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3

        61.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에 요소망의 재구성이 불필요하고 균열의 가시화에 강점을 가지는 확장유한요소법(XFEM)을 이용한 균열 해석이 많이 연구되고 있지만 주로 단일재료로 이루어진 부재의 해석에 집중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료 부재인 철근콘크리트보의 다중균열 해석에 확장유한요소법을 적용하며 그 적용성과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확장유한요소해석 기능이 탑재된 상용해석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하여 균열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확장유한요소법에서 인접요소에 동시에 균열이 발생할 경우 균열의 불연속성이 나타나지 않은 부가자유도 잠김 현상을 발견하였고 이에 대한 원인과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험결과와 유사한 다중균열 발생을 위한 모델링 기법도 제시하였다. 확장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해석결과는 실험결과와 유사한 균열 양상 및 균열 간격을 보여 주었으며 하중-변위 관계에 있어서도 실험에 근접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4,000원
        62.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정시와 근시에서 폭주근점과 +1.00D 자극에 의한 폭주근점을 측정하여 그 차이를 AC/A비와 비교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사위를 제외한 안질환이 없고, 단안교정 소수시력 1.0이상의 참가자 30명(정시 16명, 근시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완전교정한 상태로 push-up법을 이용하여 폭주근점과 with +1.00D 폭주근점을 각 3회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원거리와 근거리(40cm) 수평사위 검사는 수정된 토링톤(Modified Thorington)법을 이용하였고, 근거리 사위측정에 이어 양안에 +1.00D를 부가하여 AC/A비를 얻었다. 결과: 근시의 폭주근점은 평균 1.54cm, 정시의 폭주근점은 평균 1.94cm로 나타났으며 (p< .001), +1.00D 자극 폭주근점은 굴절이상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372, p= .043). 폭주근점보다 +1.00D 자극 폭주근점이 평균 1.77cm 멀게 나타났으며(p= .000), 근점 차이가 평균보다 큰 그룹(n=15, mean=2.27cm)의 AC/A비(평균 4.26△/D)와 평균보다 작은 그룹(n=15, mean=1.32cm)의 AC/A비(평균 5.28△/D)는 차이가 있었다(p=0.049). 근거리 수평사위와 폭주근점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R= .554, p= .002), AC/A비와 폭주근점도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 .562, p< .001) 결론: 폭주근점와 +1.00D 폭주근점의 차이가 큰 그룹과 차이가 작은 그룹의 AC/A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난 점은 AC/A비와 더불어 +1.00D 폭주근점의 임상 활용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63.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환경에서 유해성 미생물을 검출하는 것은 환경미생물위해성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 분야 중 하나이다. 유해성 미생물 검출은 인체 병원성 세균과 항생제 내성을 지닌 세균의 검출을 포함한다. 기존의 배양방법은 배양이 잘 되지 않는 유해성 세균의 검출이 불가하므로, 최근에는 환경 유전체를 전체로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de nove metagenomic sequencing 방법으로 병원성에 대한 진단을 하려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환경에서 유해 미생물 검출을 위해 Next Generation Sequencing 방법인 Illumina Hi-Seq으로 미생물군집유전체를 shot-gun sequencing해서 병원성과 항생제 내성에 대한 정량적인 정도 도출하는 신규 방법에 대해서 결과와 함께 토의할 것이다.
        64.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도그 피스 설치량에 따른 용접 변형 실험을 수행하여 용접 변형 감소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고, 도그 피스 설치를 고려한 용접 변형 해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용접 변형 실험 결과, 도그 피스 설치량이 증가할수록 용접 변형이 감소하며 최대 74%의 변형 감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원판형 열속 모델을 사용한 열탄소성 유한요소 해석을 활용하여 도그 피스 설치를 고려한 용접 변형 해석 방법을 제안하고, 해석 결과와 실험 결과가 좋은 유사성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해석 방법은 현행 도그 피스 설치량에 대한 적정 여부를 평가하거나 도그 피스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설치 가이드를 마련하기 위한 해석적 툴로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6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a component of propolis, was reported to possess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anti-viral, and anti-tumor activities. Our aim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PE on apoptosis in cultured human mucoepidermoid carcinoma (MEC) cell line, MC-3. Apoptotic effects of CAPE were measured by cell viability assays, Western blotting, 4’-6-diamidino-2-phenylindole (DAPI) staining and Live/Dead assay. The result of cell viability assay showed that CAPE displayed a strong growth-inhibitory effec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gainst MC-3 cells. Consumption of CAPE resulted in pronounced increase in the cleavage of caspase-3 and PARP, induced nuclear condensation and fragmentation and clearly increased the number of dead cells in MC-3 cells. CAPE also caused the increase in truncated Bid (t-Bid) and the cleavage of caspase-8 and this phenomenon was regulated by death receptor 5 (DR5). In addition, Phosphorylation of AKT and ERK were downregulated by CAP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PE is a potent apoptosis-inducing agent in MC-3 cells.
