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36

        20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iginally, most lilies for cut-flower were Asiatic and Oriental hybrids. These days, however, interspecific hybrid cultivars are reared worldwide and customers expect various flower types and colors. ‘Cream Bell’ cultivar is an interspecific OT hybrid (Oriental hybrid × Trumpet hybrid) bred at Chungnam-do ARES in 2013. In 2007, interspecific pollination by stigma cut-style of OT hybrid 'Yelloween' and Trumpet hybrid 'Pink Perfection' was conducted to foster the cultivar with flourishing growth, high resistibility to leaf burn and leaf blight. It went through seed culture, multiplication, and seedling from 2007 to 2010. Breeding hybrid evaluation showed that the quality of the hybrid is excellent. From 2011 to 2013, unheated vinyl house cultivation and cultivar registration were performed for characterization. The flower of this lily is clear cream and primrose in color, without spots. It has a width of 18.2 cm and the consistent large flower has a trumpet style, along with many inner and outer perianth overlap. The stem has an oatmeal color and mid-size leaves. Flowering time in the central district starts on the 27th June, which seems to be relatively early. The flower direction is oriented inflorescence and semi-upward, and the cultivar shows robustness to leaf burn and leaf blight. The bulb can be grown with stem and leaf after cutting the flower, as the plant is quite tall. Also, with the high rate of bulb growth, bulb production is convenient. Cut flower production is of high quality with only routine cultivation control (disease, insects, nutrient, and moisture).
        4,000원
        20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achieved the breeding of the moon cactus cultivar ‘Hahong’ with dark red color in 2013. Initially, the red dark colored 'Seolhong' and 'Gohong' cultivars were crossed in 2009. Their seeds were harvested after 2 months, sterilized by C2H5OH 70% and NaOCl 2%, and then sowed in 100 mL flasks filled with Kyoto medium + Charcoal 0.1%. The bottom of the germinated shoot was cut, grafted in vitro into a young vine cactus, Hylocereus trigonus, and then planted in a test tube with the same medium. After 6 months, the young grafted cactus was moved into the greenhouse and hardened for 7 days. The cactus was grafted in vivo once a year for four years,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were surveyed three times from 2011 to 2013, according to the guidelines for the conduct of tests for distinctness, uniformity and stability of Gymnocalycium mihanovichii. ‘Hahong’ has a flat round shape, dark red skin color (R 46B), an average of 8.3 ribs (8 – 10 ribs) similar to ‘Seolhong’. The spine on the body has gray and brown colors and grows up to 4.1 mm in average in a straight shape. The tubercle on the rib is projecting, with a diameter of 39.6 mm, and produces 14.2 offsets in average at 10 months from planting. The preference score for this cactus is 4.2 on a five-point scale. On June 1, 2015, ‘Hahong’ was registered (registration No. 5561) and is now protected by Korean Seed Industry Law.
        4,000원
        20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2010, a new variety for sawdust cultivation,was produced by monokaryotic-monokaryotic crossing between Sanjo 701ho and FMRI0995. The optimum temperature for Sanjo 708ho mycelial growth was 25oC; mycelial growth on potato dextrose agar was 51.6 mm over 7 days. The fruiting pattern was sporadic, and the optimal temperature range for fruiting was 5~20oC. Regarding fruiting body characteristics, the pileus was 65.8 mm in size, 16.1 mm in thickness, and hemispherical in shape. The stipe was 42.6 mm in and 19.6 mm in thickness. Mproductivity was good during thelow-temperature period from autumn to spring, with an average productivity of 310.7 g/bag.
