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cessity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has steadily increased due to the increasing meteorological disasters. The authority supports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s for tuning the local governments’ countermeasure. However, the results by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s have not been clear enough. The current study aims to collect and analyse a variety of raw data for proving the unclear assessments. The paper identifies climate change-vulnerable areas by overlapping the modified results and pervious results. The climate change-vulnerable areas included the regions having high impacts on meteorological disasters.
In a nutshell, the paper contributes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vulnerable areas for the local government’s planning the provision against climate change. The local governments are obliged to establish the climate change action plan by 2015. The results of the current paper would help providing reliable data and planning the countermeasure against climate change. Korea is exposed to the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such as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high density of urban areas. In order to respond the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efficiently, this study potentially suggests a primary research method for resolving the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본 연구에서는 상백피의 소화효소 저해활성과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 억제능을 기반으로 항비만 효능소재로 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상백피의 에탄올 추출물 (MRE)은 α-amylase와 α-glucosidase, pancreatic lipase를 활 용한 소화효소 저해활성 평가 실험에서 각각 7.86±0.36, 0.12±0.03, 7.93±0.11 mg/mL 의 IC50 값을 보이며 우수한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3T3-L1 전지방세포를 활용한 세포분화억제효능실험에서 MRE 처리군의 세포내 지방 축 적율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상백피의 항비만 작 용 기전을 구명하기 위하여 adipogenesis 및 lipogenesis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상백피 추출물 처 리군에서는 생체내 지방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FAS와 ACC 뿐 아니라 adipogenesis와 lipogenesis와 관련된 주요 전사요소인 PPARγ와 C/EBPα, SREBP-1c의 유전자 발현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qRT-PCR 분석 결과, 상백피 추출물의 anti-adipogenesis 효능은 전사단계에서의 관련 유 전자 발현억제에 기인한다고 판단되었다. 본 실험결과 상 백피 추출물은 전지방세포의 분화와 세포내 지질합성을 저해하고 비만과 관련 된 소화효소에 대한 저해활성을 나타 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백피의 비만 예방 소재 로서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4조 국가 등의 책무에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재난이나 그 밖의 각종 사고로부터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할 책무를 지니고 재난이나 그 밖의 각종 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노력하며 발생한 피해를 신속하게 대응·복구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 및 시행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국가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도 최 일선에서 재난 발생시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는 재난현장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대응하고 있는 조직이기 때문에 국가차원의 중앙정부보다 우선적으로 재난현장을 수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처럼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재난유형별 비상대응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특히 재난 발생시에는 사전에 수립한 비상대응계획을 바탕으로 반별 업무대로 수행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복구하여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 있게 한다.
강원도 삼척시는 과거 지진해일로 인해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발생한 이력이 있어 지진해일에 대한 비상대응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협업 실무반별 임무 및 역할까지 명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비상대응계획 현황을 검토하고 강원도 삼척시에서 운영하는 지진 및 지진해일 비상대응계획에 대해 조사하여 운영실태를 알아보았다. 또한 재난안전대책본부 협업 실무반별 임무 및 역할을 분석하여 재난유형별 비상대응계획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The effect of the metal oxide catalyst in the dimerization of waste vegetable oil was investigated. The high efficiency and recyclability has allowed different metal oxides to be used as catalysts in numerous synthetic reactions. Herein, clay, aluminum, titanium, calcium, magnesium and silicon oxide micro/nanoparticles are used in a Diels-Alder reaction to catalyze the production of the dimer acids. The metal oxides assist the electron transfers during cyclization to produce the desired product.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scopy (LC-MS) an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were used to verify the production of dimer acids. For the confirmation of cyclization, compounds were analyzed using the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From the analysis, silylated or pristine clay showed its effectiveness as a catalyst in dimerization. Furthermore, alumina and alumina/silica composite showed successful performance in the reaction to yield cyclic dimer acids. These result suggested that metal oxides and montmorillonite might be used in synthesis of dimer acids for the recycle of waste vegetable oils.
