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70

        201.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creasing sugar intake of population has become a nutritional issue in Korea. Sweet taste perception may be related to behaviors such as eating sweet food including high sugars and total sugar intak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objective and subjective sweet taste perception and the association among objective sweet taste perception,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eating sweet snack food including high sugar, and total sugar intake from the snacks. Participants were 261 healthy female college students (mean age: 21.0±1.6 years), who were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based on oral sweet taste evaluation using a sweet taste assessment tool provided b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weet-seeker group (n=139), medium sweet-seeker group (n=54), and unsweet-seeker group (n=6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and body mass index (BMI) among the three groups; however, the sweet-seeker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weet taste preference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Though more people in the sweet-seeker group thought they tended to eat sweet foods than the medium sweet-seeker and unsweet-seeker groups, over half of the sweet-seekers did not think they tended to eat sweet foods. The sweet-seeker group was more likely to eat sweet snacks such as breads, chocolate products, sugar-sweetened milk, and so on than the unsweet-seeker group. Total sugar intake from the selected sweet snacks was 44.4 g for the sweet-seeker group, 34.4 g for the medium sweet-seeker group, and 28.0 g for the unsweet-seeker group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indicated the absence of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sweet taste perception and the obesity index; however,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detected among objective sweet taste perception, eating sweet snacks and total sugar intake from the snacks. We also found high disagreement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sweet taste perception of the subjects. The present study provided the novel insight that measuring objective sweet taste perception may be useful for assessing the risk of high sugar consumption and undesirable dietary behaviors.
        4,000원
        202.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cognition and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HFF) of the college students in the Northern Gyeonggi-do area (Republic of Korea). To accomplish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360 college students (183 males and 177 females) regarding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recognition, knowledge, considerations, purchases and consumption of HFF. Most male and female students (68.9% and 61.6%, respectively) were unaware of the HFF certification mark, however, more females(58.8%) were aware of the legal HFF definition compared to males (36.6%). The HFF advertising routes for males and females were ‘TV radio’ (43.2% and 43.5%, respectively) and ‘internet smart phones’ (19.7% and 27.1%, respectively). The main factor considered for selection and the most serious problem concerning HFF by males and females were ‘effectiveness’ (36.1% and 43.6%, respectively) and ‘hype (exaggerated advertisement)’ (35.0% and 55.9%, respectively). The main purchase route by males and females was ‘pharmacy’ (35.2% and 27.8%, respectively). The main reason for HFF product purchase by males and females was ‘health promotion’ (38.8% and 29.4%, respectively) and the main reason for not purchasing an HFF product was ‘no health problem’(34.8% and 36.7%,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HFF consumption was 46.0% in males and 69.8% in females. The main HFF product consumed by males and females was ‘vitamin mineral’ (36.9% and 43.5%, respectively). The main reason for HFF consumption by males was ‘health promotion’ (31.0%) and females was ‘recovery from fatigue’ (21.8%). The main reason for not consuming HFF by males and females was ‘no health problem’ (38.4% and 41.5%,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concerning HFF to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greater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regarding factors affecting purchase and consumption patterns for college students related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FF in the Northern Gyeonggi-do area.
        4,300원
        203.
        201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scribes how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ive reviewing their peers’ drafts over the course of one semester and what variables might affect their review process. Twenty-six students enrolled in the teacher researcher’s two writing cour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came from the students’ reflections on their peer reviews and the researcher’s observations/descriptions of the review process,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several studen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in this study valued peer reviews, but they were reluctant to write comments on peers’ drafts, especially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However, toward the end of the semester, they felt more comfortable in providing written comments on peers’ drafts, particularly when they develop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Suggestions for effective peer activity have also been provided.