        3,000원
        20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yster mushrooms are widely cultivated and consumed in Korea. P. ostreatus 'Suhan(ASI 2504)' is an ideal cultivar for mushroom farmers due to its dark pileus and thick stipe; however, as it is very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an alternative cultivar is required. To develop a new cultivar, parental strains 'Suhan(ASI 2504)' and ‘ASI 0665 (Heuktari)’ were selected from various collected strains according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 ostreatus ‘Soltari’ was developed by Di- Mon crossing between the dikaryotic strain ‘Suhan’ and the monokaryotic strain derived from ‘Heuktari’. Thirty-eight of the 100 crossed strains were selected following analysis of mitochondrial genetic characteristics, and 'Soltari' was ultimately selected by continuous cultivation tests. The mitochondrial DNA profile of ‘Soltari’ was found to be the same as that of ‘Heuktari, and a nuclear DNA profile of ‘Soltari’ was similar as those of the parental strains, ‘Suhan’ and ‘Heuktari.’ 'Soltari' mycelium grows adequately in moderate to high temperatures of 12–20oC, although its optimum temperature was found to be 30oC. Fruiting body production per 1.1-L cultivation bottle was approximately 158.8 g. Its stipe length and thickness were comparable to those of diameter and thickness were somewhat lower (42.72 vs. 51.33 mm and 18.18 vs. 22.46 mm, respectively). ‘Soltari’ was found to be more resistant to high CO2 atmosphere than 'Suhan', and the color of the pileus of 'Soltari' was dark gray at high temperatur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is new cultivar ‘Soltari’ is a good alternative cultivar and will contribute to energy saving in oyster mushroom farms.
        4,000원
        205.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광이’는 2015년 전남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목이 품종으로 2009년 JNM21008과 JNM21013의 단포자를 분리 한 후 2010년 단포자 교배하였다. 2011년 1차 우수계통 선발을 거쳐 2011년부터 2014년까지 특성 및 생산력 검정을 실시한 결과 갓 모양은 파도형으로 연흑갈색이며 분지형의 연락맥이 많고 아래쪽 표면에 선형의 짧 은털이 있는 흑목이를 최종 선발하였고 2015년 품종보호출원하였다.(출원번호 2015-19) ‘광이’의 균사 생장적 온은 25~30°C이며 버섯 발생 및 생육온도는 19~22°C가 적합하였다. 자실체 색은 대조품종보다 더 연한 연흑 갈색을 띠며 더 큰 편이며 장미꽃처럼 봉우리모양이 형성되는 특성이 있다. 갓의 식이섬유 함유량은 63%, 총 폴리페놀은 1.59%㎎이였으며 흑목이 특유의 연하고 부드러움이 있어 관능평가시 맛이 가장 좋은 것으로 평 가되었다. 톱밥 봉지재배시 자실체 특성으로 유효경수는 19개/0.9㎏로 많았고 장경 8.6㎝, 단경 5.7㎝로 갓 크 기는 큰 경향이었다. 배양기간은 20°C에서 40~50일이며 발이 및 생육기간은 23±3일로 대조품종과는 비슷하 나 품종 용아 보다는 길었다. 교배모본 및 대조구와의 대치선이 형성되었으며 RAPD를 이용한 유전적 다형 성 검정 결과 모균주와 유의적 구별성을 보였다.
        206.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에르고치오네인은 균류, 즉 곰팡이에서만 생합성 되는 물질로서 활성산소 제거, 항산화 또는 항염증, 노화 억 제에 효과가 있으며, 2010년에 미국에서 항노화 크림류 TOP 10에 들면서 미백효과와 주름개선 화장품으로도 인기가 높다. 이러한 버섯의 기능성을 강화하여 소비자가 선호하는 버섯 품종을 개발함으로써 내수증대를 통 해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자 2010년에 수량이 많은 아위느타리 계통과 버섯 형태형성이 잘되는 계통을 교잡하여 소정의 육성 절차를 거쳐서 2015년에 육성하였는데 육성경위를 보면 2009년 보존중인 아위느타리 41균주에 대한 자실체 특성을 조사하여 8개의 우수균주를 선발하였다. 2010년 우수균주 가운데 수량성 뛰어 난 ASI 2803과 형태형성이 좋은 ASI 2778의 단포자를 분리하여 Di-Mon 교배법으로 교잡하였다. 2011년 20개 의 교잡주 중에서 회백색을 띄며 형태가 좋은 우량계통 9균주를 선발하였다. 2011~2013 3년간 생산력 검정시 험을 거쳐 고품질 우량계통을 선발하여 2014~2015년간 항산화물질 에르고치오네인을 분석하여 수량 및 형태 형성 그리고 에르고치오네인 함량이 높은 GW10-45을 선발하여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5년 특허 출원하였 다. ‘GW10-45’의 항산화 성분인 에르고치오네인 함량이 기존에 가장 높다고 알려진 노랑느타리에 비해 높아 식용뿐만 아니라 가공용으로도 인기가 있으며, 식의약 소재 등으로 널리 이용가능하리라 판단된다.
