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7

        181.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품’은 도복과 수발아에 강한 고품질 중만생 품종육성을 목적으로 2001년 하계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밥맛이 우수한 ‘고시히까리’를 모본으로 하고 단간이며 수발아에강한 ‘계화21호’에 다수성인 주남벼를 교배한 F1을 부본으로인공교배하여 계통육종법에 의해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이며 도복 및 수발아에 강한 고품질 다수성인 HR22995-B-B-59-1-1-4 계통을 선발하여 2008년에 ‘익산505호’로 계통명을부여하였다. 2008년~2010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밥맛이 우수하고 줄무늬잎마름병, 도복 및 수발아에 강한 계통으로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0년 12월 농촌진흥청의 농작물직무육성신품종 선정심의회에서 ‘미품’으로 명명하였다. ‘미품’은 익산의 보통기 표준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20일로 남평벼보다 5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간장은 77 cm, 이삭 길이는 21 cm, 포기당 이삭 수는 13개로 ‘남평벼’와 비슷하였다. 현미천립중은 22.4 g으로 ‘남평벼’보다 다소 무거운 중립종이다. 생리장해 저항성 검정에서 ‘미품’은 위조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 수발아율은 3%로 안되는 편이다. 내냉성 임실율은 47%로 ‘남평벼’보다 높은 편이다. ‘미품’은 줄무늬잎마름병에는 저항성이나 도열병, 흰잎마름병, 오갈병과 검은줄오갈병에는 약하다. ‘미품’은 심복백이 거의 없고 ‘남평벼’ 수준으로 맑고 투명하다. 아밀로스 및 단백질 함량은 ‘남평벼’와 비슷하며 밥맛이 우수하다. ‘미품’의 평균 쌀수량은 보통기 표준재배에서 5.64 MT/ha로 ‘남평벼’와 비슷하였고, 이모작재배에서 4.98 MT/ha, 만식재배에서는 4.98 MT/ha의 수량을 보였다.
        182.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st forage crops growing under field conditions are often being exposed to various environmental stresses such as drought, freezing, high temperature, waterlogging and climate change. A combination of grass breeding approaches will likely be needed to improve significantly the environmental stresses tolerance of forage crops in the field. Attempts have been taken by grass breeders to develop tolerant varieties of different crops for environmental stress. A new tall fescue variety (Festuca arundinacea Schreb.) named ‘Purumi’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rom 1999 to 2007. For synthetic seed production of this new variety, 5 superior clones, EFa9108, EFa0010, EFa0020, EFa0108, and EFa0202 were selected and polycrossed. The agronomic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on capability of the seeds were studied at Cheonan from 2004 to 2005, and regional trials were conducted in Cheonan, Pyungchang, Jeju, and Jinju from 2008 to 2010. ‘Purumi’ showed enhanced winter hardiness, disease resistance, and regrowth ability as compared to ‘Fawn’. The dry matter yield of ‘Purumi’ was about 5.6% higher as 16,821kg/ha than that of ‘Fawn’. However, the nutritive value of both varieties was similar. When this new variety of tall fescue, Purumi, has been developed and distributed with its most remarkable adaptability for Korean climates and superior value as a livestock feed, it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a new restoration of the pasture industry in Korea.
