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67

        421.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리를 매체로 하여 빛과 색을 종합시킨 스테인드글라스는 그 시작부터 건축적인 예 술이었다. 고딕건축을 통하여 최고조에 이른 스테인드글라스가 르네상스의 자연주의, 사실주의 회화와 벽화의 전개로 차츰 쇠퇴하면서 거의 잊혀 지는듯 하였으나 20세기 초 부터 다시 부각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건축 중에서도 상업공간에 도입된 건축스테인드글라스로 연구범위를 좁혔으며, 상업공간에 도입된 국내외 현황을 서술하고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논문을 통해 국내외의 건축스테인드글라스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여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잡고 상업공간 뿐만 아니라 스테인드글라스의 도입이 필요한 여러 일반건 축물들에 대한 연구 또한 끊임없이 해나가야 할 계기가 생겼다. 또한 기존에 있는 제작 기법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법연구와 건축을 포함한 여러 전문가들의 협업으로 좀 더 전문적인 지식으로 스테인드글라스를 연구하고 발전시키는데 본 논문의 의미가 있다 하겠다.
        6,400원
        42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iffis Collection' is a collection of photographs of Japan and Korea in modern era, collected by William Elliot Griffis. Originally Mr. Griffis was studying about Japan when he developed an interest on Korea, and started to collect helpful materials he could find to study. Later days of Griffis’ life, he donated his research to Rutgers University Library, and those materials were named and preserved as Griffis Collection. This paper is about photographs that illustrate modern Incheon and Hansung, and study them in order to discover how Korea’s modern cities and architecture were formed and built. In total, there is four categorized chapters of photographs, and those are cities, public buildings, educational facilities and private buildings. In Griffis Collection, there are 23 photos those are relate to this paper’s subject, but only 19 of them that has historic value has been covered in this paper. In results, all 19 photos were proved that they have significant information in terms of historic research of modern Korea and Korea’s modern architectural stages.
        4,500원
        42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5수종의 식물로부터 기공 및 생화학적 인자분석을 통한 내건성 식물을 선발하였다. 25수종의 기공의 수는 맑은대쑥이 120개로 가장 많았고, 매듭풀, 뽕나무, 꽃향유 순으로 나타났다. 기공의 둘레와 기공 의 면적은 기공의 수와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다. 소리쟁이, 개기장, 새는 기공의 수가 적었지만 기공둘 레와 면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엽육세포조직을 관찰한 결과 내건성 수종인 참느릅나무 잎은 건조민 감성인 까실쑥부쟁이에 비해 책상조직이 발달한 모양이었다. 내건성이 강한 수종인 참느릅나무는 까실 쑥부쟁이에 비해 큐티클층이 잘 발달된 형태였다. 건조 고사일수가 가장 길었던 비수리는 건조 전 후의 proline함량은 약간 증가하였지만, 각시취는 건조처리 전의 함량(0.122mg/0.1g FW)에 비해 건조 후의 함량(0.563mg/0.1g FW)이 크게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도 건조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꽃개오동이 가 장 높았고, 차풀, 참느릅나무, 도깨비바늘 순이었다. 기공과 엽육조직형태, proline과 환원당과 같은 생 화학적 인자는 내건성 수종을 선발하는 지표임이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선발된 수종은 훼손지 복원 등에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2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식생기반재돌망태기슭막이의 녹화효과를 분석하였다. 식생기반재돌망태기슭막이 시공 후 20일 경과 후 식생이 발아하기 시작하였으며, 봄의 피복율은 약 20%를 나타내었다. 여름에는 피복율이 약 65%로 나타났으며, 출현종은 파종한 목본인 낭아초, 참싸리 모두 출현 하였으며, 초본으로는 벌노랑이, 자운영, 수레국화, 기생초, 코스모스 등 5종이 출현하였다. 이때 침입식생은 개망초, 새, 벼룩자리, 버들잎엉겅퀴, 미국자리공, 망초, 미국가막사리, 민들 레, 아까시나무, 찔레, 물쑥, 매듭풀, 자귀나무, 바랭이, 쇠무릅 등 15종이었다. 가을에는 피 복율이 약 82%로 나타났으며, 출현종은 6종, 침임식생은 5종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생기반재 돌망태기슭막이와 전석기슭막이, 식생낭기슭막이를 비교한 결과, 식생기반재돌망태기슭막이만 녹화효과가 나타났다.
        4,000원
        425.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al status of endangered birds inhabit in Seongmo, Gyodong, Boreum Islands in 2009 from spring to autumn. The endangered birds observed in this area were a total of 16 species. The areas preferred to endangered bird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e forest type of low mountain areas, the coast type of foreshore and mudflat areas and the open type of agricultural land. The forest type was mainly observed birds of prey, the coast type was mostly identified water birds and the open type was shared with birds of prey and water birds. The information in these endangered birds is determined that can be used as a basis data for protecting certain birds and habitats.