        5,700원
        204.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4년제 안경광학과 학생의 완벽주의와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 였다. 방 법: 4년제 대학의 안경광학과 재학생 243명을 대상으로 학업지연행동, 완벽주의, 성취목표지향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학업지연행동은 평균 3.14, 완벽주의의 하위영역인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각 각 3.20과 3.08,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영역인 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는 각각 3.14, 3.11, 2.97, 2.96이었다. 학업지연행동과 완벽주의, 성취목표지향성간의 상관을 하위영역으로 살펴보면 자기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완벽주의, 수행접근, 숙달접근, 숙달회피 순으로 상관이 나타났다. 자기지향완벽주의와 사회부과완벽주의는 유의미하게 학업지연행동을 예측하였고, 수행접근은 유의미하게 학업지연을 예측하였 으나 나머지 세 하위영역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 론: 학업지연행동과 완벽주의의 하위영역은 부적 상관을 보였고, 완벽주의가 증가할수록 학업지연행 동은 감소하였다. 학업지연행동과 성취목표지향성은 부적 상관을 보였고, 성취목표지향성이 높을수록 안경 광학과 학생의 학업지연행동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20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wellbeing marketing, which focuses on increasing consumer life satisfaction or consumers’ sense of subjective wellbeing.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which aspects contribute to consumer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provide additional insights into consumer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consciousness of social face,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career anxiety), shopping confidence, and life satisfaction. Shopping confidence in this study relates to confidence for clothing/ accessories. It was hypothesized that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influence life satisfaction not only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through shopping confidence. Data were gathered by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using convenience sampling. Two hundred eighty six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of consciousness of social face revealed two factors, ‘desire to gain face’ and ‘fear of losing face’. Factor analysis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shopping confidence, and life satisfaction revealed that these variables were uni-dimensional. Test of the hypothesized path showed that all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indirectly through shopping confidence, whereas ‘fear of losing face’ of consciousness of social face and career anxiet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directly. The results give marketers some understanding of their consumers' life satisfaction in relation to consciousness of social face, social interaction anxiety, career anxiety, and shopping confidence.
        5,700원
        206.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학생 시기는 여러 가지로 첫 시작을 위한 중요한 준비 시기라 할 수 있겠다. 이 시기에 있어 감정적 부분은 개인적, 대인관계적, 가치관, 직업적 기초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서로간의 영향을 줄 수 있겠다. 무엇보다 사회복지 서비스를 준비하는 대학생 스스로에 대한 성향과 생각들은 인성과 그 준비에 중요한 관점이라 할 수 있다. 대학생의 시 기는 독립적인 시기의 준비이자 스스로에 있어 여러 다양한 새로운 경험과 문제를 다루는 것을 알게 되는 시기로 이러한 부분에 있어 우울감은 대학생활과 사회적 기초가 되는 이 시기에 학교생활과 대인관계 그리고 일생의 발달과업의 시작인 다양한 사회적 관계의 순간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대학생의 자기애성향과 우울 및 자기애 성향과 우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기애성향은 우울에 영향을 미쳤으며, 성별에 따른 우울감 차이로는 정서적 우울, 인지적 우울, 동기적 우울에 있어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높았다. 자기애성향과 우울간의 관계로는 서로간의 유의미하게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애성향이 높을수록 우울 경향이 높았다. 자기애성향의 하위 요인들로는 자기중심성이 높을수록 정서적 우울이 높았고, 자기중심성이 강할수록 인지적 우울과 동기적 우울이 높았다. 이에 대학생들의 우울감에 대한 관심 및 대인관계와 학교 생활에 있어 어려움에 대한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다각적인 상담 및 소규모 프로그램들을 통해 현실적인 평가와 자존감 향상을 통한 다양한 상담 및 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5,100원
        207.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Korea,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was introduced in 1993 as the official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Over the 22 years since its inception, the CSAT has gone through numerous changes in its policies regarding the test structure, test administration, test writers, item bank, item difficulty, test materials, score reporting, and the use of test scores.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se policies and policy changes regarding the CSAT, with a focus on the English section ofthe test. The study found that while some of the policies were laudable for beneficial effects on students and the society, some other policies had detrimental effects on the quality of the test and for stakeholders including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More active involvement of testing professionals is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policymaking processes and the policies themselves.
        7,800원
        20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경력개발역량이 긍정심리자본과 경력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개 전문대학 1학년 재학생 223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경력개발역량은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 희망, 복원력, 낙관주의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경력개발역량은 경력탐색행동의 직업에 대한 탐색과, 자신에 대한 탐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과 희망은 경력탐색행 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넷째, 긍정심리자본은 경력개발역량과 경력탐색행동 간 의 영향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대생의 긍정심리자본이 높아지도록 동기부여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경력개발역량과 경력탐색행동의 성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 을 제시하였다.
