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77

        102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terial flow control (MFC) is a kind of operational policy to control of the movement of raw materials, components, and products through the manufacturing lines. It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varies throughput, line cycle time, and work-in-process (WIP) under the same manufacturing environments. MFC can be largely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such as Push, Pull, and Hybrid. In this paper, we set various manufacturing environments to compare five existing MFC mechanisms: Push, Pull, and Hybrid (CONWIP, Gated MaxWIP, Critical WIP Loops, etc). Three manufacturing environments, manufacturing policies (make to stock and make to order), demand (low, medium, high), and line balancing (balanced, unbalanced, and highly unbalanced) are considered. The MFCs are compared in the point of the five functional efficiencies and the proposed compounded efficiency. The simulation results shows that the Push is superior in the functional efficiency and GMWIP is superior in the compounded efficiency.
        4,000원
        102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hybrid safety barrier system consisting of steel rail and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 post is considered. W hile CFRP post is selected for impact energy reflection due to its high strength, steel rail is selected for impact energy absorption due to its high ductility. A numerical model considering the elastoplastic behavior of steel is formulated to simulate the dynamic responses of the hybrid system subject to an impact load. A hybrid roadside guard rail system of steel rail and CFRP post is proposed and analyzed with a case study. The numerical model for the hybrid roadside guard rail system is used to find optimized design of the proposed hybrid system.
        4,000원
        102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trategies that are required in a continuous optimization algorithm based on the fictitious play theory. In order to apply the fictitious play theory to continuous optimization problems, it is necessary to express continuous values of a variable in terms of discrete strategie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in which all strategies contain an equal number of selected real values that are sorted in their magnitudes. Fo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of representing strategies with respect to the conventional method, we applied the method to the two types of benchmarking functions: separable and inseparable functions. From the ex- perimental results, we can infer that, in the case of the separable functions, the proposed method not only outperforms but is more stable. In the case of inseparable functions, on the contrary, the performance of the optimization depends on the benchmarking functions. In particular, there is a rather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and stability regardless of the benchmarking functions.
        4,000원
        102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optimal spacing between speed humps which is placed at traffic calming areas including pedestrian priority zones, school zones, and residential areas. METHODS: The study measured the operating speed of vehicles passing through two successive humps by using laser gun in 0.2 seconds interval, and analysed the basic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speeds data to have an ins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ing and speed. Assumption was made to derive the maximum spacing within which two successive humps influence each other. RESULT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l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ing and 85th percentile speed of vehicles was derived as well as the maximum spacing maintained in order to take the benefits of successive installation of humps. CONCLUSIONS: Spacing of 20 meters was suggested to achieve the widely accepted target speed of 30 km/h in traffic calming zone, and spacing of 70 meters was suggested as a maximum spacing. The comparison across the studies were made and empirical reasoning the difference of results between studies was discussed as well as the future studies.
        4,000원
        1025.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ntribution of Road Capital in Industry and Optimal Level of Road Investment in South Korea METHOD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research is empirically estimated using disaggregate and disaggregated data composed of 10-sectors covering the entire korea economy for the period 1970~2000. The relevant policy questions addressed in this report are : cost reduction and Scale elasticities of road, effect of road capital stock on demand for labor, capital and materials, marginal effect of road, industry TFP growth decomposition, Net Social Rates of Returns, optimal of road capital. RESULTS : The marginal benefits of the road capital at the industry level were calculated using the estimated cost elasticities. Demand for the road capital services varies across industries as do the marginal effects. The marginal benefits are positive for the principal industries. This suggests that for these industries the existing stock of road capital may be under supplied. CONCLUSIONS: This results emerges is that the ratio of the optimum to actual road capital, measured by road, was high at beginning of the period 1970s and declined 1990s. There appears to be evidence of under-investment in road capital. That is continuous and premeditated investment for road which lead to saving time and finance.
        4,500원
        1026.
        2013.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strict heating is a system of distributing heated water from centralized facilities to local homes and buildings. In this paper, we model the distribution planning problem as a supply chain planning problem and propose an explicit column generation algorithm to handle large scale data as well as nonlinear constraints. The algorithm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a Korean district heating company and the computational experiments show that the integrated operation of district heating network improves the total profit compared to the previous isolated network operation.
