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9

        181.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생물제제 및 화학비료 시비에 따른 무와 배추의 생육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지상부와 지하부의 길이, 엽면적, 그리고 중량을 측정하였다. 시비 종류에 따른 무의 지하부 생체중은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의 혼합 시비에서 148.9g으로 가장 높아 화학비료 처리구(112.8g)와 비교하여 약 1.3배 증가하였으며, 지상부의 생체중 역시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의 혼합 시비 처리구(160.3g)에서 화학비료 처리구(111.1g)와 비교해 약 1.4배 증가하였다.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으나 미생물제제 처리구도 화학비료 단독시비 처리구의 생육과 비교하여 지상부, 지하부 모두 생체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추의 지상부 생체중은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의 혼합시비 처리구에서 316.6g으로 가장 높아 화학비료 처리구(225.7g)와 비교하여 1.4배 증가하였으며, 또한 지하부의 생체중도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의 혼합시비 처리구(4.4g)에서 화학비료 처리구(3.1g)와 비교하여 1.4배 증가하였다. 배추의 엽면적은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의 혼합시비 처리구, 화학비료 처리구, 미생물제제 처리구에서 각각 3567.7, 2387.5, 2735.9cm2로 미생물제제의 처리로 배추의 엽면적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의 결과를 통해 미생물제제가 관행의 농법에서 사용되는 화학비료를 대체하여 친환경비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화학비료에 토양미생물제제를 혼용 처리하여 무와 배추의 생육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전한 육종재료를 육성하기 위한 시비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83.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시간에 따른 수질 변화를 파악하고 원인에 따른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적절한 관리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 하다고 생각되어 이 같은 연구를 하게 되었다. 현재 수질오염이 심각한 낙동강 수계를 대상으로 2006~2010년까지 수질변화를 분석하였다. 수계의 803개, 국가하천 13개소, 지방1급 하천은 10개소, 하천에 합류하는 하천은 31개 지점에서 측정한 수은, BOD (Biological Oxygen Demand), TN (Total Nitrogen)과 TP (Total Phosphorus) 등의 월평균 자료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통계적분석(상관분석, 회귀분석, 분산분석, 시계열분석)을 통한낙동강유역의 인근 지역의 계절별로 수질항목을 확인하였으며, 평가지표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유역의 지질 및 지형의 영향이 주로 작용하는데 지역의 기후 조건, 식생, 지형, 토양, 비 포화대 매질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변수를 가지고 유출했으며, 이는 방류량의 결정문제, 호소의 부영양화 문제 등이 제기될 수 있겠으며, 좋은 개선방안을 만들어 보려고 한다. 따라서 낙동강의 강우기 유량을 증대하는 대책이 병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 관리대책에는 하천유지용수 확보를 구성을 해야 하며, 수로 건설사업 완료를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류에는 물이 흐르지 않는 시기가 발생하는 이유는 자연 상태에서 흘러야 하는 하천수 및 공업용수와 농업용수로 취수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모든 것을 관찰 및 구성을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로 하며, 다음과 같은 연구의 목적을 두고 연구조사 하였다.
        184.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maintenance of existing bridges,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bridge. In order to evaluate load rating of a bridge, re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bridge obtained by analyzing the measured data and static/dynamic responses calculat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are needed. However, evaluating current state and/or load rating of bridge is not easy, becaus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measuring bridge behaviors and making accurate FE model.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has developed the ‘Smart Load Rating Method’ for bridge which is able to evaluate the current state of bridge with dynamic properties and has been applying in Highway bridges. In this study, we have successfully fulfilled analyzing dynamic properties and evaluating the state of an old steel gerber bridge in Texas USA by using the Smart Load Rating method
        185.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Flow-Pollutant load delivery ratio equations developed from rural watershed on main subwatersheds within Juam Lake. Two regression equations for BOD and three equations for T-P were evaluated on Bosung cheon, Dongbok cheon, Songgwang cheon, Naenam cheon, and Sinpyeon cheon. The results show that estimation of BOD delivery ratio using flow-delivery equation is reliable when relative composition of discharge load of pollutant sources of a watershed is similar to those of watershed where the equation developed. On the other hand, application of regression equation for T-P was feasible when the landuse pattern and relative composition of discharge load of pollutant sources of a watershed is similar to those of watershed where the equation developed.
