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65

        102.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nax ginseng C.A. Meyer has been extensively used in the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s a restorative, tonic and prophylatac agent. This study was devised to develop a chemopreventive agent from panax ginseng to be able to suppress the genotoxicity and oxidative damage by reactive oxygen species, which are involved with cancer or aging. Ginseng petroleum ether extract (GPE) and one of its fraction, P2, showed an antioxidative effect on the lipid peroxidation of ethyl linoleate with Fenton's reag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to 1,1-diphenyl-2-picryl hydrazil (DPPH) radical generation. They also showed the suppressive effect of H₂O₂ or KO₂ induced DNA damage by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SCGE). Results from our study indicate that GPE and P2 are capable of protecting lipid peroxidation, and oxidative DNA damage. Therefore, GPE and P2 may be useful chemopreventive agents which are involved with cancer and aging.
        4,000원
        103.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수삼을 주서로 갈아 30분간 끓인 다음 착즙, 원심분리하여 당을 추출하여 HPLC 및 TLC로 당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크로오스는 3.77%, 말토오스는 3.5%, 프룩토오스는 0.09%, 글루코오스는 0.04%, 전분은 3.9%로 나타났다. 다른 소당류는 검출되지 않았다. NMR 분석 결과 전분은 α-1, 4-글루코시드 결합만을 나타내고, 요오드 반응은 아밀로오스(DP 117) 흡광도의 92%를 나타냈기 때문에 아밀로오스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카르바졸법으로 펙틴을 분석한 결과 갈락투론산으로 0.22%를 나타냈다.
        4,000원
        104.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cohol treatment was applied to ginseng powder for the improving hygienic quality of ginseng powder. A bacterial strain designated as GT5 was isolated from ginseng powder contaminated and was identified as Escherichia coli species by IMVIC test method. Ethanol used as alcohol, inhibited strongly the growth of coliforms in ginseng powder at the concentrations of 50 to 90%. Ethanol treatment also decreased numbers of total bacteria at the same concentrations. There was not significant changes in saponin of ginseng powder after treated with ethanol. However, ethanol treatment caused a decrease in Hunter's color L value and an increase in a and b values of ginseng powder. As a hygienic quality control of ginseng powder, ethanol treatment could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means for decontaminating microorganisms in ginseng powder.
        4,000원
        105.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월과 9월에 채엽하여 제조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인삼 엽록차의 일반성분 함량은 조단백질, 조회분 함량은 7월엽이 다소 높은 경향이나 조지방과 당의 함량은 9월엽이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여 채엽시기에 따라 성분 함량이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9월엽을 FHT로 제조하였을 때 유리당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인삼 엽록차의 색깔은 7월에 수확한 HHT의 색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향기와 인삼엽 특유의 향기는 9월에 수확한 HHT를 좋아했으며, 맛성분은 쓴맛 성분이 너무 강한 것으로 나타나 쓴맛 성분의 조화 또는 제거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인삼 엽록차에서의 떫은맛, 구수한 맛이나 차를 마신 뒤의 끝향기나 구수한 뒷맛은 FHT나 HHT를 이용할수록 향상되었으며 7월보다는 9월에 수확한 잎에서 더욱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므로 인삼 엽록차에 대한 전체적인 기호도는 9월에 수확하여 가열처리 방법으로 제조한 것이 차로서 좋다는 것이 평가되었다.
        4,000원
        106.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구면역 관용은 egg albumin 경구 투여 후 2차에 걸쳐서 EA + Alum를 복강 투여하여 유발시켰다. 인삼 엑기스가 경구면역관용 유발과정에 혈중 항 EA 항체, 비장 T cell subset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리식염수군은 면역관용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EA + Ext.는 면역관용이 5주 까지의 실험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삼 엑기스 단독에 의해서는 1차 면역응답에서 면역 관용의 유도가 장해되었으나, 2차 면역 이후에서는 면역관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장 T 세포 CD^+, CD 4^+ subset가 감소하였다. 이는 인삼 엑기스의 면역관용에는 T 세포의 분화 증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세포의 분화 억제에 의한 면역관용임을 추측케하고 있다.
