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6

        20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되먹임 제공 및 차단으로 시행된 자세수직훈련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이 뇌졸중 밀기증후군 환자의 기능회복 및 일상생활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사례 교차중재 연구설계 중 대상자간 다중기초선을 이용하였으며, 밀기증후군 환자 3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선 측정은 대상자 1이 4회, 대상자 2가 7회 그리고 대상자 3이 10회였으며, 치료회기는 대상자 1이 14회, 대상자 2가 11회 그리고 대상자 3이 8회였다. 치료중재는 대상자 1이 14회, 대상자 2가 11회 그 리고 대상자 3이 8회였다. 밀기증상의 기능회복 평가는 밀기 증후 척도, 일상생활동작을 평가하기 위하여 바델지 수 및 실험 전∙후 대칭적인 서기자세를 평가하기 위하여 근전도기로 양측 중둔근에서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이 적용되었을 때 대상자 1, 2, 3의 밀기 증후 척도는 각각 기초선과 비교 하여 52.4%(5.3점에서 2.8점), 36.4%(4.4점에서 1.6점) 및 23.6%(3.6점에서 0.9점) 향상되었다. 시각되먹임을 제공한 자세수직훈련은 42.9%(5.3점에서 2.3점), 26.1%(4.4점에서 1.2점) 및 13.2%(3.6점에서 0.5점) 향상되었다. 대상자 1, 2, 3의 바델지수는 각각 기초선과 비교하여 22.4%(44.3점에서 54.1점), 15.5%(44.7점에서 51.6 점) 및 15.8%(51.5점에서 59.6점) 향상되었다. 시각되먹임을 제공한 자세수직훈련은 17.0%(44.3점에서 51.8점), 11.4%(44.7점에서 49.8점) 및 14.8%(51.5점에서 59.1점)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 전과 비교하여 실험 후 환측의 중둔근 근활성도가 더 크게 향상되었다. 결론 : 교대로 적용된 치료중재 결과를 통하여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이 시각되먹임을 제공한 자세수직훈련보다 밀기증후군 환자의 기능회복 및 일상생활동작능력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많은 대상자를 포함시키고 오랜 기간 동안 적용한 연구들이 계속 이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202.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us( group 1),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group 2) and combined training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us an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group 3) with scapula adductor muscles on scapula movement, upper limb function and gait in fifteen subjects stroke patients. The training was thirty minutes a day, five times a week for six weeks, obtained result as follow, upper limb funct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2(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groups. The change of weight bearing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groups(p<.05), and increase of gait velocity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group(p<.05). In conclusion, when applied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us,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combined training to the scapular adductor muscles, it was oberved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that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w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among the three methods applied to the scapula adductors.
        4,000원
        203.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Stroke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vement (STREAM) translated in Korean. This was a new clinical measurement tool for evaluating the recovery of voluntary movement and basic mobility following stroke. A direct-observation reliability study was conducted on 20 patients who had strokes and were in a rehabilitation setting. Subjects were assessed by two physical therapists. The reliability of the STREAM scores was demonstrated by weighted kappa statistics for inter-rater agreement on scores for individual items ranged from .83 to 1.0,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total score was .99, and for subscale scores was ranged from .96 to .99.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TREAM scores was demonstrated by Cronbach alphas of greater than .99 on the subscales and overall. These high levels of reliability support the use of the STREAM translated in Kore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motor recovery following stroke.
        4,200원
        204.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with 'TETRAX' system, a balance training and assessment tool, on balance and mobility in acute hemiplegic patients. Nineteen matched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in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oup. An experimental group with 10 subjects received balance training with 'TETRAX' exercise program an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5 times per week during 4 weeks. A control group with 9 subjects receive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5 times per week during 4 weeks. Outcome measure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4 weeks of interventions using the Stroke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vement (STREAM), the Berg Balance Scale (BBS), gait speed, and the fall down index. Results indicated that both exercise groups improved significantly in STREAM, BBS, and gait speed (p<.05).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little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Both exercise groups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fall down index (p<.05). Following 4 weeks of intervention, except gait spee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with visual feedback training could be effective on improving balance and mobility than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alone in acute hemiplegic patients.