        4,000원
        1028.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이온기를 운반할 수 있는 반응시약과의 화학적 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양이온성전분은 표면에 음이온기를 보유한 펄프의 결합력을 강하게 해주는 특성을 보유하여 제지산업에서 점차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이온성전분 중에서도 가장 생산량이 많은 양이온성 옥수수 전분의 water-slurry process에 의한 반응을 최적화하였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치환도 0.03이하의 저치환 양이온성전분과 향 후 사용량이 증가할 치환도 0.04이상의 고치환 양이온성전분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천연 옥수수전분 현탁액의 알칼리호화가 시작되는 NaOH 농도를 알칼리 첨가량의 최저 기준으로 하여 NaOH의 첨가량을 조절하고, 반응온도, Na2SO4의 농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반응효율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여 반응표면 회귀분석을 이용한 양이온반응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저치환 양이온성 옥수수전분의 제조를 위하여 8%(w/w-starch, 65% active monomer)의 양이온화 시약을 첨가한 경우 반응온도 38.48oC, Na2SO4 1.89%의 농도에서 알칼리호화 예상 농도보다 6.75 meq/g-starch의 NaOH를 추가로 첨가한 경우 최적의 양이온화 반응이 진행되었으며 이때의 반응효율은 67.28%이며 최종 양이온성 전분은 0.03022의 치환도를 나타내어 동일한 양의 반응 시약으로 산업적으로 생산되는 양이온성 옥수수전분의 치환도를 20%정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반응시약 첨가량을 20%로 증가시킨 경우에는 실험구에서 설계한 4%(w/w)의 Na2SO4 첨가량 및 24시간의 반응범위 내에서 양이온화 반응의 최적점을 찾을 수 없어 water-slurry process에 의한 고치환 양이온성전분의 생산은 산업화에 문제점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설계된 실험군내에서 찾은 최적 반응 조건은 호화억제제를 1.99%(w/w) 첨가하고, 추가로 첨가하는 NaOH를 알칼리호화개시농도(AGIC)보다 5.73 meq/g-starch 만큼 높게 조절할 경우 가장 높은 반응효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때의 예상 반응효율은 57.37%로 치환도로 환산할 경우 0.0642의 값이다.
        4,000원
        1029.
        201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느타리버섯(Pleurotus pulmonarius (Fr.) Quelet)은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송이과, 느타리 버섯속에 속하며 미색 또는 약한 황갈색을 띄며 일반 느타리버섯에 비해 작고 폐모양이며 자 실체는 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에 침엽수의 죽은 부위에서 발생, 맛과 향이 좋고, 씹는 질감이 뛰어나며, 항염증, 항콜레스테롤, 항고지혈증의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국내 육성품종으로서 는 호산, 강산, 향산 등 3종이 등록되어 있으나 재배방법에서는 연구가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산느타리버섯 병재배시 수량이 많고 품질이 우수한 배지를 개발하였다. 건물 부피비로서 미루나무톱밥 10%, 면실피 50%, 면실박 20%, 비트펄프 20%의 혼합배지를 이용하였을 경우 호산품종에서는 배양일수 24일, 초발이 소요일수 3일, 생육일수 31일, 병당 수량 198.4g으로 가장 우수하였고, 향산 품종에서도 마찬가지로 배양일수 25일, 초발이소요일 수 3일, 생육일수 32일, 병당 수량 163.1g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1030.
        201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이는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있고 특히 한국, 일본, 중국, 일본 등지에서 다량의 야생버섯이 발견되고 있다. 목이버섯의 종류는 크게 목이목(Auriculariales) 목이과(Auriculariaceae) 목이속 (Auricularia)에 속하는 목이(Auricularia auricula)와 털목이(Auricularia polytricha)가있고, 흰목이 목(Tremellales) 흰목이과(Tremellaceae) 흰목이속(Tremella)에 속하는 흰목이(Tremella fuciformis)가있다. 이들은 각종 활엽수의 고사목이나 반고사목에서 생장하고 있으며, 버섯의 모양 이 사람의 귀와 같아서 중국에서는 목이(木耳), 우리나라에서는 목이 또는 흐르레기, 일본에서는 해파리 또는 기쿠라케(キクラケ)라하며, 서구에서는 ear mushroom이라한다. 본 연구는 목이에 대한 톱 밥종균 제조를 위해 톱밥 종류에 따른 적정 영양원을 선발하고 선발된 영양원의 배합비율을 설정 하고자 하였고, 선발된 종균의 접종량을 선발하여 목이버섯을 재배하는데 보다 효율적인 재배로 버섯을 생산하는데 안정적인 재배에 기하고자 하였다. 목이의 톱밥종균을 제조하는데 참나무톱밥 과 포플러톱밥을 사용할 경우 참나무톱밥은 영양원으로 미강 20%를 첨가하고, 포플러톱밥은 밀기 울을 10%첨가 하였을 때 균사생육과 밀도가 양호하였고 이때 봉지재배에 적합한 종균 접종량은 참나무톱밥종균은 15g, 포플러톱밥종균은 25g를 접종할 때 오염발생률이 줄고 배양완성률이 높아 적합한 접종량임을 알 수 있었다.