        4,000원
        6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rown seaweed Sargassum fusiforme is an edible and highly valued in Korea. During the summer season, phytal organisms graze heavily on young algal blades and holdfastsof the species and substantially reduce harvestable biomass. He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H (range: 2~13) and salinity (range: 0~44 psu) on the removal of two major phytal animals, Caprella scaura and Gammaropsis utinomi, associated with S. fusiforme. We also examined the optimum quantum yield (Fv/Fm) of algae in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to quantify the tolerance of algae to acid and salinity treatments. It was observed that the phytal animals showed more than 80% mortality at pH lower that pH 4 and the extreams of salinity (0~10 psu and 44 psu) after a 5 min of immersion. However, the quantum yield of S. fusifor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s within the pH 3~11 range, and the 0~44 psu salinity range. Precisely, if the pH and salinity conditions outside these ranges were used in comercial Sargassum culture, the removal of the animal species would be higher, but with reduced quantum yield of algae. Taken together, our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pH and salinity treatments could allow multiple harvests from the same holdfast of S. fusiforme.
        4,000원
        67.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신체적, 발달적 변화로 인한 자아정체감의 혼란을 겪고 있는 중년여성에 대한 사진치료의 적용이 심리 치료적 측면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를 참여여성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사진치료 프로 그램 참여 과정에서 일어나는 인식의 변화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현상학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중 년여성으로 총 6 명이며, 자료수집은 2013년 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진행되었다. 지오르지(Giorgi, 1997)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4단계에 따른 자료 분석 결과 총 309개의 의미단위와 6개의 구성요소, 13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중년기 여성들에게 사진치료 프로그램의 경험은 사진을 매개로 하여 자신의 방어기제를 자연스럽게 해소 하고 사진에 투사된 자신의 무의식을 알아차리며, 자신의 이미지를 직면하는 과정을 통해 중년기의 변화를 포함한 자신의 삶을 수용하여 보다 유연한 태도로 관계와 일상을 영위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진은 잠재적인 현 실을 재현하는 유용한 도구로서 욕구를 명료화하여 생활에서의 보다 빠른 선택과 실행으로 이어지도록 도움을 주었 음이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사진치료는 사진이라는 매체의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중년기 여성들의 자아정체감의 혼란을 보다 빨리 해소하고 향후 삶을 계획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6,700원
        69.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five years (Year 2009~2013), Total victims of 72 %( 81,560 people) and those 50.6 %( 1,258 people) of death accident occurs in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 which operate 2 million USD less construction budget. Especially, falling death accident account for 785 people, in the share of 33.2 %( 261 people) death disaster takes due to defect of original cause materials. The major safety issues in small scale work place take place while scaffold installation, disassembling, work-plate improper installation or non-professional skills of workers. Furthermore, labor subcontract systems make small construction site shortage of resources. Those workers regard work-plate as unnecessary and consumables supplies. Because of that most of workers use unsafe workplace in most construction sit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falling accident occurring in small scale work site, government should organize related regulations such as “Work site safety construction method” and then expands education support, financial aid, and sourcing safety supplies for work plate which offer broad variety experiences. Also, introduce certificate solutions for various work plates to improve safety function such as anchoring type method and anti sliding function.
        4,000원
        70.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하수오 가루를 첨가한 과자류 개발을 위해 회전중심 합성계획법에 따라 하수오 가루, 버터, 설탕의 양을 독립변수로 하여 쿠키를 제조하고,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배합비를 구하였다. 이화학적 특성과 물성 중 L값(명도), b값(황색도), 경도는 quadratic 모델이 채택되었고, a값(적색도), 퍼짐성은 Linear 모델이 채택되었다. 관능적 특성인 색, 외관, 조직감, 풍미, 맛, 전체적 기호도는 quadratic 모델이 채택되었다. 관능특성 검사 결과, 하수오 가루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색, 외관, 맛, 전체적 기호도는 감소하였고, 조직감에는 거의 영향이 없었으며, 풍미는 중심점(4 g)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버터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색의 기호도는 감소하였고, 다른 기호도(외관, 조직감, 풍미, 맛, 전체적 기호도)는 중심점(60 g)까지 급격히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설탕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풍미, 맛은 중심점까지 급격히 증가하다가 중심점 이후부터는 증가폭이 적었으며, 다른 기호도(색, 외관, 조직감, 전체적 기호도)는 중심점(40 g)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색, 풍미, 맛, 전체적 기호도에 대한 기호도는 하수오 가루 첨가량이 버터나 설탕 첨가량의 영향보다 컸으며, 외관은 설탕의 첨가량이 하수오 가루나 버터 첨가량보다, 조직감에는 버터 첨가량이 하수오 가루나 설탕 첨가량의 영향보다 컸다. 관능특성 검사 결과 중 유의성이 있었던 모든 항목의 최대값 목표범위를 충족시키는 최적의 배합량은 하수오 가루 4.00 g, 버터 75.42 g, 설탕 45.67 g으로 산출되었다.
