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동북부지역 랴오닝성의 단둥(40°07'N 124°23'E)과 지린성의 궁주링(43°30'N 124°49') 및 룽징(42°46'N 129°26'E)에서 2020년과 2021년 벼 재배기간 중에 성페로몬트랩으로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나비목: 포충나방과)의 성충 발생 시기를 조사하였다. 1화기 성충은 5월 중순부터 7월 하순 사이, 2화기 성충은 7월 중순부터 9월 중순 사이에 발생하여 세 지역 모두 연중 2회 성충 발생양상이 뚜렷하게 확인되었 다. 위도가 높은 지역에서 발생시기가 더 늦었다. 각 지역에서 관찰된 1화기 발생 시기를 기준으로 발생 시기 모델링을 통해 2화기 발생 시기를 추 정하고 관찰된 시기와 비교하였다. 네 개의 선행연구 자료로부터 성충, 알, 유충, 용 발육단계의 온도의존 생명현상(발육속도, 발육완성분포, 생존 율, 성충 노화율, 총산란수, 산란완성분포, 성충 생존완성분포) 모델들을 수집하거나 작성하였고, 이들을 선행 연구에 따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곤충 발생 시기 추정 소프트웨어인 PopModel에서 결합하였다. 모델링 결과에서 유충 발육기간이 짧게 관찰된 선행연구 자료를 기반으 로 하여 구성된 모형들이 2화기 성충 발생 시기를 더 근접하게 추정하였다. 2021년에는 단둥과 룽징에서 성충 조사 시기에 맞추어 이화명나방에 의 한 벼 피해주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피해주율은 벼 재배기간 중 누적되어 2번의 증가시기가 뚜렷하게 나타났고, 이화명나방의 각 세대 유충에 의 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쌀(Rice, Orzya sativa L.)은 주식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공식품원료로서 그의 가치가 높은 식품자원이다. 본 연구는 쌀맥주 제조 시 당화가 잘되는 쌀의 전 처리 방법에 대해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쌀을 미세분쇄, 수침처리, 볶음처리, 호화처리, 팽화처리 후 맥아와 함께 당화를 한 결과, 팽화미를 함유한 맥즙이 가장 높은 당도 (°Bx)를 나타내었다. 또한 액화 및 당화효소를 첨가하지 않고, 맥즙을 제조 시 쌀 30% 첨가했을 때 당도가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볶은쌀과 팽화미를 이용하여 10, 20, 30% 첨가한 맥주를 제조한 결과 팽화미를 30% 첨가 한 맥즙의 가용성고형분이 15.4 °Bx로 가장 높고 당화도 잘되었으며, 맥주의 알코올함량이 5.0-5.4%로 볶은쌀 첨가 맥주에 비해 높았으며, 탁도가 없었고 쓴맛도 적은 결과를 보였다. 팽화처리는 쌀의 당화를 개선 할 수 있는 좋은 가공방법이라고 생각되며, 팽화미를 첨가한 쌀맥주 제조방법은 편리하고, 좋은 품질의 맥주를 생산 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라고 기대된다.