        207.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버섯산업은 자동화, 대량생산시스템이 구축되면서 급속하게 성장하여 2010년 생산량 20만 톤 그리 고 생산액으로 8,860억 원을 달성하였으나 2010년을 정점으로 해서 소비량이 줄어들고 수출이 둔화되어 버섯 산업 전체가 지금 현재 정체상태에 있는 상황이다. 정체된 이 버섯산업을 극복하고 새로운 버섯산업의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서 기존의 5대 버섯 외에 새로운 품종을 개발해서 부가가치가 높고 수출 활성화를 도모 할 수 있는 시장 맞춤형 버섯품종을 개발하였다. 육성 경위를 살펴보면 2013년에 품종출원한 아위느타리 ‘비 산1호’와 국내외 수집된 백령느타리 20균주에 대한 자실체 특성을 조사하여 2개의 우수균주를 선발하였다. 2014년 우수균주 가운데 수량성이 뛰어난 아위느타리 ASI 0629(비산1호)와 백령느타리 ASI 0663(백령20)의 단포자를 분리하여 Mon-Mon 교배법으로 교잡하였다. 2014년 200여개의 교잡주 중에서 자실체 형태는 백령 느타리를 띠면서 아위느타리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가진 세포질전환 종간교잡주 8계통을 선발하였다. 2015 년 생산력 검정시험을 통해 저온처리없이 백령느타리 형태를 띠는 고품질 우량계통을 선발하여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5년 ‘설원’이라는 명칭으로 특허 출원하였다.
        208.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느타리버섯속에 속하는 다양한 종들은 국내에서 가장 인기있는 버섯에 속한다. 대표적으로 느타리버섯 (Pleurotus ostreatus),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이 있으며,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ferulae), 백령느타리버 섯(Pleurotus nebrodensis) 등이 최근 소비자들에게 소개되었다. 아위느타리버섯은 우수한 식감을 가지고 있고 기능성이 우수하며, 큰느타리버섯과 재배과정이 비슷하여 큰느타리버섯의 과잉생산을 조절하여 상호보완해 줄 수 있는 새로운 버섯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큰느타리버섯에 비해 생산량이 다소 낮고, 소비자들에게 익숙 하지 않기 때문에 선호도는 낮은 실정이다. 아위느타리버섯 신품종 육성을 위해 국내외 34점의 유전자원을 수 집하였다. 수집자원의 18s rRNA ITS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17점은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ferulae), 17점은 백령느타리버섯(Pleurotus nebrodensis)으로 확인되었다. 형태적 특징으로는 큰느타리버섯과 유사한 형 태와 핀발생이 작은 형태, 갓이 편평한 형태 등 다양한 형태가 관찰되었다. 백령느타리버섯으로 동정된 계통 역시 말굽형인 형태와 손바닥인 형태로 구분되었다. 수집자원별 균사생육은 MEA배지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온도별 균사생장속도는 PDA, YEA에서는 25°C, 30°C, 20°C, 15°C, 10°C 이었으나, MEA에서는 25°C, 20°C, 15°C, 30°C, 10°C순으로 확인되었다. 자실체 특성조사는 큰느타리버섯 재배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재배시험 을 실시하였다. 균사접종후 35일간 배양을 하였으며, 17계통의 아위느타리버섯 중 8계통에서 버섯생산이 가능 하였다. 8계통 중 버섯품질과 수량이 우수한 계통과 버섯발생이 빨랐던 계통을 육종모본으로 선정하였다. 선 발된 육종모본에서 각각 350점의 단포자를 수집하였으며, 그중 200점씩 핵형검정을 실시하였다. 단핵균주의 비율은 부본의 경우, 27.7%였고, 모본의 경우 16.0%였다. 확보된 단핵균주 중 균사생장이 우수한 균주를 각 20 계통씩 교배하여 400조합을 구성하였다. 400조합 중 300조합에서 클램프가 형성되어 75%의 교배율이 확인되 었다. 현재 교배된 계통중 균사생장이 우수한 50계통씩 단위로 자실체 특성평가를 진행중이다.
        209.
