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00

        1461.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selected supplementary vegetable resources to develpe nutritious supplementary model of korean formula for infants and children, purchased and analyzed it to use with a model. We also referred to an old book about Korean vegetable resources and searched a form of vegetable resources. There are a lot of vegetable resources of various kinds which lied scattered in mountains and fields of our country. As for these, a beyond compare menstruation activity component is becoming clear with a lot of things. It is thought that depth search and study of these vegetable resources and practical application to a infant and child supplemen is desirable. Therefore, we choosed vegetable resources ; a Capsella brusapastoris, a Codonopsis lanceolata, Dandelion, a wild plant, a Tractylis ovata(dried), a Tractylis ovata(native), a Pine plant, a burdock, a JanDae, a Plantain, a HollpDae, which gathered in our country, and we analyzied priximate aomposition of sample (moisture, ash, total carbohydrate, crude fat, crude protein, dietary fiber) and micronutrient contents of sample (calcium, Iron, flavonoids, vitamin A, vitamin C, vitamin E).
        4,000원
        1463.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ansesterfication of vegetable oils and methanol with alkaline catalyst was carried out to produce biodiesel fuel by continuous process. The process consists of two static mixers, one tubular reactor and two coolers and gave 96~99% of methyl ester yield from soybean oil and rapeseed oil. Experimental variables were the molar ratios of methanol to vegetable oil, alkaline catalyst contents, flow rates, mixer element number. The optimum ranges of operating variables were as follows; reaction temperature of 70℃, l:6 of molar ratio of methanol to oil, O.4%(w/w) sodium hydroxide based on oil, static mixer elements number of 24 and 4 min. residence time.
        4,000원
        1464.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지호, 쌍호, 매호, 향호 등 4개의 호소로부터 총 12개의 채집 정점을 선정하여 2001년 5월, 8월 그리고 11월 등 3회에 걸쳐서 식물플랑크톤의 종분포와 현존량을 조사하였다. 본 조사수역으로부터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종분포는 Engler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한 결과 총164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이는 4문 4강 14목 26과 59속 139종 22변종 2품종 1미동정종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문별로 살펴보면 남조식물문이 31종 2변종으로 33분
        4,600원
        1465.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서 자생하는 125종의 식물에서 추출한 141가지 메탄올 추출물들에서 식품부패미생물인 Bacillus subtilli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Enterobacter aerogenes 그리고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Bacillus subtillis에 대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보인 것은 오미자였으며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해서 대황이,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서는 산사가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금은화는 Bacillus subtilis를, 산사는 Stophylococcus aureus를, 모과와 황금은 Pseudomonas aeruginosa를, 모감주나무꽃, 밤나무꽃, 장미꽃과 파꽃은 Enterobacter aerogenes를, 오미자는 Escherichia coli를 제외한 나머지 4가지 균주에 모두 항균력이 있었다
        4,000원
        1466.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관산 지역에서 채집된 표본을 동정한 결과, 관속식물 전체 종수는 117과 366속 519종 76변종 4품종으로 총 599종류로 나타났다. 본 지역은 봉의꼬리, 족제비고사리, 비자나무, 개비자나무, 참식나무, 붉가시나무, 송악, 팔손이,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차나무, 석창포, 이대 및 조릿대 등의 상록성 수종과 소사나무, 푸조나무, 상산이나 실고사리 등 낙엽성 난대성 식물이 혼재하고 있다. 구실사리, 히어리, 노각나무, 족도리풀, 노랑 제비꽃, 끈끈이주걱 등이 분포하는 것도 특기할 만하다. 환경부에서 지정한 평가단위별 특정식물은 5 등급이 1 분류군, 4등급은 1 분류군, 3 등급은 5 분류군, 2등급이 1 분류군 그리고 1등급이 37분류군으로 총 45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4,500원