미이라병은 Diaporthe/Phomopsis complex에 의해 유발되는병으로 콩 재배기간 중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종자가 성숙되면 감염률이 높아지며 감염된 콩 종자는 외관상 품질뿐만아니라 종자 활력이 저하된다. 미이라병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대만에 위치한 아시아채소개발연구센터(AVRDC)의 콩 시험포장에서 미이라병 병징을 보이는 콩 줄기를 채집하고 이로부터 3개의 곰팡이 균주(isolate)를 분리하였다. 배지위에서의 곰팡이 균사의 생육특성, 현미경하에서 관찰된 알파,베타 분생자(conidia)의 모양 그리고 PCR-RFLP 분석으로, 3개의 균주는 Diaporthe phaseolorum var. sojae 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미이라병 저항성 육종을 위해서는 유전자원과 계통의 검정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인공접종을 위해서 분생자의최적 배양조건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배지는 PDA, 온도는24oC에서 잘 배양되었으며, 일장은 암조건에서는 균사체만 유도되고 분생자는 유도되지 않았으며, 24시간과 15시간의 일장에서는 균사체 유도 및 분생자의 유도 정도에 차이가 없었다.또한 잎-줄기와 꼬투리, 두 개의 접종 부위에 따른 미이라병감염률을 조사하였는데, 두 접종 부위에 따른 미이라병 감염정도는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잎-줄기에 접종한 개체 보다 꼬투리에 접종한 개체의 종자 감염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1990~2012) 캄보디아 우기 벼의생산성 변동과 특징 및 저해 요인에 대하여 살펴본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캄보디아는 지난 20년 동안 홍수와 가뭄 등이 생산성 증대의 저해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1994년, 2000년, 2002년 그리고 2004년은 생산성이 심각하게 감소하였다. 홍수피해는 하천의 수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재배시기인 9월과 10월에 하천의 범람으로 수확면적과 생산량 감소를 초래하는 반면가뭄피해는 국지적인 발생으로 재배면적, 수확면적, 생산량 및수확량에 직접적인 저해를 주었다. 20년간 자료를 고찰할 때홍수피해의 발생은 많았지만 실질적으로 가뭄피해가 생산성저해에 보다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장기적인 가뭄은 조생종과중생종 재배면적을 감소시켰으며, 2005년 이후부터 홍수피해보다는 가뭄피해로 생산성 저해가 높아지고 있다. 캄보디아의 벼 생산성 증대를 위해서는 관개수로의 재정비와 보급이 우선이지만, 그 이전에 홍수, 가뭄피해에 대한 농가의 대처방법과 재배기술, 품종의 선택 그리고 물 관리 방법등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본다. 최근 캄보디아 남부 천수답을중심으로 The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SRI)이 확산되고 있다. SRI는 종래의 재배법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하여농가에 보급하고 있으며, 물 관리 방법, 재배 시기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세계적으로 고무의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생산량도 증가하 고 있다. 캄보디아는 고무나무재배에 유리한 환경조건으로 신 흥고무 생산국이 되었고 외국자본이 유입되면서 그 규모가 커 지고 있다. 그러나 주변국보다 생산성이 낮고 유통과정이나 제 도적 측면에서 미비하다. 캄보디아 천연고무산업의 현황과 저 해요인을 짚어보고 개선방안과 발전전망에 대하여 살펴본 결 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현황-국가적 혼란(크메르루주 치하) 이후 저조하던 고 무산업은 2005년부터 재배면적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1년 에는 213,104 ha를 기록했다. 2011년 주별 총재배면적은 Kampong Cham 주가 가장 넓었고 생산자별로는 소규모 자작 농 고무 플랜테이션이 전체의 45%를 차지했다. 2010년에는 천연고무 생산국 중 총생산량이 17위, 수량은 7위였다. 2. 유통 및 가공-농업인이 라텍스를 추출하면 수집상이나 도 매상이 사들여 고무 공정공장으로 보내거나 곧장 외국무역상 에 판매한다. 대규모 회사의 경우 자체공정공장에서 직접 가 공한다. 건조 고무가 2010년 캄보디아 주요 수출품목 3위를 차지했고 8천만 달러 이상의 외화를 벌어들였다. 압도적으로 수출액 1위를 달성하며 수익성과 캄보디아 경제에 미치는 영 향력이 입증되었다. 3. 발전저해요인-재배적 관점에서 질 낮은 품종의 불가피한 선택, 초기투자비용 부담, 재배지식 부족 그리고 수요에 맞지 못하는 고무의 생산 등이다. 유통의 관점에서는 인프라부족, 수출경험부족과 열악한 수출 여건 등이었고 제도적 관점에서 는 품질인증제도 운영부실, 토지보유권 보호 미흡, 수출비용 과다부과 등으로 나타났다. 4. 금후 발전과제-세계수요에 대응할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 다. 국제기구의 협력을 얻어 수출국을 확대하고 유통과정을 간 소화하여 비용을 낮춰야 한다. GDR(General Directorate of Rubber)은 고무연구 및 개발에 힘쓰고, 농민들을 위한 무상교 육을 해야 한다. 허울뿐인 고무품질인증제도를 개선하고 토지 침범에 대한 즉각적이고 엄중한 조치가 요구된다. 고무나무 부 산물을 이용해 부가적인 이익도 창출할 수 있다. 고무 자작농의 확대는 가계수입을 창출하고 고용을 증대함 으로써 농촌경제에 이바지하고, 국내외기업의 투자는 국가 경 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환경조건과 노동력을 갖춘 캄보디아의 고무 플랜테이션에는 기술과 자본의 투입이 절실 하다. 투자자 입장에서 저비용으로 장기소득을 낼 수 있는 친 환경적인 농업이다. 국민들의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삶의 질 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천연제품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천연고무는 합성고무로 대체 할 수 없는 본연의 이점을 지니기 때문에 더욱이 천연고무산업의 전망은 매우 밝다고 볼 수 있다.
