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

        21.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마늘혹응애(Aceria tulipae (Keifer))(Acari: Eriophyoidae)는 마늘의 인편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몸길이가 250㎛, 체폭은 45㎛로 크기가 매우 작아 피해를 확인하기가 매우 어렵다. 최근 친환경농업의 확산으로 마늘혹응애의 피해는 더욱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마늘 주산단지를 중심으로 마늘혹응애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마늘 주산단지인 충북의 단양, 증평, 경북의 영천, 의성, 군위, 경남의 합천, 그리고 전남의 해남, 고흥지역에서 5농가 이상씩 총 56농가의 마늘을 조사한 결과, 마늘혹응애 발생농가는 39농가로 69.6%의 발생을 보였다. 토양별 발생비율은 밭토양에서 생산된 마늘은 97.1%, 논토양에서 생산된 마늘은 27.3%의 발생을 보였다. 생태형별 마늘혹응애 발생조사에서 난지형마늘이 50.0%, 한지형마늘이 71.4%의 발생을 보였는데, 이는 생태형에 따른 차이보다는 난지형마늘에서 논 재배를 많이 한 차이로 보인다. “마늘에 가장 크게 피해를 주는 병해충이 무엇인가” 라는 설문조사에서는 마늘혹응애라고 답한 농가가 3.8%를 보였다. 마늘혹응애에 대한 농민들의 피해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매실의 첨가에 따른 돼지막창의 품질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가열하지 않은 막창(생막창)과 100℃에서 10분 동안 가열한 막창(가열막창)의 pH는 매실의 첨가에 따라 낮아졌다. L값과 a값은 생막창과 가열막창 모두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막창의 b값은 저장 초기에는 매실의 첨가에 따른 상승이 확연하였으나, 저장기간이 지속됨에 따라 그 차이가 점점 줄어들었다. 가열막창의 b값은 매실의 첨가에 따른 b값이 약간 낮아졌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ΔT 값은 생막창과 가열막창 모두 L값과 거의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생막창과 가열막창 모두에서 TBA가는 매실의 첨가농도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매실 5% 첨가구와 10% 첨가구는 거의 TBA가에서 차이가 없었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VBN가는 매실을 첨가할 경우 생막창과 가열막창 모두에서 VBN의 증가속도는 대조구에 비해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저장 6일째부터 매실의 첨가농도에 비례하여 VBN가가 낮아졌으며, 매실을 5% 첨가할 경우 저장을 4일 이상 지연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2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선한 암퇘지 막창부위의 지방을 제거하고, 분쇄기로 잘게 파쇄하여 가열하지 않은 것과 100℃의 autoclave에서 10분간 가열한 것으로 나누어 polyethylene film으로 1차 포장한 후 알루미늄 호일로 2차 포장한 다음, 각각 1℃, 5℃ 및 10℃에서 보관하면서 품질 변화를 관찰하였다. 저장 온도를 달리한 파쇄막창의 pH는 6.5~7.0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생막창에 비해 가열막창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저장 중 TBA가는 가열막창이 생막창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10℃ 저장에서는 4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5℃ 저장에서는 생막창의 경우 8일 이후, 가열막창은 6일 이후에 급격한 상승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VBN값을 기준으로 볼 때 생막창의 경우 10℃에서 저장할 경우 8일, 5℃에서 저장할 경우 12일, 1℃에서 저장할 경우 16일까지는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열한 막창의 경우 10℃에서 8일, 5℃에서 14일, 1℃에서 16일까지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막창을 10℃에서 냉장 유통할 경우 6일 이내의 유통기간 설정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장균군의 사멸과 중온균과 호냉성 균의 효율적인 억제를 위해서는 막창을 100℃에서 20분 동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4.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성’은 국내에서 답리작 재배가 가능한 조숙성 트리티케일 품종 개발을 목표로 2010년에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계통은 1992년에 국제밀 옥수수연구소(CIMMYT)에서 FAHAD_5와 RHINO1R.1D 5+10 5D'5B'의잡종에 FAHAD_5를 여교잡하여 작성되었으며,선발된 고세대 계통인 ‘CTSS92Y-A-4Y-0M-5Y0B’에 대해 2006년부터 2007년까지 2년간 생산력 검정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계통은 숙기가빠르고 건물수량이 많아 ‘익산26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에걸쳐 제주 익산 청원 예산 나주 대구 및진주 등 7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여 2010년 11월 신품종으로 선정되었으며, 그특성은 다음과 같다. 트리티케일 신품종 ‘조성’은 농록색 잎, 황색 줄기, 황갈색의 큰 종실을가졌다. 출수기가 전국 평균 4월 24일로 표준품종인 ‘신영’보다 5일, 제주지역에서는 10일빨랐다. ‘조성’의 한해는 ‘신영’과 대등하였고,도복에 강하였으며, 습해 흰가루병 및 잎녹병등에 저항성이었다. 건물수량은 ha당 평균 14.5톤으로 16.5톤인 ‘신영’에 비해 12% 낮았다.‘조성’은 ‘신영’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5.3%로 다소 낮았으나 NDF 및 ADF 함량(%)이 낮아 TDN 함량(%)이 64.0%로 ‘신영’에 비해2.1% 높았다. ‘조성’은 ‘신영’에 비해 천립중이46.6g, 중이 692g으로 무겁고, 종실수량이 ha당 5.1톤으로 ‘신영’보다 40% 많았다. 적응지역은 1월 최저평균기온이 10 이상인 지역이면 전국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하며, 특히벼 이앙이 빨라 월동작물의 재배가 곤란한 지역에서도 답리작 재배를 통한 조사료 생산이가능하다.
