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6

        241.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료맥류의 생산이 적은 중 북부지역에서 안정적인 조사료 최대생산과 사료가치 향상 을 위한 최적 혼파조합, 혼파비율, 재배법 확립을 위하여 연 구한 결과 트리티케일과 크림슨클로버 혼파에서는 건물수 량은 트리티케일에 크림슨클로버를 8:2의 비율로 처리한 혼 파조합에서 1,464 kg/10a로 가장 많았으며, 트리티케일이나 크림슨클로버 단파보다 혼파에서 수량이 많았다. 혼파 비율 에 따른 수량 차이는 없었으나 파종유형에 따른 수량차이를 보면 조파보다는 산파에서 수량이 많았다. 트리티케일과 콩과작물의 혼파조합 및 비율에 따른 사료가 치에서 조지방(CP) 함량은 크림슨클로버 단파구가 17.2%로 트 리티케일 단파구의 7.4%에 비해 높았으며, 트리티케일과 크림 슨클로버를 7:3의 비율로 혼파한 시험구에서 조단백질 함량이 9.0%로 개선되어 트리티케일과 콩과 작물의 혼파에 의하여 단 백질을 포함한 사료가치의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243.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 of plants number per hill (PNH) on growth and yield of sorghum in drained paddy field for 2 years. Crop growth and development and yield in the field was examined to know the efficiency of proposed cropping system. At seeding after 40 days, leaf number and stem diameter were highest at 1 PNH plot, on the other hands, plant height was at 5 PNH plot the 1st and 2nd, respectively. The harvest stage, 5 PNH plot was highest culm length of 183, 188 cm the 1st and 2nd, however, culm diameter was lowest. Culm length of sorghum was highest by 183, 188 cm at 5 PNH plot also, culm diameter was thickest by 19.18, 20.13 mm at 1 PNH, respectively. Yield components of ear length, seed number per ear and 1000-seed weight were highest at 1 PNH the 1st and 2nd, respectively. As yield of sorghum was highest at 2 PNH plot 344 kg․10a-1, 382 kg․10a-1 yearly, respectively that it were in order of 1 PNH plot > 3 PNH plot > 4 PNH plot > 5 PNH plot.
        244.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피의 발아특성 및 파종 심도에 따른 초기 생육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사료피 1호 종자는 15℃ 이상에서 발아가 가능하였으며, 10-25℃의 범위에서 20℃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나. 입모율은 담수와 직파에서 모두 20℃에서 가장 높았으며, 담수직파에서 평균 입모율은 5.9%, 건답직파는 70.5%로 나타났다. 다. 사료피 1호의 출아가 가능한 종자의 최대 파종 깊이는 담수직파에서 15, 20, 25℃에서 0.5, 1.8, 1.5 cm, 건답직파는 각각의 온도에서 9.5, 10.0, 9.9 cm로 파종조건과 온도에 따라 변이를 보였다. 라. 사료피 1호는 담수와 건답직파 모두에서 온도와 관계없이 파종심도와 중배축장이 정의상관관계를 보여, 출아에 중배축 신장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을을 알 수 있다.
        24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안’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10년에 육성한 고품질 직파적응 내도복 복합내병성 품종이다. ‘수안’의 출수 기는 담수직파에서 8월 15일로 ‘주안벼’보다 1일 늦으며, 보통기 보비 이앙재배에서는 평균 출수기가 8월 10일로 ‘남평 벼’보다 6일정도 빠른 중생종이다. 간장은 담수직파에서 74 cm로 ‘주안벼’보다 4 cm 크고 이앙재배에서는 ‘남평벼’와 비 슷하며 담수직파시 m 2당 수수와 수당립수는 ‘주안벼’보다 적 고 등숙비율이 높으며, 현미천립중은 25.4 g으로 ‘주안벼’보 다 무겁다. 내냉성 검정에서 유묘적고는 ‘남평벼’와 비슷한 반응을 보였고, 출수지연일수가 ‘남평벼’에 비해 2일 정도 길 으나 임실률은 47%로 ‘남평벼’에 비해 높은 편이다. 등숙기 수발아율은 22%로 ‘남평벼’보다 높고 포장도복은 강한 편이 다. 도열병, 흰잎마름병(K1~K3) 및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 성이나 기타 바이러스병 및 벼멸구류 등의 해충에는 저항성 이 없다. 단원형이며 쌀 외관은 심복백이 없고 ‘남평벼’ 수준 으로 맑고 투명하다. 단백질 함량 및 아밀로스 함량은 각각 6.5% 및 19.5%이며 밥맛은 ‘남평벼’ 수준이다. 제현율, 도정 율은 ‘남평벼’보다 다소 높으나 백미완전립률은 낮은 편이었 다. 쌀 수량성은 담수직파 6개소 및 건답직파 4개소에서 각각 5.47 MT/ha, 5.56 MT/ha로 ‘주안벼’보다 9% 증수 되었으며, 보통기 보비재배에서는 5.80 MT/ha으로 ‘남평벼’ 대비 4% 증수하였다.
