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37

        164.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칡소의 동결정액 생산 시 항산화제 첨가가 정자 생존성 및 운동성 등에 미 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축의 사양관리는 한우사양관리(국립축산과학원, 2007) 기준에 준하여 사육하였다. 공시축은 정액채취를 위해 승가훈련이 완료된 칡소 5두 를 공시하였고 정액채취 빈도는 주 1회로 하였다. 정액 채취는 암소 보정 후 공시축의 승가를 유도한 다음 인공질에 음경을 삽입하여 채 정 후 원정액 정자가 80∼90% 생존율을 나타내는 것을 동결정액 생산에 활용하였다. 동 결보존 희석액의 기본조성은 Tris(hydroxymethyl)amino-methane 250mM, Citric-acid monohydrate 80mM, Fructose 60mM, Penicillin G Streptomycin 1%, Egg-Yolk 20%, Glycerol 7%에 항산화제인 Ascorbic-acid를 무처리, 0.5mM, 1.0mM, 2.0mM로 농도로 하 여 본 실험에 공시하였다. 동결정액의 생산은 처리군별로 원정액을 1차 희석한 다음 저온 실로 이동하여 2차 희석 및 Glycerol 평형을 유도한 다음 0.5ml Straw에 충진시켜 액체 질소를 활용한 동결을 실시하였다. 융해 후 정자 특성분석은 위상차 현미경과 컴퓨터정자 분석기(Computer Assisted Sperm Analysis)를 활용하여 생존율, 운동성, 선형성, 직진도 등을 검사한 결과 생존율은 2.0mM, 무처리, 1.0mM, 0.5mM(83.3%, 81.6%, 65%, 60%)였 고 운동성은 무처리, 2.0mM, 1.0mM, 0.5mM(97%, 96.5%, 94.4%, 91.3%)순이였고, 선형성 은 2.0mM, 무처리, 1.0mM, 0.5mM(29%, 29.7%, 32.9%, 36.4%)순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 다. 직진도는 2.0mM, 무처리, 1.0mM, 0.5mM(65.6%, 62.5%, 62.2%, 60.4%)순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동결보존 희석액에 항산화제인 Ascorbic-acid 첨가함으로써 정자의 대사 과정에 따라 생성되는 활성산소의 발생 억제 등으로 인하여 동결융해 후 생존율에 영향 을 미치는 것을 감안하여 분석한다면 항산화제의 농도별로 각각 상이한 결과를 나타낸 것은 Ascorbic-acid의 첨가가 정자의 동결 융해 후 생존율 및 운동성 등에 영향을 미쳤 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칡소 동결정액 생산 시 생존율 극대화를 위해 적정 항산화제 및 첨가 농도를 확립하고 이를 활용한다면 가축유전자원 보존·증식 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165.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흑염소 동결정액 생산을 위해 활용되는 당의 종류가 동결융해 후 정자 생 존성 및 운동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축의 사양관리는 개체별 별도 사육공간에서 사료 및 음수를 자유 채식케 하였으며 정액채취를 위해 12개월령 이 상의 성성숙(Sexual Maturity)이 완료된 흑염소 5두를 공시하였고 정액채취 빈도는 주 1 회로 하였다. 정액 채취는 보정 후 충전식 전기 자극기(11900, Mini-tube, Germany)를 활용하였고 Probe를 직장(Rectum) 내 삽입 후 숫 흑염소의 부생식선이 위치하는 부위에 밀착시켜 자동 전기자극 모드(0~10V)에서 2~3초당 0.5V씩 전압이 증가되도록 하여 2∼5회간 사출된 정액을 채취하였다. 정액의 탁도, 운무상을 현장에서 확인한 다음 실험실로 이 동 후 위상차 현미경(LABOPHOT-2, NIKON, Japan) 및 Markler-Chamber(Sefi-medical, USA)를 활용하여 원정액의 생존율 및 운동성을 하였다. 동결보존 희석액 조성은 Tris(hydroxymethyl)amino-methane 250mM, Citric-acid monohydrate 80mM, Sugar Supplements 60mM, Penicillin G Streptomycin 1%, Egg-Yolk 20%, Glycerol 7%로 하 였다. 동결정액의 생산은 당의 종류별로 원정액을 1차 희석한 다음 저온실로 이동하여 2차 희석 및 Glycerol 평형을 유도한 다음 0.25ml Straw에 충진시켜 액체질소를 활용한 동결을 실시하였다. 융해 후 정자 특성분석은 위상차 현미경과 컴퓨터정자분석기 (Computer Assisted Sperm Analysis)를 활용하였다. 생존율, 운동성, 선형성, 직진도 등 의 검사를 실시한 결과 생존율은 Glucose, Trehalose, Fructose(80%, 80%, 75%)였고, 운 동성은 Trehalose, Glucose, Fructose(97.8%, 94%, 88%)순 이였으며, 선형성은 Trehalose, Glucose, Fructose(31.4%, 31.9%, 34%)순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직진도는 Glucose, Fructose, Trehalose(51.3%, 53.1%, 53.5%)순으로 조사되었다. 동결보존 희석액에 첨가되 는 당류의 분자량은 동결 과정 중 삼투압조절, 탈수, 원형질막의 보존과 융해 이후 생존 율 운동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측면을 감안한다면 위 연구결과와 같이 당류 별로 각각 상이한 결과를 나타낸 것은 당류가 정자의 생존율 및 운동성 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동결보존 희석액내 첨가되는 당류의 선정이 매우 중요하며 더불어 동결보존 시 활용되는 항동해제의 적정농도와 생존율 향상을 위한 흑염소 동결보 존의 표준화가 확립된다면 흑염소 개량과 번식효율 향상으로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할 것 으로 사료된다.