        186.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hance contents of low molecular weight ginsenoside Rh2 and Rg3 using an ultra high pressure and steaming process in wild cultured-Root in wild ginseng. For selective increase in contents of Rg3 and Rh2 in cultured wild ginseng roots, an ultra high extraction was applied at 500MPa for 20 min which was followed by steaming process at 90℃ for 12 hr. It was revealed that contents of ginsenosides, Rb1, Rb2, Rc and Rd, were decreased with the complex process described above, whereas contents of ginsenoside Rh2 and Rg3 were increased up to 4.918 mg/g and 6.115 mg/g, respectively. In addition, concentration of benzo[α]pyrene in extracts of the cultured wild ginseng roots treated by the complex process was 0.64 ppm but it was 0.78 ppm when it was treated with the steaming process. From the results, it was strongly suggested that low molecular weight ginsenosides, Rh2 and Rg3, are converted from Rb1, Rb2, Rc, and Rd which are easily broken down by an ultra high pressure and steaming process. This results indicate that an ultra high pressure and steaming process can selectively increase in contents of Rg3 and Rh2 in cultured wild ginseng roots and this process might enhance the utilization and values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s.
        187.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광’은 2003년 여름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HR20017-B-19-3-1계통을 모본으로 하고 HR19574-B-63-2계통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게통육종법으로 육성한 최고품질 복합내병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광’의 출수기는 남서해안지 및 남부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8월 13일로 남평벼보다 4일 정도 빠른 중만생 품종으로 주당수수는 12개로 남평벼보다 1개 적고 수당립수는 127개로 16개 많으며, 천립중은 23.3g으로 약간 무거운 편이다. 도열병 저항성은 남평벼보다 강한 편이다. 흰잎마름병 레이스 K1, K2 및 K3에 강하며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다. ‘수광’은 불시출수와 위조현상은 없고, 저온발아성은 남평벼보다 우수하다. 내냉성은 남평벼보다 강한 편이고 수발아율은 30.1%로 남평벼보다 높다. 도복지수는 남평벼보다 낮고 포장도복은 비슷한 편이다. ‘수광’의 쌀알은 맑고 심복백이 없으며, 단백질과 아밀로스함량은 남평벼보다 낮고 밥맛은 경기도산 추청벼보다 매우 우수하다. 도정특성들 중 제현율, 도정율, 백미완전립율 및 완전미도정수율은 남평벼와 비슷한 편이다. 쌀수량은 2009~2011년 3개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5.56MT/ha로 남평벼보다 2% 증수되었다. 이모작재배에서의 수량은 5.27MT/ha로 남평벼보다 5%증수하였으나 만식재배에서는 4.55MT/ha로 남평벼보다 4% 감수하였다.
        188.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다미’는 중만생 소비재배 적응성 고품질 품종육성을 목적으로 2003년 여름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익산469호를 모본으로 하고 운본31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소비재배 적응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다미’의 출수기는 남서해안지 및 남부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8월 16일로 남평벼와 같은 중만생 품종으로 주당수수는 12개로 남평벼보다 1개 적고 수당립수는 134개로 23개 많으며, 천립중은 22.5g으로 약간 무거운 편이다. 도열병 저항성은 남평벼와 비슷한 중정도이다. 흰잎마름병 레이스 K1, K2 및 K3에 강하며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다. ‘소다미’는 불시출수와 위조현상은 없다. 내냉성은 임실율이 52%로 남평벼보다 강한 편이고 수발아율은 0.2%로 남평벼보다 낮다. 포장도복은 남평벼보다 강한 편이다. ‘소다미’의 쌀알은 맑고 심복백이 없다. 단백질과 아밀로스함량은 남평벼보다 낮고 밥맛은 경기도산 추청벼보다 우수한 편이다. 도정특성들 중 제현율과 도정율은 남평벼와 비슷하나 백미완전립율과 완전미도정수율은 남평벼보다 약간 낮은 편이다. 쌀수량은 2009~2011년 3개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5.97MT/ha로 남평벼보다 9% 증수되었으며, 보통기 소비재배에서는 5.20MT/ha로 소비벼보다 3% 증수되었다.
        189.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유역을 대상으로 토양 침식 및 유실의 위험성을 분석 및 평가하기 위해 토지이용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유역별 토양침식 발생의 위험성을 순위화하였다. 또한, 토양침식량을 RUSLE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고 토지이용도 분석 결과와 함께 토양침식 위험성이 높은 유역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해당 유역에 산사태 위험지도와의 비교를 통해 유역내 토양유실 대책 수립을 위한 자료의 활용 방안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낙동강유역내 토양침식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선정된 유역은 내성천유역으로 토지이용도 분석결과와 RUSLE 모형의 결과에서 모두 토양유실 측면에서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USLE 모형 결과에서 토양침식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지역과 산사태 위험지역의 분포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천 주변의 토지이용에 따른 토양유실의 위험성은 RUSLE를 이용한 산정결과에서만 확인할 수 있었다.