벼 수확 후 지역브랜드로 유통되는 벼의 저장 중 저장온 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지방산도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조사할 목적으로 신동진, 일미, 추청, 호품, 히또메보레 등 5품종을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저장한 후 4개월마다 밥의 조직감(texture), 알칼리붕괴도(ADV), 도요 윤기치, 밥의 호화특성, 지방산도 및 지방산 조성 등을 분석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밥의 경도는 밥의 씹힘성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 관계를 나타냈고 밥의 부착성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 타냈으며 밥의 응집성은 밥의 탄력성과 정의 상관관계 를 나타냈다. 밥의 경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 가하였고 밥의 응집성은 저장전과 비교해서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라 품종 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알칼리붕괴도는 품종 및 저장기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저장온도에 의한 영향은 미미하였다. 일미와 추청의 경우는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신동진, 호품 및 히또메보레의 경우는 상온저장의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저온저장의 경우는 저장기 간이 길어질수록 ADV 값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도요윤기치는 저장초기에는 품종 및 저장온도에 따라 품종간 차이는 크지 않았고 대체로 저장 후 4개월 이 후부터 상온 및 저온저장 모두 도요윤기치 값이 떨어 지는 경향이었다. 4. 밥의 호화특성은 상온저장에서 최고점도의 경우 신동 진, 호품, 히또메보레 품종은 일미와 추청에 비해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전보다 확연히 높게 나타났다. 강하점도 또한 상온저장시 저장전보다 저장기간이 길 어질수록 높아졌으며 치반점도는 저장온도와 큰 상관없 이 저장전보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낮게 나타났다. 5. 현미의 지방산도는 저온저장보다 상온저장의 경우에 저장전과 비교하여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증가폭 이 컸고 백미의 지방산도는 저장전과 비교하여 저장 8 개월 후부터는 지방산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6.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현미의 포화지방산 함량의 경우 저장 전에 비해 일미와 추청 품종은 저장기간이 경과 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신동진, 일미 및 히또 메보레 품종의 경우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저장 전과 비슷한 함량을 유지하였다. 또한 백미의 포화지 방산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상온저장 및 저 온저장 모두 저장 전과 비슷한 함량을 유지하였다. 현 미의 지방산 중 oleic acid와 linoleic acid의 함량은 저 장 전부터 품종간 차이를 나타냈고 그 외의 지방산 함 량의 변화는 저장 4개월 후부터 품종 간 차이가 나타 났다. 백미의 지방산 중 linoleinic acid와 stearic acid 의 경우 검출된 함량은 적으나 저장 4개월 후에 그 함 량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palmitic acid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urvey the soil physico-chemical, morphology and content of saponins of 5 year-old Platycodon grandiflorum radix from different areas in Gyeongnam. Soil physical properties was showed 1.01-1.29 of bulk density of soil and soil hardnes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soil depth, especially below the 30 cm, however it was maintained or small increased below the 40 cm. T-N and OM contents of top soil were highest at Geochang as 0.27% and 56.9 g/kg, respectively, compared to other areas. The root length was longer at Kimhea and Geochang as 33.8 and 33.7 cm, respectively, and fresh weight was heavy at Geochang as 208.5 g. The contents of saponin of P. grandiflorum radix was higher in fine root compare to main root. By region, content of saponins of P. grandiflorum radix were higher at Hapcheon than other area. Mg content was highly negatively correlated at p < 0.01 with platycodin D3, deapioplatycodin D, platycodin D, and deapioplatycodin D (-0.499**, -0.433**, -0.421**, -0.511**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fertilized Mg effected on the improvement of saponin contents in P. grandiflorum.