        2016.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210.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는 심각한 열스트레스 및 서로 다른 사료 에너지 급여가 사료 소화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심각 한 열스트레스 조건에서 유지를 위한 에너지 요구량을 설정하기 위해 한우 육성기 거세우 4두(평균체중 200±11.7kg)를 이용하였다. 사료 처리는 서로 다른 에너지 공급을 위해 4 시험구(TDN 기준, 쾌적한 상태 하에서 한국사양표준 한우 육성우 에너지 요구량의 100%(대조구), 심각한 열스트레스 하에서 에너 지 100%(E100), 115%(E115), 130%(E130)로 나누어 4×4 라틴 방각법으로 수행하였다. 온도 및 습도에 노출한 열스트레스 조건을 위해 대조구는 쾌적한 온습도지수(THI)=71.5, 나머지 3개 처리구는 THI=81.4로 심각한 스트레스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심각한 열스트레스는 진정 건물소화율을 유의적으 로(p<0.05) 감소시켰으며(대조구 81.5 vs E100 79.1, E115 77.0 및 E130 76.0%), 사료에너지 공급 수 준의 증가는 건물소화율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각한 열스트레스 및 서로 다른 사료 에 너지 급여 수준은 혈중 생리대사물질 함량 및 체온 변화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진 않았다(p>0.05). 본 연구를 통해 심각한 열스트레스 하에서 육성기 한우거세우의 유지를 위한 에너지 요구량은 Y=0.235X+115.03과 같은 산정식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육성기 한우거세우에게 열스트 레스 하에서 체중변화없는 유지 에너지 요구량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한국사양표준 대비, 사료 에너지 15.03%를 더 공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1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select appropriate Korean varieties in Myanmar, a serial experiments using rice varieties developed in Korea were conducted for 2 years, 2014 and 2015. Among the yield components, panicle number per hill of Shwe Thwe Yin, Myanmar variety, was 14, 19, 17 for 2014 dry season, 2014 wet season and 2015 dry season, respectively, which are 6, 1.3 and 5 panicles more than that of Korean varieties. The grain number per panicle, the ripened grain rate, 1,000 grain weight and yield of Korean rice varieties higher than that of Shwe Thwe Yin, Myanmar variety, at 2014 dry season and wet season. However, grain numbers per panicle, ripened grain rate of Shwe Thwe Yin were similar to that of Korean varieties, the yield of Myanmar variety was higher than yield of Korean varieties, at 2015 dry season. And to study the wide area adoptability, korean rice varieties and Shwe Thwe Yin were tested for 2 years, 2014, 2015 and 3 regions, the yield of Hanareum, Hangangchal 1 and Dasan 2 were higher than the yield of Shwe Thwe Yin and the regional variation of these korean varieties lower than that of Shwe Thwe Yin at 2014 wet season. Dasan 2 and Hangangchal 1 were selected as promising rice varieties in Myanmar.
        4,000원
        21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ice growing area in Yunnan province of China can be divided into six regions based on climate weather conditions, altitude, ecotype of rice varieties, eco-system, and so on as follows: the alpine and high elevation area of Japonica rice, the cold and warm area of Japonica rice, the Indica and Japonica rice area, the single and double cropping area, the paddy and upland rice area, and the single cropping area of Indica rice. In Yunnan, the annual acreage of rice cultivation has been maintained about 1 million hectares, only 3.8 percent of China’s paddy fields. Amounts of unhulled rice production in 2013 was estimated to be around 6.7 million tons. And average unhulled rice yield per ha was 5.79 tons to 6.70 tons during 2011 to 2013. The three major breeding stages commonly have been for rice breeding program: selection of purelines from native varieties by the first 1960s.: dissemination of introduced varieties from foreign countries in the mid 1960s through 1970s; and creation of new developed varieties by hybridization followed by selection after 1980s. In terms of developing Joponica rice variety, its breeding objectives has been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altitude: high yielding, grain quality, cold tolerance, and adaptable to low nitrogen fertilizer varieties for growing in areas of 2,100 m to 2,600 m above the sea level; high yielding, grain quality, resistance to disease, and cold tolerance varieties for cultivating in areas of 1,800 m to 2,100 m; and high yielding, grain quality, resistance to disease, and lodging tolerance varieties for planting in areas of 1,450 m to 1,800 m. In addition, researchers are breeding Japonica hybrid varieties for improving yield potentials in Yunnan Agricultural University.