        183.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oah”, a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ksa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1997 to 2011. The heading and maturing dates of this variety were April 26 and June 8 in upland, and April 28 and June 6 in paddy field, respectively. It is an awned, semi-dwarf and soft winter wheat. Culm and spike length of “Joah” were 78 cm and 8.4 cm. It had lower test weight (763g/L) and l,000-grain weight (43.0 g) than “Keumkang”. It showed moderate to pre-harvest sprouting, which lower rate of pre-harvest sprouting (12.3%) than “Keumkang”. “Joah” had lower flour yield (66.3%) and ash content (0.33%) than “Keumkang”. It showed higher lightness (92.29) of flour color than “Keumkang”. It showed lower protein content (11.5%) and gluten content (10.7%) and lower SDS-sedimentation volume(29㎖) and mixing time of mixograph than “Keumkang”. It was showed higher amylose content and high viscosity than “Keumkang”. It showed different compositions in HMW-GS compositions (2.2+12), PPO 18 (876bp) and Puroindolines composition compared to “Keumkang”. “Joah” showed similar firmness (2.20N) and higher volume of sponge cake to “Keumkang”. Average yield of “Joah” in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 was 6.44 ton/ha in upland and 5.26 ton/ha in paddy field. “Joah”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above -10℃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184.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rose variety, ‘Love Letter’ was selected from the progenies of a cross between ‘Red Giant’ and ‘Ensemble’ by rose breeding team of th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GARES) in 2011. ‘Love Letter’ was crossed in 2007 and seedlings were produced. After the test of specific characters from 2008 to 2011, it was finally selected and named. ‘Love Letter’ was developed because of distinctive characters such as growth uniformity and high yielding potential. A standard type with large sized flower, It has red(Red Group 46A) color flower. ‘Love Letter’ takes 43 days from pruning to blooming and cut flower productivity was 152 stems/m2 in a year. The stems of cut flower have no thorn and the length was long with 70.5 cm. It has 9.3 cm in flower diameter and 32.4 in petal numbers per flower. Vase life of the this cultivar could be as long as 12 days.
        185.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rose variety, ‘Venus Berry’ was selected from the progenies of a cross between ‘Boy Friend’ and ‘GSR10315’ by rose breeding team of th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GARES) in 2011. ‘Venus Berry’ was crossed in 2007 and seedlings were produced. After the test of specific characters from 2008 to 2011, it was finally selected and named. ‘Venus Berry’ was developed because of distinctive characters such as growth uniformity and high yielding potential. The petal of flower is so thick and has no scratch. A standard type with large sized flower, it has light pink(Red Purple Group 69C) color flower. ‘Venus Berry’ takes 45 days from pruning to blooming and cut flower productivity was 194.1 stems/m2 in a year. The length of cut flower was long with 65.5 cm. It has 10.2 cm in flower diameter and 43.6 in petal numbers per flower. Vase life of the this cultivar could be as long as 12 days.
        186.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peanut variety “Sangan”(Arachis hypogaea ssp. fastigiata L.) showed the highest yielding of Korean varieties was developed at the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ICS, in Milyang in 2011. This was developed from the crossing line between cultivar “Palkwang” with high quality and “local collection” with short stem. “Sangan” which is Shinpung plant type has 44cm of main stem length and 10 branch number per plant. Each pod has two grains with long ellipse shape of brown testa and yield components is composed of 40 mature pods of per plant, 96g of 100-seed weight, 79% of pod shelling ratio in the regional yield trials(RYT). Seed quality showed 48.5% of crude oil and 29.1% of protein content. This variety also showed more resistant to early leaf spot and web blotch, compared with check variety, Daekwang.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Sangan” outyielded check variety by 15% with 4.87 MT/ha for kernel.
        187.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oongmo2008”, a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t is an awned, semi-dwarf and hard winter wheat. The heading and maturing date of “Joongmo2008” were similar to “Keumkang”. Culm and spike length of “Joongmo2008” were 87 cm and 8.6 cm. It had similar test weight (800g/L) and higher 1,000-grain weight (46.7g) than “Keumkang”. It showed resistance to winter hardiness and moderate to pre-harvest sprouting, which lower rate of pre-harvest sprouting (9.8%) than “Keumkang”. “Joongmo2008” had higher flour yield (73.5%) and higher ash content (0.49%) than “Keumkang”. It showed similar lightness (90.01) of flour color than “Keumkang”. It showed higher protein content (16.4%), gluten content (13.4%), SDS-sedimentation volume(59㎖) and mixing time of mixograph than “Keumkang”. “Joongmo2008” had lower amylose contetn (24.5%) and higher viscosity (153BU) than “Keumkang”. It showed same compositions in HMW-GS compositions(5+10) and Puroindolines composition compared to “Keumkang”. “Joongmo2008” showed lower firmness (0.74N) of and higher bread volume of baked pan-bread to “Keumkang”. Average yield of “Joongmo2008” in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 was 4.54 ton/ha in upland and 3.67 ton/ha in paddy field. “Joongmo2008”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above -10℃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188.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nnuri” is a new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L.) variety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e of Animal Science (NIAS) in 2011. To develope the new variety of orchardgrass, 5 superior clones were selected and polycrossed for seed production. Agronomic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on of “Onnuri” were examined at Cheonan from 2009 to 2011, and regional trials were conducted in Cheonan, Pyungchang Jinzu and Jeju from 2009 to 2011, respectively. “Onnuri” showed medium type growth habit in fall and spring and medium in length of flag leaf and long upper internode. Plant height of “Onnuri” was more than 10cm that of standard variety, “Amba” and heading date was 5 days earlyer than 16th May compared to Amba. Characteristics such as waterlogging, disease resistance of “Onnuri” were stronger or better than those of Amba, specially “Onnuri” showed 18% higher dry matter yield (14,775kg/ha) compared to Amaba(12,523kg/ha). Nutritive value was appeared to be similar in both varieties.
