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36

        101.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seed mixture using new domestic grass varieties orchardgrass ‘Onnuri’ and tall fescue ‘Greenmaster’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productivity from 2015 to 2018 in oversown hilly pasture, the central northern area of Korea. This experiment was consisted of 4 mixed grasses (Treatment 1 : tall fescue oriented mixture with imported varieties; Treatment 2 : orchardgrass oriented mixture with imported varieties; Treatment 3 : orchardgrass oriented mixture with domestic varieties, Treatment 4 : tall fescue oriented mixture with domestic varieties). Evaluation of seasonal changes in botanical composition of pasture showed that orchardgrass was the highest in all treatments, ranging from 46 to 89% and Kentucky bluegrass was the second highest in all treatments. Treatment 3 (7,633 kg ha-1) and Treatment 4 (7,570 kg ha-1), mixed grasses using domestic varieties, were showed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than Treatment 1(6,950 kg ha-1) and Treatment 2 (6,934 kg ha-1), which were mixed grasses using introduced varieties. Therefor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orchard grass oriented grasses mixture with domestic varieties was good for grassland vegetation and productivity in oversown hilly pasture, the central northern area of Korea.
        4,000원
        10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2016년 백색 대형 스탠다드 장미 ‘Fascinar’을 육성하였다. 2011년 ‘Splash’ 품종을 모본으로, 향기가 강한 연보라색 장미 ‘Charming Easies’ 품종을 부본으로 교배하였고 5개월 후에 성숙한 꼬투리를 획득하여 암면배지에 파종하여 후대를 얻었다. 2012년 화색, 화형, 향기 유무 등의 특성검정을 통하여 G11-338 계통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계통을 2013년부터 2016년까지 1차, 2차, 3차 특성검정을 통하여 품종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하여 ‘Fascinar’로 명명하였고 2017년에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제2017-198호) 한 후 2019년에 품종보호권이 등록(제7795호)되었다. 화색은 백색(RHS, N155D)으로 대조품종보다 짙은 백색이며, 화형은 스탠다드이며 고심형인 대형 장미이다. 향기는 대조품종 ‘화이트라임’ 보다 매우 강하며 주요향기 성분은 GERMACRENE-D, Nerol 등 테르펜류와 phenylethyl Alcohol이다. 잎의 형태는 타원형이고 가시가 적은 편이다. 연간 절화수량은 172.2본이고, 꽃잎수는 38.4매이며 절화품질 중 절화장은 75.0cm 절화경경은 6.2mm 절화중은 10.6g 이다. 절화수명은 11일, 화폭 9.2cm, 화고 5.2cm이다. 기존에 육성된 품종에 비해 향기 성분 함량이 높고 화형과 화색이 우수 하여 품종으로서 가치가 높은 품종이다.
        4,000원
        103.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접란 신품종 SM 5225은 2005년 상미원에서 Phal. Golden Peoker와 Phal. Leopard Prince를 모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F1개체 중에서 선발한 바탕은 진적색으로 가장자리가 백색인 이중색 계통의 계통이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2년에 걸쳐 실생 300개체를 양성하여 이들 중에서 영양생장과 개화특성이 우수한 개체 05-05-25를 선발하였다. 2008년과 2009년에 1차, 2차 특성검정을 통하여 품종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하고 SM 5225으로 명명하였다. SM 5225은 화색이 진적색(RHS#69D)이며, 화형은 안아 피기로 안정되어 있다. 꽃의 길이와 폭은 각각 7.3, 9.0cm이다. 총상화서로 꽃의 볼륨이 있으며 중형 분화에 적합하다. 잎의 길이와 폭은 각각 12.0cm, 6.9cm이며, 잎은 반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다. 