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21.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have been diversely developed to enhance taste and flavor while preserving them on a long term basis. For those furthur utilization and development, more efforts to commercialize these products focusing to the consumer's needs should be proceded. In that sence, the fermented foods might be classified into the bioproduct (biofood) and the sterilized. The former defines the non-sterilized such as Kimchi, Jeotkal (fermented fishes), and Jang (fermented soybean products) so as to include various kinds of microorganisms, enzymes and the unknown bioproducts, while the latter defines the sterilized such as soysauce and vinegars proper to the commercialization. In this paper, present R & D status has been reviewed laying stress on Kimchi, Jeotkal and Jang and the mixed fermentation system by the microflora was suggested as a Korean style model for the future R & D direction in these fields.
        4,000원
        23.
        198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 압출 성형공법을 이용한 전통 식품의 가공 및 개선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조사 평가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특히 Extruder를 이용한 미강안정화공법, 즉석 떡 제조법, 곡류를 기질로한 젖산 발효 음료 및 탁주 제조법에 관한 연구 결과를 다루었다.
        4,000원
        24.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김치 종류에 대한 문헌적 고찰들을 종합하고 지난 200년 사이에 일어난 김치제조기술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최근의 과학적 방법에 의한 김치 연구결과 중에서 김치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특히 맛, 영양, 안전성, 저장성에 관한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4,000원
        25.
        2017.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yogurt starter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The 2 strains (KM24, KM32) among 50 strains of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selected as starter based on milk clotting ability,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various pathogens, tolerance in artificial gastric and bile juice and growth in 10 % skimmed milk. The strains were identified as Lacobacillus plantarum (KM32) and Pediococcus pentosacesus (KM24) by 16S rRNA gene sequencing. Viable cell number of yogurt fermented with mixed strains (KM24 and KM32) was 9.66 log CFU/mL after fermentation for 48 h and maintained 109 CFU/mL during fermentation for 72 h at 37℃. The pH and titratable acidity of mixed cultured yogurt were 4.25% and 0.83% after fermentation for 48 h at 37℃, respectively.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ixed cultured yogurt after fermentation for 48 h were 38.45 μg/mL (polyphenol content), 48.57%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465.40 cp (viscosity), respectively. The mixed cultured yogurt maintained 109 CFU/mL of lactic acid bacteria during storage 10 days at 4℃. The viable cell number of yogurt prepared with mixed culture(KM32+KM24) maintained higher and than that of control (L. casei) during storage. These results indicated the potential use of selected strains (KM32+KM24) isolated from kimchi as a yogurt starter with strong acid tolerance and probiotics properties.
        28.
        201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J#3과 DJ#13은 항염증질환 소재로서 가능성을 확인하 고자 국내 전통식품 풀질인증 된장에서 장기간 숙성된장으 로 선발된 시료이다. DJ#3과 DJ#13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율 을 살펴본 결과 DJ#3과 DJ#13 추출물 모두 100 μg/mL의 농도까지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DJ#3과 DJ#13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TNF-α에 의해 활성화된 혈관내피세포에서의 NO 생성,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과 mRNA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혈관내 피세포에 TNF-α를 처리한 결과 NO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가 DJ#3과 DJ#13 추출물(20, 50, 100 μg/mL)을 처리하였을 때 유의성은 없으나 증가하였다. 세포배양액내 VCAM-1, ICAM-1 발현을 확인한 결과 혈관내피세포에 TNF-α를 처리한 군에서 증가된 VCAM-1 발현이 DJ#3 추출 물 20, 50 μg/mL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또한 DJ#3 추출물은 NO 생성과 연관 있는 eNOS mRNA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iNOS mRNA의 발현은 농 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NO 생성 증가가 iNOS의 발현억제를 경유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다수의 항염증 약물들의 작용기전이 되는 COX-2의 생성억제를 살펴본 결과 DJ#3 추출물은 TNF-α에 의해 발현되는 COX-2 단백질 의 발현을 억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J#3 추출 물은 CAMs 단백질 및 mRNA 발현율의 감소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DJ#3 추출물은 혈관내피세포에서 TNF-α로 유도된 혈관염증을 감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 며, 항염증물질의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 로 기대된다. 또한 염증과 관련된 cytokine 및 단백질 발현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0.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꾸지뽕 열매의 부가가치를 증대하기 위해 꾸지뽕 발효식 초를 제조하고 그의 발효조건을 확립하였다. 전통발효식품 으로부터 초산내성, 초산 고생산능, ethanol 내성 및 아황산 내성이 우수한 49종의 초산 균주를 분리하였고,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의 해독 결과, Acetobacter indonesiensis, A. cerevisiae, A. orientalis, A. tropicalis, A. fabarum, A. pasteurianus 및 A. syzygii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중 GRAS 균주인 A. pasteurianus SCMA5와 SCMA6를 발효 균주로 최종 선정하였다. 최적 발효는 꾸지뽕 열매 함량이 40%(v/v)인 즙액과 5%(v/v) ethanol을 첨가하여 25℃에서 72시간 발효가 가장 적절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SCMA06 균주를 적용한 발효액의 선호도가 SCMA05 균주를 적용한 발효액보다 높았다. SCMA06 균주를 사용한 발효식초에서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는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53.02±0.78%이상 높게 나타났고, 항당뇨 능력을 측정하는 AGI활성은 발효 72시간에 91.40±2.43% 저해능을 보여 시판중인 acarbose보다 활성이 높았다. 이번 연구는 꾸지뽕 열매를 활용한 발효식초 제조를 위한 산업화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1.