        4,000원
        20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양손 움직임을 위한 활동으로 구성한 과제 지향적 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 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5명의 뇌졸중 편마비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적용하였다. 수정된 강제유도운동 치료는 3주 동안 매일 가장 활동적인 5시간 동안 건측 상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장갑을 착용하였고 제한시간 동 안 환측의 움직임을 위한 과제들을 수행하였다. 양손 움직임을 위한 활동은 건측을 제한하지 않고 일상생활활동과 밀접한 과제들을 1주 동안 수행하였다. 상지기능 변화는 뇌졸중상지기능평가(MFT)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의 변화는 운동처리기술평가(AMPS)를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은 3번의 반복 측정된 자료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비모수 방법인 프리드맨 검정을 사용하였고 사후 검정은 윌콕슨 쌍대비교 분석을 이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은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 후와 양손 움직임을 위한 활동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실시한 후에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 행 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양손움직임을 위한 과제 지향적 치료 이후에도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 연구 결과를 통해 과제 지향적 방법이 적용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향상된 환측 을 기능적으로 활용하도록 양손 활동 과제를 이용하여 훈련하는 본 연구의 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900원
        206.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ute effects of nerve mobilization, static stretching, and hold-relax on the flexibility of hamstring muscles and their surface electromyographic (EMG) responses to passive stretches in poststroke hemiparesis. This study was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Fourteen subjects received three treatment sessions in random order with each consisting of ten repetitions. The treatment sessions included nerve mobilization, static stretching, and hold-relax. The treatment sessions were held at least 24 hours apart to minimize any carryover effect. The outcome was measur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greater trochanter and lateral malleolus and hamstring EMG activity during passive knee extension stretching.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hamstring flexibility and EMG activity in main effect of time pre, post and followup (p<.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among the three stretching techniques. No technique was consistently found to be superior. The three stretching techniques in this study make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Therefore, clinicians use nerve mobilization of effective stretching techniques with other stretching techniques.
        4,000원
        207.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is widely used to determine the dependency of activity of daily living in rehabilitation patien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unidimentionality of the FIM physical items and to analyze the validity of cross-functional levels in stroke survivors in Korea. Thirteen physical items of FIM were rated according to an ordinal scale of a 7-level classification. Two hundred and seventy-nine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ge range 18~92 years and 57% male). Six items-eating, bladder control, bowel control, transfer to and from the bed/wheelchair, transfer to and from the toilet, and bathing-showed misfits with the Rasch model. The most difficult item was 'bathing', the easiest item was 'bowel control'. Although there were several differences within functional levels, the hierarchical order of item measures was rather similar. 'Bathing' was the most difficult in high level patients (above 60), however 'stairs' was most difficult in the middle level (41~60) group. In the low level group (below 40), 'toileting' was the most difficult.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has shown several differences of item difficulty among functional levels. This result will be useful in planning interventions, and developing rehabilitation programs for stroke survivors.
        4,000원
        208.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s of the Trunk Control Test (TCT),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TC), and Trunk Impairment Scale (TIS) and to compare the TCT, PASS-TC, TIS and its subscales in relation to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after stroke. Sixty-two stroke patients attending a rehabilitation program participated in the study. Trunk control was measured with the use of TCT, PASS-TC, TIS balance (Berg Balance scale; BSS), gait ability (10 m walk test),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uned Up and Go Test TUG) and the mobility part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Fugl Meyer-Upper/Lower Extremity (FM-U․L/E). The scatter-plo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omposed for the total scores of the TCT, PASS-TC, and TI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trunk control on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wenty eight participants (45.2%) and twenty participants (32.3%) obtained the maximum score on the TCT and PASS-TC respectively; no subject reached the maximum score on the Trunk Impairment Scal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IS and TCT (r=.38, p<.01), PASS-TC (r=.30, p<.05), TCT and PASS-TC (r=.59, p<.01).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BBS score (β=.420~.862) had slightly more power in predicting trunk control than the . TIS-dynamic sitting balance, TUG and the MBI-mobility part. This study clearly indicates that trunk control is still impaired in stroke patients. Measures of trunk control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values of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he results imply that management of trunk rehabilitation after stroke should be emphasized.
        4,000원
        209.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AOPT) on manual dexterity and corticomotor facilitation in stroke patients. Ten hemiparetic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subject was asked to participate the three conditions; base condition (Base), physical training (PT), AOPT. Participants were asked to observe the action in the video that a therapist moved the blocks during the AOPT conditions. Corticomotor facilitation was determined in three conditions by monitoring changes in the amplitude of motor-evoked potentials (MEPs) elicited in hand muscles by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MEP responses were measured from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after participants attended to three conditions. For the manual dexterity, Box and Block test (BBT) was used.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MEPs amplitude significantly tended to be larger than PT and Base condition. The scores of BBT in the AOPT condition were also significantly larger than other conditions. In conclusion, this finding of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physical training for observation of an action is beneficial for enhancing a dexterity of paretic arm in stroke patients.
