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63

        20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rill (Euphausia superba) 분말이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 혈청 중 non-esterified fatty acid(NEFA),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uric acid 및 전해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G군과 기본식이에 NaF 10 mg 경구 투여한 BFG군을 비롯하여 10%, 20%, 30%의 krill 분말을 첨가한 식이에 NaF 10 mg 경구 투여한 KMF10군, KMF20군, KMF30군, 5가지의 급여군으로 나누어 5주간 사육한 결과, 흰쥐의 NEFA와 BUN, creatinine 농도는 krill 분말 급여군인 KMF10군, KMF20군, KMF30군에서 BFG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한 결과가 관찰되었으며, uric acid 농도에서 KMF10군은 BFG군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KMF20군과 KMF30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또한 전해질 농도에서 총 칼슘(T-Ca)은 군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지만 krill 분말 함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며(p<0.05), 인(Pi) 농도는 krill meal 함량에 따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krill 분말은 NEFA 및 BUN, creatinine, uric acid 농도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03.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F를 용량별로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에 경구 투여했을 때, 체중 및 장기 중량, 혈청 지질성분, 혈당 및 단백질 함량과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D군을 비롯하여 기본식이에 농도별 NaF를 경구 투여한 군들로 나누어 5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흰쥐의 체중 증가량은 NF25군, NF30군 및 NF50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p<0.05). 각 장기무게에서의 변화 중 간장과 심장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NaF 경구 투여 군에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관찰 되었으며(p<0.05), 폐, 뇌, 신장, 비장 및 고환에서의 각 군의 장기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유리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인지질, 혈당 농도는 대조군보다 NaF 경구 투여한 군에서 NaF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NaF 농도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중 총 단백질은 NF50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낮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군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알부민 농도와 글로불린 농도 또한 NF50군에서 가장 낮은 결과치로 나타났다. 반면 알부민/글로불린 비는 NaF 농도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일정 이상 농도의 NaF 경구 투여는 흰쥐의 체중 및 지질성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비만 및 이상지질혈증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20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봄철 천식환자 가정집 9곳에서 실내 공기를 포집하여 부유진균의 농도 및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천식환자 가정집의 평균 부유진균 농도는 거실 143 CFU/m³, 방 142 CFU/m³ 이었으며 외기보다 낮았다. 이는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기준법의 권고기준 기준치 500 CFU/m³를 초과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총 59균주를 분리하였으며 5속 33종으로 동정하였다. 이 중 병원균으로서 인체에 위해성을 가지고 있는 진균은 4속 12종이었다. 동정된 종 중 Cladosporium crousii, Penicillium maximae, Aspergillus protuberus는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미기록 진균 종으로 확인하였다. 이 중 A. protuberus는 국외에서 인체에 질병을 유발시키는 균으로 알려진 진균이다. 이상의 결과는 천식환자 가정에서 진균의 관리는 정량적 수준에서뿐만 아니라 유해종을 파악하여 관리하는 정성적인 수준에서도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봄철 천식환자 가정집에 존재하는 실내 공기 중 부유진균의 농도 및 다양성에 대한 최초의 연구이다.
