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12

        1083.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방과 후 특기 적성 교실의 원예-국어 통합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국어과 관련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식물친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수원, 군포, 양평의 초등학교에서 방과 후 특기 적성 교실에 참여하는 2~5학년의 학생들 41명을 대상으로 2010년 3월 23일부터 7월 9일까지 매주 1회, 회기 당 1시간20분씩 총 15회에 걸쳐 원예-국어 통합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원예활동을 통합하여 실내․외에서 개별 및 집단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전후에 국어과 관련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식물친숙도를 검사하였는데 원예-국어 통합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아동의 국어과 관련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식물친숙도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교육현장에서 교과목과 연계한 다양한 원예교육프로그램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개발 및 보급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위한 교육영역의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1084.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w would environmental education be implemented for effectiveness today? Deep reflection on the way of teaching environment in classes to achieve effectiveness is required. If there exist differences in students' environmental perception depending on environment class pattern, its most effective way should be looked for.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ducing the students to have advisable attitude voluntary about environment is more important than teaching them environmental knowledge. From such view,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s necessary for successful environmental classes. Students need to be set to share their principle, values, attitude about environment problems at environmental class through presentation which is important factor to make them have advisable environmental attitude. Therefore, environmental class need to be carried out student-led way. For that, a class model need to be designed which will be helpful for the students to arrange and elaborate their emitting thought about environment problems through disclosing their thoughts to share them with fellow students which will end up in their advisable environmental attitud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contributive to offering various environmental perception to students and grasping others' thinking about environment. Fifty-eight 10th graders at U Science High School in Ulsa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at carried out from 2010 April to June by choosing total 10 environmental themes divided into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lied to the 30 test group students, and general environmental class applied to 28 control group students.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First, in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them in general environmental class. Second, in students' intentional environment action, the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them in general environmental class. Third, in students'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 class, the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them in general environmental class.
        1085.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한 확인규제 모형을 토대로 운동이나 신체활동 자체에 관심이 없는 학생들에게 인지적-행동적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자율성지지 접근의 당위성 제시를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중재집단 내 학생(남학생, n=17)들이 통재집단 내 학생들(남학생, n=20)에 비해 자율성지지 환경인식, 확인규제, 의도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무동기에서는 소폭의 감소를 보였다. 특히, 지각된 자율성지지와 확인 규제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더불어, 당위성 제시의 효과에 대한 사회적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집중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중재집단 내 학생들은 첫째,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변화, 둘째, 상호 간의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의 형성, 그리고 셋째, 개인차에 따른 미래 신체활동에 대한 의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장적용 가능성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086.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에 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지닌 교사와 전문적 지식이 부족한 교사가 학생들을 지도했을 때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정서,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밝혀 초등체육교육이 바람직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전라북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체육을 담당하는 교사를 체육전공학급담임, 체육비전공학급담임, 체육전공교과전담, 체육비전공교과전담으로 분류하였다. 교사 71명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 987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에 따른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수업 만족도 간의 관계는 체육전공학급담임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의 연구모형의 타당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체육전공교과전담교사를 제외한 모든 교사유형에서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긍정적 정서와 정적인 관계가 있고, 부정적 정서와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모든 교사유형에서 부정적 정서는 긍정적 정서와 수업 만족도와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초등교육에서 학급담임의 역할은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정서, 수업 만족도에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1087.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Dunn 등(2006)의 스포츠 다원적 완벽주의 척도(Spor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Sport-MPS)에 기초하여 무용전공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을 측정하기 위한 한국판 척도를 제작하여 교차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총 746명의 남녀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다집단 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최종 확정된 4요인 25문항(개인적 기준, 실수에 대한 염려, 부모의 압박, 교사의 압박)에 대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가 학교, 무용경력 및 무용전공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시간적 안정성도 양호한 측정도구로서 확인되었다. 집단 간 잠재평균분석의 결과 대학생과 경력이 많은 학생이 고등학생과 경력이 적은 학생보다 교사의 압박과 실수에 대한 염려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088.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알고리즘적 사고와 프로그래밍 학습은 초등학생의 문제 분석 능력, 논리적 사고력, 절차적 문제 해결 능력 등을 배양하는데 매우 효율적이다. 각 시도에서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 지침에 따라 초등 컴퓨터 교과서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나 구문 중심으로 되어 있어서 학습전이의 효과성 및 일상생활 원리들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므로 학습동기 저하로 인하여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거북 로고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문제중심 학습(Problem-Based Learning)을 적용하고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 수업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새로운 교수학습 방식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에서 이 실험을 8주간 실시하였고 실험결과에서는 학습동기 부문에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문제중심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인 학습방법을 택한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문제중심 학습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프로그래밍 학습에 보다 긍정적인 동기를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89.