조선은 건국 이래 중앙집권 정치를 표방하고 각 행정의 말단까지 수령을 파견하여 통치하고자 했다. 조선 초기 지방관은 지방 세력의 억제 정책 속에서 ‘守令七事’의 임무를 가지고 파견되었는데, 이 임무는 명목상으로는 조선말까지 유지되었다. 조선 중기 지방 사족에 의한 향 촌 지배 주도의 시기를 거쳐, 조선 후기 지방제도는 왜란과 호란의 피해 복구가 끝나고 국가의 안정을 이룬 가운데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 조선후기 지방제도는 국왕의 왕권 강화책과 맞물려 지방에 대한 역 사, 지리, 호구, 양전 등의 조사와 이를 바탕으로 한 지리서 간행, 통치 강화를 위한 새로운 법전의 편찬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또한 수령의 권한을 강화하여 지방의 부역과 조세, 교육 등에 지접 관여하는 한편, 새로 부를 축적한 중인층이나 서얼, 몰락 양반 등은 납속책 등을 통하여 국가 재정 확충과 기득권층으로 편입시켰다. 활발한 사회변동 속에서 한편으로는 수령은 흉년이나 역질 로 인한 구휼이 중요 임무의 하나였 다. 韓範錫은 조선후기 현종13년(1672) 태어나 영조 10년(1734) 74세로 세상을 떠난 무인으로 무장으로서 뿐만 아니라 목민관으로서도 여 러 관직을 지냈다. 그는 하동현령으로서 지방 수령의 첫발을 디뎠는데 관직 중 남쪽에서는 제주도의 관찰사, 북쪽 변경에서는 회령부사와 남 병사를 지내면서 특히 목민관으로서 구휼활동에 관심을 보이고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 한범석의 목민관으로서의 자세한 기록을 찾을 수 없어 여러 방면으 로 그를 조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지만 18세기 국가의 큰 변란이 없던 시기를 살았던 한 무장으로서 목민관의 최우선은 다른 지방관과 다름없이 구휼 문제였으며 상황에 따라 적극적으로 대처한 인물이었다 고 생각된다.
This study is about an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an application technology for post-earthquake safety evaluation. The mobile application supports field survey on earthquake damage buildings and shortens the surveying time. The results from the mobile are transmitted to a data managing program. And it displays a surveyed-place, result and suggests statics. This system is expected to support local governments to effectively respond to earthquake disasters.
Intramuscular lipoma is a rare benign tumor. It refers to infiltrating lipoma because it originates between skeletal muscle abundles and infiltrates into the intramuscular septa. Kransdorf reported that the majority of lipomas were located in the trunk, head/neck, and lower extremity. In addition, in research by Kindlom et al., on 43 cases of muscular infiltrative lipoma, there was no case involving the chest wall. We report on a case of intramuscular lipoma on the anterior chest wall. The lesion was removed completely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showed that mature adipocytes had infiltrated serratus anterior muscle in a diffuse manner. After treatment, the patient has shown no complication or evidence of recurrence.
상완신경총에서 STIR(short TI inversion recovery) 지방소거 강조영상과 SPAIR(spectral adiabatic inversion recovery) T2, T1 지방소거 강조영상기법을 비교 평가하여 최적의 지방소거 기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30 명 상완신경총에 질환이 없는 정상인 지원자를 대상으로 3.0 T MRI 기기를 이용하여 검사를 하였고, 분석방법으로 세 기법에 대하여 SNR, CNR 및 4단계 점수로 평가를 하였다. 정량적 분석 결과로 SPAIR T1 기법에 대한 SNR, CNR 값은 상완신경총기시부(03.07 ± 0.98, -2.25 ± 0.54), 상완신경총몸체(06.70 ± 1.81, 36.31 ± 2.17)에서 높은 값을 제공하였다 (p<0.05). 정성적 분석결과 상완신경총 묘출도와 지방소거 정도, 영상의 인공물은 SPAIR T1(3.2 ± 0.70, 3.6 ± 0.51, 3.4 ± 0.10)기법이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p<0.05).
남부지방에서 강낭콩의 2기작 재배를 위한 파종기별 생육과 수량성 및 종실의 외관 품질 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재료로 ‘선강’ 품종, 파종기는 9시기로 4월 2일부터 8월 27일까지 흑색유공비닐 피복하 여 재식거리는 55 x 15cm, 1주 2본으로 파종하였다. 파종기별 개화소요일수는 평균 38일이고 33일(8월 6일 파종)에 서 51일(4월 2일 파종) 범위였다. 성숙일수는 평균 45일이고, 39일(4월 2일 파종)에서 59일(6월 25일 파종) 범위였 다. 생육일수는 평균 83일이고, 71일(6월 4일 파종)에서 93일(6월 25일 파종) 범위였다. 8월 27일 파종시 11월 12일 서리로 인하여 생육이 중단되었다.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경장, 분지수, 마디수, 협수가 함께 감소하다 다시 증가 하였다. 풋콩의 100립중은 평균 85.0g이고 50.5g(6월 4일 파종)에서 99.5g(4월 2일 파종) 범위였다. 춘계파종시 풋협과 종실 수량은 4월 2일 파종에 비하여 6월 4일까지 감소하였다. 추계파종시 8월 16일 파종한 시험구만 수확이 가능하였다. 6월 4일 파종은 8월 초 성숙기의 장마로 인하여 병해립이 많이 발생하여 종실의 외관 품질이 크게 저하 되었다.