기내증식율이 높고 변이가 거의 없으며 영양생장 우수하여 재배관리가 용이하다. 2012년 10월 31일 품종등록(등록번호 제4191호)하여 종자산업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신품종 SM 5225는 수입종묘를 대체와 분화시장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0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버섯은 느타리류로 일반느타리와 큰느타리(새송이) 두 품목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 중에서 큰느타리는 자동화 시설이 확대되면서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저장성이 우수하여 수출되는 버섯의 주요 품목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생산량이 점차 증가하면서 가격이 다소 하락하였고 이에 생산자는 큰느타리를 대체할 수 있는, 소비자는 버섯 시장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새로운 버섯 품목 개발을 요구해 왔다. 이에 따라,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중국 등 아시아 에서 맛과 향이 우수하여 고품질로 생산되고 있는 백령느 타리와 아위느타리를 종간교잡하여 ‘크리미’라는 품종을 개발하였다. 기존에 육성된 품종 및 수집된 유전자원을 재배하여 형태적 특성검정을 하였고, 아위느타리 품종 ‘비산2 호(KMCC00430)’ 와 백령느타리 유전자원 ‘KMCC00461’ 을 모본으로 선발한 뒤 각 모본으로부터 단포자를 분리하여 mono-mono 교잡하였다. 약 1,000 조합의 교잡을 하였 고, 그 중 73계통이 교잡이 확인되어 재배시험 및 자실체 특성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중 갓이 밝은 연백색이며 대가 굵고 곧아 품질이 우수한 ‘7773’ 계통을 최종선발하였고 ‘크리미’라고 명명하였다. ‘크리미’의 균사생장 적온은 25~30 ̊C이고, 자실체 생육온도는 16 ̊C이다. 농가에서 대량생산시험 후 현장평가회 및 시식회를 개최해 본 결과, ‘크리미’의 수량이 대조구 ‘백황’보다 약 5% 증수되었고, 기존 아위느타리 품종 ‘비산2호’에 비해 식감과 맛이 더 우수하며, 아위x백령느타리 품종 ‘백황’보다 자실체 형태 가 더 우수하여 고품질로 판매가 가능할 것이라는 평가를 얻었다. 큰느타리와 다르게 밝은 연백색인 갓을 가졌으며, 식감과 향이 더 우수한 아위x백령느타리 신품종 ‘크리미’가 앞으로 버섯 농가의 새로운 소득 창출과 버섯 시장의 품목 다변화에 이바지할 것을 기대해 본다.
        4,000원
        10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팽이의 신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모균주 ASI 4103과 4111으로부터 포자를 수집하여 단핵균주를 얻고 이들의 교잡을 통해서 꺽쇠연결체가 확인된 교잡주 총 36점을 선발하였다. 교잡주를 대상으로 3회에 걸쳐 재배시험 결과, 수량이 우수하고 생육후기에도 갓이 피지 않는 황금색 우량계통 ‘Fv15a31’을 최종선발하였으며, 생산력검정 시험을 통해 2018년에 농작물 직무육성 품종 심의회를 통과했고 2019년에 ’아람‘이란 명칭으로 출원하였다. 주요특성은 갓 색깔이 황금색이고 대는 연한갈색이며, 갓 모양은 안으로 더 말린 반구형으로 대조품종과 형태적으로 차이를 보인다.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5oC이며, 대조품종에 비해 여러 온도범위에서 아람의 균사력이 우수하였다. 또한 자실체 수량은 병당(1,100 ml) 237.7±9.54g으로 대조 품종보다 높았고 버섯발생이 2일 빨랐다. 갓에 반점이 없어 외관상 대조품종보다 품질이 우수하였다. 대치배양과 유전적 다형성 검정 결과, 아람이 다른 갈색 및 백색품종들과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107.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ive implementation of private subsidy projects requires comprehensive expertise in the aquaculture and construction sectors to be provided to private subsidy operators,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others involved in budget execution and settlement. Due to the strengthening of laws and systems related to the execution of state subsidies since 2015,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private-sector grant projects has been difficult for delays in projects, cancellations, and conflicts with local governments from lack of prior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related regul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government will be able to activate the project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each phase of project implementation for improving quality internalization of the project effects, as well as quantitative growth of the private sector subsidy project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quaculture development projects.
