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phene oxide (GO), a highly oxidized graphene sheet, is a distinguished 2-D nanosheet. GO membranes exhibit good CO2 separation properties due to its various polar functional groups with oxygen resulting in high CO2 sorption properties. Recently, GO nanosheet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polymer membranes expecting the synergistic effect. There is, however, little research on GO as a crosslinker even though it has high potential due to available functional groups for further reaction. Here, we prepared GO/polymer membranes by crosslinking reactions between polar groups of GO and bi-functional polymer matrix at different temperatures. Optimum crosslinking condition was found by analyzing gas transport, chemical properties of samples. Degree of crosslinking in GO/polymer nanocomposites affected gas transport behavio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sintering temperature on the magnetic properties and frequency dispersion of the complex permeability of Ni–Zn–Cu ferrites used for magnetic shielding in near-field communication (NFC) systems. Sintered specimens of (Ni0.7Zn0.3)0.96Cu0.04Fe2O4 are prepared by conventional ceramic processing. The complex permeability is measured by an RF impedance analyzer in the range of 1 MHz to 1.8 GHz. The real and imaginary parts of the complex permeability depend sensitively on the sintering temperatur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microstructure, including grain size and pore distribution. In particular, internal pores within grains produced by rapid grain growth decrease the permeability and increase the magnetic loss at the operating frequency of NFC (13.56 MHz). At the optimized sintering temperature (1225-1250°C), the highest permeability and lowest magnetic loss can be obtained.
수분함량과 사출구 온도, 스크루 회전속도가 분리대두단백의 조직화 및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압출성형 조건은 스크루 회전속도를 250 rpm으로 고정하고, 수분함량과 사출구 온도를 20, 25% 와 120, 130, 140℃로 조절하였다. 또 다른 압출성형은 수분함량과 사출구 온도를 30%와 140℃로 고정하고 스크루 회전속도를 150, 200, 250, 300, 330 rpm으로 조절하였다. 사출구 온도가 120℃에서 140℃로 증가함에 따라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은 감소 하였으며 스크루 회전속도가 150 rpm에서 330 rpm으로 증가할수록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은 증가하였다. 사출구 온 도가 증가하고 수분함량이 감소할수록 직경팽화율과 비길이는 증가하였으며 밀도는 수분함량 20%에서 유의적인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출구 온도가 증가하고 수분함량이 감소할수록 기공형성이 증가하여 파괴력이 감소하였으며 사 출구 온도 140℃, 수분함량 20%에서 2.07E+04 N/m 2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수분함량이 25%에서 20%로 감소하면 서 갈변으로 인해 총색도차는 감소하였고 스크루 회전속도가 150 rpm에서 330 rpm으로 증가할수록 총색도차가 증가 하였다. 조직잔사지수는 사출구 온도가 증가하고 수분함량이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사출구 온도 140℃, 수분함량 20%에서 26.21 ± 4.28%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스크루 회전속도는 250 rpm에서 높은 조직잔사지수를 보였다. 사출 구 온도가 120℃에서 140℃로 증가하고 수분함량이 25%에서 20%로 감소할수록 수용성 질소지수는 증가하였으며 수 분함량 20%, 사출구 온도 140℃에서 9.72 ± 0.62%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스크루 회전속도가 330 rpm에서 150 rpm 으로 감소함에 따라 수용성 질소지수는 감소하였으며 150 rpm에서 4.26 ± 0.81%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분함량이 분리대두단백 고조직화의 가장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콩(Glycine max)은 동양에서는 주요식품 자원으로써 밭에서 나는 고기라고 일컬어지고 우리나라 식생활에서도 쌀 다음으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쌀, 보리 등 곡류를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 식사패턴에서 콩은 예로부터 장류, 두부, 콩나물, 혼반용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수 확 직후의 콩은 20~25% 의 높은 수분함량으로 인해 저장· 운송이 어렵다. 