        1467.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Lolium multinorum Lam.)와 톨페스큐 (Festuca arundinacea Schreb.)의 속간 교잡종 3계통에 대한 약 배양을 실시하여 약 유래의 식물체를 생산하였다. MS 기본배지에 sucrose 30 g/, NAA 2 mg/, kinetin 1 mg/을 첨가한 캘러스 유도배지에서 배양 20일만에 약 유래의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캘러스 유도율은 평균 11.6%였으며, 캘러스의 크기는 평균 9.1 mg/callu
        4,000원
        1468.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랑천의 식생구성 상태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1년 6월에 중랑천을 7개 지역으로 나누고 각 지역에서 3개 지점씩, 총 21개 조사구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1년 6월부터 9월까지 3회에 걸쳐 중랑천 전지역의 식물상을 파악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생구성 상태는 지역별, 하천 사면의 지점별로 차이가 나타났는데, 우선 근지점의 경우는 갈풀. 개쇠스랑개비, 속속이풀, 흰명아주, 개피, 좀명아주 등이 높은 상재도와 출현횟수를 보였다. 또 중간지점의 경우, 참새귀리, 환삼덩굴, 망초, 개밀 등이, 원지점의 경우, 참새 귀리, 좀명아주, 쑥 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참새귀리, 좀명아주 환삼덩굴, 망초, 개밀, 쑥, 콩다닥냉이 등은 21개 조사구 중 9회 이상 출현하여 출현 빈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랑천지역에서 나타난 귀화 식물은 모두 21과 55속 68종 6변종으로 총 74종류였으며, 이 지역의 전체 귀화율(NI)은 29.2%, 자연파괴도 (UI)는 27.9%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랑천 전체지역에서 조사된 식물종류는 50과 159속 224종 1아종 27변종 1품종으로 총 253종류였다. 이들의 생활형을 보면, 휴면형은 일년생식물(Th)의 비율이 37.9%로 가장 높았으며, 지중식물(G)과 반지중식물(H)은 각각 7.1%, 17.8%로 상당히 낮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리하였을 때 중랑천에서는 Th-R5-D4-e이 대표적인 생활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4,900원
        1476.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박과 작물에 주로 발생하는 목화바둑명나방에 대하여 여러 기주식물들이 생물학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식이와 산란선호도는 오이와 호박이 수박, 참외, 멜론보다 높게 나타났다. 알과 유충기간은 수박과 오이에서 참외, 멜론과 호박에서 보다 더 짧았다. 번데기 기간은 수박, 멜론, 호박, 참외에서 오이보다 짧았다. 부화율은 오이에서 87.2%로 가장 높았고 멜론에서 72.8%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용화율은 수박과 참외에서 각각 90.0%, 89.1%로 62.0%인 오이에서 보다 높았으며, 우화율은 오이와 호박에서 각각 93.5, 92%로 78.7%인 참외에서 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그리고, 부화에서 우화까지의 생존율은 수박에서 76.0%로 가장 높았으며 오이에서 50.0%로 가장 낮았다. 성충기간은 오이에서 15.5일로 가장 짧았고 멜론에서 21.0일로 가장 길었다. 암컷 한마리당 평균 산란수는 오이에서 281.8개로 가장 많았으며 참외에서 96.6개로 가장 적었다. 그리고, 암컷 성충의 생존기간은 오이에서 30.0일로 가장 길었으며, 호박에서 17.0일로 가장 짧게 나타났다. 산란전기간은 수박에서 2.1일로 짧았고, 참외와 멜론에서 3.4일로 길었다. 그리고 1세대에 요하는 평균기간(T)은 오이에서 41.30일로 가장 짧았지만, 다른 기주식물들과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1 세대당 순증식율(R )은 오이에서 191.3으로 가장 높았으며, 내적자연증가율(r )도 오이에서 0.127로 다른 기주식물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각기 다른 기주식물을 섭식한 목화바둑명나방의 생명표 분석을 통하여 나타났듯이, 이 곤충의 증식에 적합한 기주식물은 오이와 호박인 것으로 나타났다.geable fraction과 carbonate fraction에서의 추출량은 큰 변화가 없었다. 대해서는 북한지역의 분포상황을 밝혔다.것을 알 수 있었으며, 크롬과 비소의 경우는 초기에 많이 용출되고, 구리의 경우는 꾸준히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년 된 통나무집이 8년 된 통나무집보다. 용출양이 더 컸으며, 이는 CCA성분이 초기에 많이 용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Hep3B에서는 부탄을 분획물 (1 mg/mL)에서 82%의 비교적 높은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1477.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Lam.) 계통 A의 약(葯) 배양을 실시하여 약(葯) 유래의 식물체를 생산하였다. MS 기본배지에 sucrose 30 g/, NAA 2 30 mg/, kinetin 1 30 mg/을 첨가한 캘러스 유도배지에서 배양 20일만에 약(葯) 유래의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캘러스 유도율은 9.2%였으며, 캘러스의 평균 크기는 8.6mg/callus/anther 였다. MS 기본배지에 sucrose 30 g/,
        3,000원
        1478.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종뒤영벌의 출현시기와 방화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0년 3월에서 5월 사이에 여왕벌을 채집하였다. 뒤영벌아과의 뒤영벌속 7종과 떡벌속 1종 등, 총 8종 1,277마리의 월동여왕벌이 채집되었는데 우점종은 좀뒤영벌과 호박벌이었다. 좀뒤영벌은 3월 하순에서 5월 중순사이에 호박벌은 4월 중순에서 5월 하순사이에 출현하였고, 출현빈도가 높은 시기는 각각 4월 중순과 5월 중순 이후였다. 좀뒤영벌은 진달래와 벚나무에서, 호박벌은 벚나무와 산괴불주머니에서 주로 채집되었다.
        4,000원
        1479.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200원
        1480.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관리하의 방목초지 식물군낙에 대한 생태적 특성과 군락간의 유사성을 검정하고자, 1998년 8월부터 10월까지 독일의 중부지역인 Witzenhausen 근교에서 조사한 초지 식물군락을 Kassel 대학교 초지생태ㆍ사료작물연구소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0개 지역의 초지에서 조사한 식생을 군강(class)으로 분류한 식물군낙은 Molinio-Arrhenatheretea 초지 이었으며, 초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