        4,300원
        71.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benzylideneacetone (DBA), an analogue of curcumin has been shown to have anti-cancer activity in a variety of tumor cell lines. However, the anti-cancer activity of DBA and its molecular mechanism in HN22 oral cancer cell line have not been fully explored. The effects of DBA on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activity were evaluated by the trypan blue exclusion assay, 4’-6-diamidino-2-phenylindole (DAPI) staining, Western blot analysis, and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Our data showed that the treatment of DBA to HN22 cells exerted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activities and the activity was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Sp1 protein, Sp1 mRNA and its promoter activity. DBA also reduced the expression level of Sp1 protein and caused apoptotic cell death in HN22 cells simultaneouly. Phosphorylation of ERK and JNK were regulated by DBA whereas phosphorylation of p38 was not altered.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regulation of Sp1 activities and ERK/JNK are involved in DBA-induced apoptosis and DBA can be a promising anticancer drug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oral cancer.
        4,000원
        7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earch is to verify by experiments whether the steel truss structure is able to withstand the load of cement bricks of upper part of a door for the safe use of lightweight steel truss structure instead of concrete lintel which is to be installed at upper part of door frame in building cement bricks for apartment construction. The steel truss is designed in order not to disturb bricks-building and the shape of structure was verified by bending test. According to experiments result, camber was applied to steel structure that enabled construction work to be improved and was proved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s by cement bricks-building load test.
        4,000원
        78.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umerical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rmal characteristics for hydraulic system. Overall performance of hydraulic system is largely influenced by oil flow field with heat transfer. Especially thermal characteristics for operating conditions with high oil temperature caused by heavy load and continuous operation are dominant. Oil temperature variation with time in the system is predicted for various flow conditions. Local fluid flow fields at the pipelines, valves, and oil pump in the hydraulic system are considered with thermodynamic and transport properties such as density and viscosity. These results in the study can be applied to the optimal design of hydraulic system.
        4,000원
        79.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모기 채집기인 유문등(Black light trap)을 이용한 우사에서의 말라리아 매개모기 방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모기 주 발생 시기인 2012년 7월 26일부터 8월 2일 사이 말라리아 발생지역인 강원도 철원군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폐쇄형 우사의 경우, 하룻밤에 유문등 한 대당 채집된 말라리아 매개모기류는 평균 27,220마리(최대 33.931마리, 최소 659마리)였으며 모기가 가장 많이 채집된 유문등의 위치는 우사 내 가장 구석진 곳이었다. 개방형의 경우에는 하룻밤에 유문등 한 대당 채집된 말라 리아 매개모기류가 평균 22,751마리(최대 31,176마리, 최소 13,727)로 폐쇄형 우 사에 비해 다소 낮았고, 모기가 가장 많이 채집된 유문등의 위치는 축사입구 구석진 장소였다. 결론적으로, 조사기간 중 유문등 한대로 하룻밤에 말라리아 매개모기를 방제할 수 있는 모기는 평균 2천마리 이상이었고 모기가 비교적 많이 채집되는 유 문등의 위치는 소의 무리와 가까우면서 안정된 장소였다. 우사에서 유문등을 이용 한 모기 방제는 유문등의 설치 장소, 설치 높이 및 설치 거리 등의 기술적인 면을 고 려하여, 설치된 유문등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할 경우 매우 효율적인 친환경 적 모기방제법이라고 판단된다.
        80.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출성과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오랫동안 국제경영 분야 연구자들의 주요한 관심사였다. 그러나, 수출성과의 결정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론적, 실증적 측면에서 다양한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수출성과의 결정요인에 대한 통일적인 의견 일치는 모아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수출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출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출성과 결정요인의 다차원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산업조직이론, 자원기반이론, 관계적 관점을 통합하여 수출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모형을 개발하고 이 통합모형의 경로와 설명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의 수출기업 3,000개를 표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20개의 유효한 응답을 얻었으며, 이를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통합모형은 대부분의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모형의 적합도도 양호하여 본 통합모형이 한국 수출기업의 수출성과를 설명하는데 유의적인 설명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통합모형이 기존의 각 패러다임별 모형에 비해 수출성과에 대해 유의하게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고 모형의 적합도도 유의하게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수출기업의 자원과 역량이 수출기업의 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그리고, 전략이 수출시장에서의 경쟁우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수출시장에서의 경쟁우위는 수출기업의 자원과 전략뿐만 아니라 수입업체와의 관계의 질에 의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수출성과를 설명할 때 기존의 전략경영 패러다임과 관계적 관점이 수출시장의 경쟁우위를 연결고리로 하여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섯째, 수출시장에서의 경쟁우위와 수입업체와의 관계의 질 모두 수출성과에 유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출성과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경쟁우위와 관계의 질이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다양한 관점을 통합한 모형이 기존의 단일 관점별 모형보다 수출성과의 결정요인을 규명하는데 보다 적합하고 설명력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수출기업의 경영자와 정부의 수출정책 담당자들에게 수출성과의 결정요인을 전체적으로 설명하는 통합적인 틀(framework)을 제공함으로써 수출성과를 높이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수출전략과 수출지원 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9,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