        4,000원
        42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지의 제왕』은 세속적 성찬의식을 통해 영적 은총을 전달하는 가톨릭 창 조 신화에 대한 이야기이다. 본 글은 ‘안티 성사’의 힘과 파괴력에 다소 유약한 탐욕스러운 골룸과 그리스도의 수난과 구원, 그리고 세상을 구원하려는 사랑, 용기, 희생을 택한 사도로서의 프로도를 통해 ‘안티 성사’로서 절대반지의 가톨 릭적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그러한 신화적 구조를 드러내는 사건의 경우 운명 의 산에서 반지를 마지막 용암에 떨어뜨리는 에피소드에는 악의 화신인 사우론 의 반지를 탐냈던 골룸이 반지와 함께 제물로 바쳐지며, 허약한 왕 데네소르는 인간에 대한 회의와 지옥같은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마지막 전투 에피소드에는 마법사 간달프, 로한의 왕 세오덴, 인간의 마지막 희망인 아라곤과 파라미르 등 은 불신과 악으로서 반지의 ‘안티 성사’의 힘을 경험하고 새롭게 태어난 인간성 을 보여준다.
        5,500원
        42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henotypic relationships among calving difficulty, calf birth weight and gestation length of Holstein dairy cattle under the environment of Korea. A total of 1,834 calving records collected by Dairy Science Division of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from 2000 to 2014 was analyzed. General linear multivariate models for calving difficulty scores (CD: 1=no assistance, 2=minor assistance, 3=two to three persons assisted, 4=more than three persons assisted, 5=cesarean section), calf body weight at birth (BW), and gestation length (GL) included fixed effects of year and season (spring, summer, autumn, winter) of births (YS), sex of calves, and parity. For GL and BW, all three fixed effects (YS, sex of calves, parity) were significant (p<0.05). For CD, the effects of YS and sex of calves were significant (p<0.05). Bull calves were born with heavier BW by 3.18 kg, with greater CD by 0.18 point and with longer GL by 0.6 days than heifer calves. The least squares mean of BW was the heaviest at the third parity (44.1 kg) compared to those at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fourth parities or later (41.3-41.9 kg). The least squares mean CD at the first parity was 1.74 point, which was higher than CD at the second and later parities (about 1.68 points). Phenotypic correlation (partial residual correlation) between GL and BW was 0.36. But those between GL and CD and between BW and CD were -0.03 and 0.04, almost zeros. To conclude, we observed higher incidence of calving difficulty in the first calving than in the later ones.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lf’s birth weight and calving difficulty is needed
        4,000원
        428.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케토시스 지표형질에 영향하는 환경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비유단계, 계절 및 착유시간에 대한 생산형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유량은 비유일수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고, 유지방 함량, 유단백 함량, 무지고형분 함량은 DIM1(비유초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생산형질의 변화를 살펴보면 유량은 봄·겨울에 높게 나타났고, 유지방 함량과유당 함량, Acetone 및 BHBA 모두 가을에 높게 나타났다.또한 유량은 오전 착유시간이 높았고, 유지방 함량 및 유단백함량은 오후 시간대가 높게 나타났다. 환경요인에 따른 생산형질 및 케토시스 지표형질의 함량은 모두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 분석모형을 설정함에 있어 위의 환경요인은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생산형질과 케토시스 지표형질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유량의 경우 Acetone 및 BHBA의 수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추세를 보였고, 유지방 함량은 반대로 Acetone 및 BHBA의수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유단계와BHBA의 농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기존의 결과와 반대로 분석결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전력은 착유일5 ~ 20일에서 0.03 착유일 21 ~ 40일은 0.05 착유일 41 ~ 60일은 0.04 착유일 61 ~ 80일은 0.08 착유일 81 ~ 100일은 0.04의 유전력을 보였다. 이는 비유 5일째에 준임상형 케토시스의발병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때 유전력이 낮게 추정된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1산차의 분석 자료수가 충분치 않은 결과로 추정된다. 케토시스 저항성개체 선발을 위한 유전평가모형에 적용가능한 선발지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여러해의 축적된 자료를 이용한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29.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 market share of local vegetables is decreasing due to the high price in Korea. Futhermore, rising personnel expenses, aging population and declining in the rural population are affecting on cultivation as unfavorable factors. To promote and maintain enacted by the vegetable promotion law those only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ion of vegetables needs many of the labor because the work should be conducted shade installation, planting, weeding and crop-dusting. Especially, planting work needs many of the labor that its working periods are very short and it should be planted an angle of the 45 degrees. On account of many working hours, it needs the mechanization of vegetable processing. All phased working hours are 298.6 hours(1 time of 4 years)/10a that planting hours are 60 hours/10a which is to need many work times. When developed multi planting machine operated in the laboratory, it was electronically controlled and has operational mechanism planting device. However, it malfunctioned in the bare ground. So it needs to be changed to mechanically controlled. Therefore, for vitalizing of the transplanting work, we are analyzing multi-planting machine that is mechanically controlled.
