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91

        264.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ncentrates on analyzing the realiti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Nor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e North drew all of their policies out of Karl Marx’s and Nikolai Lenin’s socialistic ideology.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has been one of the policies to fulfill Marx’s ideology which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juche ideology in 1970 replaced the child nurture education ideology. North Korea’s child nurture education ideology can be classified as first, growing the child into a revolutionary juche type person. Second, make them recognize Kim Il Sung as the only leader for the juche ideology. Third, educate them to be guardians for the revolution of communism. And finally, it can be classified as the liberation of the female from children fostering and family duties. After the death of their chief Kim Il Sung in 1994, their system changed by focusing on Kim Jung Il. During 1999, in which North Korean law and ordinances experienced fast changes, the 1976 enac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underwent additions and rectifications. Looking at North Kor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ose changes, children now are receiving collectively nurture educatio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day nursing centers and Kindergarten, if early at age of 1 month.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nses are all covered by the government and society. The basic idea of the preschool system is to raise them strong and implant a communistic mind early on. In North Korea children age 1 month to 3 years old receive nurture education at the day nursing center, and children of age 4 years to 5 years receive their education at the Kindergarten. They maintain a same age grouping system. Especially in Kindergarten the preschool education of the higher classes are regarded as compulsive education. North Kor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a lot to do with the woman’s liberation of household responsibilities. 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the childcare institutions is divided regarding women employment patterns. Thus, there are childcare institutions in which they can entrust their child for one day, one week, 10 days, or even for one month. The purpose of North Kor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to prepare the ground for the school education in which the main focus is on ideology. Particularly in 1995, after Kim Il Sung’s death, they published an education guide with the title ‘Children have to be well educated from early on’and thereby enforced ideology education for children. It appeared that the main context about the ideology education is based on stories about Kim Il Sung’s and Kim Jung Il’s childhood. According to the principal of North Korea’s educational constitution they enforce intellectual education, culture of aesthetic sentiments and physical education to create an overall developed communistic being which has combined aspects of revolutionary-, working class conversions and virtue and knowledge. In terms of intellectual education in which classes are focused on the teacher, nowadays tend to practice more active participation methods which involve singing and observations, most of the class material is still about Kim Il Sung and Kim Jung Il. An efficient way to transmit educational context is to make them aware, classify them into age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ssuring a unified way of teaching, and so on. The training for new teachers of formal school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falls to the obligation of each province. Thus, every district has the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to educate new teachers or caretakers of the day nursing center and Kindergarten through formal school education channels. In case of shortage of teachers and caretakers they use informal school education channels to supply of those. Furthermore present teachers are required to take re-education classes to provide for excellent performance. This re-education is exists to extend the teachers pragmatic political abilities and to put emphasized meaning on the revolutionary worldview.
        7,700원
        267.
        2006.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indoor air quality and to characterize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s followed by human activities in preschool classrooms. Concentrations of PM10, PM2.5, and PM1 were measured every 5-minute intervals by means of a dust monitor adopting the principle of light scattering. Two mini-volume air samplers were used further to measure the I/O concentration ratio of PM10 and to calibrate the dust monitor since the photometric method often exaggerates the mass of fine particles. The calibration factor in the study environment was determined as 0.64. In the preschool classrooms, the ranges of average indoor PM10, PM2.5, and PM1 concentrations were 51.5~117.6, 21.5~98.4, and 16.2~84.5 ㎍/ ㎥, respectively, while that of I/O concentration ratio was 0.8~1.3. Based on correlation analysis among various environmental parameters, PM1 was slightly correlated with humidity (r=0.416, p<0.01). However, outdoor PM10 was strongly related with indoor PM2.5 (r=0.95, p<0.01), with PM1 (r=0.94, p<0.01), and with PM10 (r=0.84, p<0.01). The trend of PM2.5 and PM1 concentrations appeared to be very similar unlike the case of PM10. Since the elevated coarse particle concentration (2.5㎛<dp<10㎛) and the average PM2.5/PM10 ratio were highly dependent on classroom activities, the parameter of PM2.5/PM10 ratio was intensively studied with 7 different indoor activities in the preschool classrooms.
