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0

        183.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현재 환자가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여야 하는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하여 향후 가정 방문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사회적 비용과 편익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우선 작업치료 관련 이해 당사자를 환자, 의료기관, 작업치료기관, 정부(보험자)로 구분하였다. 이후 비용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환자와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외 분석에 필요한 통계자료를 수집하였다. 비용은 실제 비용자료를 분석하여 적용하는 방법과 지불용의접근 방법을 각각 적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 가정작업치료 방식으로 전환하였을 때, 비용과 편익 비율은 비용자료분석 방법에서는 1.29, 지불용의접근 방법에서는 1.18이었다. 의료기관 수익률과 작업치료운영기관의 기타비용에 대하여 민감도 분석을 하였을 때, 비용자료분석 방법 적용에서는 편익증가는 20,830원/건-34,530원/건이었으며, 지불용의접근 방법 적용에서는 13,550원/건-18,790원/건이었다. 한편, 우리나라 뇌졸중 환자의 적어도 20%가 가정작업치료의 대상자라고 가정할 경우 사회적 순편익은 비용자료분석 방법 적용에서는 940,645천원/월, 지불용의접근 방법 적용에서는 583,864천원/월로 분석되었다. 결론 : 현재 환자가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여야 하는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하여 가정 방문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사회적 순편익이 증가한다.
        4,300원
        184.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정폭력은 다른 폭력보다도 지속적이고, 은밀하고 반복적이며, 폭력성향의 대물림 경향을 보이는 등 그 폐해가 실로 크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근절 대책이야말로 사회 전반에 만연된 폭력문화에 대한 근본적인 치유책이 될 수 있다는 확고한 인식이 필요하다. 가정폭력에 대한 단순한 형사처벌은 가정의 평화와 안정의 회복보다는 가정의 해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1998. 7. 1일부터 시행된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서는 가정폭력행위자에게 보호처분결정으로서 상담위탁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법률을 근거로 가정폭력상담소에서는 가정폭력행위자교정․치료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가정폭력특례법상의 보호처분 결정의 저조, 법원의 인식부족, 대상자의 신분노출 보장 미비, 대상자의 다양화로 인한 집단구성의 어려움, 배우자상담에 대한 문제점 등으로 가정폭력행위자의 교정․치료프로그램의 운영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가정폭력행위자 교정․치료프로그램의 이수자들의 폭력성향이 교정될 수 있는 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가정폭력특례법상의 보호처분결정으로서 상담위탁을 시행하고 있는 가정폭력행위자 교정․치료프로그램의 운영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 프로그램이 실질적인 가정폭력행위자의 성행을 교정할 수 있는 교정․치료프로그램이 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5,100원
        187.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consumers seriously considered when purchasing HMRs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factor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adults in their twenties or older who had used HMRs and liv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Korea. Random sampling picked 550 of them, who were distributed a questionnaire from March 12 to 30, 2005. Total 451 questionnaires were returned(the return rates were 82%). The validity of the 27 features was examined by factor analysis. There were seven factors identified, and they were labeled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eir items as follows: 'Factor 1. food quality,' 'Factor 2. appearance and packaging,' 'Factor 3. convenience and reliability,' 'Factor 4. access,' 'Factor 5. familiarity,' 'Factor 6. positive experiences,' and 'Factor 7. practicality.
        4,000원
        188.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ect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eacher-centered language learning into learner-centered one emphasizing learner’s interac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 contents available on-line for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to develop onㆍoff blended contents and apply them into classroom environment. It also discusses the kind of contents teachers and learners want to use. Reading parts for each lesson are usually dealt for three class hours in high schools. So it is designed that the first and the third period are done through off-line classroom and the second, on-line. Well-linked with the first and third period, on-line contents for the second period were designed, developed and applied into educational environment. More than expected number of teachers and learners were pleased with on-line contents reaching 80~90% of high level in satisfaction and also showed 65% reaching learners’ interaction rate in off-line classroom. If on?off blended learning model is well structured based on enough researches, it will realize its strong potential as a desirable learning model for reading.
        6,900원
        189.
        200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ause and effect by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at primary care-giver’s burden for senile dementia elderly could reduce the care burden as for the lapse of time. To examine the cause and effect, among the patterns of three community-based services, it differentiated primary care-giver for senile dementia elderly among home help service, day care service and short stay service for senile dementia elderly. To reach this research goals, it examined buffering effects with using one way ANOVA. After comparing the means value of buffering effects of care burden for among home help service, day care and short stay service for senile dementia elderly, almost all of home help service for senile dementia elderly was found not to appear higher than that of day care and short stay service for senile dementia elderly. However,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draws some social welfare practice including to care management on health-related burden buffering, user of home help service for senile dementia elderly.