        4,000원
        431.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발표는 45,460 m³/d (10 Million Imperial Gallons per Day (MIGD)) 규모를 가진 한국 최초 및 최대 대규모인 부산 기장 해수담수화 플랜트에 대한 소개이다. 본 플랜트는 2010년부터 건설 되어 2015년 말에는 상업 운전이 시작될 예정이다. 플랜트의 특징으로는 국산화된 다양한 전처 리 기술 (DABF, MF, DMF)의 적용, 대용량 16인치 RO 막 적용, 에너지 소모량을 줄이기 위한 대 용량 8 MIGD RO train의 one module화 이다. 16인치 RO 막은 평균 48%의 high recovery rate 과 14.7 LMH high flux의 성능을 보였으며, 최종 power consumption은 약 3.98 kWh/m³을 기록 하였다.
        432.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have studied ternary polymer blend system (A-B/C), which A and C polymers have attractive interactions. The blend was prepared as thin layer coating on the top of the supporting membrane, such as alumina, by layer-by-layer deposition of each polymer from the diluted solution. By controlling the fraction of polymer, the morphology of the blend showed various states including inter-connected porous structure at a certain condition. In addition, we tried to have the better control in pore size and function by introducing small molecule-containing layers atop of the blended coating. The selectivity of filtering and flux of the coated membrane was studied by filtration experiments with aqueous mixtures of various sized solutes including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Beneficially, the active layer coating exhibited anti-fouling effect.
        433.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researched a document regarding ‘Pyeon (tteok)’ on 25 Jong-ga ancestral ritual foods through 「Jong-ga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and food」, published during 2003~2008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after about 10 years, the transmission process of the setting and recipe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2015 by directly visiting 4 Jong-ga. This research classified regions into 7 Gyeonggi, 4 Chungcheong, 2 Honam, and 12 Yeongnam, and classified hakpa, Gyeonggi, Chungcheong, Honam region into 13 Gihohakpa, Yeongnam region into 12 Yeongnamhakpa. The important analysis standard of Jong-ga ancestral ritual food was the region and hakpa, which appeared to considerably influence ‘Pyeon’ setting style, which represents and symbolizes family and recipe. Gihohakpa Jong-ga, which is an academic tradition that pursues practical interests, seems to highly regard practicality to adapt to changes along with the period. On the contrary, Yeongnamhakpa Jong-ga, which highly regards self-sufficiency living base and moral justification, seems to be highly conservative. Increase in Jong-ga, which utilizes mill, is the result of adaptation to the period environment such as Jongbu aging and lack of labor, etc.
        9,500원
