dynamic 검사 시 ionic 조영제 보다 non-ionic 조영제를 사용하는 것이 좀 더 유용하리라고 보여진다.
        4,000원
        86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Contrast enhancement MRA(이하 CE-MRA)를 검사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조영제가 관심혈관을 지나가는 시기(조영제의 혈관도달/통과시간)를 포착하는 것이다. 대동맥과 같이 검사영역이 넓은 부위를 검사할 때는 검사영역을 여러 단계로 나눠서 검사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CE-MRA의 acquisition time은 조영제가 관심혈관을 통과하는 시간보다 길기 때문에 1단계 영역의 동맥상(arterial phase)에 비하여 2단계 영역의 동맥상이 늦어질 수 있다. 따라서 두 검사영역의 동맥상이 일치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Multi-Steps CE-MRA 검사 시 동맥상의 차이를 최소화하고자 test bolus와 k-space time to center 개념을 접목한 방법을 사용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조영제를 사용하여 복부 MRI 검사를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Multi-steps CE-MRA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동맥궁부터 총장골동맥을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눠서 MRA 검사를 조영 전/후에 각각 시행하였다. Test bolus scan을 시행하여 관심혈관의 조영제 통과시간을 측정하였다. 대조군 실험으로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의 time to center를 최소로 적용하여 CE-MRA를 실시하였다. 실험군 실험으로 1단계 영역은 k-space time to center를 최대로 설정하였고 2단계 영역은 최소로 적용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얻은 영상으로부터 venous contamination 여부를 평가하였다. 또한 1단계 영역과 2단계 영역의 signal intensity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 K-space timing control method를 사용하므로써 venous contamination이 더 적게 발생하였으며 검사영역 사이의 signal intensity도 더 균일하게 나타났다. 결 론 : K-space timing control method는 multi-steps CE-MRA에서 발생할 수 있는 venous contamination 발생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며 이 방법을 활용하면 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검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4,000원
        86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최근 관상동맥 경화반(coronary plaque)을 진단하기 위해 X-ray를 이용한 관상동맥 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fractional flow wire를 통한 관상동맥 혈류측정 (fractional flow reserve, FFR),혈관내초음파(intravascular ultrasound. IVUS), 심혈관 광간섭 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등 여러 가지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관상동맥 경화반(coronary plaque) 을 평가할 수 있는 PC-VENC를 이용한 MR- FFR(fractional flow reserve)이 개발되어 기존의 비침습적 영상기법인 관상동맥 CT와 OCT, FFR등 침습적 영상기법과 비교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상동맥 경화반(coronary plaque)을 평가하는 MR-FFR 검사에서 사용되는 2D PC-VENC 기법의 최적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8월부터 2016년 1월까지 관상동맥의 근위부에 의미 있는 동맥경화반이 관찰되어 침습적 관상동맥 조영술과 OCT 또는 FFR측정이 예정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MR-FFR 검사를 진행하였다. 3.0T MR(Trio, Siemens Healthcare, Erlangen, Germany) 장비를 사용하였다. 코일은 phased-array body coil을 사용하였고 parameter는 fat saturation을 사용하고 in-plane resolution은 0.5-0.6 × 0.5-0.6 mm², slice thickness 는 3.2 mm, VENC 범위는 동맥 경화반 상태에 따라 40-80 cm/s(3방향 z, x, y), cardiac phases는 2 (segments/phase), scan time은 slice당 4-8min/slice으로 설정하였다. 결 과 : Stenosis 정도 40%이하는 4명(13%), 40~70% 에서는 25명(77%), 70%이상은 3명(10%)으로 검사하였다. 40%이하에서의 VENC측정값은 normal 구간에서 40cm/sec, plaque 구간에서는 41±2.5cm/sec로 나타났고, 40~70%에서의 VENC측정값은 normal에서 40cm/sec, plaque구간에서는 46±4.6cm/sec로 70%이상에서의 VENC 측정값은 normal, plaque구간 모두 45cm/sec로 나타났다. VENC측정값 별 평균 검사시간은 35~40cm/sec에서 91.2분, VENC 40~45cm/sec에서 98.4분, VENC 45~50cm/sec에서 98.4분, VENC 50cm/sec 이상에서 107분이 소요되었다. 결 론 : 관상동맥 경화반 진단을 위한 2D PC-VENC 기법 사용 시, 본 연구에서 측정된 stenosis 정도에 따라 적정 VENC측정값을 사용하여 장시간의 검사시간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알고 있는 stenosis정보를 통해 guide가 될 수 있는 VENC값을 사용함으로써 검사시간의 효율화를 구현할 수 있다.