        6,100원
        190.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effects of the short-term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program involving patients with some chronic brain disorders at Gimhae City, Kyongnam. Recover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s a very important factor of rehabilitative procedures, and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is a useful standard of evaluation for it. The FIM is widely used in brain disorder research because it measures real function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 applied the physical therapy exercise program twice per week (10~15 times repeatedly); a warm-up and cool down exercise performed every ten minutes by active & active-assistive ROM and stretching exercises. Main exercises were composed of getting up & laying down in bed, standing training, walking exercise in the room, and window or wall sliding exercise using affected upper limbs for a total duration of 30 minutes. We collected the data from 20 patients with chronic brain disorders at his/her home and analyzed by means of SPSS/PC+ program (Ver. 10.0). After the six week long physical therapy exercise program, the average was 56.10±22.59 point compared with initial 50.55±19.12 point by FIM, improved functional ADL ability about 5.55 point, and these changed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 We also studied another factor regarding patient's satisfaction. The majority of subjects (10 people) rated the program with the maximum score of ten points (50.0%), and three people rated it a seven point program (15.0%), the other two subjects gave a rating of nine and eight points (10.0%). Because the program was effective at improving the physical ADL ability and satisfaction of each subject, we suggest continua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program. Further study should involve a longer period of observation with a larger population that is involved in an individually designed home physical therapy program.
        4,000원
        191.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산업의 활성화자료 제공과 버섯의 가정내 재배·학생들의 과학탐구용으로 사용키위해서 일반 가정주택의 실내에서 버섯류 재배가능성 검토의 일환으로 수행한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가정내 각실별 온ㆍ습도 측정결과는 세면실에서 64∼72%, 온도 20.2∼26.0℃로 상대적으로 거실, 부엌등 타실보다 버섯생육에 유리한 조건을 나타내었다 (1999. 4. 25∼7. 25). 나. 느타리버섯 상자재배에서 세면실의 경우 초발이소요일수는 3일, 수량은 2,060g, 회수율은 90%였다. 다. 느타리버섯 봉지볏짚재배에서 세면실의 경우 초발이소요일수는 2일, 수량은 90g, 회수율은 153%였다. 라. 느타리버섯 봉지톱밥재배에서 세면실의 경우 초발이소요일수는 4일, 수량은 770g, 회수율은 89%였다. 마. 영지버섯 봉지톱밥재배에서 세면실의 경우 초발이소요일수는 11일, 수량은 172g, 회수율은 16%, 중량감소율은 61%로 나타났다. 바. 본시험에서 수행한 4처리 모두 거실, 침실, 부엌에 비해 세면실에서의 생산된 버섯의 수량이 우수하였다. 사. 본 실험의 결과를 일부 기술하여 "내손으로 재배하는 가정버섯 효능과 활용법"이란 제목의 책자를 공동저술하였다 (장 등, 2003).
        4,000원
        192.
        2007.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health effect of houseplant. we selected 22 households of newly-built apartments and 17 asthma patients. Before intervention in the households, we conducted clinical survey investigations during April and October, 2006. In this study, 6 species of houseplants known to be eco-friendly and 14 other plants were recruited. While the clinical research items were lung function,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ESR), white blood cell count(WBC), total eosinophil count(TEC) and total-immunoglobulin E(T-IgE).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the estimated inflammation reaction and allergic reaction. However, peak expiratory flow rate(PEFR) of evening data were positive effect in the intervention asthma-patients households compared with the nonintervention.
        4,500원
        194.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가 퇴원 후 가정에서 필요한 작업치료가 무엇인지 가족을 대상으로 가정작업치료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았다. 앞으로 가정작업치료사 제도를 보건․의료정책 제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2004년 7월부터 8월까지 뇌졸중을 경험한 환자의 가족 168명에게 가정에서 필요한 작업치료가 무엇인지 직접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가정작업치료 요구도로서 37문항의 4점 척도였다.결과 : 대상자 168명 중 가정작업치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가족은 149명(88.6%)이었다. 대상자의 직업이 있는 경우, 가정경제가 보통인 경우 가정작업치료 요구도가 높았다. 뇌졸중 환자의 질병 특성에 따른 요구도를 보면 언어장애, 시각장애, 배뇨문제, 연하곤란이 있는 경우 가정작업치료 요구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장애등급 1급이 2, 3급에 비하여 가정작업치료 요구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01). 범주별 가정작업치료 요구도 순위는 운동성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이동성 요구도, 수단적 ADL 요구도, 자조활동 요구도, 사회성훈련하기 요구도 등의 순위였다.결론 :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뇌졸중 환자의 가족은 가정작업치료를 매우 필요로 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가정작업치료는 우리에게 수행되어야 할 많은 연구의 전망을 가져다주고 있다.