        434.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남생이(Mauremys reevesii)는 주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종으로써 파충강(Reptilia) 거북목(Testudines) 남생이과 (Geoemydidae)에 속하는 담수거북이다. 국내에서는 문화재 청에서 천연기념물 제453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고 환경 부의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Ⅱ급으로도 보호받고 있다. 과거 에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외래종 및 교 잡남생이의 유입과 무분별한 외래종의 방사가 토종남생이의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현실이다. CITES에서는 토종 남생이와 넓은머리남생이(Mauremys megalocephala), 줄무 늬목거북(Mauremys sinensis) 등을 구분하여 규제하고 있지 만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종간 분류체계가 마련되어있지 않 아 토종남생이의 보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토종남생이와 외래종인 넓은머리남생 이 및 교잡종의 형태적 특징, 부위별 측정요소들의 비교·분 석을 통해 분류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토종남생이와 외래종, 교잡종을 형태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2011년도부터 현재까지 구조 및 사육되거나 불법사육으로 인해 압수된 남생이 등 30개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Iverson과 McCord (1994), Jeanette (2001)의 측정법에 따라 신체부위(Body part), 배갑(Carapace), 복갑(Plastron)등 32가지의 요소를 측정하였고 20개 부위의 비율값을 통한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토종남생이의 크기를 보면 암컷은 20~30cm, 수컷은 11~15cm로 성장하는데 암컷의 경우 총배설강(總排泄腔, Cloaca)이 등갑과 가까이 위치하고 수컷의 경우 암컷보다 바깥에 위치하며 기부(肌膚)가 두껍다. 배갑은 타원형에 각 질층이 쌓여 각진 형태를 띠고 체색은 갈색 또는 흑갈색이 며 세 개의 융기가 있다. 복갑은 흑색이고 머리는 굴곡 없는 긴 타원형으로 옆면에 목까지 황색의 불규칙한 줄이 있다. 안구는 적당히 돌출되어 있고 동공을 중심으로 흑색 사선형 의 무늬를 갖는데 준성체가 되면 배갑의 추(推)갑판과 늑 (肋)갑판, 연(緣)갑판에 형광빛 노란색 테두리가 형성된다. 수컷은 준성체를 지나 처음 안구가 흑화되고 점차 머리 옆 면의 줄이 사라지며 배갑은 고동색 또는 흑색으로 흑화가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외래종은 넓은머리남생이로 암컷 은 20~30cm, 수컷은 최대 18cm까지 성장하고 머리와 다리 가 토종남생이에 비해 크고 두껍다. 배갑에 각질층이 거의 없어 곡선의 형태를 띠고 체색은 연한갈색부터 진한 고동색 등 다양하다. 흑화된 수컷의 배갑은 진한 흑색만 띄며 안구 는 크고 많이 돌출되어 있다. 교잡종남생이는 여러 종끼리 의 교잡으로 각 종들의 특징이 함께 나타나므로 배갑의 형 태나 크기, 안구, 입, 머리 형태 등 여러 부위의 차이를 통해 분류할 수 있다. 이렇게 30마리 남생이의 형태적인 특징들 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토종남생이 수컷 9마리, 암컷 4마리, 외래종남생이 수컷 2마리, 암컷 1마리, 교잡종 남생이 수컷 1마리, 암컷 13마리로 분류가 가능하였다. 형태적 특징으로 분류한 남생이의 부위별 차이를 알아보 기 위해 20개 부위를 머리길이(HL)와 배갑직선길이(SCL) 를 기준으로 비율을 구한 후 비율값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종과 성별을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토종남생이 수컷과 토 종남생이 암컷의 머리높이/머리길이(HH/HL), 복갑직선길 이/배갑직선길이(SPL/SCL)의 비율과 토종남생이 수컷과 외래종남생이 수컷의 머리높이/머리길이(HH/HL), 흉-복갑 판사이길이/배갑직선길이(PWC/SCL)에서 각각 유의차를 보였다(Mann-Whitney U test, p<0.05). 형태적인 특징을 통해 토종남생이와 외래종, 교잡종의 분 류는 가능하지만 통계분석에 사용된 개체수가 적어 많은측정 요소에서 유의차를 도출해 내지 못했다. 앞으로 더 많 은 개체수를 확보하여 형태적 특징 요소와 부위별 비율값의 종간 유의성 등의 지속적 분석을 통해 토종남생이의 분류기 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44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Brunei의 국토면적은 5,765 km2, 인구가 406,200명으로작은 국가이다. 그러나 1인당 GDP가 38,916$로 국민소득이높은 수출 위주의 국가로 쌀을 포함한 주식 식료품의 80% 정도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 브루나이의 기온은 년간 25 ~ 30oC로 일정하고, 연평균강우량은 2,873.9 mm의 열대성 기후로 기상 환경은 벼 재배에 비교적 좋은 조건이다. 전체 농지면적은 7,193 ha 정도인데목축업이 2,764 ha 작물이 4,429 ha이다. 농산업에 종사하는 농가 및 기업은 전체 5,475로 그중 4,369 농가가 농업에 종사하고, 농업인은 축산이 2,607명, 작물이 9,540명, 농가공업이1,740명이다. 3. 브루나이의 벼 재배면적은 1,109h a이고, 쌀 수량성은1.48MT/ha로 매우 낮은 편이다. 국내 전체 쌀 생산량은1,237톤 인데 비해 전체 쌀 소비량 34,074톤으고, 1인당 쌀소비량은 약 84.5 kg으로 비교적 많이 소비하는 편으로 자급율은 3.6%로 매우 낮은 실정이다. 쌀 가격은 국내산 쌀 가격이 수입쌀 가격보다 매우 비싸다. 4. 브루나이 쌀 생산 환경 중에서 온도, 강우량 등은 벼 재배에 적합한 조건이지만 전반적으로 생산기반 정비가 낙후되어 쌀 생산성이 낮아 정부에서는 2008년부터 쌀 증산 사업을국가 주요 시책으로 3%에 불과한 쌀 자급율을 60%로 향상시킨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중?단기 계획을 세워 정책을 추진 중이지만 국내산 쌀 자급율은 5% 이내로 매우 저조한 편이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