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3

        10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CFFT(Concrete Filled FRP Tube) 복합재 말뚝의 휨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복합재 말뚝 형식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CFFT 복합재 말뚝은 필라멘트와인딩 공정으로 제작한 FRP를 사용하기 때문에, 압축력 이 편심재하될 경우 휨거동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철근 등 별도의 보강재를 필요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별도의 보강재 없이 휨거동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펄트루젼 방식으로 제작된 FRP를 CFFT 외부에 원주 방향으로 부착시킨 FRP-콘크리트 합성말뚝(Hybrid CFFT, HCFFT)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은 HCFFT의 구조적 거동 을 검토하기 위한 연구의 일부로서, HCFFT에 사용되는 필라멘트와인딩 FRP의 역학적 특성을 알기 위한 실험을 실 시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HCFFT의 압축강도를 추정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얻은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4,000원
        103.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색고구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도된 PC12 신경세포에 대한 보호효과에 대하여 연구하 였다. 자색고구마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44.25 mg/g, monomeric anthocyanin 함량은 2,394 mg/L로 나타났 다. 자색고구마 추출물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 6-sulfonic acid) (ABTS) radical 소거활성,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FRAP) 및 환원력은 농도 의존 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MTT {3-(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bromide} reduction assay를 이용하여 자색고구마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세포 생존율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신경세포막 손상 정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lactate dehydrogenase (LDH) release assay와 neutral red uptake assay를 이용하여 세포막 손상 보호효과를 조사한 결과 자색고구마 추출물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도된 세포막 손상 보호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색고구마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 소재 및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4,000원
        10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rnosine is a dipeptide (β-alanyl-L-histidine) found in mammalian brain, eye, olfactory bulb and skeletal muscle at high concentrations. Its biological functions include antioxidant and anti-glycation activiti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nti-diabetic effects of carnosine as determined by blood glucose levels in glucose tolerance test (GTT) and insulin tolerance test (ITT), insulin level and serum biochemical and lipid levels in male C57BL/6J db/db mice. There were five experimental groups including normal (C57BL/6J), control (vehicle), and three groups of carnosine at doses of 6, 30, and 150 mg/kg b.w. Carnosine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diabetic mice everyday for 8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 changes in carnosine-treated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treatments of carnosin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blood glucose level in the diabetic mice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5) after 5 weeks. The treatments of carnosin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the blood glucose levels in GTT and ITT and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5). Carnosine at the dose of 6 mg/kg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rum insulin level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Carnosine significantly increased total proteins but significantly decreased lactate dehydrogenase and blood urea nitrogen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5). Carnosin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glucose, LDL, and triglyceride in the serum of diabetic mice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nosine has a hypoglycermic effect resulting from reduction of glucose and lipid levels and that high carnosine-containing diets or drugs may give a benefit for controlling diabetes mellitus in humans.
        4,000원
        106.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뇌동맥류 Detachable Coil Embolization 환자의 MR F/U에 서 3D TOF와 CE- 3D TOF의 유용성 비교 목 적 대상 및 방법 결 과 결 론
        109.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ymphal development, adult longevity, and oviposition of six different species of stink bugs were compared on seeds of a soybean cultivar, Taekwangkong, and two mung bean cultivars, Kyungseonnogdu and Jangannogdu in the insect rearing room (28±2℃, 16L:8D). Nymphs of six species of stink bugs normally developed on Taekwangkong seed. While nymphs of Riptortus clavatus, Halyomorpha halys, and Dolycoris baccarum developed on seeds of Kyungseonnogdu and Jangannogdu normally, all nymphs of Plautia stali, Piezodorus hybneri and Nezara antennata died after 4th instars on Kyungseonnogdu and after 3rd instars on Jangannogdu. Each instar period tended to be increased as nymphal stages were progressed. Nymphal period was shortest on Taekwangkong seed, followed by Kyungseonnogdu and Jangannogdu, irrelevant to stink bugs species. Emergence rate, adult longevity, and preoviposition period of 6 stink bug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ared seeds. Of 6 different species examined, Riptortus clavatus, Halyomorpha halys, and Dolycoris baccarum which fed on Jangannodu did not emerge, Plautia stali, Piezodorus hybneri, and Nezara antennata which fed on Jangannodu did not oviposit.