식품의 방사선 조사는 식품 저장을 위한 성공적인 현대기술의 하나이지만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조사된 식품의 확인은 국제무역에서 소비자의 안전한 선택과 보호를 위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조된 오징어와 문어에 전자선을 조사하여 선량별로 유도 생성되는 hydrocarbon류의 함량 및 분해패턴을 확인하였다. 비조사 시료와 선량별로 전자선 조사된 시료에서 지방을 추출한 뒤 solid phase extraction(SPE)방법을 이용하여 GC/MS로 확인하였다. 1, 3, 5, 7 및 10 kGy의 선량으로 전자선 조사된 건조 오징어와 문어에서 유도된 hydrocarbon류는 동일 선량에서 시료들의 지방산 조성에 따른 다른 생성률을 나타내었으며, 조사선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시료들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로부터 생성된 1-tetradecene(C14:1), pentadecane(C15:0), 그리고 1-hexadecene(C16:1), heptadecane(C17:0)이 전자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주요 hydrocarbon류로 확인되었으며, 건오징어에서 hydrocarbon류 생성량이 건문어의 hydrocarbon류 생성량 보다 더 많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시료의 지방산 함유량에 따라 hydrocarbon류 생성량이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전자선 조사된 건오징어와 건문어에서 분석된 hydrocarbon류 중 1-tetradecene(C14:1), 1-hexadecene(C16:1) 그리고 heptadecane(C17:0)은 전자선 조사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재난관리의 최일선에서 초동관리를 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는 재난으로 인한 피해경감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방정부기관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의 재난관리에 대한 인식과 관심은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의 역량을 강화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대표기능을 가진 지방의회의 회의록 분석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에 대한 인식의 현황과 관심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16개 광역시 및 도의 지난 13년(1999-2011) 동안의 지방의회 전자회의록 내용분석을 통하여, 재난관리에 대한 인식과 관심도를 시·공간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회의록을 통한 재난관리의 인식과 관심도의 조사를 위해 자연재난 및 재해, 단계별 재난관리와 관련된 10개의 색인어를 이용하여 총 46,000여개의 전자회의록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지방의회의 회의록분석을 통해 본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에 대한 관심도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재해와 재난관리에 대한 회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난관리 중 복구보다는 예방과 대비에 보다 많은 관심을 보이고, 관련 회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광역시보다는 도 지역에서 재난관리 관련 회의가 더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is typical of a enormous biomass of marine zooplankton that could provide good nutrition in human bo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nutrition of krill, a live in Antarctic Ocean. The analysis result of fatty acids of krill meal was as follow.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 were saturated fatty (SFA) acid 41.41%,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21.69%,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36.89%, and p/s ratio was 0.89. The major fatty acids in all parts were eicosapentaenoic acid (EPA, 21.54%), palmitic acid (27.51%), oleic acid (13.35%)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12.42%). Especially, EPA and DHA were occupied 33.96%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The mineral contents of krill meal were calcium 24477.21 mg kg-1, sodium 14728.69 mg kg-1, magnesium 6973.49 mg kg-1, potassium 3981.67 mg kg-1, iron 395.33 mg kg-1 and manganese 5.74 mg kg-1. The contents of major vitamin were retinol 86717.37 μg RE, β-carotene 44.87 μg RE, tocopherol 2.60 mg, pantothenic acid 1.61 mg, indicating that krill meal contains large amount of retinol and β-carotene.