        2013.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and to develop a new starter for fermented milk.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using 16S rDNA sequencing and named Lactobacillus plantarum A, Leuconostoc lactis B and L. acidophilus C. The activity of these strains to inhibit the growth of food-borne human pathogens (Escherichia coli NCTC 12923, Salmonella Typhimurium NCTC 12023, Listeria monocytogenes NCTC 11994) was measured using the paper disc method. All these strains showe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Li. monocytogenes NCTC 11994. The experiment groups were the fermented milks with these strains, and the control group was the fermented milk with the commercial starter (ABT 5). The change of pH, acidity and viable cell counts were measured during their aging time. All the experiment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aging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sensory test showed that the experiment groups can be used as useful starters for fermented milk. This result suggests that L. plantarum A, Leu. lactis B and L. acidophilus C have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new starters for fermented milk.
        32.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though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were reported by many researchers,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of microorganism origin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was little. Therefore, we improved condition for antioxidant production by a bacterium isolated from home-made Chungkookjang. We selected a bacterial strain, which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from Chungkookjang and then named GJ. The selected GJ strain was identified as Bacillus methylotrophicus by alignment data of 16S rRNA gene nucleotide sequences. Improved medium compositions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0.25% sucrose, 1% peptone, 0.01% MgSO4·7H2O and initial pH 6.5, respectively. Optimal culture conditions were 30℃, 200 rpm and 4% inoculum volume, respectively. In improved condition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J reached to 91% in a short time. The strain GJ also possessed ACE inhibition and other antioxidative activities; ACE inhibition activity (49.4%),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99.8%), metal chelating activity (67.9%), SOD-like activity (36.5%) and reducing power (A700 = 5.982) were observed, respectively.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B. methylotrophicus GJ strain may be potential candidate for functional foods, cosmetic products for anti-aging and medicine for diseases caused by oxidative stress.
        33.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 food industry has evolved into a new and innovative trend according to its globalization and change of food consumption patterns. However, it is hard for the traditional food industry in Korea to meet the changing consumers' needs because of its poorer quality control and lower industrialization technology than other advanced industries. Also the knowledges acquired through a lot of time and efforts would be lost after the human resources with tacit knowledges leave by their too much aging. Especially, the 21st century would be called as knowledge based society which means that knowledge be the important contributing factor in the economic growth.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at proposing the knowledge based system for systematically managing or preserving knowledges of Mosisongpyun industry in Yeonggwang County to seek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food industry in Korea. The knowledge based system of Mosisongpyun industry in Yeonggwang County is finally proposed as follows; First, hardware is composed with the necessary unit facilities such as interpretive center, learning and experience room, library, etc. And the integrating facilities such as Mosisongpyun theme park, traditional village, and knowledge industrialization support center are proposed. Second, software is composed with the necessary unit softwares such as the preservation manual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skill, web-site administrator, development of graded textbooks, development database software, etc. And the integrating softwares such as development of innovation and management ability in Mosisongpyun industry are proposed. Third, humanware is composed with the necessary unit programs such as exhibition, own training program, incubator support system, etc. And the integrating programs such as the farm association corporation, the testing and research institute, the institution of learning and training are proposed.
        34.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0년 이상 자연 발효된 콩 발효 식품에서 희귀 이소플라본 성분인 7, 8, 4'-trihydroxyisoflavone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성분의 항산화 효과를 비효소적인 방법으로는 DPPH 법을, 효소적인 방법으로는 xanthine oxidase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7, 8, 4'-trihydroxyisoflavone는 농도 의존적으로 비타민 C와 유사한 DPPH 라디칼 소거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6.6 ± 0.4 μM 농도에서 xanthine oxidase에서 생성된 superoxide 라디칼을 50 % 수준까지 낮춤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희귀 이소플라본 성분은 UVB로 유도된 MMP-1의 생성을 초기 수준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피부 노화 억제에 유용한 성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36.