        4,000원
        107.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삼근, 에탄올-물 추출 인삼박, 에탄올 추출 홍삼박을 Saccharomyces cerevisiae로 알코올 발효시켜 술을 만들었다. 당농도 25%에서 인삼박 농도를 5%, 10%, 15%, 20% 넷으로 나누어 발효시킨 결과, 인삼박의 농도가 높을수록 발효속도가 빨랐으나 기호도는 10%에서 가장 높았다. 인삼근, 인삼박, 인삼박 + 인삼근을 조합시킨 결과, 인삼근의 함량이 높을수록 발효가 빨랐다. 그래서 알코올 12도를 나타내는 데 인삼박 10%만으로 발효시킨 것은 27일, 인삼근 10% 만으로 발효시킨 것은 6일이 걸렸다. 한편, 홍삼박으로 발효시킨 것은 15일이 걸렸다. 색, 향취 맛의 기호성은 인삼박 10% 만으로 제조한 술이 가장 우수하였다. 홍삼박은 6.7%를 사용한 것의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기호도가 가장 우수한 인삼박주의 pH는 3.5, 환원당은 80mg/ml, 유기산 2.6, 알코올 12도, 사포닌 함량 28mg/ml였고, 기호도가 가장 우수한 홍삼박주의 pH는 3.4, 화원당은 58mg/ml, 유기산은 2.8, 사포닌은 44mg/ml였다.
        4,000원
        108.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preliminary experimen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zone sterelization on the ginseng powder, the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organic acid content and sensory properties in ginseng powder treated with ozone was investigated. Ginseng powder was treated with 0.5 ppm ozone for 24 hours and 48 hours, respectively. With increase in ozone treatment time, the content of crude lipid and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decreased, whereas composition of total saturated fatty acid increased. Contents of unsaturated fatty acid-linolenic acid, linoleic acid, and oleic acid, etc.-decreased with ozone treatment time, whereas saturated fatty acid of same number-stearic acid-increased. Contents of organic acid were not shown significant changes. Ginseng odor, roasted odor, bitter taste, roasted taste and sweet taste were thicker with ozone treatment times, but pungent taste was thicker with those treatment. These changes of ordors and tastes of ginseng powder with ozone treatment were predicted by oxydation of lipids, flavor components and saponins.
        4,000원
        109.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tifungal effects of polyphosphates on the growth and T-2 toxin production of Fusarium sporotrichioides M-1-1 were investigated. The growth of the strai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the potatoes dextrose agar medium treated with 1.5% polyphosphates or more. When we checked T-2 toxin by the indirect competitive ELISA, the strain produced 11.25 ug/ml and 10.90 g/ml levels of T-2 toxin in rice and corn containing 50% moisture contents, respectively. However, T-2 toxin was little detected in rice medium and corn medium with 1.5% polyphosphates addition for short(14 days) and prolonged incubation time(45 days). We also observed the destruction of cell wall and outflow of cell ingredients with 1% polyphosphates treatment to the strain. Therefore, moisture and polyphosphates greatly effected on the growth and T-2 toxin production of the strain.
        4,000원
        110.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zone treatment was applied to ginseng powder for the improving hygienic quality of ginseng powder. A bacterial strain was isolated form ginseng powder contaminated. The strain designated as GT4, was identified as Escherichia coli species by IMVIC test method. Ozone inhibited strongly total bacteria and coliforms in ginseng powder(initial concentration 10³/g) at 0.35 ppm. High ozone concentration reduced death time of the total bacteria in ginseng powder. However, ozone treatment caused significant degradation in saponins of ginseng powder. Ozone treatment also caused a increase in Hunter's color L value and decrease in a and b values of ginseng powder.
        4,000원
        111.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ry rehydratable film (Petrifilm)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standard pate count (SPC) method for estimation of total bacteria in ginseng products. Ginseng products (7 sample) was analyzed for total count by the SPC, and Petrifilm method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ginseng tea, ginseng extract, ginseng extract pill, ginseng powder capsule, and ginseng extract tea,. they showed non-significant values at the 1 level. However, the values of ginseng powder and tablet showed significant at the 1 level. These results generally indicate the suitability of the dry rehydratable film methods as alternatives to the SPC method for estimating of total bacteria in ginseng product samples except to ginseng powder and ginseng tablet.