        166.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port the census survey results of south Korean Chikso (Korean Brindle Cattle) distribution and to diagnose the current coat color expression patterns. Two years Chikso census showed that there were 2,413 Chikso in 2013 and 2,754 in 2014 in south Korea. Number of animals between 0 to 35 months of age was 1,632 heads in 2014 which comprised 59% of total Chikso population size. The percentages of animals between 36 ~ 71 months of age and over 6 years of age were 31% and 10% of total. Out of 2,416 animals with class numbers assessed by their coat colors, 1,249 heads (52%) were in group I (with black stripes, class no. 1 ~ 3) and the others (class no. 4 ~ 7) were in group II (1,167 heads, 48%). Among the 1,551 animals that were photographed twice in 2013 and in 2014, 226 animals were assessed different coat color class numbers, and round 90% of which were within the ages less than 48 months. The number of animals switched in coat color pattern groups over a year was 56, which was 3.6% of total number of animals on survey. And around 88% of the animals switched in group category was of the animals younger than 24 months of age.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coat color pattern becomes rather stable at around 24 months of age in Chikso populaion in south Korea.
        4,000원
        167.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cent development of modern weapon system by SOS (System of System) has required users to have more exact decision making.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control of complex weapon system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by increasing usability. Accordingly, many studies on graphical display have been conducted for several years in the field of HCI (Human Computer Interaction)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starting from its design stage.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evaluating the system GUI usability and analyzing several important points based on performance model, which is a tool for the evaluation and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Performance Model,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reflects user expectations (which is defined as user importance in this paper). The study consists of four steps. First, 34 checklists are drawn from the existing studies related to GUI usability evaluation by using a heuristic method, and then the checklists are matched with 11 weapon system design factors. Next, the study evaluates the importance of GUI element and the usability of weapon system “A” with the checklists twice respectively. Third, the performance of user importance (Pi) and the performance of usability (Pu) are calculated by modifying a numerical formula for normalization in this step. Finally, the study compares the approach it takes and the existing usability evaluation method, demonstrating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as a result. In addition, 4 improvement factors are suggested for weapon system “A” as “Shortcut” and “Description of Abbreviation,” and so on. Although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studies for highe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considering it takes a new point of view.