        5,200원
        209.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대학의 입시전형의 다양화로 인하여 학생들의 학업 역량과 성취 수준에 편차가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에 대학공부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학력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대학공부의 부적응한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부생이 겪는 학업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이 가진 학업 잠재력을 극대 화하여 성공적인 대학공부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집단 학습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시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교육적 성과를 분석하였다. 프 로그램 참여자들은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향상되는 변화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집단 학습상담이 학생들의 학업 편차를 해소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자로 자신의 학업 역량을 향상시키 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7,000원
        211.
        201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vestigated the use of of,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preposition, in essays written by 416 matriculants at a Korean university. The learner corpus consisting of these essays contained 1,250 tokens of of, and these tokens were first analyzed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i.e., integrative, separative, idiomatic, and others, adapted from Lindstromberg’s (2010) categorization of the functions of of. To ascertain what types of errors were made regarding of, the 46 tokens of of identified as errors were further categorized as addition, misordering, misformation, or wrong position. Of these four categories, addi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type of error (31 of the 46 tokens), while wrong preposition and misformation accounted for ten and three tokens, respectively. No tokens of misordering were found, however. Also noteworthy is the finding that, albeit occurring mostly in simple constructions and basic functions, of was used accurately in over 95% of all the tokens found in the learner corpus.
        5,100원
        21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D대학교 안경광학과 재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대학 입 학 후 2015학년도 1학기까지의 평균평점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를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t-검정과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인 상 관관계를 보였고, 학업성취도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은 대학생활적응(r=.320)이었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정체감의 요인 중 흥미와 재능(β=.356, p=.012)이었고, 전공만족도는 교과만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유의미했으며, 대학생활적응 요인 중에서는 학업적응(β=.367, p=.032)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존중(β=.292, p=.047)이었다. 유의미한 변수들을 동시에 투입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적인 전공만족도(β =.465, p=.002)와 전공에 대한 인식만족도(β=-.415, p=.003)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학업성적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활적응과 전공만족도 증진에 필요한 안 경광학과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600원
        21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문과 교육과정 ‘어휘’ 관련 내용과 적용의 실제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2010학년도 본수능부터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까지의 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그간 한문과에서 실시된 ‘어휘’ 관련 평가 문항의 내용 요소와 내용 요소별 평가 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출제된 어휘 관련 평가 문항들은 한자 어휘와 관련된 다양한 평가 요소를 고루 반영하고 있으며, 그 유형도 변화를 거듭하여 다양한 유형으로 안착된 상태였다. 하지만 급변하는 교육 환경 속에서 한문과가 위상을 공고히 하면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현재 상태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끝임 없이 새로운 평가 요소를 개발하고 해당 요소에 적합한 유형의 문항을 출제할 필요가 있다.
        6,600원
        214.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statical analysis of data (828 data in 2010, 752 data in 2012, 648 data in 2014) in order to evaluate laboratory awareness difference of research employees working in different types of universitie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institutes in the order of polytechnic colleges, university, and junior college showed the highest laboratory safety awareness in 'awareness and education of laboratorial safety regulation' and 'awareness in laboratory risk factors'. Second, the difference in safety awareness of universities by year(years that conducted current status survey) was the highest in year 2014, then in 2010, and in 2008. Third, the difference of research employees working for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by year(years that conducted current status) showed that university had the highest laboratory safety awareness in year 2010, but it changed to polytechnic colleges in year 2012 and 2014. Through this study, we could recognize the difference in safety awareness of research employees working in university institutes
        4,000원
        215.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성격 유형과 연령별, 유행혁신성에 따른 구두 스타일 선호와 감성에 대해 연구한 것으로 실증적 연 구를 통해 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편의표본 추출방식의 설문조사를 통한 연구를 하였으며 여대생 22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구두 스타일을 선정하기 위하여 구두 종류를 사전적 분류와 인터넷 검색을 이용 하여 현 여대생들에게 착용이 적합한 총 8개 구두를 선정하였다. 성격유형은 MBTI 간략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감성척도는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된 감성척도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SPSS통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구두 스타일에 따라 선호와 감성에는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 대응분석 결과, 구두의 감성은 4~5가지로 묶일 수 있었다. 둘째, 여대생의 성격유형별로 몇 가지 구두에서 선호와 감성의 유의한 차가 있었다. 셋째, 유행 혁신성에 따른 구두의 선호와 감성의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 구매횟수에 따른 구두의 선호도에 유의한 차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소비자의 특성 및 유행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구두시장에서 생산자, 소비자 모두에게 유용한 효과적인 정보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300원
        216.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wareness and knowledge of the efficacy of carbonated water on consumption patterns and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the principal consumers of carbonated water.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02 college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May 13 to 18, 2015 and 45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s for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and knowledge of the efficacy of carbonated water according to gender, females (14.60 and 0.76) had better awareness and knowledge than males (13.40 and 0.58) (p=0.000 and p=0.036). The more positive the awareness of carbonated water, the greater the knowledge (p=0.000); the greater the knowledge of carbonated water, the higher level of consumption satisfaction (p=0.006). The odds ratio of awareness for carbonated water was 11.98; that is, positive awareness led to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than negative awareness (p=0.003). Since awareness of the efficacy of carbonated water was found to affect carbonated water drinking and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about the efficacy of carbonated water.