        3,000원
        112.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홍삼과 백삼의 조산성 다당체 성분과 수용성 추출물, 그리고 ginsenoside 성분이 암독소 호르몬-L에 의해 유도된 지방 분해를 저해하는 효과를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방분해 빛 식욕억제 인자로 알려진 암독소 호르몬-L은 sarcoma-180을 접종한 mouse의 복수액으로 부터 부분정제하여 사용하였다. 한국 홍삼과 백삼으로부터 정제하여 얻은 조산성 다당체 각 분획의 성분은 10 ㎍/㎖농도 이상에서 암독소 호르몬-L이 유도하는 지방 분해에 억제효과가 있었고, 이들 중 PG_1과 PG_4에서 지방 분해 저해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이를 더 정제한 결과 PG_4-3분획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고려인삼중 백삼과 홍삼의 각 4, 5, 6 년근별로 얻은 수용성 추출물의 암독소 호르몬-L의 지방분해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억제율은 1, 000 ㎍/㎖ 농도에서 백삼 4, 5 및 6년근이 각각 56.3, 59.7 및 59.4% 였고, 홍삼은 각각 78.6, 79.1 및 82.5%로 백삼보다 홍삼의 억제율이 높았다. 인삼 시료 g 당 총저해활성(unit/g)은 백삼의 경우 100 ㎍/㎖농도에서는 4년근이, 1, 000 ㎍/㎖농도에서는 5년근에서 가장 높았으나, 홍삼의 경우 다같이 6년근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ginsenoside 성분의 경우 지방 분해 억제율과 총저해활성이 모두 Rb_2에서 가장 높았다
        4,000원
        113.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4년부터 1993년까지 해충 피해가 나타난 66개 인삼 포장에서 해충의 종류와 피해 양상을 조사하였다. 곤충유로 큰검정풍뎅이, 참검정풍뎅이, 큰다식풍뎅이, 애우단풍뎅이, 방아벌레, 땅강아지, 왕귀뚜라미, 조명나방, 숫검정밤나방, 도둑나방, 벼잎물가파리, 미동정 줄기굴파리류, 가루깍지벌레, 달팽이류도 들민달팽이와 명주달팽이 그리고 쥐류 및 꿩이 인삼을 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큰검정풍뎅이, 참검정풍뎅이, 땅강아지, 들민달팽이, 명주달팽이의 발생빈도가 높은 편이었다. 인산의 지하부(뿌리) 피해는 경사지의 2년근 포장에서 춘기 (5~6월)과 추기(9~10월)에 나타나고 지상부(잎과 줄기) 피해는 평지의 3년근 이상의 부초 포장에서 춘기에 주로 나타났다. 3개 포장이 심한 지하부 피해로 인해 폐장되었다.
        4,000원
        116.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삼의 ehtanol 추출물과 영지 열수추출물 및 영지 crude polysaccharide가 유산균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L. casei IAM 1643과 S. thermophilus KCTC 2185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인삼추출물에는 탄수화물 60.7%, 단백질 27.5%, 영지추출물에는 단백질 46.4%, 탄수화물 35.9%가 함유되어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일반성분의 대부분을 나타내었으며, 영지 crude polysaccharide의 총당함량과 총단백질함량은 각각 47.2%와 15.2%이었다. 인삼 추출물에는 arginine과 tryptophan의 2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된 것으로, 영지추출물에는 이들 외에도 alanine, lysine, serine 등 모두 11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삼추출물과 영지추출물 및 영지 crude polysaccharide를 0.1%, 0.2%, 0.4%씩 TG배지에 첨가하여 유산균을 배양하였을 때 이들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모두 뚜렷한 생육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그 효과는 인삼추출물은 L. casei의 경우에, 영지추출물은 S. thermophilus의 경우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효과도 증가하였다. 인삼 및 영지추출물에서 분석된 유리 아미노산중 arginine, lysine 등은 L. casei의 경우에 생육증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lysine, serine, arginine, glutamic acid 등은 S. thermophilus의 경우에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117.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잎 중의 가용성 invertase를 탈이온수로 추출한 후 황산암모늄 0, 4∼0.6 포화획분에 의하여 조제하였으며 이의 효소화힉적 성질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효소의 최적 pH와 온도는 pH 6.0과 40℃ 였으며 pH 6.0∼8.0 범위와 40℃ 이하에서 안정하였다. Protease 및 단백질 변성제 처리에 의하여 활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glycosidase에 의해서는 저해를 받지 않았다. 본 효소는 sucrose와 inulin 등의 β-fructofuranoside 결합을 가진 기질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전형적인 β-fructofuranosidase의 성질을 나타내었다.