        4,500원
        108.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7년 빅립 형태의 분홍색계 팔레놉시스 ‘Lovely Angel’을 개발하였다. 2009년 백색 팔레놉시스 P. ‘Timonthy’와 빅립을 가지는 분홍색 P. World Class ‘Big Foot’을 모본과 부본으로 교배하였다. 2013년 생육이 우수하고 화색, 화형, 꽃대수 등 개화 특성이 우수한 ‘09056-12’를 개체선발하여 기내 화경배양을 통해 증식하였다. 2014년부터 2017년에거쳐 1차, 2차 특성검정을 통해 품종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하여 ‘Lovely Angel’을 육성하였다. 이 품종은 밝고 선명한 보라빛 분홍색(RHS, PVG81C)을 띄며, 줄 무늬를 가지고 있고 설판이 큰 빅립 형태가 특징적이다. 안아피는 형태의 꽃은 길이와 폭이 각각 6.1, 5.6cm이며, 1개의 꽃대에 20.6개의 소화가 착생하여 꽃 수가 비교적 많이 달리고, 꽃대 길이는 31.8cm 이다. ‘Lovely Angel’는 생육시 잎은 반하수로 자라며 길이는 18.7cm, 폭은 6.8cm이다. 신품종인 ‘Lovely Angel’은 소형 분화용으로 이용 가능할 것이다.
        4,000원
        109.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eld Green’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12년에 개발한 국화 신품종이다. 2008년 황색 홑꽃인 ‘Laque Roicks’를 모본으로 하고 흰녹병저항성이며 연두색 홑꽃인 ‘Frill Green’을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였다. 실생개체중에서 녹색이며 잘 자라고 꽃모양이 안정적인 개체를 2009년에 선발하였다. 그리고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동안 촉성재배와 억제재배, 자연재배을 통해 특성검정을 실시하고 최종 선발을 하였다. ‘Field Green’ 은 자연일장조건에서 10월 26일에 개화하는 품종으로 일장조절을 통해 연중재배가 가능하였다. ‘Field Green’ 품종은 밝은 녹색의 설상화와 녹색의 통상화를 가진 홑꽃이다. 한 꽃당 설상화수는 18.8매이고 꽃의 크기는 7.1cm이었으며 초장은 130.0cm으로 줄기생장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흰녹병에 저항성이고 절화수명은 20.0일 정도였다. ‘Field Green’은 2013년 2월 20일 품종보호출원(출원번호: 2013-153)하고 국립종자원에 2014년 4월 2일 품종등록번호 제4839호로 품종보호등록을 완료하였다.
        4,000원
        110.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강원도에서 육성한 오륜팝콘, 오륜2호, 지팝콘, 기찬팝콘 총 4품종 팝콘 옥수수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비교하였으며, 항목은 일반성분, 무기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환원당 및 전분함량을 분석하였다. 건조된 팝콘 옥수수 품종의 수분함량, 회분, 조지방은 각각 11.54-12.54%, 0.97- 1.45%, 2.48-2.62%의 함량을 나타냈다. 조단백질 함량은 9.68-11.75% 이였다. 무기성분으로는 칼륨과 인이 가장 조성비가 높게 나타났으며 칼륨은 228.25-310.46 mg/100 g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오륜팝콘이 가장 함량이 높았고, 인의 함량은 276.04-310.00 mg/100 g의 함량을 나타냈다. 지방산은 총 11종이 검출되었으며 linoleic acid의 함량이 전체 지방산 함량의 52.89--55.76%의 분포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oleic acid(24.31-26.65%), palmitic acid(14.20-15.92%) 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은 품종 별로 총 16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glutamic acid가 전체 아미노산의 17.70-18.52%로 가장 높았고, leucine(12.30-12.54%), proline(10.34-10.92%)의 순으로 조성비가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 환원당 함량은 4.68-5.13% 이였으며, 전분은 42.14-46.14%의 함량을 나타냈다.