        191.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ompared the contents of low molecular ginsenoside according to fermentation process in low grade fresh ginseng. Low grade fresh ginseng was directly inoculated with a 24 h seed culture of Bifidobacterium Longum B6., Lactobacillus casei., and incubated at 36℃ for 72 h. Bifidobacterium Longum B6 was specifically was found to show the best growth on 3,255×106 CFU/ml after 48 h of fermentation. The content of ginsenoside Rb1, Re and Rd were decreased with the fermentation but ginsenoside Rh2 and Rg2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process. In the case of low molecular ginsenoside conversion yields were 56.07% of Rh2, 12.03% of Rg3 and 77.11% of Rg2, respectively. In addition, compound-K was irregular conversion yield as long as 72 h of fermentation. This results indicate that fermentation process could increase the low molecular ginsenoside in low grade fresh ginseng.
        192.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 종자의 발아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전남 무안산 백련 종자를 이용해 종피의 파상부위, 발아 온도, 황산용액 처리 농도 및 시간별에 따른 종자 무게 변화와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종자를 파상하지 않고 파종한 것은 15일째가 되어도 전혀 발아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기부를 파상하여 25℃에서 발아를 시킨 것은 6일 만에 100%가 발아 되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종자를 물에 침적시켰을 때 물에 뜬 것(0.90 g)과 가라앉은 것(1.18 g) 모두 발아 되었으나 침적된 종자를 25℃에서 발아 시켰을 때 발아세가 가장 좋았다. 황산처리는 80% 용액에서 40-160분간 침적처리 했을때 6일째에 100%가 발아해 가장 우수한 발아세를 나타내었다. 종자 채취 후 0개월, 12개월 및 24개월 된 것을 파종한 결과 발아세와 발아율에 차이가 없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연의 종자번식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193.
        201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lutant loads delivery ratio for flow duration in Oenam-cheon watershed, which is upstream watershed of Juam Lake. To calculate the delivery ratio by flow duration, rating curves and discharge-loads curves using measured data were established, then Flow Duration Curve(FDC) and pollutant loads delivery ratio curves were constr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delivery ratios for BOD5 for abundant flow(Q95), ordinary flow(Q185), low flow(Q275), and drought flow(Q355) were 23.9, 12.7, 7.1, and 2.9%, respectively. The delivery ratios of same flow regime for T-N were 58.4, 31.2, 17.2 and 7.1%, respectively. While, the delivery ratios T-P were 17.3, 7.5, 3.4, and 1.1% respectively. In general, delivery ratio of high flow condition showed higher value due to the influence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generalized equations were developed for delivery ratio and discharge per unit area, which could be used for ungaged watershed with similar pollution sources.
        194.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ventional Thiamine Dilauryl Sulfate (TDS) powder has a low stabilit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the solubility of TDS. The process for enhance solubility of TDS was nano grinding mill and ultrasonic dispersion process. TDS paticle was manufactured to nano size through nano grinding mill process. The size of TDS nanoparticle was measured as average 220 nm by DLS. And The TDS nanoparticle in water solution manufactured through ultrasonic dispersion process. The TDS nanoparticle in water solution was showed the highest solubility with 40% ethanol. These results was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TDS from 200 ppm to 240 ppm in water solution. The TDS nanoparticle in water solution showed diameter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growth with smaller than about 1.56 cm compared to the TDS paticle in water solution at same concentration. Also, TDS nanoparticle in water solution showed growth inhibition activity as 59.2% with higher than about 10% compared to the TDS paticle water solution in same concentration. Finally, TDS nanoparticle in water solution was increased solubility through nano grinding mill and ultrasonic dispersion process. Also, the increase of concentration in TDS nanopaticle in water solution according to solubility enhancement lead to an result enhancement of antifungal activity. Consequently, we suggested that the TDS nanoparticle in water solution was more effective than TDS particle in water solution owing to the sub-cellular particle size, ability to persistence and targeting to cell membrane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Furthermore we expected the applicating possibility with bio pesticide.