        4,300원
        269.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한자교육에 관한 사회적 관심은 가히 폭발적이라 할 수 있다. 한자 교육의 붐은 유아단계에까지 확대되어 여러 학습지 회사들이 경쟁적으로 유아 한자 교재를 제작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유아기 한자 교육의 성격 목표 원리를 시론적(試論的)으로 규정하여 유아 한자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유아 한자 교재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현행 유아 한자 교육의 문제점을 적시(摘示)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유아는 한자 교육을 통해 어휘력과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고 성인이 될 때까지 한자를 사용하는 과정을 즐겁게 여기게 되며, 지능 계발과 인성 함양 및 인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다양한 기초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유아 한자 교육의 원리는 학습자, 교수 학습 내용, 교수 학습 방법과 한자 읽기 쓰기 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학습자에 관하여는 동기 유발의 원리, 개인차 고려의 원리, 자발학습의 원리를 들 수 있다. 교수 학습 내용으로는 자종 선정의 원리와 학습한자 배열의 원리를 살펴 볼 수 있으며 교수 학습 방법으로는 구체성의 원리, 계속성의 원리, 다감각 기관 사용의 원리, 통합적 활동의 원리, 친한자 환경 조성의 원리가 강조된다. 마지막으로 한자 읽기 지도의 원리와 쓰기 지도의 원리를 살펴보았다. 유아 한자 교재 중 9종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 대상자의 연령을 폭넓게 설정하고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교재의 단순 반복이나 학습량으로 개인차를 조정하였으며 25주에서 많게는 84주의 기간에 약 50개~200개의 한자를 학습하도록 하였다. 학습한자는 한자능력검정시험에 출제되는 한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교수 방법으로는 주로 시각적 기법을 사용하였으나, 노래나 챈트 등의 청각적 기법과 미술, 놀이 활동을 활용하기도 하였다. 한자 읽기 학습은 대부분의 교재가 동화나 짧은 글을 통해 한자를 제시하였고, 쓰기는 대체로 약 3~4회 정도 제시하였으나 20회 이상 제시한 교재도 있었다. 유아 한자 교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를 지적할 수 있다. 학습자 면에서는 학습 대상자의 설정이 모호하고 개인차를 고려한 다양한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교수학습 내용 면에서는 학습 한자 선정 시 한자능력검정시험의 출제 한자를 적극 수용하였고 한자어를 지도하는 방법이 유아의 발달단계에 맞지 않거나 학습량이 과도한 교재도 있었다. 교수학습 방법 면에서는 외우고 쓰기의 기계적 반복 학습에 치우치고 있으며 교재 구성체제가 정형화되어 있으며 입체적이고 통합적인 다양한 활동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유아 한자 교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수용해야 한다. 학습자 면에서는 획일화된 프로그램을 지양하고, 아동의 흥미와 개인차를 고려하여 교재와 학습 프로그램을 세분화하여야 한다. 교수학습 내용 면에서는 유아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한자를 선정배열하여야 하며 한자어 지도는 한자어가 사용되는 생활 속의 문장 제시를 통해 의미 있는 한자어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고 유아가 학습에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학습량을 조절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습 방법 면에서는 읽고 쓰기의 기계적 반복학습을 지양하고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자기 의사 표현활동이 이루어지는 한자 읽기쓰기 지도가 되어야 한다. 유아 한자 교재는 유아의 발달단계나 개인차를 고려하여 다양한 학습 방법을 사용하고 입체적 통합적 활동으로 구성해야 한다.
        11,400원
        270.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아동의 조기 중재를 위해 개발한 인터넷 재활상담의 효율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2000년부터 2004년까지 홈페이지(www.ddchild.com) 질문게시판을 이용하여 인터넷 재활상담을 요청한 997명의 상담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 4년 동안 인터넷 상담을 이용한 받은 997명 중 88%는 장애아의 부모였고, 상담을 의뢰한 아동은 1-6세의 아동이 전체의 84%였고, 1세 이하의 아동이 12%였다. 상담을 의뢰한 아동의 74%는 이미 발달지연, 자폐, 정신지체, 언어장애 등의 진단명을 받은 상태였고, 29%의 아동은 진단명을 받지 않은 고위험군에 속하는 아동군이었다. 이용자가 원하는 치료와 교육을 원하는 서비스 영역은 언어치료(25%), 행동수정(22%), 운동치료(18%), 사회성 훈련(15%), 학교진학(8%)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에 의해서 상담서비스가 이루어진 영역은 행동수정(35%), 감각통합(34%), 언어치료/교육(12%), 물리치료(12%), 학교진학 상담(9%) 순이었다. 결론 : 인터넷을 통한 장애아동 조기발견, 조기치료와 교육상담은 조기교육 현장을 대체하는 저비용/고효율의 사회안전망 역할수행이 가능함을 이 연구에서 보여주고 있다. 이용자의 대부분이 부모이고, 장애아동 뿐만 아니라 비장애 아동 부모의 참여도 높아 고위험군 아동의 조기발견/조기개입을 통해 장애 예방에도 인터넷 재활상담의 역할이 크게 기대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인터넷망이 잘 구축되어 있어 부모들이 인터넷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신분노출이나 금전적 부담 없이 원하는 상담과 정보를 지원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인터넷 재활상담은 장애아동 조기교육에 대한 사회안전망이 미흡한 국내에서는 장애 영유아 조기교육을 위한 공교육 대안으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해볼 가치가 있겠다.