        4,000원
        27.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다양한 약리효능을 가지고 있는 인진쑥(Artemisia iwayomogi)을 기질로 하여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목질진 흙버섯(Phellinus linteus) 및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과 같이 생리활성이 우수한 담자균을 발효시켜 얻은 배양물의 항산화효과를 검토하였다. 인진쑥과 인진쑥을 기질로 한 영지버섯, 목질진흙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 배양물에 대한 일반성분이 각각 수분 9.49, 6.49, 11.16, 10.65 %, 조회분 5.36, 3.70, 5.36, 9.67 %, 조지방 5.16, 1.37, 1.39, 3.6 %, 조단백질 11.84, 7.10, 9.4, 10.49 %, 탄수화물 68.15, 81.34, 72.69, 65.59 %로 나타났다. 인진쑥과 인진쑥을 기질로 한 각각의 배양물을 열수추출 하여 동결건조 한 분말을 Butanol, Ethylacetate, Hexan, Water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검토한 결 과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은 인진쑥 배양물에 비해 인진쑥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DPPH Free radical 소거법에 의한 전자공여능은 butanol 과 ethylacetate 층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ethylacetate 층의 경우 항산화제인 BHA, ascorbic acid, catechin 과 유사한 70%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Superoxide dismutase(SOD)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0.1mg/mL의 농도에서 인진쑥보다 인진쑥 배양물에서 40~50%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항산화제인 BHA, ascorbic acid, catechin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28.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인진쑥(Artemisia iwayomogi)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예로부터 황달, 간염, 간암, 간경변 등의 간질환 및 혈압강하작용, 이뇨작용, 소염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있어 민간의학에서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이러한 약리효능 이 있는 인진쑥을 기질로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과 같이 생리활성이 우수한 담자균을 배양하기 위한 최적 조건을 검토한 결과 영지버섯, 목질진흙버섯 및 노루 궁뎅이버섯의 최적생육배지는 각각 MYPA, PDA, YMPG로 나타났으며, 최적 pH는 영지버섯 5.5, 목질진흙버섯 5.0, 노루 궁뎅이버섯 6.5에서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다. 최적 배양온도는 영지버섯과 목질진흙버섯이 30 , 노루궁뎅이버섯이 25 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배양 조건에서 균체량을 측정하여 최적 배양일수를 검토한 결과 영지버섯 6일, 목질진흙버섯 5일, 노 루궁뎅이버섯 8일로 나타났다. 기질인 인진쑥의 수분함량에 따른 담자균의 생육조건을 검토한 결과 영지버섯은 인진쑥 중 량에 대해 1.5, 2.0, 2.5배수(w/w)를 첨가한 컬럼테스트에서 생육상태가 비교적 우수하였으며, 특히 2.5(w/w)에서 균사 의 생육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목질진흙버섯은 2.0~2.5(w/w)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다른 담자균에 비해서 균사 의 생육이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루궁뎅이 버섯은 영지버섯과 동일한 수분함량조건에서 균사생육이 우수하게 나 타났다.
        33.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가교 분자를 사용하여 0.7 kPa에서 17.7 kPa까지 다양한 강도를 갖는 콜라겐 겔을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가교된 콜라겐 겔에 다공성 기공을 도입하고 진피세포를 내부에 담지하여, 겔 강도에 따른 세포 성장 및 거동을 확인하였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겔에서 진피세포의 프로콜라겐 생합성이 47 ng에서 32 ng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인공피부 진피에 아데노신을 처리하였을 때, 특정 강도를 갖는 콜라겐 겔에서 프로콜라겐 생합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기능성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는 프로콜라겐 생합성이 콜라겐 겔의 강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강도가 제어된 인공피부 제조 및 응용, 나아가 다양한 조직공학 분야의 기반 기술로 활용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34.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층 및 다중구획 하이드로젤을 설계하여 4D 마스크팩 적용을 위한 자가접힘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온도민감성 분자를 하이드로젤에 도입하여 팽창비가 다른 두 층으로 구성된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다. 나아가 팽창비 차이를 조절하여 자가접힘 정도가 다른 삼중구획 하이드로젤을 설계하였다. 상온에서 각각 0.03, 0, 0.03 mm-1의 곡률을 갖는 구획화된 하이드로젤은 피부 온도에서 1.33, 0, 1.33 mm-1의 곡률로 변화하여, 안면 밀착성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층 및 다중구획 하이드로젤 제조 기술은 안면의 부위별 굴곡모양에 따라 자가변환이 가능한 맞춤형 4D 마스크팩 구현에 활용될 수 있다.