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사회성 함양을 위해 학교 주변 숲을 이용하고 등하교 길에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풀이나 수목 등 자연적 요소들을 이용한 생태체험학습효과에 대한 연구이며 이러한 생태체험학습이 사회성 함양에 미칠 수 있는 교육적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초기 조사인 동질성 검사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생태체험학습과 사회성에 대해 비슷한 의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향후 실시된 사전/사후 검사와 집단 간 실시된 검사 등에서는 동질성 검사에서와 서로 다른 조사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생태체험학습이 학생들의 사회성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성별 평가에서는 남자와 여자가 조금씩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있었으며, 남학생의 경우 책임성, 우월성, 지배성 항목에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러한 항목에서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생태체험학습이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여학생의 경우 자율성과 성취성에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러한 항목의 교육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생태체험 학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본 연구 결과 생태체험학습은 학생들의 사회성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항목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항목이 많았다. 따라서 생태체험학습이 단순한 현장 학습의 의미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사회성 함양 등 교육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실 안에서 이루어지지 못하는 교육의 부족한 점을 생태체험학습과 같은 현장학습 에서 얻을 수 있도록 교육현장에서 검토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학습 효과는 이론적 연구에서만 거칠 것이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 직접 적용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이 요구되며 학생들에게 보다 쉽고 즐거운 학습활동을 위한 생태체험학습 활동의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090.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모바일의 장점이 영어어휘 학습에 새로운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초등영어학습자들을 위한 모바일 게임용 영어어휘 학습 목록과 함께 그 적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영어교육 과정의 초등 필수 어휘목록, 초등 영어교과서 어휘, 그리고 초등 영어단어집으로부터 초등학교 5, 6학년 학습자들의 어휘학습에 적합한 기본 어휘목록을 선정하였다. 둘째, 기존에 상용화 중인 모바일 게임을 분석하여 영어어휘 학습용 게임으로 적합한 것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정된 게임에 구축된 어휘목록을 적용해 개발하였다.
        1091.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의 뿌리 및 줄기에 대한 개념의 이해 정도를 파악하여 개념 연구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초등과학의 뿌리 및 줄기 관련 단원에서 개념을 추출하고 초등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20개 검사문항의 평균 오답율은 47.3%로서 초등학생들의 뿌리 및 줄기에 대한 과학적 개념 정도는 낮은 편이었다. 40% 이상의 오답율을 보인 문항은 줄기에서 8개 문항, 뿌리에서는 5개 문항이었다. 이러한 높은 오답율은 좁은 범위의 경험이나 자료를 가지고 성급한 판단에 의해 개념을 일반화하거나 무분별한 유추, 지각 우위의 사고, 낮은 인지발달 단계 등으로 인해 생긴 결과이다. 전체 문항에 대한 도시학생과 농촌학생, 남학생과 여학생, 5학년과 6학년 등의 평균 정답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문항별 비교에서는 각각의 그룹에서 2내지 3개의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초등학생들의 뿌리와 줄기 개념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야외에서 직접 관찰하는 체험학습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다양한 경험을 위하여 식물에 관한 그림책이나 인터넷을 활용하여 학습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교사는 오답율이 높은 문항에 대하여 구성주의와 같은 학습모형을 적용하여 적절한 인지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1092.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0년대 이후 국제결혼과 외국인 근로자의 급증으로 인해 한국 사회도 점점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진입해 가고 있으나 한국사회의 순혈주의와 단일 민족주의로 인해 이들을 같은 한국 국민으로 받아들이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사회를 살아갈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을 알아보고 다문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배경변인으로는 다문화 교육 경험, 비형식적인 다문화 경험, 어머니의 양육태도, 개인 배경이 다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4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F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 몇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다문화 교육 경험은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은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위 요인 중 미디어 요인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일수록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학생의 다문화 인식이 남학생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성적이 높을수록, 외국어 실력이 높을수록 다문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 성별, 다문화 교육 경험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다문화 교육은 비형식적인 경험과 개인적인 배경요인에 기초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일반 학생들이 다문화적인 인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한다.
        1093.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변인, 학생변인, 학교부적응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변인이 학교 부적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생변인에서는 학생의 심리적 특성보다는 교우관계나 사교성이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교우관계에서의 부적응도 교사변인의 간접적인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학교 부적응은 수업, 학교질서, 교사관계, 교우관계로 구분하였는데, 역시 교사 관계에서의 부적응 요인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수업, 교우, 학교질서 순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적합도는 이 49.525(p=.144), TLI .928, RMSEA .072, CFI .948, RMR .056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가정 학생의 심리적 특성, 가정, 학교, 교우, 교사관계를 요인으로 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이들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1096.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day,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a matter we are all concerned about. The environment surrounding us, such as the air we breathe, the water we drink, and the soil plants grow in, is critical for our survival. Currently there is a lot of interest in environmental education at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This is a result of the deep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Howeve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being conducted in schools is not yet at a satisfactory level. The practical issues, including an entrance exam-oriented atmosphere, student' and parents' lack of understanding, and teachers' lack of expertise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terfere with the stability of environmental curriculum in the schools. Accordingly, we need to devise an alternative environmental curriculum due to the fact that it hasn't been included as a regular subject in the curriculum of many national schools. This study, carried out from April to December 2009, was an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 state-trait anxiety of the 61 Gifted Student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test group consisted of 30 gifted students who did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run by Ulsan Science High School, in Ulsan Metropolitan City.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the rest of the students. The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First, the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was influential in increasing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the gifted students. Second, the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was influential in decreasing the state anxiety of in gifted students. Third, the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was influential in decreasing the trait anxiety of in gifted students. Fourth, the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d not only the gifted students' view of environmental education, but also their overall character.