        4,000원
        111.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khye is a traditional rice beverage, produced from steamed rice, barley or wheat malt and water. Nine varieties of barley and seven varieties of wheat cultivar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quality characteristics, diastatic power, and activities of α- and β-Amylase. For barley malt, the crude lipid and protein content of malt 1.74~2.42% and 10.71~14.36%, respectively. Also, the crude lipid and protein content for wheat malt 1.57~1.71% and 10.07~13.59%, respectively. The ‘Dahyang’ barley showed the highest diastatic power with 117.61 °L, while for wheat, ‘Baegjoong’ produced the highest diastatic power with 85.25 °L. The enzymatic activities, α- and β-Amylase for barley cultivar was 110.17~214.70 μnit/g and 869.73~1,638.43 μnit/g, respectively. Likewise, α- and β-Amylase for wheat cultivar was 73.19~132.23 μnit/g and 726.70~ 889.30 μnit/g, respectively. The highest sugar content of Sikhye from barley was 11.10 °Bx (‘Hyeda’), while from wheat, was 10.20 °Bx (‘Baegjoong’). Among the four free sugar components analyzed from Sikhye, maltose was the highest in all cultivars. The highest maltose content was produced in ‘Dahyang’ Sikhye at 6.91%.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correlation among the diastatic power and enzymatic activities of malt and free sugar components in Sikhye.
        4,000원
        11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인세티아 ‘Red Wing’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17년에 육성한 품종이다. ‘Red Wing’ 품종은 진한 적색의 주름이 많은 포엽을 가진 ‘Red Breeds’와 분홍색의 포엽과 결각이 있는 잎을 가진 ‘Enduring Pink’를 2013년에 교배하여 획득한 실생 계통을 선발하여 육성하였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생육특성, 개화특성, 균일성에 대하여 1, 2차 특성검정을 실시하였으며, 2017년에 3차 특성검정을 실시하여 최종 선발한 후 직무육성품종심의회에 상정하여 ‘Red Wing’으로 명명하였다. ‘Red Wing’ 품종은 밝고 진한 적색의 주름진 타원 모양의 포엽과 열편이 거의 없는 달걀형의 잎을 가진다. 초장과 초폭은 중간이나 줄기가 굵고 튼튼해 균형감 있는 수형을 이룬다. 단일 처리 후 약 8주가 경과하면 완전히 착색되어 출하가 가능 하다. 이 품종은 2019년 1월 19일에 국립종자원에 품종등록 (등록번호 7454호)되었다.
        3,000원
        115.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청북도농업기술원에서는 연한 분홍색의 향기가 있고, 꽃수가 많으며, 개화기간을 오래 지속할 수 있는 속간 교배종 난 ‘핑키뷰티’를 육성하였다. 신품종 ‘핑키뷰티’는 2007년 Phal. pulcherrima × Phal. parishii 교배종을 모본으로, Neof. falcata ‘Hwacheon’을 부본으로, 속간교배하였다. 종자 발아, 재배, 선발, 특성검정은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진행되었다. 생육이 좋고 꽃의 색, 모양이 우수한 계통을 선발 한후,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에 걸쳐 국립종자원 신품종 심사기준으로 특성검정 결과,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8년 최종 선발하여 “핑키뷰티”로 명명하였다.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화색은 연분홍색으로 Red-purple Group 68D(RHS칼라차트)이며, 향기가 있고 화경색은 암록색이다. 식물체 크기는 12.7cm로 대조품종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잎의 폭은 1.6cm로 대조품종인 P. pulcherrima에 비해 좁은 편이다. 화경장은 25.8 cm이며, 소화수는 16.3개로, 전반적으로 화분의 볼륨감이 우수한 편이다. 꽃의 크기는 2.5cm 정도이며, 꽃의 순판 뒤쪽에 풍란과 같은 짧은 거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개화기는 5월 하순이며, 개화기간은 34일 정도이다.