        4,000원
        210.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velop effective training methods for strengthening a weakened quadriceps femoris muscle in hemiplegic patients,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of the nonparalyzed knee joint on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paralytic muscle. An electromyogram (EMG) was used to record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paralytic quadriceps femoris muscle in 27 hemiplegic patients. The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was measured for each subject to normalize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The maximal isometric extension and flexion exercises were randomly conducted when the knee joint angles of the nonparalyzed knees were 0˚, 45˚, and 90˚. The patients were encouraged to maintain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s in both knee joints during each measurement, and three measurements were taken. A one-minute rest interval was given between each measurement to minimize the effects of muscle fatigue. An average from the three values was taken as being the root mean square of the EMG and was recorded as being the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btained for each measurement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which was determined using the values obtained during the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the knee joint angle of the nonparalyzed knee was 0˚,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paralytic medial aspect of rectus femoris were related to measurement by a maximal isometric flexion exercise than by an extension exercise (p<.05). Second, when the knee joint angle of the nonparalyzed knee was 90˚,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paralytic lateral aspect of rectus femoris were related to measurement by a maximal isometric flexion exercise than by an extension exercise (p<.05). The results show that myoelectrical activities of paralytic quardriceps were not related to measurement angles and exercise directions of the nonparalized knee joint. Studies on various indirect intervention to improve muscular strength of patients with nervous system disorders of the weakened muscle should be constantly conducted.
        4,000원
        211.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4점 척도인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 와 5점 척도인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3점 척도로 단순화시켜 원본 PASS, BBS와 특성을 비교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만성뇌졸중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PASS(0-1-2-3)는 PASS-3Level(0-1.5-3)로 BBS( 0-1-2- 3-4)는 BBS-3Level(0-2-4)로 기록하여 비교하였다. PASS-3L과 BBS-3L 평가의 측정자내·측정자간 신 뢰도는 급간내 상관계수를(ICC3,1), 절대적 신뢰도는 표준 오차 측정(Standard Error Measurement: SEM)과 최 저 실제 차이(Small Reference Differences: SRD)를 이용하였고,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구하였다. PASS(PASS-3L), BBS(BBS-3L)의 동시 타당도와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와 퓨글 마이어 운동(Fugl Meyer-Motor: FM-M)과의 수렴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 분석을 하였다. 결과 : PASS-3L과 BBS-3L의 검사 재검사 신뢰도는 각각 ICC = .96, .96, 측정자간 신뢰도는 각각 ICC = .95, .94이었다. PASS-3L과 BBS-3L의 SEM은 각각 .99, 1.55, SRD는 1.74, 4.30, Cronbach's α계수는 .77, .85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PASS-3L의 동시 타당도는 PASS(r=.93), BBS(r=.75), BBS-3L(r=.80)과 유의한 관 련이 있었고, BBS-3L은 PASS(r=.80)와 BBS(r=.93)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PASS-3L의 수렴 타당도는 MBI(r=.60), FM-M(r=.42)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 BBS-3L은 MBI(r=.79), FM-M(r=.48)와 유 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결론 : 2개의 단순화된 PASS-3L과 BBS-3L은 PASS, BBS와 비교하여 매우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여 뇌졸 중 환자의 균형을 평가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4,500원
        21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의 능력(capacity)과 수행(performance) 평가치의 신뢰도와 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과 MBI(Modified Barthel Index)와의 기준관련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국립재활원에 입원한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 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ICF에 경험이 있는 2명의 의사가 FIM과 MBI에 해당하는 항목을 ICF 항목과 연결시켜 10개 항목 중 3개의 범주인 이동, 보행, 자기 관리 항목을 추출하였으며, 모든 평가는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에 의해 수행되었다. ICF의 수행과 능력 평가치의 측정자간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는 급간내상관계수인 ICC(2.1)을 절대적 신뢰도는 SEM(Standard Error Measurement)과 SRD(Small Reference Difference)를 FIM과 MBI, ICF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ICF 능력과 수행 평가치의 측정자간 신뢰도는 각각 .92(.95, .97), .98(.97, .99), SEM은 1.03, 1.09이었으며, SRD는 2.85, 3.02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ICF 능력 평가치는 FIM(r=-.97), MBI(r=-.90)와 높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ICF 수행 평가치는 FIM(r=-.73), MBI(r=-.69)와 중간 정도의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ICF는 FIM과 MBI의 기준 관련 타당도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신뢰할만한 기능 평가 도구로서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상태를 평가하는데 임상 연구나 실험에서 유용한 평가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21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손기능에 대한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발병 6개월 이상인 뇌졸중 환자 10명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5명씩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1일 1회, 주 5일, 6주 동안 수행하도록 하였다. 훈련의 1회기는 15초의 휴식기와 5초간의 추적과제를 수행하는 활동기로 구성되며 1회 훈련동안 추적과제를 총 40번 시행하였다. 반면, 대조군의 모든 치료 상황은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제외하고는 실험군과 같았다. 손기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훈련 전·후에 개정된 Ashworth 척도, Fugl-Meyer 평가,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뇌졸중 상지기능 검사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실시하였다. 결과 : 실험군은 개정된 Ashworth 척도를 제외한 모든 검사에서 훈련 후의 결과가 훈련 전의 결과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대조군은 모든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간 비교에서 실험군의 훈련 후 손기능 향상이 모든 검사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5). 결론 : 본 연구는 실시된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손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지지한다.