Retroperitoneal liposarcoma is an infrequent malignancy in adulthood arising from mesenchymal tissues. It is often diagnosed when the tumor becomes too large, suppressing adjacent organs and causing symptoms. We report on a case of giant liposarcoma found in a 77-year-old female undergoing surgical resection.
휘발성 지방산(Volatile Fatty Acids, 약자 VFAs)은 유기화합물이 생물학적으로 분해될 때 생성되는 화합물로 한 개의 카르복실 말단기와 C2-C7의 탄소로 구성되는 지방족 산으로 휘발성을 가진 저급 지방산을 총칭한다. 최근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슬러지의 가장 중요한 처리방법으로 에너지 회수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공정이 큰 관심을 받게 되었으며, 메탄 발효를 위한 전체 반응 진행의 중요 척도로써 가수분해 중간산물인 휘발성 지방산의 함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휘발성 지방산 중 9개 물질(Acetic acid, Propionic acid, Isobutyric acid, Butyric acid, Isovaleric acid, Valeric acid, Isocaproic acid, Hexanoic acid, Heptanoic acid)을 대상으로 하였다. 휘발성 지방산 인증표준물질을 사용하여 Liquid - Liquid Extraction(LLE), Headspace extraction(HS), Solid Phase Micro extraction(SPME) 방법으로 비교․측정한 결과, 3방법 모두 9개 물질에 대하여 82% 이상의 회수율을 나타냈다. 특히, Acetic acid와 Propionic acid의 회수율은 SPME 방법으로 측정하였을 경우 평균 회수율이 각각 94.2%, 96.7%로써 타 방법과 비교하여 가장 우수하였다. SPME 방법으로 5개시설의 소화조 슬러지의 VFA를 분석한 결과 총 VFAs는 10 ~ 260 mg/L가 검출되었다.
국내에 자생하는 기름생산이 가능한 목본식물의 바이오디젤 원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해 기름함량, 지방산 조성 및 전이에스테르화를 통해 생산된 바이오디젤의 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목본 기름식물의 종자 내 기름함량은 15.1 ~ 70.3%로 다양하였으며, 지방산조성은 주로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 등 이였으며 올레산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모든 식물에서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보다 많았다. 지방산메틸에스테르의 산화안정성은 2.25 ~ 8.62 hours/110℃로 나타났고, 요오드가는 때죽나무 기름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다른 식물 종보다 높기 때문이다. 저온 필터막힘점은 0℃ to -13℃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팝나무 지방산메틸에스테르가 저온유동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기름함량, 지방산조성, 바이오디젤 특성 등을 종합하였을 때 동백나무, 이팝나무 및 때죽나무의 종자에서 추출한 기름이 바이오디젤로의 이용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In 2011, neighborhood parks occupied a total area of 280,135,257m2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y areas and this excluded the metropolitan regions. In the rural area, the park area per person(22.64m2) is larger than the urban area(9.50m2). It is a questionable why there is a higher park ratio in the rural area compared to the cities, where the function of the neighborhood parks is not being utilized well. But, there are already a lot of parks that has been constructed in the rural areas and a lot of money is being spent in maintaining them. Hence, rather than reducing the number of "country park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se "country parks" ought to be utilized in a different manner than the parks in the city. In that point of view, this study examined the issues of the country park usage along with the utilization of the local festivals within the parks. Firstly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mpared the amount of neighborhood parks betwee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nd metropolitan areas, and analyzed those results. Secondly, daily newspaper articles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to find the usage of the rural park which were then analyzed. Then, the extraction of the essential points in composing the festival space was carried out. Also, the general design guides of making the neighborhood parks were drawn. Last but not least, using these two resources, this study suggested design guidelines for using neighborhood parks as a Festival Space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This study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the block grant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ectors so that the local governments get greater autonomy in agricultural policy. First of all, theoretical background on block grant was reviewed and present situation in Korea regarding block grant was examined. Four criteria were set to evaluate the eligibility for the block grant. Four criteria imply that block grant is more appropriate with small-scaled similar projects, high locality projects, easily evaluated projects, and easily formula-applied projects. Applying these criteria to the projects subsidized by the national government, appropriate projects as the block grant were selected. Finally, specific operation scheme of the block grant was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