        4,000원
        206.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현행 악취공정시험방법에 나타나있는 공기희석 관능법을 사용하여 물질농도와 희석배수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프로피온산, 뷰틸산, 발레르산, i-발레르산 및 i-뷰틸알코올에 대한 물질농도와 희석배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규제치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1. 판정인에 의해 측정된 대상물질의 물질농도와 희석배수의 상관관계는 식 Log C = Af·Log D + 0.5에 의해 적절하게 나타났으며, 총 22종의 지정 악취물질별 상관관계식의 기울기 값의 범위는 0.9023~1.2012으로 이소발레르알데하이드가 가장 작고, 뷰틸알데하이드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물질별 관계식으로부터 산출된 희석배수 15와 20에 해당되는 물질농도와 최소감지농도와의 비를 구한 결과, 각 물질의 농도비가 희석배수 15 및 20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 물질별 관계식이 의미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3. 물질별 관계식으로부터 산출된 희석배수 15와 20에 해당되는 물질농도와 현행 물질농도 기준치와 의 비교를 통하여 기준치의 적정 수준 여부를 검토 해본 결과, 프로피온산과 뷰틸산의 경우는 기준치가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며,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과 뷰틸알코올의 경우 물질농도 기준치가 적정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결과는 현행 악취방지법의 부지경계선에서 복합악취 농도 규제기준에 대한 개선방안 및 지정악취 물질들의 물질농도와 악취강도, 희석배수간의 상관관계 및 특성연구 등의 기반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210.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PM10), Formaldehyde (HCHO), and Total Bacteria Count (TBC) at three facilities: elderly care centers, day care centers, and postnatal 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ies of Seoul, Sejong, Daegu and Ulsan from January 1, 2012 to December 31, 2015. PM10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day care centers and HCHO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postnatal care centers. TBC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day care centers. Comparing the different cities, PM10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Sejong, HCHO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Seoul, and TBC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Daegu.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preventing damage to health from the contaminated indoor air at sensitive facilitie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4,000원
        212.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쌀가공산업의 활성화로 인해 떡류 시장은 활발해지고 있으나 떡의 저장성이나 보관성이 취약한 문제로 인한 유통상의 제한으로 시장개척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떡볶이 떡의 적합한 산 침지 조건을 설정하고자 떡볶이 떡 제조 시 가수량이 산 침지 후 수분함량, pH, 기계적 조직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떡의 산 침지 특성을 Peleg 모델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R2>0.9679). 모든 배합비의 떡과 산미료 농도에서 떡의 침지 시간에 따라 수소이온농도가 증가하였으며, 동일한 가수량의 떡에서는 5% 보다 10%의 산미료에 침지한 떡의 수소이온농도 값이 높았다. 이는 떡의 가수량과 산미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산미료 확산 현상에 더 유리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eleg 모델 식에서 K1과 K2의 값은 가수량이 높을수록 산미료 농도가 높을수록 더 작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가수량이 높고 산미료 농도가 높을수록 떡의 산미료 흡수 속도와 평형 수소이온농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분함량은 가수량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가수량과 pH가 동일할 때에는 산미료의 농도가 더 낮을 때 수분함량 증가율이 더 높았다. 동일한 pH에서 떡의 경도는 가수량이 높을수록 낮아졌으며 산미료가 떡의 조직을 연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떡의 가수량이 높을 때에는 pH가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떡의 색도는 산미료보다 수분 함량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 하여 배합비와 산미료의 농도에 따른 산의 확산도를 확인 하였으며, 배합비의 높은가수량 및 높은 산미료 농도에서 침지 시 침지에 의한 품질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213.
        2018.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eedle-like NiO protecting layers on NiCrAl alloy foam, used as support for hydrogen production, are introduced through electroplated Ni and subsequent microwave annealing.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NiCrAl alloy foam, oxygen concentration of microwave annealing to form a needle-like NiO layer with good chemical st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is controlled in a range of 20 and 50 %. As the oxygen concentration increases to 50 %, needle-like NiO forms a dense coating layer on the NiCrAl alloy foam; this layer formation can be attributed to accelerated growth of the (200) plane. In addition, the increased oxygen concentration causes increased NiO/Ni ratio of the resultant coating layer on NiCrAl alloy foam due to improved rate of the oxidation reaction. As a result, the introduction of dense needle-like NiO layers formed at 50 % oxygen concentration improves the chemical stability of the NiCrAl alloy foam by protecting the direct electro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electrolyte and the foam. Thus, needle-like NiO can be proposed as a superb protecting layer to improve the chemical stability of NiCrAl alloy form.