        1097.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중고교 및 대학 운동선수들의 스포츠 능력믿음과 행동조절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지를 개발하여 교차 타당도를 검증하고(연구 1), 개발된 검사지를 이용하여 대학 운동선수들의 스포츠 능력믿음과 성취목표 및 행동조절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연구 2). 검사지 개발에 남녀 중고교 및 대학 운동선수 1,689명이 참여하였고, 측정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에 남녀 대학 운동선수 596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1에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상위 2차원의 스포츠 능력믿음의 요인구조가 확인되었고, 다집단 요인분석을 통해 성별, 학교급 및 종목특성별에 따른 구인 동등성이 검증되었으며, 잠재평균분석 결과 성별과 학교급별 및 종목특성간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스포츠 행동조절 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6요인 구조의 자기결정적 형식의 동기가 확인되었고, 집단간 구인 동등성이 검증되었다. 하위요인의 잠재평균분석 결과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지만, 학교급과 종목특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연구 2에서 스포츠 능력믿음과 성취목표 및 행동조절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한 결과, 학습과 노력에 의해 증가된다고 보는 믿음은 과제성향목표를 예측하고 과제성향목표는 지각된 유능감의 매개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 행동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098.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의 연구과정이 가시화된 학습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자의 연구형태 중 문제해결형, 모델제시형, 아이디어산출형의 연구과정을 적용하여 개발된 학습 프로그램을 아직 진로가 확정적이지 않은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30명에게 적용하였다. 사전사후에 진로지향을 조사하였고, 프로그램이 진로에 미친 영향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게 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진로 결정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이 확인되었고, 진로지향의 변화에 따른 분석에서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진로를 더 확고하게 하는 등 이미 과학진로지향인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과학진로지향이 아닌 학생들 중 일부는 프로그램의 적용 후에 과학관련 분야로 진로를 바꾸었고, 일부는 과학관련 분야로 진로를 바꾸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등 본 프로그램이 과학진로지향이 아닌 학생들에게 미친 영향도 적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과학진로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109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4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인터넷 사용 관련 변인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 올바른 인터넷사용과 인터넷 과다사용을 예방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초등학생의 인터넷 사용현황을 성별, 학년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성별로는 하루 평균 컴퓨터 사용 시간, 사용 장소, 사용 목적, 인터넷 활용 유형이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 인터넷 활용 유형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 학년별, 지역별 자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통제력에서는 학년별, 지역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학년, 도시 지역은 자기통제력이 매우 높다는 결과가 나왔으며 6학년, 농촌지역의 자기통제력은 낮다는 결과가 나왔다. 자기통제력이 낮을 경우 인터넷의 과다 사용은 학업성취나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겪으며 충동적인 행동 등 부정적인 행동들을 하게 되는 원인이 되므로 학생들의 자기통제력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인터넷 사용시간과 자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가상공간에서 인터넷 사용 시간이 많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인터넷 사용실태 및 인터넷 과다 사용에서 가장 주목받은 변인 역시 인터넷 사용시간임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초등학생에 있어서 인터넷 사용시간이 길어질수록 가상공간에서의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자기통제력이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00.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t class using textbooks or materials related to environment is limited, the importance of activities for field experience is getting increased day by day. Thereby, the education tends to change into the type of education providing students with direct environmental experience. Students attending the science high school have excellent aptitude and ability for science and will lead the development of science in the future. Now it is urgent to develop various experiential programs which are helpful for them to establish desirable values on environment. However, the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allows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equipped with ample environmental knowledge to improve environment sensitivity and have proper environment awareness is quite restricted as of now. Natural exploration activities are the programs which provid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having lack of chanc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good opportunities to contact nature and also play significant roles in arousing their interest in issues related with environment.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y will let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explore the natural features of Korea,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environment and ecosystem profoundly, and encourage environmental awareness and will of environmental practice. Thereupon, with the study subjects of 121 first and second graders at U Science High School, this article analyzed their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before and after the natural exploration activities,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ir satisfaction after the natural exploration activities and analyzed i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natural exploration activities were effective to raise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issues related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Second, the natural exploration activities had effect upon enhancing the students’ willingness of environmental practice. Thir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natural exploration activities and their achievement in the science subject. Fourth, there also was a statistically non or weaknes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natural exploration activities and preference for the science subject.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students preferring biology indicated higher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