        4,000원
        168.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gnetite 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co-precipitation of water-soluble 밀 스케일-derived precursor by various concentrations of (0.5, 0.67, 1, 2 N) NaOH and (0.6, 0.8, 1.2, 2.4 N) NH4OH. It is theoretically known that as the concentration of the alkaline additive used in iron oxide synthesis increase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at iron oxide decreases. This trend was observed in both kind of alkaline additive used, NaOH and NH4OH. In addition, the magnetite synthesized in NaOH showed a relatively smaller particle size distribution than magnetite synthesized in NH4OH. Crystalline phase of the synthesized magnetite were determined by X-ray diffraction spectroscopy(XRD). The particles were then used as an adsorbent for phosphate(P) removal. Phosphorus adsorption was found to be more efficient in NaOH-based synthesized magnetite than the NH4OH-based magnetite.
        4,000원
        169.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carbon dioxide (CO2) was used as an inhibitor of scale production on the surface of RO membrane.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s of CO2 injection on scale production, four RO modules: 1) without CO2 injection and anti-scalant (RO module #1), 2) with only CO2 injection (RO module #2), 3) with only anti-scalant (RO module #3), 4) with both CO2 injection and anti-scalant (RO module #4), were operated for 60 days under constant flux mode. The trans-membrane pressure (TMP) was observed to decrease significantly in RO modules with CO2 injection as compared with the other RO modules. When the feed water pH was controlled at 5.0 by injecting CO2, the maximum TMP in RO modules #2 and #4 was founded to decrease by 42 aㅋnd 40%, respectively. Moreover, the Ca2+ concentration in the concentrate was 20mg/L lower in RO modules without CO2 injection which is attributed to the scale formation on the surface of the RO membranes. The SEM-EDS analysis further showed a serious fouled RO membrane surface in RO modules #1 and #3.
        4,000원
        170.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의 버섯산업은 자동화 대량생산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비약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이는 국내 소비시 장의 확대뿐만 아니라 수출시장 개척을 위한 산업계와 정부, 학계의 지속적인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최근 시장개방이 확대됨에 따라 국내․외에서 국가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국내 소비가 감소되면서 버섯산업은 성장 이 정체되어 있는 상황이다. 버섯산업의 제2도약을 위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첨단 생산기술을 더욱 더 발전시켜야 하며, 최근 관심이 높아지는 스마트팜 기술 등을 버섯산업에 적용하여 고품 질의 버섯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버섯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버섯식품산업의 전략 적 육성이 필요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요구하는 소비트렌드에 부응하는 6차산업화는 핵심적인 전략이 될 것 으로 기대된다. 버섯이 소비되는 경로는 크게 대량생산·소비, 대량생산-의약소재화, 기능성 버섯 중심의 6차 산업화 등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대량생산기반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수출시장의 확보가 관건으로 보이며, 의약소재활용은 소재원료가격을 얼마나 더 낮추느냐가 핵심문제이다. 반면에 기능성 버섯을 중심으로 소규 모로 생산 소비되는 유통경로는 농업의 전문성과 6차산업화 경험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생산제품의 시장정 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버섯에 관련된 정보 공유와 유관기관단체의 협업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보공유시스템 ‘버섯드림’을 구축해 가고자 한다.
