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4

        21.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온·오프라인 PR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지난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생중계 방송시청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봤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소치 동계 올림픽 스포츠 경기를 생중계했던 방송사들 중 별도의 온·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추진한 방송사의 생중계 방송 시청률과 그렇지 않은 방송사의 시청률을 비교·분석했다. 조직(방송사)-공중(시청자) 간의 온·오프라인 PR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공중관계성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 조직(방송사)-공중(시청자) 간의 공중관계성 형성을 위한 PR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한 방송사의 생중계 방송 시청률이 그렇지 않은 방송사의 시청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연구자들은 한국 경기에 대한 시청자 응원 확대와 PR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트위터 버즈량(트위터 등 SNS를 통해 확산된 특정 메시지 전달 빈도의 통계적 산술값)의 변화와 이 버즈량의 변화가 시청률 경쟁 상황에서 형성한 공중관계성의 의미·가치 등에 대해 논의했다.
        7,700원
        22.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조직의 커뮤니케이션에서 공중들이 중요하게 인식 및 평가하고 있는 진정성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들이 급증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개념적 정의와 측정으로 인하여 진정성 개념의 타당성과 다차원성에서 이론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편적으로 사용가능한 커뮤니케이션 진정성의 측정을 위한 다차원적 개념의 표준 척도를 개발하고 대표적인 PR 활동인 CSR과 위기관리 분야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도출한 21개의 측정항목들을 가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에서 진정성은 이성적(진실성), 감성적(진심성), 그리고 행동적(실천성) 3가지 차원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사전적 성향의 PR 활동인 CSR의 경우는 행동적 진정성이, 사후적 PR 활동인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에서는 감성적 진정성이 다른 차원들보다 더욱 크게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진정성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커뮤니케이션 진정성은 진심, 진실, 실천의 의미를 포함하는 이성적, 감성적, 행동적 차원으로 구성된 다차원적 구성개념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6,400원
        2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that relation-building factors between beauty service stores and customers have on relationship quality and long-term orientation. Specifically, the influence of relation formation factors (relationship benefits and communication) on relationship quality (satisfaction and trust) and long-term orientation was empirically examin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402 adults were targeted from Jan. 6 to Jan. 16 in 201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nefits of beauty service stores were classified into four dimensions of psychological, social, economic, and informational benefits. It was found that only the dimension of psychological benefi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ong-term orientation among the relationship benefits dimension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benefits of beauty service stores had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quality (satisfaction and trust). It was shown that informational benefi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only. Third, it appeared that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ong-term orient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lationship quality(satisfaction and trust). Finally, it was shown that relationship quality (satisfaction and trust) had positive effect on long-term orient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nd direction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4,600원
        24.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본 연구는 안경원들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소구(appeal)하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인 들이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안경원에 대한 관계품질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화 된 인과모형을 수립하여 이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광주지역 2개 안경원을 방문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2014년 4월 15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여 113개의 응답지를 획득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 답을 한 설문을 제외한 106명의 유효 응답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각 하위요인들은 실용적 가치, 쾌락적 가치, 관계품질 각각에 대해 모두 정(+)적 영향이 있으며, 이용의도에 대해서는 부(-)적 영향을 미친 광고(β=-.214, p<.05)을 제외하고는 모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계품질과 이용의도에 대해서도 쾌락적 가치, 실용적 가치는 모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하위요인들과 관계품질 간에 쾌락적 가치는 매개효과가 없었으며, 실용적 가치 는 광고와 관계품질 간을 완전매개(full mediation)하고, 물리적 환경, 판매촉진, 퍼블리시티와 관계품질 간에는 부분 매개(partial mediation)하였으나, 구전과 관계품질 간에는 매개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하위요인들과 이용의도 간에도 쾌락적 가치는 매개 효과가 없었으며, 실용적 가치는 광고, 판매촉진, 퍼블리시티와 이용의도 간을 완전매개하고, 물리적 환경과 이용의도 간에는 부분매개하며, 구전과 이용의도 간에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첫째, 소비자들의 호·불호의 태도로 나타나는 쾌락적 가치의 증진을 위해서 는 판매촉진이, 실용적 가치의 증진을 위해서는 구전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안경원들은 진정 성 있는 고객관리를 통해 한번 방문한 고객들이 긍정적인 구전을 전파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소비자들을 고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로 예측되는 관계품질을 높이기 위해서 는 고객들이 방문했을 때의 긍정적인 경험이 긍정적 구전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과 함께 안경 원 내·외부의 물리적 시설에 대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구매상 황에 좀 더 가까운 이용의도에 대해 광고요인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현재 안경원들 의 광고형태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경원들은 경쟁점을 비방하거나 단 순한 가격할인을 마케팅의 소구점으로 삼는 일반적인 상행위와는 다른 관점에서 고객들을 응 대할 필요가 있으며, 소비자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본연의 가치인 시력보호와 건강한 눈 관리 를 위한 정보제공, 그리고 패션코디와 같이 고객들의 니즈에 적합한 역량 있는 응대를 통하여 경쟁력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25.