        4,300원
        21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들의 특성에 따른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효과를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 2008년 1월부터 3월까지 경기지역에 위치한 노인전문병원 1곳과 대학병원에 내원한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루 2회 아침, 저녁 식전 30분씩 총 3주 동안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를 발병기간 6개월 미만, 6개월 이후로 나눠 각 집단의 동질성 비교를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발병기간, 인지기능상태, 구강·비구강 섭취형태에 따른 각 집단 내의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 기능적 연하곤란척도 점수 차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발병기간 6개월 미만, 인지기능 정상인 집단에서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연하곤란척도 점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인지기능, 구강·비구강 섭취 형태에 따라 층화한 결과에서는 발병기간 6개월 미만의 집단에서 인지기능이 정상이고 구강섭취를 하는 경우에 연하곤란척도 점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 기능적 연하곤란척도 점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발병기간, 인지기능, 구강·비구강의 섭취 형태였다. 결론 :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들에게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발병기간 6개월 미만, 인지기능 상태의 정상, 구강섭취하는 대상자에게 효과적임을 나타내고 있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환자 특성 외에 요소들을 통제한 연구가 필요하며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과 더불어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요소와의 비교연구가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4,300원
        215.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ICF 모델의 분류 기준을 사용하여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 중재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의 영역별 사용빈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결과는 건강과 장애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을 위해 작업치료 분야에서 필요한 영역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주요검색 용어는 "occupational therapy AND stroke"을 사용하였으며 ICF 모델이 처음 제시된 2001년부터 2009년 5월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를 사용하여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결과 :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중재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는 37개이었고 사용빈도는 총 69회였다. 신체구조에 대한 평가도구는 없었으며 신체기능에 대한 평가도구의 사용빈도는 37회로 전체 사용빈도의 53.62%를 차지하였다. 활동과 참여에 대한 평가도구의 사용빈도는 32회로 전체 비율의 46.38%이었다. 연구 결과 신체구조를 제외한 영역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그 중 신체기능에 대한 평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과 참여에 대한 평가 중 대부분은 활동에 대한 평가였으며 참여에 대한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중재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를 ICF 모델의 분류 기준에 근거하여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하나의 평가도구가 다양한 영역을 포함하고 있어 세부적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ICF 모델의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건강과 장애에 대한 작업치료의 중재 방향을 알 수 있었다. 건강과 장애에 대한 작업치료의 포괄적인 접근을 위해 참여에 대한 중재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5,100원
        216.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후 연하곤란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연하곤란관리 교육을 제공한 후 변화를 알아보고 효과적인 환자의 연하관리 및 가족지지를 위한 중재 전략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환자의 가족 78명(실험군 39명, 대조군 39명)을 무작위 추출하여 연하곤란관리 교육 전과 후 지식과 실천 및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결과 : 지식은 환자와의 관계, 일평균 돌봄 시간과, 실천은 연령, 월평균 수입, 질병과, 스트레스는 연령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05), 지식과 실천 및 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제공 후 실험군의 지식과 실천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대조군은 지식, 실천, 스트레스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제공 후 실험군의 지식은 섭식방법, 총 돌봄 기간과, 실천은 건강상태, 질병, 섭식방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지식과 실천 및 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연하곤란관리 교육은 가족들에게 지식과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었으나 스트레스에는 변화를 보이지 않아 교육 외에도 다양한 정서적 지지가 함께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지식과 실천 및 스트레스에 열악한 대상일수록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 후 지속적인 실천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여러 대체 및 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4,200원