        189.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보’는 국립식량과학원 영덕출장소에서 1996년 하계에 밥맛이 뛰어나면서 재배 안정성이 높은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내풍성이면서 각종 병해에 강한 영덕19호를 모본으로밥맛이 우수한 ‘고시히카리’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고, 1996/1997 동계에 24개체의 F1 식물체를 양성하여 YR18320의 교배번호를 부여하였다. 1997년 하계포장에 F2 집단 전개 후 선발하여 1998년 하계에 F3세대 51계통을 육성하고, 이후 F4~F8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전개하여 내도복성이면서 풍해에 강하고 병해에 안정적인 저항성을 나타내는 계통을 선발하여 2006년 생산력검정예비시험, 2007년 생산력검정본시험을 실시한 후 완전미율이 높고 식미가 우수하면서재배 안정성이 높은 YR18320-21-1-1-2-2-2을 선발하여 ‘영덕49호’로 명명하였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중생종이면서 쌀 품위가 좋고 밥맛이 양호하며 내풍성과 내병성에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어2010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품종목록으로 등재 할 것을 결정하고 ‘동보’로 명명하여 적응지역인 동남부해안지, 중부평야 및 남부중산간지에 보급하게되었다. ‘동보’의 출수기는 보통기 재배에서 평균 8월 13일로‘화성벼’보다 1일 늦은 중생종 품종이다. 직립 초형이고 탈립은 잘되지 않고 이삭추출은 양호 하고 까락이 거의 없다. 수당립수는 ‘화성벼’보다 약간 많은 편이고 현미천립중은 23.6g으로 ‘화성벼’보다 더 무겁다. 도정특성과 완전미률은 ‘화성벼’보다 약간 좋은 편이고 외관특성이 맑고 투명하며 밥맛은‘화성벼’보다 우수하다. 불시출수는 안되는 편이나 수발아는‘화성벼’보다 더 잘되고, 위조현상에 강하고 성숙기 엽노화가느린 편이며 내냉성은 ‘화성벼’와 같은 수준이다. 잎도열병밭못자리 검정 결과 중도저항성을 보였고 줄무늬잎마름병과흰잎마름병(K1, K2, K3)에는 강하나 오갈병 및 검은줄오갈병에 약하고 벼멸구 등 충해에는 감수성이다. ‘동보’의 수량성은 ’08~’10년 3개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 4개소에서 5.71 MT/ha로 ‘화성벼’ 대비 3% 증수되었으며, 이모작재배에서는 4.79 MT/ha ‘남평벼’ 대비 4% 감수되었고, 만식재배에서는 4.75 MT/ha로 ‘남평벼’와 같았다. ‘동보’의 적응지역은 동해안냉조풍지, 중부평야지 및 남부중산간지이다.
        190.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립자미벼’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종실이 크고 C3G 함량이 높은 복합기능성 유색미 품종이다. 주요 특징으로 중부평야지 평균 출수기는 8월 18일로 중만생종이며, 간장은 80.6 cm 정도이고, 종피색이 흑자색인 유색메벼 품종이다. 현미 장폭비는 1.88로 단원형이고, 현미천립중은 27.9 g으로 무거운 대립 품종이다. 종피의 안토시아닌 주색소인 C3G (Cyanidin 3-glucoside) 함량이 ‘흑진주벼’ 보다 3.6배 높은 품종으로 건강기능성 소재 및 가공용으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중부평야지역 보통기 보비재배 2개소에서 평균 450 kg/10a 수준으로 ‘흑진주벼’ 대비 16% 증수 되었다.