        4,000원
        116.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접란 ‘브라보 스타’는 2007년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 육종온실에서 Phalaenopsis ‘Kung.’s Red Coral’을 모본으로 Phal. ‘Tzu Chiang Balm’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한 F1개체 중에서 선발한 유향성 소형 다화 분지성의 신품종이다. 2010 년 실생 개체 중에서 영양생장과 개화특성이 우수한 개체 5개 체를 1차 선발하였고 2011년과 2012년에 계통으로 육성하여 2013-2015년에 각각 1차, 2차, 3차 특성검정을 통하여 품종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하고 최종한 계통(08-VIO-16)을 선발 하여 직무육성심의를 거쳐 ‘브라보 스타’로 명명하였다. ‘브라보 스타’는 화색이 진한 밝은 핑크(RPN57B)이며 화형은 평피 기이다. 화경은 복총상화서로 분지성이 강하며 화경길이는 29.9cm로 대조품종(Kung’s Red Coral)보다는 큰 편이다. 화수는 상대적으로 다화성 분화품종에 비해 7-8개로 적은 편이 나 4-6개의 대비품종보다는 많은 편이었다. 꽃의 길이와 폭은 5.7cm와 5.2cm로 소형이었고. 향기는 강하고 계피향이 가미된 달콤한 향을 가지고 있으며 꽃잎의 육질이 두껍고 꽃 수명도 2개월 이상으로 길어 선물용 분화품종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엽형은 대비품종이 둥근 원형인 반면, 육성품종의 잎은 긴 선형이며 잎의 길이와 폭은 각각 18cm, 29cm로 대비 품종에 비해 크고 긴 편이고 잎자세는 수평에 가깝다. 육성품 종은 기내 증식율이 높고 식물체가 강건하고 생육이 빠르기 때문에 재배가 용이하다. 2017년 3월에 품종등록(등록번호 제 6719호)되어 종자산업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4,000원
        117.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미는 소비자 기호도가 빠르게 변화하는 화종으로서 소비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고 로열티 지출 부담을 줄이고자 전북농업기술원에서 향기가 있고 수량성이 우수한 절화용 복색 스탠다드 ‘Blondie’를 육성하였다. 2013년 ‘Regato’를 모본으로, ‘Cherry Brandy’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한 후 74개 종자를 획득하여 53 실생 개체를 얻었다. 2014~2015년 특성 평가를 통해 개화가 균일하고 향기가 있으며 생산성이 우수한 ‘R132093-45’ 계통을 선발하였고, 2016년부터 2년 동안 특성검정, 기호도 평가 및 생산력 검정을 통하여 ‘Blondie’ 품종으로 육성하였다. ‘Blondie’는 오렌지와 살구색 복색 화색(O24C, R36D)의 겹꽃 스탠다드 계열로 향기가 있고, 신초는 안토시아닌 색소가 강하게 발현되며, 엽 형태는 중간 타원형, 엽색은 진한 녹색(N137A), 잎 표면의 광택은 강하다. 꽃 모양은 불규 칙한 원형이고 꽃 측면에서 본 윗부분과 아랫부분은 모두 평평한 고유특성을 가진다. ‘Blondie’의 소화폭은 9.4cm로 대조 품종(‘Hera’)보다 작고 꽃잎수도 36.7개로 적었으며, 가시 발생 정도, 절화장, 경경 및 엽 생육은 유사하였다. ‘Blondie’의 절화 수명과 기호도 평가는 대조품종인 ‘Hera’보다 우수하였으며, ㎡당 연평균 절화량은 150.3본으로 대조품종보다 18.4본 더 많았다. ‘Blondie’ 품종은 2019년 7월 22일 신품종보호권이 최종 등록(등록번호: 제7824호)되었다.