        246.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plant growth and yield of Panax ginseng C. A. Meyer. Sowing dens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yield. The value of roots have affected by shape, color, weight and degree of disease injury in ginseng. Also, it needed to minimize elapsed time for 5 years including pre-planting field management and cultivation period. We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at planting densities and varieties on the growth, yield and missing rate. The direct sowing was treated seeds density as a four levels (seeds; 72, 90, 120, 144) and 10 different varieties with 3 years old ginseng roots. Root weight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planting density and variety, but the number of lateral root and yield were affected by only planting density. Growth index was related to variety and planting density. Also, Root shape index was affected by both varieties and planting densities. Suitable planting density and variety were 120 plant per 1.62 m2 and Gopoong,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it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p=5%) in variety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249.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앵미의 온도와 파종깊이 및 토양수분에 따른 발아와 유묘생육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앵미 2종과 대안벼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저온조건에서 발아시험 결과 앵미가 대안벼보다 발아율이 높았고 발아속도도 빨랐으며 종자세가 우수하였다.2. 저온조건에서는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발아율이 높았고, 중온조건에서는 토양수분 45% 조건에서 발아율이가장 높았다.3. 영천앵미의 발아 특성은 파종심도 6 cm 처리구에서는저온과 중온에서는 발아를 하지 않았으나 고온에서는 발아를 하였다. 4. 합천앵미와 영천앵미의 발아 특성중 영천앵미가 합천앵미보다 발아율 및 종자세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발아를 하였다.
        250.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bo’ is a new japonica rice variety developed by a cross breeding between HR21124-B-59 and HR19567-B-70-3 having a good Phenotype with a multi-resistance and high yield elite line. The new variety developed for direct seeding by the rice breeding team in Rice Breeding and Cultivation Research Division,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n 2012. The heading date of this variety is August 13 and earlier than that of check variety, Nampyeongbyeo, by two days. ‘Subo’ has 72cm of culm length and 104 spikelets per panicle in direct seeding cultivation. This variety showed resistance to bacterial leaf blight and rice stripe virus and have germinating ability in sumerged soil conditions. The milled rice of this variety exhibits translucent and very clear non-glutinous endosperm. ‘Subo’ has much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than that of Nampyeongbyeo. The whole grain rate of milled rice are 86.9% and milled rice recovery of are 74.6%. The yield of ‘Subo’ in direct seeding cultivation is 5.55MT/ha in milled rice. ‘Subo’ could be adaptable to the southern part plain area of Pyeongtaek and southwestern in Korea.
        251.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ginsenoside content in different root par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root diameter and ginsenoside composition of Panax ginseng C. A. Meyer cultivated by direct seeding. The unit contents of ginsenoside were 29.65, 28.76, 26.34 mg/g, respectively in 4, 5, 6 years old. However, the total contents of ginsenoside were 431.97, 606.56, 657.80 mg/root, respectively. Total ginsenoside content of fine root was higher than that of main root and lateral root. These tendencies were related to decrease by the increase of root diameter. When diameter of main root and lateral root were the same in different ages, the total ginsenoside content was higher in the order of 4 > 5 > 6 years old roots. Except for ginsenoside-Rg1, other ginsenosides components (PD/PT and total ginsenosides) ha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oot diameter within whole root, main root, lateral root and fine root, which indicated that ginsenoside content is correlated to root diameter. As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ginsenoside content can be predicted.
        253.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fluences of different seeding dates on growth, seed yield, fatty acid composition and oil content were investigated in flax plants for two yea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lant height in early seeding date was higher than that of delayed seeding dates during first season. Furthermore, seeding dat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the ripened seed rate and the rate increased with the delay in seeding date in first season. Seed yield in the first crop seas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econd crop season. Palmitic acid showed variation in different seeding dates. Contrarily, stearic acid was stable and did not changed by different seeding dates. Linolenic acid was found in highest amount in all seeding dates consecutively in two cropping years. Highest oil content was recovered from the seeds of flax sown at 29 Apr. and May 9 in first and second cropping year respectively.