        4,000원
        21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로변 선형의 가로녹지 조성이 고밀시가지 대로와 건물 사이에 조성한 보행로 및 오픈스페이스의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부산시 중앙대로와 부산광역시청 건물 사이에 폭 약 70m로 조성된 오픈스페이스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가로녹지가 없는 지역의 경우 주중과 주말 모두 차도와 인접한 오픈스페이스의 농도차이가 미미하였으나, 반대로 가로녹지가 조성되어 있는 지역은 차도에 비해 오픈스페이스의 농도가 현저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가로녹지가 조성된 지역은 차도와 보도 모두에서 미조성지역보다 미세먼지량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차도와 건축물 사이가 넓은 공간의 경우 가로녹지의 조성이 전체적으로 도로 밖 오픈스페이스의 미세먼지농도를 높이는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차도보다 오픈스페이스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차량에 의해 발생한 미세먼지가 빠른 바람흐름에 의해 가로변 관목림을 통과하지만 바람흐름이 줄어든 보행공 간에서는 확산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넓은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는 도심 도로변 지역의 경우에는 가로녹지가 오히려 바람에 의한 확산을 억제하여 하여 차량이동에 따른 부유 미세먼 지를 녹지 내부에 가두어 보도를 포함한 오픈스페이스의 미세먼지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가로녹지의 조성에 있어 도로와 건물의 거리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21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he recovery and nanoparticle synthesis of Ag from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LTCC) by-products are studied. The effect of reaction behavior on Ag leaching conditions from the LTCC by-products is confirmed. The optimum leaching conditions are determined to be: 5 M HNO3, a reaction temperature of 75℃, and a pulp density of 50 g/L at 60 min. For the selective recovery of Ag, the [Cl]/[Ag] equivalence ratio experiment is performed using added HCl; most of the Ag (more than 99%) is recovered. The XRD and MP-AES results confirm that the powder is AgCl and that impurities are at less than 1%. Ag nanoparticles are synthesized using a chemical reduction process for recycling, NaBH4 and PVP are used as reducing agents and dispersion stabilizers. UV-vis and FE-SEM results show that AgCl powder is precipitated and that Ag nanoparticles are synthesized. Ag nanoparticles of 100% Ag are obtained under the chemical reaction conditions.
        4,000원
        217.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obtain basic data on bioaerosols in the indoor environments of houses located adjacent to Gwangyang Iron Works, the concentration and diversity of indoor air molds were comparatively investigated in 33 houses in September of 2016 and 2017, respectively. In areas both adjacent to and nonadjacent to Gwangyang Iron Works, house temperature and humidity ranged from 24~28oC and 47~57%, respectively. Airborne mold concentration was higher in the houses located nonadjacent than in the ones adjacent to the iron works. Interestingly, the level of airborne mold concentration exceeded 500 CFU/m3 in all houses nonadjacent to the iron works. A total of 12 mold species including five pathogenic species were indentified from the investigation. Among the five pathogenic species, the causal agents of otomycosis, Alternaria alternata, Aspergillus fumigatus, and A. niger were present. Overall,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was the dominant specie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concentration and diversity of airborne mold in houses located adjacent and nonadjacent to Gwangyang bay industrial complex in Korea.
        4,000원
        21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30 residents of Gwangyang industrial complex area from April to May 2017 to assess their level of exposure to VOCs and conduct a health risk assessment for individual exposure. The aim wa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levels of indoor, outdoor and personal exposure to VOCs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m-xylene, p-xylene, o-xylene) and a health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ny fatal cause from carcinogenic or non-carcinogenic elements from a respiratory disease patients. In the case of benzene in the air, the geometric levels of the group are indoor, outdoor and personal exposure; on the CTE, RME condition and Monte-Carlo analysis, all subjects were seen to exceed the carcinogenicity tolerance of 10−6 specified by the US EPA. In the case of toluene, ethylbenzene, m-xylene, p-xylene, o-xylene on the CTE, RME condition and Monte-Carlo analysis, the non-carcinogenic standard of 1 was not exceeded.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