따라서 수확량의 대부분은 열풍건조 후 건 조된 콩으로 유통된다. 열풍건조의 경우 천일건조에 비해 노동력이 크게 절감되며 건조시간이 짧다는 이점이 있지만, 건조기 내 위치에 따른 풍속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에 따른 콩의 건조속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콩이 충분히 건조되지 않는 품질 비균일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특히 콩의 건조속도가 매우 빠를 경우 껍질이 깨지는 열피립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콩의 소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건조 온도와 풍속에 따른 콩의 건조 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건조 온도와 풍속에 따른 콩의 건조 kinetics와 박층 건조 모델의 적용은 콩의 저장 및 유통 시 품질 최적화를 위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가로길이 140mm, 세로길이 160mm, 높이 30mm의 트레이 9개를 열풍 건조기 내에 위치시켜 600분간 건조를 진행하였으며, 35, 45 그리고 55℃의 건조온도에서, 매 30분마다 건조 시간에 따른 콩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여 건조 특성을 확인하였다. 트레이가 열풍의 inlet과 가까울수록 풍속은 증가하였으며, 트레이와 inlet의 가까워짐에 따라 풍속이 0.150m/s (± 0.012) 에서 0.795 m/s (± 0.036)로 증가하였다. 45℃에서 600분간 건조한 경우, 트레이 9의 수분함량은 10.93%로 목표수분함량(10.0%± 1.0)에 도달하였으나, 트레이 1의 수분함량은 13.13 %로 목표수분함량에 도달하지 못하여 풍속의 증가와 함께 건조속도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5℃에 서 콩을 건조하였을 때, 트레이 1에서의 열피립 발생비율은 2.09%이었으나, 트레이 9에서는 6.78%로 3배 이상 증가하 여 열풍건조기 내 위치에 따른 건조속도의 차이가 열피립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적으로 얻 은 건조 데이터는 4개의 수학적 모델에 적용되었고, Midilli-Kucuk 방정식이 콩의 건조 특성을 설명하는 데 가장 적합 하였다. Midilli-Kucuk 방정식의 매개 변수를 통해 최종수분함량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열피립의 발생비율을 예측할 수 있다.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 사육에 알맞은 온도 설정과 연중사육에 적합한 사육방법을 찾고자 이 시험을 수행하였다. 사육온도는 20℃부터 4℃ 간격으로 4처리 하였고, 사육방법은 노지망실을 이용한 자연환경 사육과 유리온실, 패널시설을 이용하여 온도를 보정하는 방법으로 3월부터 11월까지 2세대 또는 다회사육을 하였다. 사육기간 평균온도는 노지망실 18.2±6.1℃, 유리온실 22.5±2.8℃, 패널시설은 29.5±2.3℃이었다. 시험결과, 사육온도별 암컷의 체중은 28℃에서 0.9±0.1g으로 다른 처리보다 가장 높았고 약충기간은 32℃에서 43.5±2.8일로 가장 짧았다. 그러나, 온도가 낮은 20℃에서는 발육이 저조하였고, 약충기간도 106.3±8.8일로 많은 기간이 소요되었다. 사육방법별로 보면, 노지 망실사육은 성충까지 생존율이 천적에 의해 22.2%로 낮았고, 패널시설 실내사육에서는 78~80%로 높았다. 첫 산란까지 소요일수는 노지 망실사육에서 98일, 온실사육에서는 81.1일, 패널시설 실내사육에서는 61~62일이 소요되었다. 노지 망실사육은 연 1회, 유리온실 사육은 연 2회, 패널시설 실내사육은 연 4회 사육이 가능하였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복숭아씨살이좀벌의 번데기에 대한 온도발육실험을 진행하였으며 2015년 경기도 수원, 전남 순천, 고흥, 광양, 영광, 전북 순창의 매실 과원에서 우화트랩을 이용하여 성충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온도(T)와 발육속도(평균발육기간의 역수, r(T)) 사이의 관계를 직선회귀분석 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추정된 발육속도 식은 각각 r(T) = 0.0060*T - 0.066 (R2 = 0.97), r(T) = 0.0064*T – 0.060 (R2 = 0.96), r(T) = 0.0075*T – 0.078 (R2 = 1.00) 이었으며, 발육영점온도와 발육완료에 필요한 적산온도는 각각 11.0℃, 165.7DD; 9.4℃, 156.9DD; 10.4℃, 133.3DD 이었다. 발육속도를 적산한 생리적 연령(physiological age, p(x))과 누적우화율(accum(%)) 사이의 관계는2-parameter weibull 함수(accum(%) = 1-EXP(-((p(x)/α)^β))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α, β는 각각 1.08, 10.60(R2 = 0.81); 1.03, 8.16 (R2 = 0.92); 1.01, 10.17 (R2 = 0.96)로 추정되었다. 성충은 광양에서 4월 11일부터, 수원에서는 4월 21일부터 우화가 시작되었으며 5월 초순까지 약 20일간 성충이 우화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발육영점온도와 발육완료분포함수 모델을 이용하여 과원에서 성충 발생을 검증할 계획이다.