        35.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mass propagation system using tissue culture technique to supply the seeds of Elephant garlic (Allium ampeloprasum L.) which has difficulty in propagation. Immature spathe of Elephant garlic was cultured on Murashige &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two plant growth regulators, naphthaleneacetic acid (NAA) and kinetin. After 6 weeks of culture, the highest number of shoot (14.9/explant) was obtained when the immature spathe with 10 ㎝ length was cultured right after harvesting.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 ㎎/L kinetin and 0.5 ㎎/L NAA, the most vigorous growth characteristics was observed, the shoot number was 14.9/explant, its length was 11.3 ㎝, and its fresh weight was 2.5 g. When the bulblets were cultured in MS medium with 2 ㎎/L kinetin and 0.5 ㎎/L NAA, the addition of 30 ㎎/L adenine improved their proliferation and growth significantly, the highest bulblet formation rate (48%) was obtained. The addition of 7% sucrose also increased the bulblet formation rate at the highest frequency of 98.2%. The shoots were shown be more vigorously proliferated at the secondary subculture stage rather than primary culture stage, their propagation rate was 80% after subculture.
        36.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미세조류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기술이 많은 관심을 받으면서 미세조류 고액분리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미세조류 분리 기술에는 미세조류의 밀도차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인 원심 분리법, 중력・응집 침전법, 부유선별법과 막 여과법이 있다. 그 중 막 여과법은 다른 공정에 비해 거의 모든 미세조류를 여과 할 뿐만 아니라 가장 간단한 구조로 초기비용이 적게 발생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밀도의 미세조류는 막오염(fouling)을 야기한다는 단점이 있다. 막 오염(fouling)은 처리수의 투과 수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2차 적인 수질오염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가 높은 유입수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처리수의 온도차이로부터 발생하는 증기압 차이를 사용하는 막 증발법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막 증발법은 압력을 구동력으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분리막 공정에 비해 온도차를 구동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유입수 중 입자성 물질의 막 표면으로의 물리적인 이송(convection)이 없으므로 막 오염(fouling)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공정인자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고액 분리에 따른 투과 성능 및 막 세정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정 주기와 세정 방법이 막 회복 및 제거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3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many concrete slab tracks have been adopted in high-speed railway. However, it is vulnerable to roadbed settlement compared to gravel tracks.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evaluate the long-term performance about roadbed and track of the concrete slab track.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track and roadbed is evaluated using long-term high-speed rail data. The measurement items are the Wheel load, Lateral load, Acceleration, Road pressure. The measurement period is from the beginning of construction to three years after opening. For the measurement method, a representative value of the measurement data was selected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38.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생체재료인 콜라겐과 합성 단량체인 아크릴아마이드를 연속가교 하여, 하이드로젤 기반의 콜라겐 겔을 제조하였다. 아크릴아마이드의 함량 및 가교 정도에 따라, 1.5 kPa에서 3.0 kPa까지 다양한 강도 (E)를 갖는 콜라겐 겔을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콜라겐 겔에 다공성 기공을 도입하고 진피세포를 내부에 담지하여, 겔 강도에 따른 세포 성장 및 거동을 확인하였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겔에서 세포의 성장은 느렸지만 GAG 합성 및 분비는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콜라겐 겔의 기계적 물성에 따라 세포의 성장 및 활성이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인공피부 제조 및 응용, 나아가 다양한 조직공학 분야의 기반 기술로 활용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39.
        201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evaluated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of P. lobata root depending on roasting conditions. P. lobata roots were roasted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 at 150℃, 200℃, and 250℃ and three different time at 10 min, 20 min, and 30 min respectively. Roasted P. lobata root was extracted using water at 85℃ for 6 h and filtered using filter paper, followed by then evaporated (12±0.3 °Brix) and freeze-dried. The concentration of maker compound puerarin was determined using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ystem. 2 phenolic compounds,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 powder were evaluated. Puerarin contents,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 contents of roasted P. lobata root were higher than those of unroasted P. lobata root. The results of DPPH and ABTS showed that roasted P. lobata root possess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unroasted P. lobata root. This study suggested that roasting process could be applied to P. lobata root in order to achieve its high quality and functionality.
        40.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quantities of low-grade reject fly ash (RFA) and paper sludge ash (PSA) generated are increasing annually and causing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is study, the utility of these by-products was analyzed by using RFA and PSA as mineral admixtures. RFA-PSA blended mortar was fabricated and evaluated for use as a cement additive. RFA was milled to improve workability and the hydration reaction, and PSA was mixed with anhydrite to create the ettringite. As the RFA-PSA blended powder replaced 10% of the cement by weight, compressive strength of the mortar exceeded that of ordinary mortar prepared with Portland cement (OPC). Length change (28 days) of the RFA-PSA mortar with a 10% replacement rate was 68% of the OPC mortar and was 62% with a 30% replacement rate.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