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연구주제인 수사학과 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는 의사소통적 비평에서 몇몇 서구 비평가들에 의해 다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하나의 연구주제로서 수사학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시를 적용하는 예가 많지 않다. 그래서 말이든 글이든 그 문화 콘텐츠를 가지지 않고는 화자의 올바른 의도나 글의 메시지를 포착하기는 쉽지가 않는 것이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17세기 영국시인인 존 던의 경우 커뮤니케이션 스타일리스트로서 그가 수사학적 장치를 사용하는 목적과 의도에 주목하는 일은 새로운 연구방식의 하나이다. 던의 시는 「갇힌 사랑」이라는 주제를 통해 여성의 문제와 시대의 편견과 사랑의 문제를 오늘날 매우 중요한 글쓰기 매체로 접근하고 있다. 그의 시는 성과 사랑의 본질을 시대적으로 조명하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여성과 관련된 도덕의 중요성을, 즉 성스러움에 가까운 자기희생을 처음부터 강조하고 있어 사랑의 종교적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6,300원
        26.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vestigates different types of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subtitle communications to the audience.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analysis of a reality show which aired and drew much attention a few months ago. The title of this TV program was 'Grandpa over Flowers', a reality show featuring four renowned elderly actors traveling around Europe together. First of all, the function of subtitle is to serve as the constructor of Narrativity in reality shows. In this sense, Narrativity is explained in three aspects: the narrative structure of incidents and episodes, the fictive embodiment of figures and the creation of narrator. Second, the function of subtitle promotes laugh and this attribute supports the so-called 'Redekonstellation' of the audience. Although the audience is watching the program alone, subtitles present a pseudo-dialogue situation in which there are other partners participating simultaneously in the dialog. In addition to these functions, subtitle serves a variety of other interesting communication functions, which this paper proposes further research.
        5,700원
        27.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용자의 광고 회의주의와 제품 관여도 그리고 인구 통계적 요 인들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실험을 통해 밝 혀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 광고 회의주의와 제품 관여도 그리고 인구통계적 요인은 광고에 대한 태도, 상표에 대한 태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3원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 졌다.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 광고에 대한 태도의 경우에는 광고 회의주의와 제품 관여도 그리고 광고 회의주의와 성별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 또한 상 표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의 경우에는 동일하게 광고 회의주의와 제품 관여도 , 광 고 회의주위와 구매의도 그리고 제품 관여도와 성별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밝혀졌 다. 광고에 대한 태도의 경우에만 제품 관여도와 성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국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광고회의주의는 본 연구에서 선정한 종속 변인모두에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수용자의 광고 회의주의에 대한 변인은 특정 변인에만 한정하여 영향을 미치 고 있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의 다양한 속성과 결합하여 커뮤니케이션 결과를 수용 하거나 거부로 유도하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광고 전략 수립 시에 고 려해야 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점이다.
        7,700원
        2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발주자와 수행자는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모든 단계에 걸쳐 면밀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인식 차이를 좁혀야 하는 관계에 있다. 이는 두 역할자 간에 프로젝트의 수행목표에서부터 세세한 업무 인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상에 대한 인식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프로젝트 성과는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자주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의 연구도 다수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결정짓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프로젝트 발주자와 수행자 간 인식 차이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분석 방법을 도입한 예는 아직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상호 지향성 모델(co-orientation model)은 많은 연구를 통해 두 집단 간의 상호 인식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즉, 상호 지향성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두 집단의 상호 이해와 커뮤니케이 션이 효과적으로 수행된다는 설명이다. 상호 지향성 모델에서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측정하기 위해 조직 구성원 개인의 인식, 상대방의 인식, 그리고 상대방에 대한 자신의 인식과 자신에 대한 상대방의 인식을 파악하여 이들 간의 일치도를 활용한다. 그러므로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적인 관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척도로 상호 지향성 모델의 활용을 검토해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방법론적 측면에서의 기술적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연구 경향 및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의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 프로젝트 발주자와 수행자의 인식 차이에서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 오류의 극복 수준 측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이에 대해 상호 지향성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국내에서 이루어진 상호 지향성 연구들의 분석 유형 및 인식 주체의 경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발주자와 수행자라는 이원적 구성의 프로젝트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 문제에 대하여 인식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상호 지향성 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위한 연구 모델을 수립하였다.