        4,000원
        213.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육종연구소에서 1997년부터 교배조합 육성을 위하여 국내의 재배농가와 종묘업체로부터 유전자원 을 수집한 후, 핑크 중륜계 품종육성을 위해 2001년에 모본으 로 Phalaenopsis amabilis를, 부본으로는 Phalaenopsis ‘Happy Valentine’를 이용하여 교잡하였으며 후대를 획득하여 계통선 발육종을 하였다. 최종 선발된 우수계통은 2007년부터 2009 년까지 3회의 특성검정을 거쳐서 호접란 신품종 ‘스노우 핑크’ 를 육성하였다. ‘스노우 핑크’는 연한핑크색의 꽃을 가진 품종 이며 꽃잎 형태가 둥글고 안아피기 형태여서 대조품종에 비해 화형이 우수하였다. ‘스노우 핑크’ 꽃잎의 아래쪽 반은 흰색이 나 위쪽 반은 연한핑크색 무늬가 분포되어 있어 꽃잎 색의 다 른 분포가 대비를 이루어 소비자의 관심을 끌어낼 수 있으리 라 판단되었다. 또한 대조품종은 꽃 배열이 다소 흐트러진 반 면 ‘스노우 핑크’의 경우 꽃의 간격이 일정하고 가지런하게 배 열되어 대조품종에 비해 꽃 배열이 우수하며 꽃 수도 많은 편이다. 생육속도도 빠르고 재배하기가 용이하였으며 평균 꽃 수명 또한 55일 이상으로 길었다. 연한핑크계 중륜 품종으로 는 시장성이 높고 소비자기호도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2010년 국립종자원에 품종 출원하여 2011년 12월에 품종등록 을 완료하였다.
        3,000원
        214.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품종 Phalaenopsis ‘SM 5616’은 2003년 경북대에서 Doritaenopsis ‘Sogo Vivien’과 Phal. ‘Zuma’s Pixie’를 모본과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한 개체 중에서 선발한 적색 소형 다 화 분지성이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2년에 걸쳐 실생 300 개체를 양성하여 이들 중에서 영양생장과 개화특성이 우수한 개체 ‘03-05-61’을 선발하였다. 2006년과 2007년에 1차, 2차 특 성검정을 통하여 품종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하고 ‘SM 5616’으로 명명하였다. ‘SM 5616’은 화색이 화사하고 선명한 적색(71A)이며, 화형은 안아피기로 안정되어 있다. 꽃의 길이 와 폭은 각각 4.3cm, 4.6cm로 소형이다. 복총상화서로 볼륨 이 있으며 소형 캐주얼분화에 적합하다. 잎의 길이와 폭은 각 각 13.2cm, 7.2cm이며 엽형은 난형으로 수평이다. 기내증식 율이 높고 변이가 거의 없으며 영양생장 우수하여 재배관리가 용이하다. Phal. ‘SM 5616’은 2011년 12월 21일 국립종자원에 품종등록(등록번호 제3824호)하여 종자산업법에 의해 보호받 고 있으며 현재 상미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4,000원
        21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만개기 기온(15~40oC) 및 생장조절제(GA4+7 +BA와 prohexadione-calcium) 살포가 국내 주요 사과 품종(‘후지’, ‘쓰가루’)과 국내에서 육성한 품종들(‘추광’, ‘감홍’, ‘홍안’, ‘홍금’, ‘홍로’, ‘홍소’, ‘화홍’, ‘섬머드림’, ‘선홍’)의 화분 발아율 및 화분관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15oC부터 25oC까지 온도가 올라갈수록 화분 발아율과 화분관 신장 길이는 증가되었으나, 30oC 이상의 고온은 화분 발아율과 화분관 신장 길이를 억제시켰다. 30oC 이상의 고온에서 화분 발아율과 화분관 신장 길이가 가장 높았던 국내 육성 사과품종은 ‘선홍’이었다. GA4+7+BA 살포는 무처리구에 비해 화분 발아율 및 화분관 신장 길이를 증진시켰으나, 이러한 효과는 40oC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prohexadione-calcium 살포는 화분 발아율과 화분관 신장 길이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사과나무 만개기 기온이 30~35oC 정도로 높아지면, 인공수분 후 GA4+7+BA를 살포하는 것이 착과 증진에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16.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LMX와 조직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그리고 육성적 피드백이 심리 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 사용된 표본은 수도권에 소 재한 6개 대기업에 근무하는 327명의 직원이었으며, 이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LMX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 트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LMX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셋째, 육성적 피드백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LMX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강화되었다. 넷 째, 육성적 피드백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LMX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가 강화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 수준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LMX를 관리하는 동시에 육성적 피드백을 높은 수준으로 제공함으로써 조직 구성원이 경험하는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증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5,500원