        17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newly developed domestic teosinte (Geukdong 6) compared to widely cultivated silage corn hybrid (31N27) and sorghum × sudangrass hybrid (P877F). Geukdong 6, a new single cross (Teosinte × Suwon 19) variety, is a teosinte (Zea may L. ssp. maxicana) developed by the Geukdong 6 of agricultural company corporation (GACC) in An-dong province. This field experiment was design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and consisted of silage corn (T1), sorghum x sudangrass hybrid (T2) and Geukdong 6 (T3). Leaf length, number of leaves, number of tillers and fresh yield of T3 were higher than that of T1 and T2 (p<0.05). Dry matter yield of T3 was lower than that of T1 (p<0.05). In particular, T3 (0.1 kg/cm2) showed to be very tender compared to other T1 (0.5 kg/cm2) and T2 (0.5 kg/cm2), (p<0.05).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T3 as 8.25% was higher than that of T2 (5.90%),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1 (8.14%). The brix degree of T2 was higher than that of T1 and T3 (p<0.05). T3 showed higher content of total minerals compared to T1 and T2 (p<0.05). The relative palatability of T3 was higher than T1 and T2 (p<0.05), when fed to deer as soiling crop. However, it showed a lower than T1 in Korean native cattle and korean native goats. The relative palatability of the silage shown in order of T1> T3> T2 in korean native cattle, spotted deer, and korean native goats.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Geukdong 6 (T3) could be recommended as using of soiling and lab silage, when high fresh yield, tender stem, number of many leaf, content of high crude protein, and palatability higher than sorghum × sudangrass hybrid were considered.
        4,000원
        176.
        2016.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분리막조 전단 침전조 하부에 경사판을 설치하고, 분리조의 활성슬러지는 막 모듈 하부의 공기에 의한 유동에너지를 이용하여 경사판 침전조와 분리조의 상부 위어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였다. 분리조에 TORAY사의 침지식평막 (MEMBRAYTM)을 50 m3/일 규모로 설치하고, 20.4 LMH의 플럭스로 운전하였다. 경사판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 분리조의 MLSS가 침전조 보다 1,800 mg/L 높았 고, 경사판을 설치한 결과, 분리조의 MLSS 농도가 침전조 보다 1,300 mg/L 높 아 경사판이 분리조의 MLSS 농도를 저감하였다. 또한, 침전조와 분리막조의 유 로구간인 위어의 높이를 20, 30 및 40 cm로 증가시킬수록 MLSS의 이동이 보다 증가하여 막분리조의 MLSS 농도를 낮출 수 있었다.
        177.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a decade, solution-processed functional materials and various printing technologies have attracted increasingly the significant interest in realizing low-cost flexible electronics. In this study, Cu nanoparticles are synthesized via the chemical reduction of Cu ions under inert atmosphere. To prevent interparticle agglomeration and surface oxidation, oleic acid is incorporated as a surface capping molecule and hydrazine is used as a reducing agent. To endow water-compatibility, the surface of synthesized Cu nanoparticles is modified by a mixture of carboxyl-terminated anionic polyelectrolyte and polyoxylethylene oleylamine ether. For reducing the surface tension and the evaporation rate of aqueous Cu nanoparticle inks, the solvent composition of Cu nanoparticle ink is designed as DI water:2-methoxy ethanol:glycerol:ethylene glycol = 50:20:5:25 wt%. The effects of poly(styrene-co-maleic acid) as an adhesion promoter(AP) on rheology of aqueous Cu nanoparticle inks and adhesion of Cu pattern printed on polyimid films are investigated. The 40 wt% aqueous Cu nanoparticle inks with 0.5 wt% of Poly(styrene-co-maleic acid) show the “Newtonian flow” and has a low viscosity under 10 mPa·S, which is applicable to inkjet printing. The Cu patterns with a linewidth of 50~60 μm are successfully fabricated. With the addition of Poly(styrene-co-maleic acid), the adhesion of printed Cu patterns on polyimid films is superior to those of patterns prepared from Poly(styrene-comaleic acid)-free inks. The resistivities of Cu films are measured to be 10~15 μΩ·cm at annealing temperature of 300 ˚C.