        4,000원
        867.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2014년 우리나라의 3대 사망원인 중 하나는 뇌혈관 질환이다. 그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뇌혈관 폐색은 venogram으로 진단을 할 수 있다. venogram은 크게 PC기법과 TOF기법으로 나뉘는데 우리는 TOF기법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2D TOF-MRA는 검사방향과 혈류의 방향이 같을 경우 계속되는 RF pulse의 영향으로 혈액 내 spin들이 포화되어 혈류신호가 감쇄하게 된다. 그래서 2D TOF-MRA검사시 oblique angle을 주고 검사를 진행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blique angle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angle을 0°, 10°, 20°로 변화시켜 가며 각각의 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5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본원 내원해 Brain MRI을 시행한 환자중 뇌에 질병이 없는 30명(남성12명, 여성18, 연령분포 20~55세, 평균연령 3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Skyra 3T(Siemens, Germany)이고 신호수집은 20 channel Head/Neck coil을 사용하였다. TR은 19ms, Thickness는 2.5mm, Matrix는 256×256, TE는 4.56ms, Bandwidth는 219kHz으로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axial 단면에서 oblique angle을 0°, 10°, 20°로 주면서 sagittal단면으로 영상을 획득하였다. 결과 분석은 정량적과 정성적 두 가지로 하였다. 정량적 분석은 검사 후 얻은 영상에 세 곳을 정해 SNR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정성적 분석은 영상의학과 전문의 1명과 전공의 1명 그리고 방사선사 1명이 3가지 평가항목에 대하여 Likert’s 5-point scale로 분석을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9K를 사용하였다. 결 과 : 정량적 분석의 결과 SSS의 SNR측정치 평균값은 0°-27.4155, 10°-35.4500, 20°- 44.3650으로 각도가 커질수록 SNR값도 증가 되었다. 다중비교결과 세 경우 모두 유의확률이 0.05이하로 각각의 값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SSC의 SNR측정치 평균값은 0°-16.6900, 10°-20.2600, 20°-26.6405으로 각도가 커질수록 SNR값도 증가 되었다. 다중비교결과 0°와10°는 0.05이상으로 차이가 없었고, 20°만 0.05이하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DTS의 SNR측정치 평균값은 0°-82.3150, 10°-86.2850, 20°-92.5200으로 각도가 커질수록 SNR값도 증가 되었다. 하지만 다중비교결과 세 경우 모두 유의확률이 0.05이상으로 각각의 값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성적 분석의 결과 SSS는 평가자 1,2,3이 모두 각도가 커질수록 점수가 증가 되었다. 유의확률은 각각의 다중비교 결과 1,3은 유의확률이 모두 0.017이하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2만 10°-20°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SC는 평가자 1,2,3이 모두 각도가 커질수록 점수가 증가 되었다. 유의확률은 각각의 다중비교 결과 1,3은 유의확률이 모두 0.017이하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2만 0°-10°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TS는 평가자 1,3은 모든값이 같게 나왔고 2만 각도가 커질수록 점수가 증가 되었다. 유의확률은 각각의 다중비교 결과 세 경우 모두 0.017이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 모두에서 대체적으로 각도가 커질수록 영상의 질이 좋아짐을 알 수 있었다. 각도의 변화는 숙련 기간이 필요하지도 않고 특별히 재구성하는 것도 없었으며 검사 시간도 늘어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검사 영상의 화질도 더 좋아진다. 그러므로 각도를 기존보다 더 크게 20° 주는 방법은 유용한 검사법이라 사료된다.
        4,300원
        86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dimensional scale measuring consumers’ perceived challenge in shopping fashion products online, and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Relevant literature is first reviewed to identify possible dimensions of perceived challenge. Next, Study 1 is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the dimensions empirically and to see whether the dimensions that emerged were consistent with prior findings. A total of 190 responses to an open-ended question was qualitatively analyzed by using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of Study 1 generate 26 items reflecting four dimensions (i.e., product knowledge, previous experience, website functionality, and product availability), which correspond to the dimensions suggested in literature review. Study 2 is subsequently conducted to refine the items so that the perceived challenge scale establishes cross-validation,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A total of 238 responses is quantitatively analyzed by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the results of Study 2, the perceived challenge scale is found to consist of a total of 16 items reflecting three dimensions: E-commerce Challenge (corresponding to Previous Experience reported in Study 1), Retailer Challenge (corresponding to Website Functionality), and Product Challenge (corresponding to Product Knowledge); all Product Availability items have been eliminated through the item refinement process. Specifically, E-commerce Challenge and Retailer Challenge are found to predict flow, supporting flow theory, while Product Challenge fails to lead to flow significant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discussed.