        6,300원
        2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effective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overseas Korean restaurants through a multilateral comparison analysis of American,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media and Korean restaurants. The survey was written in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with guideline for surveyors, and conducted using both online and offline method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ive major cities - Los Angeles, New York, Tokyo, Beijing and Shanghai, which are the foothold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When it comes to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media, word-of-mouth showed a high mean value, indicating it as the most useful and reliable media recognized by consumers who visited Korean restaurants. Furthermore, the necessity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visual communication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Korean restaurants and specialized websites, featuring restaurants and gourmet food, was observed. Consumers in all three nations chose word-of-mouth as the most useful and reliable media for learning about Korean restaurants. In addition, American consumers highly depended on signage and restaurant exteriors. Chinese consumers highly recognized the usefulness and reliability of offline media,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and events, while Japanese consumers considered online media, such as gourmet websites, blogs and social networks, as useful and reliable sources. A significantly positive attitude and high value was observed in all who had visited Korean restaurants. American and Japanese consume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intention to visit Korean restaurants in the future and to tell others about their satisfaction with Korean restaurants. Meanwhile, the average rate of prior preference for Korean restaurants (when choosing restaurants) was the lowest in all three countries. This study is useful for both the Korean government and food enterprises abroad to plan and develop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properly for overseas Korean restaurants.
        4,200원
        30.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SNS의 특성과 조직문화가 군사기와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한/미의 그룹간의 차이을 알아보고자 하는 논문이다 1) 과학적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165 명의 군언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분석방 법은 각 변수들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데이터를 Smart PLS 2.0을 이용하여 판별타당성,확인적 요인분석,신뢰도와 모형의 적합도,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 가설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체적으로는 매체풍부성 사회적규범 위계적 문화 집단문화가 커뮤니케이션 만족에 협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미간에 만족을 시키는 원인의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커뮤니케이션의 원인과 그룹간의 차이를 알아본 것이 기여점이라고 하겠다.
        5,200원
        3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we collected the information of the 18 major food safety incidents and conducted a delphi survey with 10 experts to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terms used in reporting of the major food safety incidents on risk communication.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information from the major food safety incidents, discord of terms used from government, local government, media and consumer groups had a tremendous effect on the socioeconomic losses and caused the expansion of the incidents. The survey with 10 experts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ce in ripple effect of reporting terms and the difference in reporting terms. A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865. Therefore, ripple effect of incident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reporting terms and we concluded that standardization of term is necessary in reporting of the food safety incident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successful risk communication among the government, enterprises and consumers.
        4,000원
        3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as a potential decision-making method for obtaining the relative weights of alternatives through pairwise comparison in the context of hierarchical structu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icit prior strategies for brand communication for Korean restaurants overseas. We created a questionnaire and surveyed experts at government agencies, restaurant companies, and universities from October to November 2011. By applying the pairwise comparison matrix, relevance was perceived as a more important strategy evaluation criteria than effectiveness or urgency. The highest-ranked strategy was the 'Identification of the BI and positioning of Korean restaurants' followed by 'Development of Korean food content for overseas promotion', 'Development of locally customized Korean food recipes and new Korean menus', 'Development of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Korean restaurants by countries', and 'Development of Korean restaurant differentiation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effective Korean food globalization by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4,200원
        3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merican,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usage behavior of marketing communication towards overseas Korean restaurants. The survey included both on and off-line method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written in three languages-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The sample was collected from 5 hub cities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LA, New York, Tokyo, Beijing, and Shanghai.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searching for Korean restaurants-related information was ``the interaction`` and the least one was ``the diversity``. The most commonly informed Korean restaurants-related content through the on and off-line media was ``the general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telephone number, and operation hour``. Korean restaurants-related content that the respondents` most interested in was ``the information of menu and price``. Results of this study can expectedly be use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by providing empirical data of foreign consumers for effective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of overseas Korean restaurants.
        4,000원
        3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ethods and contents of global Korean food market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July to October in 2010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Government agencies and restaurant companies emphasized well-being and healthy aspects as a Korean food identity. Regarding the marketing contents, government agencies commonly included standard loanword orthography and recipes. On the other hand, restaurant companies contained their own contents differentiated from other brands. Government agencies used CF, video, book and newspaper as communication channels but restaurant companies did not have systematic communication channels. Government agencies attempted to use holding, supporting and participating expositions as communication methods, whereas restaurant companies mainly used sales promotion and point-of-purchase as communication methods.