PURPOSES: This paper investigates behavior and performance of concrete pavement in tunnel based on temperature data from field. METHODS : In this study, there are 4 contents to evaluate concrete pavement in tunnel, First, Comparison for distress was conducted at outside, transition, and inside part of tunnel. Secondly, temperature data was collected in air and inside concrete pavement in outside and inside tunnel. Thirdly, FEM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stress condition, based on temperature data from field. Finally, performance prediction was done with KPRP program. RESULTS: From the distress evaluation, failure of inside tunnel was much less than it of outside tunnel, Temperature change in tunnel was less than out side, and also it was more stable. According to result of FEM analysis, both curling stress status of inside tunnel was lower than it of outside tunnel. Based on KPRP program analysis, performance of inside tunnel was longer than outside. CONCLUSIONS : Through all study about behavior and performance of concrete pavement in tunnel, condition in tunnel has more advantages from environmental and distress point of view. Therefore, performance of inside tunnel was better than outside.
기후변화에 따른 해충개체군 증감모형은 해충방제를 위 한 초발생예찰과 연속적 해충변동 양상의 파악에 매우 중 요하다. 이러한 예측은 농약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 에 적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현대 해충방제전략의 화두 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도변화에 따른 해충의 농약효과 에 따른 사충률의 변화를 개체군 모형과 결합시켜 모의했다. 감수성 점박이응애를 강낭콩을 기주로 20, 25, 30, 35℃에서 Acrinathrin-Spiromesifen 혼합제와 Azocyclotin 유기주석계 농약에 노출시켰다. 생물검정 결과 점박이응애의 사충률은 온도와 농약의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다. 점박이 응애의 개체군 밀도변동 모의는 DYMEX를 이용했으며, 모 의결과 농약의 종류별로 기후변화에 따른 초기방제 시기와 방제횟수에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됐다. 본 연구결과는 미래의 기후변화에 대응한 해충방제 전략과 농약 선발에 있 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시아틱 나리의 인편삽으로부터 형성된 자구와 소구의 효율적인 비대를 위한 식재깊이, 배양토 및 야간온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한국농수산대학에서 육성한 분화용 F1 품종 ‘Deep Red Liasong’과 ‘Yellow Liasong’을 이용하 였다. 자구(직경 8mm)를 3 ~ 4cm의 깊이로 식재하였을 때, 자구의 지름은 19.2 ~ 19.6mm, 높이는 21.5 ~ 21.9mm, 생체중은 33 ~ 3.4g으로 자구가 양호하게 비대하였다. 소구 (직경 15mm)의 6cm 깊이 식재는 구의 지름이 28.5mm, 높 이는 27.8mm이었고 무게가 9.2g으로 가장 양호하게 비 대되었다. 자구의 식재 배양토는 인공배양토 80%+부숙왕 겨20%에서 구의 지름이 21.4mm, 높이는 21.1mm였고 생 체중이7.5g으로 자구가 가장 크게 비대하였다. 소구의 비대도 인공배양토 100%와 인공배양토 80% +부숙왕겨 20%에서 양호하였다. 야간온도에 따른 자구의 비대는 10oC와 12oC에서 지름이 17.2 ~ 17.5mm, 높이는 17.8 ~ 18.7mm, 생체중은 4.2 ~ 4.9g으로 가장 양호하였다. 따라 서 자구는 인공배양토와 부숙왕겨를 80 : 20으로 혼용하여 3 ~ 4cm의 깊이로 식재하여 동절기 동안 10 ~ 12oC로 유 지하고, 소구는 인공배양토에 부숙왕겨를 80 : 20으로 혼 용하여 6cm의 깊이로 식재하는 것이 구의 비대에 효과 적이다.