        4,000원
        217.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menu labeling is to offer eating environments with improved healthy food selection. Similar to U.S. policies, the Korea government enforces the Special Act on Children’s Food Safety and Nutrition for provision of nutritional labeling in chain restaurant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dining services for college students and their interests in health, this study examined college students’ perception toward nutrition information provided by university dining servic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Students' recognition of nutrition information for university dining services was lower than recognition of nutrition information for commercial food services. The most common reason cited by students for considering nutrition information of university dining services was customer rights, followed by health maintenance. Students showed a high tendency to use nutrition information of university dining services. College students’ motivation for knowing nutrition information of university dining services included health and value interests. Students’ knowledge of nutri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know nutrition inform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offer university administrators and contract food service management companies directions for developing menu labeling for university dining services.
        4,000원
        218.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비대학은 대학 신입생들로 하여금 대학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고, 학교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과 교육적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예비대학 참여자들이 과연 어떠한 목적으로 예비대학에 참여하게 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예비대학이 대학 기획자의 입장에서 연구되는 경향성이 강하고, 수용자의 입장에서 발전방안을 모색한 연구는 일천한 상황인 것이다. 아울러 일부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예비대학 프로그램은 교육적 목적보다 학교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의 효과에 치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과연 수용자의 입장에서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일까? 이러한 질문에 하나의 해답을 구하기 위해 이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형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참여동기를 규명하고,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효과를 포괄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대학 프로그램 참여동기는 ‘학습 즐거움 동기’, ‘학교 호기심 동기’, ‘학습 외적 보상 동기’ 등 3가지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프로그램 만족도 결정요인은 학습 즐거움 동기(+), 예비대학 프로그램 인식(+), 확실성(+), 학습 외적 보상 동기(+)의 순이었고, 오프라인 프로그램 만족도 결정요인은 예비대학 프로그램 인식(+), 공감성(+), 학습 즐거움 동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분야 블렌디드 러닝 강좌 수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된 행위통제(+). 태도(+), 확실성(-), 공감성(+)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양분야 블렌디드 러닝 강좌 수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된 행위통제(+), 태도(+), 학교 호기심 동기(+), 유형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블렌디드 러닝형 예비대학 온라인, 오프라인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제고하고, 대학 블렌디드 러닝 강좌 참여를 극대화하기 위한 유형(전공, 교양)별 전략을 제안하였다.
        6,700원
        220.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ill analyze the problems of the backward (obsolete) textbook contents and the stereotyped (imprisoned) teaching methods in classroom implemented by the Korean universities who teach advanced Mandarin conversation lesson in this digital era, and then put forward one possible solution called the model of “Flipped Learning”(“Flipped Classroom” is also included), which could teach advanced Mandarin conversation lesson by flexibly using Internet E-books. The existing education’s paradigm is discarded by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textbooks’ role is changing rapidly and dramatically along with the education spread and knowledge diffusion via Internet. Through the flexible usage of the latest Internet E-books, not only the politics, economics, cultures, media and press of Chinese modern society could be known, but also our young generation (post 90s, post 00s)’s thought and vision. In a “Flipped Classroom” which gives conversation lesson, it could be expected that weak study will and motivation could be stimulated; uninterested and dull lessons could be inverted into spirit-lifting ones which contain endless lively activities; and those students who used to learn passively could maximize their ability to solve problems all by themselves in their learning process.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