        4,000원
        110.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성 용액의 수처리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중공사형 한외여과막에 미치는 영향을 십자흐름 방식의 순환식 막 모듈 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막 모듈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pH 2인 강산성 용액의 수처리를 시작한 지 약 80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막 투과량(permeate flux)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관측하였다. 또한, 수처리 시간 별로 막 모듈 여과장치의 공급조에서 채취한 샘플 용액의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과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수처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막 모듈을 통과한 농축액 속에 새로운 유기 화합물이 생성된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질량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이 화합물을 1,6-dioxacyclododecane-7,12-dione이라고 예측하였으며, 각종 플라스틱 특히 폴리우레탄 제조 시 사용되는 첨가제 중 하나라는 사실도 알아내었다. 수처리에 사용된 막에 대한 전자주사 현미경 사진 및 고체 NMR 분석 등의 추가 실험을 통해 산성 용액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막 투과량의 감소는 산성 용액 하에서 일어나는 UF막의 변형에 의한 것이 아니라 막 모듈 여과장치에 사용된 폴리우레탄 튜브에서 산과의 반응에 의해 용출된 저 분자량의 유기화합물이 막 오염 현상을 일으켰기 때문인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산성 용액의 수처리 공정 시 UF막 자체의 산에 대한 반응성 뿐 아니라 막 모듈을 포함한 수처리 장치 자체의 산에 대한 반응성 역시 산 용액의 수처리 효율은 물론, 산을 이용한 막의 화학 세정 효율 및 수처리 막의 pH 사용 한계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는 것을 보여준다.
        4,000원
        112.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김치건조분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김치의 발효과정과 건조 전후에서 나타나는 향기성분의 변화를 조사하고, β-cyclodextrin의 첨가로 인한 향기성분 포집효과를 검증하고자 GC-MS를 이용하여 분석실험을 실시하였다. 김치를 제조하여 20oC에서 발효시켰을 때, 초기 2일째는 dimethyl sulfide와 carbon disulfide가 생성되었고, 7일이 경과하였을 때, dimethyl disulfide, methyl 2-propenyl disulfide, allyl methyl sulfide, and di-2-propenyl disulfide의 황화합물이 주된 향기성분으로 검출되었다. 본 김치시료를 감압건조 하였을 때, 11개 화합물이 검출되지 않았고 dimethyl sulfide, acetaldehyde and methanethiol를 주로 포함하는 13개 화합물이 잔류하였다. 건조공정 중에서 김치 향기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0.25-1.0% 농도의 β-cyclodextrin을 건조보조제로 첨가하였을 때, 향기성분의 포집효과에 의해 건조 김치분말에 잔류하는 향기성분의 함량이 평균 3%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cyclodextrin은 건조 김치분말 제조공정뿐만 아니라 건조식품제조에서 건조보조제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13.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서울시와 경기도 일대의 토양으로부터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PBSA)를 분해하는 중온성세균 3주를 분리하였다. 0.01%의 PBSA film이 유일 탄소원으로 첨가된 변형 Sturm test에서 40일간 PBSA의 생분해도는 각 분리균주가 30%, 55% 및 43%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Bacillus licheniformis PBSA-5의 경우는 PBSA뿐만 아니라 PVA에도 분해 활
        4,000원
        116.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웹 페이지에서 기본적으로 느끼는 감성을 분석한 후 감성척도(Image Scale)를 구성하여, 웹사이트 디자인과 감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웹사이트 감성유형 분류 및 감성척도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감성유형 분류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로 이루어 졌으며, 언어전문가 검증과 요인분석으로 이루어졌다. 감성척도 연구는 감성유형 분류 결과를 다차원척도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웹사이트 디자인과 감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 사용자 감성평가 설문을 통해, 감성유형에 따른 웹사이트 표본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표본을 감성척도 공간에 배치하여 감성과 웹사이트 디자인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웹페이지 대표 감성유형은 '상쾌함', '차분함', '고급스러움', '강렬함', '젊음', '독특함', '미래적임' 이다. 다차원척도로 형용사간의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무겁다-가볍다'와 '부드럽다-딱딱하다'의 축으로 구성된 웹사이트 감성척도 공간을 구성하였다. 또한, 웹사이트 디자인 요소와 감성의 관계는 '딱딱하다-부드럽다' 느낌에서는 색채와 레이아웃의 영향이 가장 두드러졌으며, '가벼운-무거운' 느낌에서는 명도와 색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8.