        217.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igration frequency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 pork quality and economical analysis in growing-finishing pigs. A total of 56 growing pigs [(Yorkshire×Landrace)×Duroc] with an initial body weight 28.01±4.09 kg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Pig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wo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and 7 replicates with 4 pigs per pen.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1) 1 site: growingto- finishing at 1.24 m2/head, 2) 2 site: growing facility for 6 week at 0.81 m2/head followed by move to the finishing facility at 1.24 m2/head. Feeding trial was composed by two growing phase (0-3 week, 4-6 week) and two finishing phase (7-9 week, 10-12 week). As a result, different pig flows influenced on growth performance of growing-finishing pigs and 1 site treatment showed higher average daily gain, average daily feed intake, and G:F ratio on growing phase (0-6 week, p<0.01). The 2 site treatment showed higher serum cortisol level at week 6 (p=0.03). In carcass evaluation, 1 site treatment had shorter days to slaughter 110 kg body weight (p=0.01). Consequently, 1 site system had better performance and economical profits for swine farms.
        4,000원
        218.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rowth performance of growing-finishing pigs in response to high planes of nutrition. Seventy-two Yorkshire barrows weighing approximately 26 kg were randomly allotted to one of three planes of nutrition: ‘BASAL,’ ‘high’ (HI), and ‘extra-high’ (X-HI). BASAL, HI, and X-HI grower diets contained 1.15%, 1.25%, and 1.35% lysine and 3.48, 3.54, and 3.60 Mcal DE/kg, respectively; finisher diets had 1.10%, 1.10%, and 1.20% lysine and 3.43, 3.50, and 3.57 Mcal DE/kg, respectively. The animals were placed on the grower and finisher diets for 40 and 63 days, respectively, and slaughtered. Average daily gain, which did not differ among the three dietary groups during the grower phase, was greater (p<0.05) in the X-HI group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during the finisher phase (811, 862, and 842 g during the grower phase and 855, 884, and 953 g during the finisher phase for the BASAL, HI, and X-HI groups, respectively). Dressing percentage of the carcass was greater in the X-HI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backfat thickness tending to be less in the X-HI group vs. BASAL (p=0.09). Results suggest that the growth rate of growing-finishing barrows could be increased by placing them on a high plane of nutrition.
        4,000원
        219.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breed a new Korean Pleurotus eryngii cultivar with high quality and yield, single crosses between 24×46 and KNR2539 were performed, and a new cultivar, 6×13, was selected based on the days to harvest (14.6 days), quality (7.2), and yield (85.9 g/850 cc bottle). The strain was named Aeryni 5 and cultivated on a large scale at the mushroom farms to compare with Keuneutari 2ho. The yield of Aeryni 5 (82.2 g) was 122.7% of Keuneutari 2ho, and the quality of the new cultivar was 7.7 while reference cultivar was 6.3. The yield and quality of the two cultivar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The lightness of the pileus of Aeryni 5 (61.7) was greater than that of Keuneutari 2ho by 3.4 points; thus, the pileus of Aeryni 5 looked brighter. PCR with URP2 was used to discriminate between Aeryni 5 and Kenneutari 2ho.
        4,000원
        220.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부는 국가의 지속적 성장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산학협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산학협력 활동을 촉진하는 다양한 정책 및 지원 등을 추진해오고 있지만 의도한 성과를 충분히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향 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이용하여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이 산학협력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의 지원 여부가 대학의 기술이전 건수와 교원창업자 수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기술이전 수입료와 학생창업자 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이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 하고 있지만 성과의 확산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