HMDS를 리간드로 하는 PbS 콜로이드 양자점 물질을 만들었다. 양자점 물질의 전자광학적 밴드갭 의 크기는 UV/VIS과 IR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알아낼 수 있었다. PbS 콜로이드 양자점 물질을 합성할 때 만 들어 지는 입자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반응온도를 100~160℃ 사이에서 변화시켰으며 이에 따라 흡수스펙 트럼의 피크위치에 변화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HOMO와 LUMO 사이에 해당하는 밴드갭은 800~1200nm 에서의 피크 위치변화를 보였으며 피크위치의 변화량은 반응물질을 섞었을 때 반응용기 온도에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관계를 얻을 수 있었다.
Temperature correction trans-membrane pressure (TC-TMP) is frequently used as a fouling index in membrane water treatment plants. TC-TMP equation is derived based on an assumption that the total membrane resistance (i.e. the sum of the intrinsic membrane resistance and fouling resistance) is not affected by temperature. This work verified the validity of this assumption using microfiltration (MF) and ultrafiltration (UF) membranes with and without fouling. The foulants used in the work were kaolin (inorganic) and humic acid (organic). The intrinsic resistances of MF and UF membranes remains at constant values regardless of temperature change. When the same amount of foulants were accumulated on the membrane, inorganic fouling resistance with kaolin was constant regardless of temperature change while organic fouling resistance with humic acid decreased at higher temperatures, which means that TC-TMP cannot be used as a fouling index when organic fouling occurs in a real field application. Since TC-TMP underestimates the amount of fouling at higher temperatures, more attention should be necessary in the operation of membrane water treatment plant in a hotter season like summer.
PURPOS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mpressiv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lean base concrete in relation to changes in the outdoor temperature after analyzing the cold and hot weather temperature standards and calculated the minimum and maximum temperatures when pouring concrete. We examined the rate of strength development of lean base concrete in relation to the temperature change and derived an appropriate analysis formula for FRC base structures by assigning the accumulated strength data and existing maturity formula. METHODS: We measured the strength changes at three curing temperatures (5, 20, and 35℃) by curing the concrete in a temperature range that covered the lowest temperature of the cold period, 5℃, to the highest temperature of the hot period, 35℃. We assigned the general lean concrete and FRC as test variables. A strength test was planned to measure the strength after 3, 5, 7, 14, and 28 days. RESULTS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ressive strength tests of plain concrete and FRC in relation to curing temperature, the plain concrete had a compressive strength greater than 5 MPa at all curing temperatures on day 5 and satisfied the lean concrete standard. In the case of FRC, because the initial strength was substantially reduced as a result of a 30% substitution of fly ash, it did not satisfy the strength standard of 5 MPa when it was cured at 5℃ on day 7. In addition, because the fly ash in the FRC caused a Pozzolanic reaction with the progress into late age, the amount of strength development increased. In the case of a curing temperature of 20℃, the FRC strength was about 66% on day 3 compared with the plain concrete, but it is increased to about 77% on day 28. In the case of a curing temperature of 35℃, the FRC strength development rate was about 63% on day 3 compared with the plain concrete, but it increased to about 88% on day 28. CONCLUSIONS: We derived a strength analysis formula using the maturity temperatures with all the strength data and presented the point in time when it reached the base concrete standard, which was 5 MPa for each air temperature. We believe that our findings could be utilized as a reference in the construction of base concrete for a site during a cold or hot weather perio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emperature effect of the rubber matrix filled with nano sized silica particles composites with silica volume fraction of 19–25% was investigated by the Charpy impact test. The Charpy impact test was conducted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40°C to 0°C. The critical energy release rate GIC of the rubber matrix composites filled with nano sized silica particles was considerably affected by temperature and it was shown that the maximum value was appeared at higher temperature between temperature tested and it was shown that the value of GIC increases as temperature tested increases. The major fracture mechanisms were matrix deformation, silica particle debonding and delamination, microcrack between particles and matrix, and/or pull out between particles and matrix which is ascertained by SEM photographs of Charpy impact surfaces fracture.