        1031.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 of this study is concerned about the optimal design of the supporting frame in a twist screen. Twist screen is widely used for grading and screening materials in the fields such as coal-selecting, mining-selecting, building materials, electrical power and chemical industry, etc. It is composed of base, supporting frame, vibrator, screen, spring, trough, clamp and etc. Especially, supporting frame in twist screen are stressed by high load, mostly it is shock-type loads. Nevertheless, design of base is dependent on experience, and it will cause reliability reduction and cost increase. The supporting plate is composed by the upper plate, the bracket and etc. This research purpose is to propose and verify a method to achieve higher product quality, lower costs, and far less physical testing. In this study, design parameters used for optimization are the upper plate thickness(8㎜, 10㎜, 12㎜) and the bracket thickness(8㎜, 10㎜, 12㎜) in the supporting frame. The result showed that base weight reduced to maximum 25.8% when compared with the current twist screen.
        4,000원
        1032.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conditions for two different amounts of turmeric (Curcuma longa L.) powder and olive oil for the processing of chicken sausag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ith ten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two replicates for turmeric powder and olive oil. The physicochemical and mechanical analysis of each sample, including water holding capacity, moisture content, lightness, redness, yellowness, hardness, chewiness, gumminess, and cohesive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from sensory evaluations also showed ver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flavor, tenderness, chewiness, and overall quality. The optimal formulation, calculated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as 1.89 g of turmeric powder and 9.77 g of olive oil. Under these conditions, the model predicted pH-6.01, salinity-0.20, WHC-94.88, L* value-61.13, b* value-37.45, hardness-36.66×102 (N), springiness-8.70 (mm), chewiness-26.88×103 (N×mm).
        4,000원
        1033.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똥쑥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그 유효물질의 함량을 최적화할 수 있는 추출 조건을 확립코져 반응표면 분석법에 의한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15가지의 추출 조건(온도: 50∼90℃, 시간: 3∼15 hr, 에탄올 농도: 0∼100%)에서 실험하였다. 개똥쑥 추출물의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은 J 조건(90℃, 9 hr, 50%의 에탄올 농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NO 라디칼 소거활성은 H 조건(80℃, 12 hr, 75%의 에탄올 농도)에서 가장 높았다. 총 페놀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J 조건에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H 조건의 추출물이었다. 반응표면분석 결과 개똥쑥의 최적 추출조건은 평균 89.37℃, 8.55 hr 및 56.77% 의 에탄올 농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측값은 예상값의 89.88∼115.54%에 해당되었다.
        4,200원
        1034.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마늘의 첨가량(1.5~10.45%)과 추출시간(52.8~300 min)을 독립변수로 하고, 고형분 함량, ABTs 라디칼 소거활성, ALDH 및 15% 에탄올에 대한 ADH 활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슬기와 마늘 혼합물의 최적 추출조건 설정을 위한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고형분의 함량에 대해 예측된 정상점에서 최대값은 0.49 Brix%였고, 이때의 추출조건은 마늘 첨가량 6.17%, 추출시간 191분이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마늘 첨가량 7.95%, 추출시간 194분에서 최대값 96.68%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ALDH의 활성은 마늘 첨가량 5.64%, 추출시간 172분에서 142.18%의 최대값을 가지며, ADH 활성이 최대화되는 정상점에서 최대값은 214.89%였고, 이때 최적 추출조건은 마늘첨가량 8.53%, 추출시간 184분이었다. 네 가지 종속변수의 최대값을 얻기 위한 최적 추출조건의 범위는 마늘첨가농도 5.64~8.53%, 추출시간 172~194분이었다.
        4,000원
        1037.