        4,000원
        118.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석유 에테르로 인삼지방질 성분을 추출해 낸 소위 탈지인삼을 가지고 기본 식이에 0.5, 1.0 및 3.0% 비율별로 각기 혼합하여 만든 탈지인삼식이로 이유 후 체중 83±4g 웅성백서 130두를 대상으로 4주 또는 8주동안 급식한 후 기본식이로 교체하여 다시 8주 또는 4주동안 급식하여, 교체급식에 의한 흰쥐의 혈청, 간 및 대동맥중의 콜레스테롤함량 변화의 추이를 비교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청중 총 콜레스테롤과 유리콜레스테롤 함량은 0.5, 1.0 및 3.0% 탈지인삼식이 급식후 기본식이로 교체하여 급식시 증가되었다. 2. 대동맥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0.5, 1.0 및 3.0% 탈지인삼식이 급식후 기본 식이로 교체하여 급식시 감소되었다. 3. 혈청, 간 및 대동맥 중 유리콜레스테롤 함량은 1.0% 탈지안심식이 급식후 기본식이로 교체하여 급식시 증가되었으나, 혈청과 간중 유리콜레스테롤 함량은 3.0%탈지 인삼식이의 경우 감소되었다.
        4,000원
        119.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김치에 인삼 2% 및 4%를 첨가하여 20℃에서 9일간 저장하면서 숙성기간별로 pH, 산도, 염도와 환원당의 변화를 관찰하고, Instron에 의한 경도측정, HPLC에 의한 유기산 분석 및 관능검사로 가식기간과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시료김치는 약 2.3% 정도의 염도를 유지했으며 발효기간 중 인삼 첨가군이 pH, 환원당함량 및 기계적 측정에 의한 경도가 높게 나타났고 산도는 낮게 나타났다. 유기산 분석결과 oxal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의 함량이 많았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succinic acid,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증가하고 oxalic acid는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tartaric acid와 mal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관능검사결과 인삼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경도를 나타냈으며 감칠맛과 탄산미가 좋게, 신맛과 이취가 적게 평가되었으며, 인삼으로 인한 쓴맛과 전체적 취식특성이 좋게 평가된 것으로 보아 인삼의 첨가가 김치의 기호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관능검사와 분석한 성분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김치의 기호도는 이취, 탄산미, 신맛, 그리고 감칠맛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결국 김치에 인삼을 첨가함으로써 기호성을 증대시키고 가식기간을 연장할 수 있었으며, 인삼첨가군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인삼 2% 첨가군이 기호성 및 경제성에 있어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20.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6~1990년에 3년근 인삼포장에서 참검정풍뎅이 유충에 의한 춘기 피해 양상을 조사한 결과 인삼포장의 바깥쪽일수록 피해가 심하였는데 이는 참검정풍뎅이 자성충의 dirks 이동 습성 때문으로 보인다. 3령 유충에 의한 3년근 인삼의 피해부는 뿌리 동례의 상부, 중부, 하부 또는 뿌리 전체였으며 드물게 지하부 줄게에도 피해가 있었다. 섭식기 3령층의 평균 서식 깊이는 인삼 유묘, 2년근, 3년근, 쑥에서 각각 3.2cn, 5.6cm, 6.6cm, 4.9cm 였다. 춘기의 참검정풍뎅이 유충에 의한 인삼의 피해는 주러 5월 중순에서 7월 상순에 발생하였고 강우량이 증가할 경우 피해가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