        217.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재활에 관여하는 작업치료사들에게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적 개입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08년 6월 7일부터 2008년 8월 1일까지 14개 종합병원, 2개 재활전문병원, 1개 장애인종합복지관의 MMSE-K 24점 이상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지(BDI, 장애인의 재활동기 측정도구, MBI, SS-QOL)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123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우울과 삶의 질은 유의미한 높은 음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으며,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은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우울(p<.001)과 일상생활동작(p<.001)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에서 월수입(p<.05)이었으며 이들 변수는 삶의 질을 47.9% 설명하였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있어서 급성기로부터 우울과 불안 등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를 정기적으로 확인, 조기에 발견하여 개입함으로써 삶의 질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제거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일방적인 경제적 지원이 아니라 직업재활의 기회를 마련해 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 준다면 이들의 삶의 질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4,500원
        218.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편측무시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편측무시가 있는 네 명의 뇌졸중 환자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편측무시 현상은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MVPT), 선 나누기 검사, 별 지우기 검사와 Catherine Bergego Scale (CBS)을 사용하여, 일상생활활동은 Motor Activity Log (MAL)와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 전ㆍ후의 변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윌콕슨 부호순위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MVPT 수행 결과 치료 전 평균 원점수가 22점에서 치료 후 26점으로, 치료 전 좌측반응점수가 14점에서 치료 후 17점으로 각각 증가하였다. 선 나누기 검사 수행의 평균오차가 35.2mm에서 18.5mm로 감소되었고, 별 지우기와 CBS의 오류점수도 감소하였다. MAL 수행 시 평균 좌측 손사용 횟수와 좌측 손 움직임의 질이 각각 123%, 44% 증가하였다. COPM 수행 시 평균 수행도와 만족도가 각각 2.95점, 3.90점 증가하였다. 그러나 p값이 .06이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의 적용이 뇌졸중 환자에게 편측무시 증상의 감소와 일상생활활동 향상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향후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를 보다 많은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가 검증된다면 임상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600원
        219.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뇌졸중 후 발생한 삼킴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목근육에 표면 전극을 이용한 전기 자극 치료가 삼킴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부속 원주기독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사람으로서 삼킴 장애가 비디오투시검사를 통해 확인된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연회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2주 동안 삼 킴 장애 치료를 목적으로 한 어떠한 처치도 받지 않았고, 그 후 전기 자극 치료를 하루 1시간, 일주일에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삼킴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2주 통제 기간 전후와 전기 자극 치료 2주후, 전기 자 극 치료 4주 후에 비디오투시검사를 실시하여 각 대상자별 4회의 검사가 실시되었다. 녹화된 동영상을 바탕으 로 연하 곤란 척도와 인두 통과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은 통제기간동안 삼킴 기능의 변화가 없었지만(p>.05), 2주간의 전기 자극 치료 후 유의한 삼킴 기능의 향상을 보였으며(p<.05), 4주 전기 자극 치료 후에도 2주 전기 자극 치료 후보다 유의한 삼킴 기능의 향 상이 있었다(p<.05). 그러나 인두통과시간은 2주 치료 후, 4주 치료 후 모두 유의하게 변하지 않았다(p>.05). 삼 킴 후 인두기의 잔여물은 양배꼴동, 후두개곡에서 유의하게 줄어들었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대상자들은 2주 기간 동안 삼킴 기능의 자연 회복을 보이지 않았고 전기 자극 치료 후에 유의 한 기능 향상을 보여 전기 자극 치료의 효과를 증명하였다. 대상자들은 2주 전기 자극치료에서 뿐만 아니라 4주 치료 후에도 계속적인 기능 상승을 보였는데 앞으로는 본 연구보다 장기적인 치료의 효과와 이의 지속여부를 확 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인두통과시간은 삼킴 기능의 변화를 민감하게 나타내지 못하였으 므로 인두 통과 시간만을 측정하는 삼킴 기능의 평가는 추후 연구에서도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220.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rradiation pattern of muscles on the affected side in stroke patients after application of diagonal 2 extension (D2 ex)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in the unaffected upper extremity. Seven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were recorded in the iliopsoas, biceps brachii, and triceps brachii were recorded by surface electrodes at rest, D2 ex with knee extension, and D2 ex with knee 90 flexion, normalized by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values. The medial frequencies of biceps brachii in both sides were also measured to compare muscle type recruited. %MVIC of biceps brachii and triceps brachi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2 ex than at rest (p<.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median frequency of biceps brachii between the affected and unaffected side (p>.05). This suggests that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using D2 ex may improve muscle activities of the paretic side and that the irritation pattern of the affected side may respond to maintain body equilibrium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sound sid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