        254.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종실의 크기가 작고 불균일한 소립종으로 파종시 초기 입모불량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해 형질특성이 다른 밀수형 황금찰와 산수형 토종 품종을 대상으로 종자크기를 5가지 등급으로 선별하여 실내종자활력 평가와 포장조건에서 선별파종 효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주요 수수품종별 종자의 크기별 분포특성을 분석한 결과 황금찰에 비해 토종이 대립종으로 나타났으며, 종자의 균일도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자크기가 클수록 천립중과 비중, 탄수화물과 단백질 함량이 증가되었고, >3.55 mm 와 <2.36 mm의 천립중도 황금찰 19.78 g과 토종 17.91 g로 차이를 보였으며, 탄수화물과 단백질함량은 각각 0.98%, 14.61%의 차이를 보였다. 종자크기 >3.55 mm와 3.15 mm 범위에서는 탄수화물과 단백질함량 함량은 유의성이 없었으며, 탄수화물/단백질함량비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종자활력을 시험한 결과 저온과 표준발아시험 모두 종자 크기가 클수록 발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자크기가 >3.55 mm 이상의 종자 발아율이 79.8%로 높은 반면<2.36 mm에서는 51.5%로 크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2.80 mm 이하부터는 크게 떨어졌다. 포장조건에서 출아율은 황금찰의 경우 >3.55 mm에서는 92.7%로 높은 반면 <2.36 mm에서는 31.3%로 크게 낮았다. 평균출아일수는 황금찰의 경우 >3.55 mm에서는 4.26일이 소요되는 반면 <2.36 mm에서는 4.74일이 소요 되었고, 출아율지수는 >3.55 mm에서는 0.87인 반면 <2.36 mm에서는 0.26으로 종자크기가 작을수록 크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에서는 <2.36 mm에 비해 >3.55 mm에서 황금찰 24.5%, 토종 36.9%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3.15 mm 미만부터는 뚜렷한 수량성의 차이를 나타났다. 따라서 수수종자 크기별로 중량, 밀도, 성분분석, 표준발아 조사, 저온발아조사 등 실내 종자활력 시험과, 포장조건에서 발아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3.15 mm 이상의 종자를 선별하여 파종하면 수수의 종자활력이 높아져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255.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수확동시 보리조파 전 적정 낙수시기는 배수가 불량한 전북통인 미사질양토에서 1. 토양수분이 많을수록 입모율이 감소하였다. 2. 토양수분이 많을 경우 콤바인 작업시 궤도의 침하로 작업시간이 길어졌으며, 수분함량이 적을 경우에는 작구부에 부하가 가중되어(경도증가)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낙수시기에 따른 보리생육 및 수량 등은 차이가 없었으나 수수는 낙수시기가 늦을수록 적었다. 4. 벼 수량과 천립중은 통계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낙수시기별 현미 천립중이 21.7~22.2 g 범위로 낙수가 빠를수록 가벼워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5. 이상의 결과에서 배수가 불량한 미사질양토에서는 토양경도와 작업시간을 감안한 적정 토양수분 함량은 33% 정도로 입모율 확보 및 수량증대에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56.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know the effect of cultivative environment and conditions, locational genetic variation on the content and components of seed isoflavones soybean genotype. The concentration of isoflavones showed difference between three different seeding time. Specially, Somyung of normal seeding (6. 21) reveal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7657.0 ㎍ g-1) than other soybean seeds. On the other hand, Cheongjakong and Taekwangkong of early seeding (5. 25) showed the lower concentrations (1518.6 ㎍ g-1, 2524.0 ㎍ g-1) than other soybeans. For different regions, Taekwangkong of Yeoju region had the highest total isoflavone concentrations (3227.5㎍ g-1) than other cultivation regions. While, Taekwangkong of Miryang region (619.5 ㎍ g-1) revealed lower concentrations than other regions. And, Cheongjakong of Yeoju regions also revealed higher concentrations (3140.1 ㎍ g-1) than other regions. On the other hand, Cheongjakong of Miryang (1619.4 ㎍ g-1) showed lower concentrations of total isoflavone concentrations. In our present study, the isoflavone concentration of soybean was influenced by seeding and cultivation regions.