        2013.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의 목적은 공급사슬에서 발생하는 재고 및 운송에 관련한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여기서 발생하는 비용은 여러 변수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공급망 전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고 모델링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여러 구성요소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분석하기 위해 수학적 접근방법을 사용하는 것 보다 시뮬레이션 방법을 사용해 모델링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H자동차의 조달물류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방법을 활용하여 조달물류의 최적 배송주기를 도출하고, 재고관리의 문제점을 개선 하고자 한다.
        4,000원
        1038.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새로운 색상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백색 장미 데니스(R. hybrida'Denice')를 사용하여 무지개 색상의 장미를 만들고자 하였다. 온도가 높을수록 염색 시간은 빨랐으나 높은 온도에서는 절화의 개화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4시간 이상에서는꽃잎의 끝이 너무 진하게 염색되거나 건조되는 현상이나타났다. 7.5g·L-1보다 11g·L-1이상의 염료농도에서 염색되는 속도가 빨랐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개화정도는 완전봉오리에서 시각적으로는 빨리 염색이되는 것으로 보였으나 속 꽃잎까지 흡수되는 시간은 3처리모두 유사하였다. 그러나 상품가치 면에서는 바깥꽃잎이3~4장 정도 개화했을 때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단색 실험의 결과에서 가장 적합한 조건 즉, 20℃염료 용액에 3시간 침지, 화경장 30cm, 11g·L-1의 염료 농도, 바깥꽃잎이 3~4장 개화한 ‘Denice’ 장미에 Hot Pink, True Blue,Yellow 3가지 색상을 조합하여 염료를 물올림 한 결과,6가지 색상을 지닌 무지개색의 장미를 착색, 발현시킬 수있었다.
        4,000원
        1039.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산 고구마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고구마 막걸리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고구마 막걸리 제조 방법 선정과 믹스쳐 디자인을 이용한 고구마 막걸리의 최적 배합비를 산출하였다. 엿기름 첨가 유무에 따른 혼합당화, 분리당화발효법을 이용하여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한 결과, 동시당화발효를 이용하여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하는 것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최적의 고구마 막걸리 배합비를 구하기 위하여 쌀, 고구마, 물 세 가지 재료 요인으로 mixture design을 이용하여 다양한 배합비를 결정한 후,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고구마 막걸리의 선호도,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소거능을 측정하여 통계적 모델링과 분석을 하였고, trace plot 및 contour plot을 이용하여 각 재료의 함량이 반응값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 의해 예측된 고구마 막걸리의 최적 배합비는 15.11(쌀) : 44.89(고구마) : 40(물)이었으며, 이 배합비에 따른 반응값의 예상치는 선호도 6.17, 총 폴리페놀 함량이 414.95 ㎎ GAE/ℓ,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8.02%로 예측되었다. 최적배합비를 바탕으로 일반고구마, 호박고구마, 자색고구마를 이용하여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한 결과, 호박고구마 막걸리의 알코올 함량이 5.8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자색고구마 막걸리>호박고구마 막걸리>일반고구마 막걸리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4,000원
        1040.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죽의 기능성 향상을 위하여 2:1:1:1의 배합으로 혼합한 한약재료(가시오가피, 숙지황, 산약, 백복령)와 닭가슴살 등의 재료를 사용해 한방 영양죽을 제조하였다. 한방 닭죽의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맛의 선호도, cost는 수학적인 canonical model과 trace plot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SOD 유사활성 이외에는 각 성분들이 독립적으로 작용하여 상호작용이 없는 선형 모델을 보여주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SOD유사활성, 맛의 선호도를 최대로, cost를 최소로 목적 범위를 설정하고, 각각의 canonical 계수를 이용하여 수적 최적화를 통하여 최적 배합비를 구한 결과, 한약 혼합물 101 g, 닭가슴살 38.66 g, 찹쌀 비율 41.34 g의 최적 배합비를 구하였으며, 이 배합비에 따른 맛의 선호도는 6.39, DPPH radical 소거능은 17.25 ㎎VCE/ℓ, SOD 유사활성은 2.25%, cost는 1,382.39 won으로 나타났으며, 여러 결과들 사이에 최적화된 한 값에 수렴하는 desirability는 0.714로 나타났다. 이는 한약혼합물이 많을수록 기능성 면에서는 높게 나타나지만 맛의 선호도면에서는 낮게 나타냈고, 닭가슴살의 경우에도 그 함량이 많을수록 맛의 선호도는 올라갔지만 그에 반해 cost가 높게 올라간 것을 반영한 결과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