좋은 품질의 묘를 이용하는 것은 성공적인 작물 재배 및 생산을 위해 필수적이다. 그러나 구입묘 이용시에는 육묘장에서 재배농가로 운송하는 과정에서 묘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연구는 토마토묘의 운송시 온도 조건이 정식 후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엽이 9-10매 정도 전개하고 1화 방의 1번화가 피기 직전 또는 핀 토마토 접목묘를 이용 하여, 온도 조건을 각각 10, 25, 40oC, 처리시간을 2, 4, 6시간으로 조합 처리하였다. 처리 종료 후 10oC 처리구에 비해 25, 40oC 처리구에서 더 낮은 NDVI 값을 나타 냈으며, 40oC 처리구의 지하부 생체중이 가장 낮았다. 40oC 처리구 토마토묘는 정식 5-7일 후 아래잎에서 황화 및 잎마름 증상이 발생하였다. 1화방 착화절위는 처 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착과수는 40oC/6시간 처리구에서 감소하여 착과수가 2개였다. 40oC/6시간 처리구의 경우 1화방 수량도 감소하여 대조구의 40% 정도였다. 따라서 묘의 운송시에는 온도조건이 지나친 고온 또는 저온이 되지 않도록, 단순 상온유통이 아닌 온도조절 장치 구비를 통한 온도조절이 요구된다. 6시간 이내의 단거리 운송의 경우 10-25oC 범위로 온도를 관리해줌으로써, 정식 후 장애 발생 없이 안정적인 착과 및 수량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 number of plating companies have been exposed to the risk of fire due to unexpected temperature increasing of water in a plating bath. Since the companies are not able to forecast the unexpected temperature increasing of water and most of raw materials in the plating process have low ignition temperature, it is easy to be exposed to the risk of fire. Thus, the companies have to notice the changes immediately to prevent the risk of fire from plating process. Due to this reason, an agile and systematic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is required for the plating companies. Unfortunately, in case of small size companies, it is hard to purchase a systematic solution and be offered consulting from one of the risk management consulting companies due to an expensive cost. In addition, most of the companies have insufficient research and development (R&D) experts to autonomously develop the risk management solution. In this article, we developed a real time remote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which is easy to operate with a lower cost. The system is constructed by using Raspberry Pi single board computer and Android application to release an economic issue for the small sized plating manufacturing companies. The derived system is able to monitor the temperature continuously with tracking the temperature in the batch in a short time and transmit a push-alarm to a target-device located in a remoted area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a certain hazardous-temperature level. Therefore, the target small plating company achieves a risk management system with a small cost.
The Apostichopus japonicus is an important species in some Asia countries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90 (Hsp90) and ferritin as a biomarker for the thermal stress during water temperature rising in the sea cucumber, A. japonicus. The A. japonicus (1.4 g) was cultured in incubator of separate temperature (15°C, 20°C, 25°C and 30°C) for each 0, 3, 6, 12, 24, 48 hours.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Hsp90 and ferritin were examined using RT-PCR assay. Result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Hsp90 mRNA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at 15°C. The expression of Hsp90 mRN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high temperature such as 20°C and 25°C. Furthermore, Hsp90 mRNA was early increased at 25°C than 20°C. The ferritin mRNA was similar expression pattern with Hsp90. But, Hsp90 mRNA was more sensitive than ferritin mRNA at high thermal str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sp90 and ferritin mRNAs were involved in the temperature changes response and may be play an important role in mediating the thermal stress in A. japonicas.