Rice flours from five rice (Oryza sativa L.) varietie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 were prepared by both wet and dry milling processes. The moisture content of wet-milled rice flours (WMR) was approximately three-times higher than that of dry-milled rice flours (DMR). Water absorption index (WAI), water solubility index (WSI), and swelling power (SP) increased in proportion to temperature. The WAI, WSI and SP values of DMR were higher than those of WMR. Baeokchal (BOC), which is a waxy rice cultivar, had a significantly high WSI value. Pasting properties of DMR, except for the BOC cultivar, resulted in an increase in peak, trough, final, and setback viscosities. The levels of resistant starch in four cultivars, except for Dodamssal (DDS), were under 1%, irrespective of the milling process, whereas the resistant starch contents of DMR and WMR in DDS were 9.18% and 6.27%, respectively. In vitro digestibility of WMR was higher than that of DMR, and the estimated glycemic index of the rice flour varieties ranged from 57.6 to 81.3. Damaged starch content of WMR was less than that of DMR; in addition,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amylose and damaged starch contents of WM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perties of rice flour vary depending on the milling method and flour variety, and could be a reference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processing method.
Germinated brown rice (GBR)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over the last decade as a means of enhancing the nutritional value and health-promoting functions of rice. The effect of germination on the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brown rice (BR) was investigated in different rice varieties (Samkwang, Misomi, Chindeul, and Hyeonpum). Cooking properties, such as water absorption, expanded volume, and soluble solid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germination in all rice varieties. Textural properties (hardness, toughness, adhesiveness, and stickiness) of cooked samples were determined using a texture analyzer. Hardness and toughness were decreased by germination, whereas stickiness and adhesiveness increased significantly. These results revealed that germination leads to improvements in the cooking and eating properties of BR. In Rapid Visco Analyzer (RVA), significant reductions were observed for peak viscosity, break down, set back, and final viscosity after germination. Although the amylose content of Misomi was slightly decreased by germination, that of other varieties increased significantly. Germination induced no noticeable change in the average chain length of amylopectin in Misomi, Chindeul and Hyeonpum, but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Samkwang.
We previously reported that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T- PCR/RFLP) was an effective method to identify SMV strains. Using this method a new SMV strain G6H was successfully identified. To introduce resistance locus Rsv4 of V94-5152, we made crosses between two parents, Hwanggumkong and V94-5152, and obtained 6 BC3 F3 progeny lines, which have different size of DNA fragment of Rsv4 locus region. To confirm the virus resistance of progeny lines, artificial inoculation were conducted with 10 SMV strains, G1-G7, G7A, G6H, and G7H. Genomic DNA of tested lines was extracted and used marker genotyping using 9 SSR marker, which covered about 20 cM genetic distance including Rsv4 locus. In the virulence test, only two progeny lines showed resistance to all the SMV strains like a V94-5152. However, the other lines showed necrotic symptoms to G6H strain. It is considered that a minor gene is located near the Rsv4 locus between Satt157 and Sat_254 marker which interacts with G6H. A new strain can be a clue to find a minor gene in the SMV resistance soybean breeding.