        4,500원
        197.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가정 내 불편한 공간 및 요소와 위험한 공간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이 두려워하는 사고와 사고 시 연락방법 선호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김해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49명이었다. 설문내용은 가정 내 공간 실태와 불편한 공간 및 요소, 위험한 공간, 사고 관련 항목을 포함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1대1 면접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노인들의 가정 내 공간 중 불편한 공간은 없음 20명(47.6%), 화장실/욕실 11명(26.2%), 부엌 4명(9.5%), 다용도실 4명(9.5%), 침실 2명(4.8%), 현관 1명(2.4%)으로 나타났다. 가정 내 공간별 가장 불편한 요소는 화장실/욕실의 바닥 미끄러움(2.67±1.43점), 침실의 리모콘 사용(1.90±1.43점), 부엌의 싱크대 높이(1.82±1.22점), 거실의 가전제품 사용(1.65±1.25점), 다용도실의 세탁물 넣고 빼기(2.16±1.53점), 현관의 공간협소(1.63±1.07점)로 나타났다. 위험한 공간은 화장실/욕실 13명(34.2%), 부엌 12명(31.6%), 없음 6명(15.8%), 현관 3명(7.9%). 거실 2명(5.3%), 다용도실 2명(5.3%) 순으로 나타났다. 두려워하는 사고별로는 가스사고가 21명(42.9%), 외부인 침입이 11명(22.4%), 화재로 인한 질식이 9명(18.3%), 낙상이 4명(8.2%), 기타가 3명(6.2%), 화상이 1명(2.0%) 순으로 나타났다. 사고 시 연락방법 선호도는 119구조대가 27명(55.1%), 자녀가 10명(20.4%), 기타가 6명(12.3%), 경찰서가 4명(8.2%), 배우자와 병원이 각각 1명(2%)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김해시 지역 노인들은 없음을 제외하고 화장실/욕실을 가장 불편한 공간으로 여겼으며, 가장 위험한 공간 역시 화장실/욕실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가정 내 공간별 가장 불편한 요소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사고는 가스 사고였으며, 사고 시 연락방법 선호도는 119구조대가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시대의 흐름에 맞게 노인을 위한 건축설계와 가정용품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주택 내 안전성과 기능성 향상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또한 주거 변경을 위한 작업치료접근 시 고려해야할 요소들은 노인들을 위한 주거 환경 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된다.
        4,600원
        198.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김해지역 노인들의 가정내 일상생활활동 중 어려운 활동과 중요한 활동을 알아보고 성별, 연령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김해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재가 노인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가정내 일상생활활동 중 어려운 활동과 중요한 활동에 대한 설문내용은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2002)와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를 기초로 하여 개발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은 개별 면접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 김해 지역 노인들의 일상생활활동 중 어려운 활동은 청소하기, 건강관리, 식사준비하기, 목욕하기 및 샤워하기, 기능적 이동과 세탁하기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한 활동은 건강관리, 식사하기, 개인위생, 대소변 조절, 목욕하기 및 샤워하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어려운 활동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활동은 식사준비하기, 대소변 조절 그리고 청소하기였으며,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활동은 개인위생이었다. 중요한 활동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활동은 식사준비하기였으며,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활동은 개인위생과 세탁하기이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김해지역 노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어려운 활동과 중요 활동을 알 수 있었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라 활동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작업치료를 적용하거나 노인을 위한 생활기기 개발시 노인의 관점에서 남․여 또는 연령에 따라 어려운 활동과 중요한 활동을 고려하여 접근하여야 할 것이다.
        4,600원
        199.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작업치료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내어 가정작업치료 모델개발과 보건복비 분야 정책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2004년 7월 현재 뇌졸중의 진단으로 병원에 입원하여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74명이며, 작업치료를 받고 퇴원 후 외래로 내원하는 94명으로 총 168명이었다. 설문지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가정작업치료 요구도에 대한 37문항이며, 4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일상생활동작은 MBI(Modified Barthel Index) 도구로, 인지기능은 MMSE(Mini Mental State Examination)로 평가하였다. 결과 : 대상자 168명 중 가정작업치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환자는 147명이었다. 입원환자 74명 중 가정작업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69명(93.2%), 외래환자는 94명 중 가정작업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78명(84.8%)이었다. 일상생활동작(MBI) 평균점수는 63점이었고, 인지기능(MMSE)은 평균 24점이었다. 언어장애(p= 0.0127), 인지장애(p=0.0001), 시각장애(p=0.0001), 배변문제(p=0.0010), 배뇨문제(p=0.0278), 연하곤란(p=0.0001)이 있는 경우에, 장애 등급(p=0.0001)이 높을수록 가정작업치료의 요구도가 높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뇌졸중 환자는 가정에서 제공되는 작업치료를 절실하게 요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고령사회의 진입으로 인한 노인환자와 뇌졸중 환자들을 위해 가정에서 작업치료를 수행해 준다면, 재활치료의 지속성과 병원으로 내원하는 불편함을 덜어 환자들에게는 건강한 양질의 삶과 가족들에게는 부담감을 덜어주어 행복감을 줄 것이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