        4,000원
        11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하’품종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에서 2015년도 육성한 사계성 딸기 신품종이다. ‘무하’는 ‘매향’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Selva’ 품종을 부본으로 2010년 교배하여, 고온장일조건에서 당도가 높고 꽃대가 연속적으로 출현되는 우수한 사계성 개체를 선발한 것이다. 대관령의 여름재배 작형에서 2013년 생산력 검정, 2014년 특성검정을 거쳐 ‘새봉 7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15년에 지역적응성 시험을 거쳐 ‘무하’로 명명하였다. ‘무하’의 초형은 반개장형이며 , 엽형은 타원형이며, 초세가 강하다. 과실모양은 원추형이며, 과색은 붉은색이다. ‘무하’의 화방수는 18.7개로 ‘Flamenco’보다 10.0개보다 8.7개 더 발생한다. ‘무하의 경도는 ’Flamenco‘ 와 비슷하다. ‘무하’의 상품과수는 37.2개 였으며, 상품수량은 23,981 kg·ha-1으로 ‘Flamenco’ 품종보다 159% 더 많았다. 신품종 사계성 딸기 ‘무하’는 고온에서도 꽃대가 잘 발생하고 착과되어 동남아 북부 및 고원지대에서 재배가 가능한 사계성 딸기 품종이다.
        4,000원
        11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rning Bell’ 품종은 생육이 왕성하고 엽소 및 잎마름병에 강하며 꽃이 큰 백합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2008년 충남 농업기술원 태안백합시험장에서 교배한 OT(Oriental hybrid× Trumpet hybrid)계통의 종간교잡종이다. 모본으로는 복색(백 색+분홍색)의 OT계통 ‘Altari’ 품종을, 부본으로는 분홍색의 Oriental계통 ‘Solaia’ 품종을 화주절단수분법에 의해 교배한 후 2009년부터 2012년까지 기내 종자배양 및 증식 육묘하여 2013년 우수계통(OT13-9)을 1차 선발하였다. 2013년부터 2015년도에 걸쳐 ‘Candy Club’ 품종을 대조구로 하여 보통재배를 통한 특성검정을 실시하였으며, 2014년 화훼연구소에서 개최 한 신품종 평가회에서 기호성이 우수한 개체를 2차 선발하여 ‘Chungnam OT-3’로 명명한 후 농촌진흥청 농작물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립종자원에 ‘Morning Bell’로 품종보호 출원하였다.‘Morning Bell’ 품종의 중부지역 자연 개화는 7월 2일로 ‘Candy Club’ 품종과 비슷하였고 초장은 120.8cm이었다. 진분홍색 반점에 복색(크림색+적색)의 화색과 상향개화성이었다. 잎마름병과 진딧물 등의 병충해 방제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양수분 관리 등 일반적인 재배관리를 통해 고품질 절화 및 구근생산이 가능하다.
        4,000원
        120.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olden Bell’ 품종은 생육이 왕성하고 엽소 및 잎마름병에 강하며 꽃이 큰 백합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2007년 충남 농업기술원 태안백합시험장에서 교배한 OT(Oriental hybrid× Trumpet hybrid)계통의 종간교잡종이다. 모본으로는 노랑색의 OT계통 ‘Yelloween’ 품종을, 부본으로는 백색의 Oriental계 통 ‘Muscadet’ 품종을 화주절단수분법에 의해 교배한 후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기내 종자배양 및 증식 육묘하여 2011년 우수계통(OT11-2)을 1차 선발하였다. 2012년부터 2013년도에 걸쳐 ‘Yelloween’ 품종을 대조구로 하여 보통재배를 통한 특 성검정을 실시하였으며, 2012년 화훼연구소에서 개최한 신품종 평가회에서 기호성이 우수한 개체를 2차 선발하여 ‘Chungnam OT-4’로 명명한 후 농촌진흥청 농작물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 원회 심의를 거쳐 국립종자원에 ‘Golden Bell’로 품종보호 출원하였다.‘Golden Bell’ 품종의 중부지역 자연개화는 6월 16일 로 ‘Yelloween’ 품종과 비슷하였고 초장은 136.4cm이었다. 반점이 없는 노랑색의 화색과 상향개화성을 나타내었다. 재배에 있어서는 잎마름병과 진딧물 등의 병충해 방제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양수분 관리 등 일반적인 재배관리를 통해 고품질 절화 및 구근생산이 가능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