        4,900원
        86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시의 후렴을 예이츠가 어떻게 사용하는지 보기 위해 전반적 이고 개별적인 가까이 읽기를 한다. 요약, 강조, 및 전후 연결도구로서 구어시에서 생긴 것이 후렴이다. 예이츠는 이 구어시의 기법을 평생 사용하는데, 시의 모티브와 주제를 강하게 표현하는 방법으로 반복을 사용한다. 그는 초기시와 말기시에서 이 후렴 을 집중적으로 사용한다. 자유시가 범람하는 당대의 시에서, 오랜 시의 전통에서 얻은 예이츠의 예는 좋은 모델이 된다. 「긴 다리 소금쟁이」같은 시들의 면밀한 분석은 예이츠가 후렴을 사용하여 얻는 미묘하고 강렬한 의미 만들기의 예를 잘 보여준다.
        6,100원
        87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박의 기계식 환기시스템은 화재발생 시 연기의 생성과 확산 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피난자의 피난경로 상의 가시도를 방해함으로써 피난자의 연기로 인한 피해를 증가시킬 위험성이 크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선박 거주구역에서 화재발생 시 기계식 급·배기시스템이 연기확산에 미치는 영향과 위험성에 대하여 FDS를 활용하여 평가하고 화재 시 급·배기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 급·배기시스템이 함께 작동되고 있는 경우에는 현재 권장되고 있는 급·배기시스템을 멈추는 방법보다 작동을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배기시스템만 작동되는 곳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한 구역 이외의 구역에서 급기시스템을 함께 작동시키는 것이 피난시간을 확보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한 곳에 급기시스템만 있는 경우에는 급기시스템이 연기확산을 가속시키기 때문에 급기방식을 중단시켜 연기의 확산을 최대한 억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87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약시의 시감각 이상 위한 임상에서 가능한 검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안 24명(15.6±6.1(세))과 약시 치료 중이거나 중단한 약시안 21명(11.4±4.4(세))을 대 상으로, 시감각 검사법들 중 원-근거리 시력, 단안-양안 조절력, MEM을 이용한 조절래그, 입체시 검사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약시 그룹을 부등시성(굴절성)과 혼합성(사시성) 약시로 나누어 시감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정상안과 약시안의 시감각 비교에서 원거리 시력(정상안: 1.0±0.0, 약시안: 0.53±0.3), 근거리 시력(0.99±0.03, 0.43±0.25), 조절래그(0.78±0.25, 0.63±0.51(D))와 입체시(32.71±6.90, 457.62±320.47(sec of arc))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여 시감각 검사방법 중 네 가지 방 법으로 약시안의 시감각 이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단안-양안 조절력과 굴절성과 사시성 약시 그 룹간의 시감각 이상 비교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원-근거리 시력, 조절래그 그리고 입체시 검사들이 약시의 시감각 이상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는 결과를 보였으며, 약시의 종류로서의 시감각 검사는 적합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약시의 치료 및 분석에 있어서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통해 보다 다각적인 약시의 임상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874.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맛버섯은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 비닐버섯속의 일종으로 나도팽나무버섯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에서는 나 메꼬로 불린다. 갓에 무틴이라는 점액이 다량함유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톱밥재배시 배양기간이 60일 정 도 소요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배양기간단축을 위한 온도처리를 실시하였다. 시험은 병재배와 봉지재 배로 참나무톱밥 80%에 밀기울 20%를 첨가한 톱밥배지를 사용하였고 종균 접종 후 20℃에서 50일간 배양한 후 7일동안 온도처리하였다. 온도는 5℃ 간격으로 5~20℃사이에 4수준으로 처리하였고 이때 각 처리마다 균 긁기를 한것과 하지 않은 것으로 구분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품종은 황옥, 금관, 금작 3종으로 국내육성 품종 이다. 시험결과 황옥은 5℃처리에서 초발이기간이 13일로 5일 더 빨랐고 균긁기 여부에 따른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발이상태는 5℃와 10℃ 모든처리구에서 균일하게 발이되었으나 15℃와 20℃에서는 균긁기를 하지 않은 처리에서 발이상태가 불균일하였다. ‘금관’에서는 균긁기를 하였을 때 초발이가 14일로 4일정도 빨랐고 온도수준별로 차이는 없는 경향이었다. 다만 처리구 공히 균긁기를 하였을 때 발이상태가 균일하였다. 품종 ‘금작’은 3개 품종가운데 초발이기간이 18~21일로 가장 긴 품종으로 조사되었으며 균긁기를 한 경우가 약 3 일 정도 빨리 발이되는 경향이었다. 자실체 수량은 병재배시 황옥 234g, 금관 242g, 금작 178g이었으며 봉지 재배(0.9㎏)에서는 349g, 343g, 243g이었으며 균긁기 처리구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