        195.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bed change analysis near the opening gate of a dam or weir to release deposited sediments have been conducted mostly using the numerical models. However, the use of unverified input parameters in the numerical model is able to produce the different results with natural and real conditions. Also, the bed changes near the opening gate of a dam or weir calculated with a numerical model could be varied depending on the geometry extent included the downstream area with supercritical flow in the model. In addition, the different time steps could provide different results in the bed change calculation, even though other conditions such as input parameters, geometries, and total simulation time were same. Therefore, in this study, hydraulic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validate the eddy viscosity coefficient which is the one of important input parameters in the RMA2 model and relevant to variation of simulation results. The bed changes were calculated using the SED2D model based on flow results calculated in the RMA2 model with the verified and selected eddy viscosity coefficient and also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The bed changes near the opening gate were underestimated in the numerical model comparing with experimental results except only the numerical case without the modeling section of sediment release pipe and downstream area where the supercritical flow was produced. For the simulation of minimum time steps, different shapes of scour hole were produced in numerical and physical modeling.
        196.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smetic application of Acer mono sap through an ultra-high pressure process. Exposing Acer mono sap to a ultra-high pressure process resulted in 90.1% cell viability of human normal fibroblast cells (CCD-986sk) when added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Acer mono sap also showed the hightes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fter the ultra high pressure process. The melanogenesis inhibition rate in cloned M-3 cells was 59.0%. Tyrosinase was inhibited at a rate of 87.2% by adding 100% HPAMS. Anti-wrinkle activity was 78.1%. Acer mono sap showed enhanced storage following the ultra high pressure proc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cer mono sap may be a source for functional cosmetic agents capable of improving antioxidant, whitening, and antiwrinkling effects.
        197.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강찰 1호'는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에서 2006년도에 육성한 중생 복합내병충성 통일형 찰벼 품종으로 그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중부평야지 및 영 호남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8월 13일로 신선찰벼 보다 3일 늦은 중생종이다 2. '한강찰 1호'의 주당수수는 10개, 수당립수는 156개의 수중형이고, 등숙비율은 85%, 현미 천립중은 21.2 g이다. 3. 성숙기의 엽노화는 중간 정도이며 못자리일수 50일묘 이앙 시에 불시출수가
        198.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Acer mono sap by encapsulation of nanoparticles. Acer mono sap was through ultra high pressure process and then encapsulated by lecithin. Nano-encapsulated The nanoparticles of Acer mono sap showed highest free radical scavengering effect as 89.7% in adding sample (1.0 mg/ml), compared to sap of non-encapsulation. It was showed strong inhibition effect on melanin production test by Clone M-3 cells as 47.8%. High inhibitory of tyrosinase was also measured as 85.8% by adding lecithin nano-particle of 1.0 mg/ml. The nano-particles also showed 14.8% of low cytotoxicity against human normal fibroblast cells in adding 1.0 mg/ml of the highest concent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cer mono sap may be a source of cosmetic agents capable of improving whitening effect and antioxidant activites.
        199.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Radiology departments at hospitals with 300 sickbeds throughout the Pohang region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concerning awareness and performance levels of infection control. The investigation included measurements of the pollution levels of imaging equipment and assistive apparatuses in order to prepare a plan for the activation of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hospital infections. The survey was designed to question respondents in regards to personal data, infection management prevention education, and infection management guidelines. The ATP Public Heath Monitering System was used to measure seven items for pollution levels of imaging equipment and assistive apparatuses in the Radiology Department. Data was analysed using SPSS version 12.0 for paired t-test and Pearson coefficient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of 0.05.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a total awareness level of infection management prevention education averaged at 3.73 ± 0.64 and performance levels resulted at 3.39 ± 0.83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1). Also the measurements of pollution levels for equipment with high patient contact showed a Pearson Coefficient of over 0.5 implying a focus on pathogenic bacterium.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the frequency of imaging (p < 0.05). Therefore for general hospitals with high patient contact, there is a need to supply analyzing equipment for real time monitoring and the implementation of disinfection management that uses 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pproved antiseptic solution twice every minute.
        200.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부산항의 부가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문헌 분석과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 분석의 경우 로테르담 항만 및 앤트워프 항만과 부산항의 기능을 비교 분석하여 부산항의 한계와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로테르담 항만과 앤트워프 항만의 경우 컨테이너화물, 일반화물, 액체화물을 처리하는 종합항만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비하여 부산항의 경우 컨테이너 화물 비중이 88%를 상회하며, 액체화물 및 일반화물은 인근 울산항, 마산항 및 진해항에서 처리하여 그 기능이 분산되어 있다. 따라서 부산항의 경우 인접 항만과 기능이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항만 기능을 다각화하여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정리하였다. 지역 항만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의 경우 그 결과가 문헌 검토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거시적 관점의 경우 컨테이너 중심 특화, 일반화물 처리 기능 강화 등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미시적 관점의 경우 컨테이너부두 배후물류단지, 유류공급기지 등의 순으로 중요도가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