The organic binder-free past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has been investigated using peroxo titanium complex. The crystal structure of TiO2 nanoparticles, morphology of TiO2 film and electrical properties are analyzed by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a (EIS), and solar simulator. The synthesized TiO2 nanopowders by the peroxo titanium complex at 150, 300, 400˚C, and 450˚C have anatase phase and average crystal sizes are calculated to be 4.2, 13.7, 16.9, and 20.9 nm, respectively. The DSSC prepared by the peroxo titanium complex binder have higher Voc and lower Jsc values than that of the organic binder. It can be attributed to improvement of sintering properties of TCO/TiO2 and TiO2/TiO2 interface and to formation of agglomerate by the nanoparticles. As a result, we have investigated the organic binder-free paste and 3.178%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DSSC at 450˚C.
실내에서 육성된 117개 교배균주를 시험 재배하여 자실 체의 특성 및 생산성을 검정하고 결과가 우수한 07-55,07-66, 07-84, 07-93, 07-117균주를 선발하고 이들의 모균 주들과 확대 재배하여 모균주와의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각 균주의 생산성은 07-66균주가 36.1%의 회수율을 보여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07-117균주는 35.6%, 07-93균주는 27.1%, 08-84균주는 25.7%로 조사되었고 07-55균주는 가장 생산성이 낮은 6.5%로 조사되었다. 07-93 균주와 07-66균주는 생산성이 높으나 대가 긴 특성을 보였고 07- 117균주는 전체적인 자실체 품질이 다른 균주들보다 낮았 다. 또한 모균주와 교배균주간에 재배를 통한 온도형 분 석 결과 07-117균주는 고온형, 07-66 및 07-84균주는 중 온형, 07-55 및 07-93균주는 저온형으로 구분되었으며 07-93균주는 비교적 버섯발생온도범위가 넓은 가능한 균 주이나 품질이 저조하였다.
본 연구는 겨울철에 상대적으로 낮은 기온으로 인하여 소독효과가 저하되는 기존의 차량소독시스템을 개선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겨울철에도 차량소독장치의 분무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소독약액이 동결되지 않 고 분무 시 소독약액의 온도가 유효온도인 15∼20℃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농장출입차량에 대 한 소독효과를 높여 가축전염병에 대한 차단방역이 확실히 이뤄지도록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 해 분사 후 소독약액의 온도가 유효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소독약액탱크 내 소독약액 의 적정온도 및 펌프와 분무노즐 사이에 있는 호스와 분무노즐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한 열선의 용량을 결정했다. 기온이 –25℃인 상황을 가정하여 실험한 결과, 분사되는 소독약액의 온도를 유효온도의 하한 치인 15℃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소독약액 탱크 내 소독약액의 온도는 약 30℃이었으며, 호스와 분무 노즐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한 열선의 용량은 26W m-1 이상이었다.
Poria cocos is an edible and pharmaceutical mushroom with a long history of medicinal use in Korea. For the last 30 years, the domestic cultivated supply of Poria cocos has been unable to meet consumer demand, so Poria cocos is collected in mountainous areas and also imported from China. Thus, to increase the supply of Poria cocos, many artificial cultivation methods have been studied. In this study, Poria cocos is cultivated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using plastic bags and the results compared. When cultivating Poria cocos at different temperatures (20, 25, 30 and 35oC) and using different numbers of plastic bag layers (1, 2), the most efficient cultivation conditions were a temperature of 25-30oC and 2 plastic bag layers. The fastest growth was at 25-30oC, and the Poria cocos exhibited no weight change when cultivated using layers of plastic bag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