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fundamental data to take health care plan in the aspect of Oriental medicine by evaluating the lifestyle and yangseng(養生) levels by job-type of industrial workers. General characteristics, lifestyle, and yangseng levels were investigated through self-administration questionnaire in the course of Oriental health examination for 1,190 male workers at a manufacturing company located in the Chungcheongnam-do region,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total mean of yangseng levels was 96.73 and the evaluation mark was 3.12. The highest mark was shown in the morality yasngseng, while the lowest mark in the activity and rest yangseng. In general, the higher were age and income level, the higher were yangseng levels, and yangseng levels were found to be high in non-smokers and those who have regularly exercised. For yangseng levels by job-type, total yangseng levels were found to be high in office workers, engineer workers, and manufacturing workers in order. For detailed categories of job-type including diet yangseng, activity and rest yangseng, sleeping yangseng, seasonal yangseng, and sexual life yasngseng, yangseng levels were generally found to be high in office workers but low in manufacturing workers. In this study, difference in yangseng levels could be found by job-type of industrial workers, and lifestyl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influence yangseng levels. Therefore it is deemed that close studies on health care by job-type are required for health promotion and care of industrial workers in the future.
        5,800원
        119.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any possible changes in the heart rate variability(HRV) of white-collar workers of a manufacturing firm based in Chollabuk-do Province when they are stressed due to their daily job performance and thereby to help them seek a more effective method of the management of their health and help them form more desirable habits of living by finding out how seriously his or her stresses from his or her job performance affect their quality of life(QOL). As a process of the above-mentioned manufacturer's plan to do an Oriental health examination on its white-collar workers, each of the workers of the firm was given a copy of questionaires. The questionaires carried questions regarding each of the workers' general characteristics, clinical history, health-related lifestyle and the QOL and each of the workers was asked to provide his answers to the questions listed on the questionaire. The examination progressed to measure any possible changes in the HRV of an individual worker. Among all of the questionaires filled out and collected from the workers, a total of 423 data were used as the data of the research except those that had answers which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analysis of each of the worker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HRQOL) showed that the younger, the lower the standard of education is, each of the subjects was found to tend to show a relatively higher QOL if only he is healthy. With regard to the worker's habits of living, those who exercise on a regular basis and who get a good sleep were also found to have a comparatively higher QOL With reference to the HRV, young workers, those who have spouses, those with a high level of academic background, those with a short work experience were found to tend to have a relatively higher HRV. As regards each worker's habits of living, those who do exercise on a regular basis were found to have a comparatively higher index of HRV. RMSSD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workers' general health, on the other hand TP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workers' role of emotion. This result was based on findings through analyzing interrelation between HRV and QOL that stresses have an impact on the QOL. Taking a look at the above results, it was learned that individual worker's efforts to promote his or her health, along with establish desirable habits of living, these two qualities are important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addition, control of stresses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OL, which is possible through emotional stabilization.
        5,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