        257.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라 평균기온이 상승하고 무상기간이 길어지고 재배기간도 길어지고 있다. 이상기상으로 재해가 심화되는 위기요인이 있으나 작물 재배기간이 연장되고, 이러한 기회요인을 적극 활용한 작부체계가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봄 재배 시 7월 하순~8월 상순의 홍수출하로 인한 가격폭락 문제의 해법을 제시하고 신선한 풋옥수수 공급 기간을 늘리기 위한 찰옥수수 2기작 작부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생태형 및 파종시기별 수확적기를 구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2009~2010년에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찰옥수수의 조생종 품종 찰옥 1호와 만생종 품종 일미찰, 찰옥 4호를 재료로 하여 풋옥수수의 2기작 재배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기작재배에 따른 출사일수는 후기작으로 갈수록 짧아지고, 출사에서 수확까지 소요되는 일수가 증가하였다. 4월 상순~하순에 파종할 경우 생태형에 관계없이 수확기는 출사 후 23~25일 정도 소요되었다. 조생종인 찰옥1호를 7월 상순~하순에 파종할 경우 수확기는 출사 후 28~31일 정도 소요되고, 중만생종인 일미찰은 7월 상순~중순에 파종할 경우 수확기가 출사 후 29~31 일, 7월 하순에 파종할 경우 약 39일 정도 소요되었다. 2. 파종에서 수확까지 적산온도는 약 1700℃~2100℃ 정도였고, 출사 후 수확까지의 최소 소요 적산온도는 약 600℃~680℃ 였다. 3. 이삭길이는 전기작보다 후기작에서 다소 길어지고 일미찰과 찰옥 4호는 증가하였는데, 찰옥 1호는 1기작재배에 비하여 2기작재배에서 감소하였다. 4. 상품 이삭수는 2기작재배가 1기작재배에 비하여 찰옥 1호는 약 101%였고, 일미찰과 찰옥 4호는 92% 및 99%로 감소하였다. 수확량은 2기작의 경우 전기작에 비해 약 74%~78%정도였다. 5. 찰옥수수 2기작 재배는 파종 후 수확까지의 생육기간은 전기작에 비해 짧았으나, 출사 후 수확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오히려 길어졌다.
        258.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개발된 직파재배의 일종인 무논점파는 무논점파기(8조식, 15×28cm , 주당 5~8립)를 이용하여 파종하므로 이앙재배의 재식거리와 유사한 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벼 무논점파재배의 생육 및 출수특성과 출수일변동에 따른 등숙율과 완전립율의 변이를 알아보고자 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논포장(수원)에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동안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1. 무논점파는 입모수는 기계이앙의 재식밀도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분얼수가 많아 최고분얼기에 단위면적당 경수는 기계이앙의 1.3~2배였다. 최고분얼기 이후 분얼수는 감소해 성숙기 이삭수는 기계이앙과 큰 차이가 없었다. 2. 무논점파의 출수전 생육일수는 운광벼 84일, 호품벼 98일로 기계이앙의 파종일로부터 14일, 19일의 재배기간이 단축되었다. 3. 무논점파의 성숙기 생육특성은 간장과 수장 및 면적당 이삭수는 기계이앙과 차이가 없었다.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수당립수는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4. 출수기는 무논점파가 이앙보다 운광벼는 9일, 호품벼는 3일 늦어졌는데 호품벼의 연차간 변이가 작았다. 호품벼는 출수기간이 기계이앙보다 2일 짧아 동시출수율이 높았다. 4. 무논점파재배시 출수일변이에 따른 등숙율과 현미완 전립율은 기계이앙과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생종인 운광벼보다 중만생종인 호품벼의 연차간 변이가 적어 무논점파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59.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een manure crops play an inportant role in organic farming.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paddy soi1 (fine loamy, mixed, nonacid, mesic family of Aeric Fluvaquentíc Endoquepts) ín 2008/2009 to 2009/2010 at the Natíonallnstí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Suwon, Gyeonggí provínce, Korea. This expe꺼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biomass of haíry vetch (Vicia víllosa) and growth of rice (Oryza satíva) by cjífferent seedíng rates. Seeding rates of hairy vetch consisted of 30, 60, and 90 kg ha-' by broadcasting before rice harvesting. The biomass af)d nitrogen production of hairy vet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60 kg ha-’ and 90 kg ha-’ of seeding rates. Also, rice yield was not siginicantly differnt between seeding rate 60 kg ha-’ of hairy vetch and conventional pratice for two years. Therefore, we suggested that seeding rate of hairy vetch should be reduced by continuous cropping and incoportion of hairy vetch under rice-based cropping system.
        260.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담'은 중부지방 적응 중생 직파적성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SR19200-HB826-34와 '주안벼'를 인공교배하여 2003년에 SR22320-3-4-1-2-1을 '수원498호'로 계통명을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6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청담'으로 명명하였는바, 그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청담'의 평균출수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