        4,000원
        178.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산구성 담낭염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다른 일반적인 원인의 담낭염과 비교하여 증상, 검사실 소견 및 이학적 검사에 있어 차이가 없어, 주로는 수술 후 진단하게 된다. 한편, 호산구성 방광염은 호산구성 담낭염과 마찬가지로 드 물게 발생하며 이 역시 조직학적 진단을 통해서만 확진된다. 본 저자들은 우상복부통증으로 내원하여 급성 담낭담 관염으로 담낭절제술 시행 후 호산구성 담낭염이 진단된 환자에서, 수술 후에도 경도의 말초혈액 호산구증가증의 지속과 만성 하부 요로 증상으로 인해 경요로방광조직검사 후 호산구성 방광염의 병발을 국내 최초로 확인하였고, 과호산구증가증후군으로 발현한 호산구성 담낭담관염 및 방광염 진단하에, 이에 대해 스테로이드 투약을 통해 증상 및 말초혈액 호산구증가증의 소실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17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DWI 영상은 뇌경색(infarction)과 종양(tumor) 검사를 비롯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주로 EPI를 이용한 경우에는 검사시간이 짧아 유용하게 이용되지만 특정 검사부위에서 영상왜곡이 심하게 발생하므로, TSE를 이용한 영상과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지원자 중 정상군 6명(성인남자 6명, 45.25+10.24)을 대상으로 3.0T 자기공명영상장치(Philips Ingenia system: Nederland Version R5.1.7)의 Head coil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검사기법으로는 Single-shot EPI기법과 TSE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매개변수로는 TR/TE:Shortest, FA:90◦°, Thickness:2mm, Nogap, SENSE Factor:2, b-value:1000(s/mm2)과 각각 FOV:200mm, Matrix:111x112와 FOV:180mm, Matrix:100x100으로 검사하였다. Signal Intensity의 측정은 Philips사의 Viewforum을 사용하였으며, NEX값은 1, 2, 3, 4로 변화시켰다. Cerebellum의 Anterior lobe(Cerebellar nuclei)와 Posterior lobe(Inferior semilunar lobule)에 각각 ROI의 Signal Intensity(SI)를 측정하여 Signal to Noise Ratio(SNR)를 비교 평가하였으며, 영상왜곡 정도를 방사선사 5명이 평가하였다. 결 과 : Cerebellum의 Anterior lobe과 Posterior lobe에서 EPI기법을 사용한 경우는 NEX값이 증가함에 따라 SNR값이 각각, 163.93±1.52, 102.70±1.39, 80.70±1.34, 67.56±1.28과 156.91±1.85, 125.64±1.43, 99.07±1.39, 84.59±1.53으로 측정되었으며, TSE기법을 사용한 경우는 각각, 357±1.42, 158.00±1.04, 69.93±1.48, 55.89±1.87과 368.30±1.72, 175.55±1.62, 76.18±1.79, 61.21±1.03으로 측정되었다. 영상왜곡 평가에서는 EPI기법에서 심하다가 9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TSE기법에서는 매우 심하지 않다가 11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 론 : EPI기법에서는 NEX가 증가함에 따라 SNR이 감소하지만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적고, 영상왜곡 정도와 육안적 영상평가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TR이 증가하면서 검사시간이 증가하였다. TSE기법에서는 SNR의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크고, 영상왜곡 정도에는 변화가 역시 없었지만 육안적 영상평가에서는 변화가 있었으며, TR의 변화 없이 검사시간이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국소적으로 왜곡이 심한 부위에서는 TSE기법의 DWI를 이용하여 3NEX 이상을 주어 검사하는 것이 병변진단에 유용하다.
        180.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BR 공법의 처리수 중의 총인을 흡착하는 탈인장치를 50m³/일 규모로 운영하였다. 탈인장치는 Ф1m x 2.5mH(2mEH)로 원통형 구조이며, 내부에 모래 및 흡착제가 0.7m³ 및 0.3m³ 충진되었다. MBR 처리수는 탈인장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총인이 흡착되고, 모래와 흡착제는 중심부의 원형관을 통하여 상부로 이송되고, 재생용액인 ClO2/Ca(OH)2에 의하여 재생된 후 상부로 재 보충된다. MBR 처리수의 총인은 1.0~1.8mg/L였으며, 탈인 장치 처리수 중의 총인은 0.4~0.8mg/L로 나타났다. 흡착제 재생시 발생한 세척수는 약 4% 이내로 운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