Soybean (Glycine max(L.) Merr.) is an important source of high protein and oil. Use of soybean meal bythe food industry is increasing, but severely limiting dietary choices and the quality of life of food-allergic individuals. Gly m Bd 30K (P34) is known as the main seed allergens in soybean-sensitive patients.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determine the molecular basis of the low mutation of soybean P34 and to design polyclonal antibody for the selection of the causative mutations for wild homozygous, heterozygous and mutant homozygous. Using soybean genome assembly, we knew that soybean P34 genes are existing 2 copies in LG A1 and 1 copy in LG A2 in soybean genome. Actually, we confirmed that 3 copies for P34 gene were existed on soybean genome with Southern blot analysis. Glyma08g12270 of those was expressed at significantly higher level compared with Glyma08g12280 and Glyma05g29130by RT-PCR and western analysis. However this gene was not expressed in the low-P34 germplasm accessions. We develop a co-dominant marker based on the sequence of Glyma08g12270 containing a four-base pair insertion at the P34 start codon. Also, we make a polyclonal antibody for investigation of P34 protein levels. Further study, we will perform the crossing between low P34 accession and elite variety, backcrossing and allergen test using low P34 line.
Soybeans X soybeans mosaic virus (SMV) strains interactions affected plant growth and seed transmission. Strain virulence of SMV depended on host cultivars. Kwangankong and Tawonkong were susceptible to G7H and G5 strains, causing mosaic symptoms.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wo SMV strains in soybean plants inoculated with G7H, G5 and G7H/G5 sets were investigated by RT-PCR/RFLP analysis. In the first treatment, two primary leaves in a single plant were infected with both strains by means of one strain per leaf. The leaves of Kwangankong and Tawonkong at V2, V4 and V6 stage were doubly infected with the two strains and the upper leaves than those had only G7H strain. Secondly, the two soybeans were inoculated with G7H, and 24 h after followed by the other strain inoculation. The leaves of V6 and V8 stages in all infected plants showed mosaic symptoms caused by G7H, and there was no detection of G5 strain. In contrast, the reverse treatment with G5 and G7H induced different results. Pre-inoculated G5 strain detected in every stage besides G7H strain. Host X SMV strain compatibility influenced seed coat mottling, yield, plant height, number of pod per plant. G7H had a seed mottling rate of 98.5% in Kwangankong, while G5 had an incidence of seed mottling of 1.4% in the same cultivar. G5 was more virulent to Kwangankong and had a lower affinity for infecting soybean seed mottling. Additional inoculation of G7H protected soybean yield and growth from G5-inducing loss in Kwangankong.
Colored soybean for cooking with rice have been used traditionally in Korea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ther countries. Although many soybean cultivars have been developed for cooking with rice since the launch of the first cultivar Geomgeongkong1 in 1994, the breeding history of soybeans for cooking with rice is not quite long comparing to that of soybean paste/ bean curd and soy-sprout. In addition to developed cultivar, various landrace soybeans have still used for cooking with rice to Korea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lect useful breeding materials and to evaluate the diversity of Korean landrace germplasms, especially black and/or green color seed coat soybeans. About five hundred eighty Korean colored soybean landraces were investigated for agricultural traits in experimental field and for DNA diversity using five SSR markers which showed high polymorphism between Korean soybean cultivars in a previous study. PowerCore (v. 1.0) software (http://genebank.rda.go.kr/PowerCore/) was used to analyze diversity of our landraces and to construct core set. In conclusion, we could obtain core set of forty-five germplasms by PowerCore analysis. Satt002 in analysed five SSR markers had twenty-two alleles and well represented diversity of black and/or green color germplas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