        4,200원
        36.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는 상호작용을 통한 관객의 참여와 소통이 가장 중요시 되는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종래의 예술작품을 관람하는 관객은 작가가 전달하는 메시지를 일 방향적으로 수용하는 입장이었다면,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를 관람하는 관객의 입장은 작품과 상호작용하면서 작품을 완성하는 적극적 참여자이며 생산자적 입장으로 변화 되었다. 본 연구는 수용미학적 측면에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전시장에 전시된 작품의 사례를 통하여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작품과 관객이 어떤 방식으로 상호작용하고 작품과의 교감이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전시 해석매체인 도슨트의 설명과 월텍스트를 활용하여 관람하였을 때 관객의 감성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하였다. 도슨트는 작가의 의도와 작품에 대하여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설명하면서 관람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작품에 집중하도록 유도하였다. 그 결과 작품과의 교감도를 높이는데 전시 해석매체의 역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도슨트의 역할이 작품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관객의 적극적 참여와 교감을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4,000원
        37.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importance of media in communication and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more effective Christian communication (sharing the gospel) through ‘media mission’ in Korea. Korean society has rapidly moved into new media era that involves multimedia and social media. These new media have enormously affected to Korean people's way of communication and life style. How can Korean churches utilize new media for more effective Christian communication? To answer this question, the researcher first describes the definition of media. Second, he discusses various types of media that have been used by Korean churches: printed media, electronic wave media, internet-multimedia, and Social media are discussed. Third, the researcher provides six suggestions for Korean churches to exercise more effective media mission: first, Korean church leaders need to see media mission from the standpoint of Kingdom of God; second, Korean church leaders should be sensitive to new media; third, Korean churches need to provide suitable church facility to people who are more exposure to new media environment; fourth, Korean church leaders have to organize a task force among early adopters for media mission; fifth, Korean church leaders need to vitalize a media mission committee to lead the mission successfully; sixth, Koran churches should provide active support for media mission.
        6,300원
        3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21st century is the age when a sensational image has more explanatory power and can deliver a more powerful message than a message consisting of logical thinking. Powerful visual images create a big impact on many people throughout the world, overcoming linguistic barriers and even replacing languag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In the fashion field, the concept and power of visual images within the new multimedia of the 21st century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recent years, other than the above methods, videos, movies and animation features have been produced directly to enhance visual effects and attempts are increasing to use these new tools as communication methods. This study focuses on animation conten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fashion industry to overcome prejudice of luxury international brands that feature images that emphasize value, quality and heri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specific character of fashion animation in order to overview the concept of 21st video fashion communication and to show how the collection concept that includes color and detail places an emphasis on visual images.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eoretical research through literature and case study on Prada fashion animation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common features of two different Prada fashion animation show that both animation have the following features in common : realism, dramatic impact and convergence for expression methods, and creativeness, hybrid and a happy ending for contents. Beginning with this study, I believe that various angles of interest and concern about communication in the fashion world, which is a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that changes rapidly, can be will be looked at and learned from.
        4,500원
        39.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trategic alliance sales promotions have short-term or long-term or sales or communication effects in the family restaurant industry. The hypotheses were tested in family restaurant settings using a sample of customers visiting and enjoying food in the metropolitan city of Daegu. Empirical results confirmed that strategic alliance sales promotions had short-term and long-term effects, as well as sales and communication effects. Therefore, family restaurant managers should adopt or keep sales promotion strategic alliances with credit card companies. Furthermore, family restaurant managers should adopt or keep sales promotions with other companies. In a future study, more variables should be selected to test the sales promotion effects of strategic alliances.
        4,000원
        40.
        201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현대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영상 중심의 사회적 소통방식이자 결과인 영상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데 있어 현상학과 기호현상학의 적용가능성을 하나의 이론적 관점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고찰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커뮤니케이션이 특정 표현형식과 의미내용을 담고 있는 기호 체계를 통해 이루어질 경우, 커뮤니케이터의 내적 경험세계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인식 체계를 연구방법으로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 현상과 상황마다 각기 다른 시각의 상호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음을 전제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영상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의 주체와 객체 사이에서 영상이 지향되는 방식에 대한 커뮤니케이터 내부의 인식과 영상기호를 통한 일상적인 경험세계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는 현상학과 기호현상학의 범주 안에서 전개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구자와 연구대상 사이에 최소한의 정보적 공유나 정서적 공감이 없다면 커뮤니케이션이 쉽지 않다는 점을 영상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전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영상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와 해석의 과정이란 결국 영상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특정 현상에 대한 이해의 불확실성과 해석의 불완전성을 해소하는 것이라는 점을 논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영상커뮤니케이션에서 영상으로 재현되는 연구대상의 현실감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발견되거나 발생된 현상 자체를 설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6,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