        2008.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발효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 왔으며 과학 기술 발전에 따라 자연 발효에서 관리 하는 방법으로 급 격히 변하고 있다. 발효는 미생물과 미생물이 생산 한 효소의 작용으로 일어나는바 미생물 관리를 통 하여 실로 다양한 제품 생산이 가능하고 역할의 범 위도 지극히 넓다. 즉 원하는 최종 제품의 종류에 따라 미생물을 선택하거나 발효조건을 관리하여 목 적 지향적 완제품 생산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한국 인의 식단을 이루는 기본은 각종 발효 제품을 근간 으로 하는 조미료이며, 조미료에 따라 맛의 변화가 온다. 발효를 통하여 소화성의 증대, 비타민 등 새로운 미량물질의 생산, 풍미의 개선 혹은 새롭게 창조하 거나 저장기간을 연장하기도 하며, 사용하는 원료 와는 완전히 다른 신제품을 만들어 내기도한다. 근 래의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여러 기능성 물질이 발효를 통하여 생성되며 이들이 인체 내에서 긍정 적 역활을 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전통식품 중 발효식품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곡류 중심의 식단에 맛을 부여하여 먹는 즐거움을 주고 전망있 는 다른 산업으로 발전 해 나갈 수 있는 특성이 있 다. 발효식품은 당양한 원료를 사용 할 수 있고 원 료에 따라 많은 서로 다른 제품생산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주요 발효식품은 김치를 포함 한 절임류, 곡물 또는 과실을 이용한 주류, 어류로 각종 젓갈을 만들 수 있으며 근래 수요가 늘고 있는 요구르트 등도 인기 있는 발효식품이다. 특히 발효 식품에 관여하는 미생물들이 probiotic으로 작용하여 장내 미생물의 항산성 유지 및 유해 세균의 증식억 제 등 긍정적 역할을 하며 우유 발효균으로 알려진 젖산균류 뿐만 아니라 다른 세균들도 probiotic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으며, 특히 장류에 많 이 관여하는 Bacillus 속 들의 긍정적 역할이 속속 알려지고 있다. 또한 발효를 통하여prebiotic도 만들 어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 발효식품의 기능성의 과학적 입증 발효의 과학적 관리, 제품의 다양화와 함께 안전성도 검토 할 대상이다. 또한 심도있게 발효 관여 미생물을 탐 색, 동동하고 발효기반의 이용확대, 맞춤형 특수 미 생물의 탐색과 용도 확인 등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 나라 전통식품 중 큰비중을 치지하는 발효식품을 세계화하기 위해서는 건강기능성의 과학적 기반 구 축과 전문 학술 활동을 통한 홍보, 현지 식품에 맞 는 fusion food의 개발도 필요하다. 발효식품을 포함한 전통식품은 경제적 측면과 함 께 문화적 가치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고 다문화 추 세에 따라 유연성 있게 변화를 수용 할 필요도 있다. 전통 발효식품을 우리 식문화를 세계에 전파 시 키는 좋은 매체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38.
        199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consumer attitudes about package colors of Korean traditional floods. The housewives preferred pale purple blue for soy sediment, red purple for soy soup, yellow for vinegar, red for power sediment. For the background color of each package, consumers tended to like similar color with color of the content, but did not show any bias for the lesser color of i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opulational difference and package colors were not found.
        39.
        199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ctual status of production, management and export of 96 traditional food processing companies which supported by the government in Kyungpook province were investigated. Governmental support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farmhouse income, employment and depreci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 bit, but it was supported mostly to unexperienced party. Technologies for food processing developed in institute and college were little. 42 percent of packaging design was developed by service commission, but the agency was very limited. Total export price in 1996 was 2.3 billion Won, but it was decreased in 1997. The responce to the prospect of traditional food processing work, 37.5 percent replied that this work can bring up as exportable product, but ambiguious response was a little. To settle a weakness of farming food processing work,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marketing comapny was required and this company should accomplish marketing advertizing and exporting business.
        40.
        199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문헌을 통하여 우리나라 전통 쌀가공 식품의 분류 및 역사적 배경에 관해서 고찰하였으며, 1970년부터 1992년 9월까지 각종 학술지에 개제된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하여 쌀가공 식품 중 병 과류에 대한 최근의 연구동향에 관해서 고찰하였다. 문헌에 기술된 쌀가공 식품은 죽류ㆍ밥류ㆍ떡류ㆍ주류ㆍ과자류ㆍ음청류ㆍ조미료류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죽류 및 밥류는 첨가재료와 품질 특성에 따라 7-8종류이었다. 떡류는 제조방법의 특성에 따라 증기로 찐것(증병유), 찐것에 물리적 힘을 가하여 쳐서 만든 것(도병유), 모양을 만든 후 찌거나 삶은 것(단자병류), 기름에 지진 것 (유전병유), 발효 후 찐 것(이병류)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모두 81종류이었다. 주류는 출원 문헌에 의한 시대적인 구분으로써 정리하였으며 약90여종에 달하였다. 과자류는 5종류, 음청류는 9종류이었고, 조미료류에 관해서는 구체적인 명칭이 언급된 문헌이 없었다. 쌀로 제조되는 전통 병과류 중에서 우리 전통 떡에 관한 최근 연구 논문은 27편에 불과하였으며, 가장 빈번하게 연구되어진 것은 백설기와 증편이었다. 보고 되어진 논문의 대부분이 제조방법에 대한 단편적인 연구들이었다. 전통 떡류의 다양화 및 고급화를 위해서는, 제조과정 중의 이화학적 성질 변화 및 품질특성과 저장수명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한편 쌀로 만든 한과 중에서 연구가 수행되어진 품목으로는 유과(강정)뿐이며 연구 논문은 14편이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