        191.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큰눈자미벼’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쌀눈이 크고, C3G 함량이 높은 복합기능성 유색미 품종을 개발하였다. ‘큰눈자미’의 중부평야지 평균 출수기는 8월 13일로 중생종이며, 간장은 87 cm 정도이고, 종피색이 흑자색인 유색메벼 품종이다. 현미천립중은 18.9 g 정도이고, 장폭비는 2.14로 중원형이며, 현미에서 쌀눈의 비율이 8.2% 수준으로 ‘흑진주벼’의 2.5배 정도이며, 현미 1립 기준 쌀눈의 무게가 ‘흑진주벼’의 2.8배 수준인 거대배아미 품종이다. 현미의 지방함량과 Lysine 함량이 ‘흑진주벼’ 보다 높고, 종피의 안토시아닌 주색소인 C3G 함량이 ‘흑진주벼’에 비해 2배 정도 높은 품종으로 건강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부평야지역 보통기 보비재배 2개소에서 평균 410 kg/10a 수준으로 ‘흑진주벼’ 대비 5% 증수 되었다.
        192.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흑깨'는 2006년에 국립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에서 육성한 품종으로 내병성은 약하지만 다수성 품종인 '유성깨'에 내병성이 강하면서 다수성인 '수원131호'를 교배한 후대에 고품질 다수성인 '경북1호'를 1994년에 3원교잡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표준품종에 비하여 수량성이 높고 총아미노산 함량이 많으면서 검정색 착색도가 진한 고품질 품종이다. 경장은 125 cm이고, 주당 삭수는 77개이다. 1,000립중은 2.57 g이고 기름함량은 표준품종보다 약 4
        193.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원4호'는 '일품벼'의 농업적 특성에 모로베레칸의 도열병 저항성 유전자가 이입된 근동질계통을 육성하기 위해 '일품벼'와 모로베레칸을 교배하고, 계속적인 여교배와 MAS를 병행 실시하여 유망한 계통 CR502-3-2 계통을 선발하였다. 생산력검정 시험 결과 조사된 형질 중 도열병저항성을 제외한 기타 형질에서는 '일품벼'와 유사한 근동질계통으로, 품종보 호원 출원 조건에 부합하여 '화원4호'로 명명하고 품종보호원을 출원하였다. 1. 출수기는 보통기재배에서
        194.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윤흑'은 내병성이 개선되고 다수성인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다수성 계통인 유성깨에 고품질 내병성인 건흑깨를 1995년에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6년간의 계통육성을 통하여 유망계통을 선발하고 2002년부터 3년간 생산력 검정시험을 거친 후 전국 9개의 지역에서 3년간의 적응시험을 통하여 선발된 것으로 '윤흑'은 수량성이 높고 내도복성이면서 검정색 착색도가 진하고 레놀렌산 함량이 많은 고품질 품종이다. 또한 우리나라 기후조건에서 단작 및 이모작형의 광
        195.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큰섬'은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에서 재배안전성이 높은 초다수성 벼를 육성하고자 1996년 하계에 초형이 양호하고 흰잎마름병에 저항성이며 초다수성인 '다산벼'에 벼멸구와 바이러스에 저항성인 남영벼를 인공교배 하였다. 그 후에는 집단육종법과 계통육종법을 병행 실시하여 미질이 좋고 생육특성이 양호한 계통 YR18234-B-B-98 -3-5-1을 선발하였다. 생산력검정 시험과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
        196.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호'는 흰가루병 및 보리호위축병 저항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Azuma Golden'과 'Nishinochikara'를 인공교배 하여 육성하였다. 익산 137호로 명명되어 지역적응 시험을 수행한 후 2008년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 위원회에서 흰가루병 및 보리호위축병 저항성 맥주보리 신품종 '백호'로 명명되었다. '백호'의 출수기 및 성숙기는 4월 21일과 5월 28일로 대비인 '호품' 보리에 비해 약 2-3일 늦었다. 또한 간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