        4,000원
        271.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성마비가 아닌 발달장애로 진단된 아동을 대상으로 GMFM과 BSID-Ⅱ 평가를 각각 실시한 후 GMFM이 BSID-Ⅱ의 하위 항목들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발달장애 아동의 평가도구로써 활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인하대학부속병원 재활의학과에서 뇌성마비 이외의 발달장애로 진단받은 만 3세 이하의 아동 26명을 대상으로 GMFM과 BSID-Ⅱ를 평가하였다.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라 조산의 유무, 출생시 체중, 역연령에 따라 구분한 후 각 집단간 차이 및 두 평가도구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 발달장애 아동 26명 중 조산의 유무와 출생시 체중에 따라 각 집단간 GMFM, BSID-Ⅱ 정신척도, BSID-Ⅱ 운동척도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정연령에 따른 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또한 집단간 GMFM과 BSID-Ⅱ 정신척도는 조산아(r=0.68), 만숙아(r=0.67), 저체중아(r=0.63), 평균체중아(r=0.72)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GMFM과 BSID-Ⅱ 운동척도도 조산아(r=0.57), 만숙아(r=0.89), 저체중아(r=0.65), 평균체중아(r=0.90)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체 아동의 GMFM과 BSID-Ⅱ 정신척도의 상관계수는 0.71, GMFM과 BSID-Ⅱ 운동척도의 상관계수는 0.84로 관계가 있었으며, 교정연령 상 하위집단에서 0.56-0.85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발달장애 아동의 GMFM과 BSID-Ⅱ의 평가 결과는 모두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기능을 평가하는데 있어 GMFM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72.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73.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evaluate food menus after investigating eating behaviors and food preferences of preschool children. Parents of the preschool children In 2 Gumi City day-care centers completed questionnaires in July 2003, which were used to assess eating behaviors and food preferences of their preschool children.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menus. Menus (n=10) were developed for five different categories (two menus were developed for each category) including general menu, unbalanced menu, anemia menu, obese menu, and traditional menu. The preschool children(n=656) evaluated the menus as they were provided with each them throughout October 2003. The five score scale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aste, smell, looks, texture and general preference of each menu. Results in eating behaviors showed that 70.7% of preschool children had unbalanced eating behaviors. No gender based differences in eating behaviors were found, but in regard to food preferences boys tended to prefer carbonated drinks more than girls.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all menus, fruit ranked highest (3.97±0.65) for food preference, and vegetables ranked lowest for food preference (2.46±0.68). Food preference in regard to cooking process indicated the highest preference was for fried foods (3.80±0.68) and the lowest preference was for raw vegetables (2.61±1.27) and namul (2.85±1.13). Preference for taste ranked the highest (4.30±0.91) but preference for looks recorded the lowest (3.95±0.89). Of all the foods in the menus, steamed tofu rated the highest for individual food item preference, while tuna sesame leaf rice rated the lowest preference. Statistical analysis of interrelationships among food taste, smell, looks, texture and general preference were significant (p〈0.0l).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various factors including food taste, smell, looks, and texture influence the food preferences of preschool childre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by developing a variety of appetizing menus for use at home and in day-care centers, containing varied food items and cooking methods, preschool children will be encouraged to increase their food preferences and to establish appropriate eating behaviors.
        4,600원
        275.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the Ministry of Education's policy,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has been widely conducted among private kindergartens and in private English Education agencies. Although there are a great number of English teachers who are teaching English to young children, few research has been done about their working condition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orking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to determine the problems that they are facing in the education field, and to find out the possible solutions to improve their working conditions. Sixty-seven teachers answered the surve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done. This research found that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attracting children's attention when they teach English in the classroom, and in developing appropriate teaching techniques. It also found that their working conditions were not good enough to keep them doing this job. In spite of poor conditions, they are proud to be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wished to have a medical insurance, a secured income, and to be free from extra teaching activities, such as textbooks sales and collecting monthly fees. They would like to have an opportunity to learn new teaching techniques through in-service teacher training. They also insisted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face the current situation by giving them a chance to become certified teachers.
        5,700원
        276.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valuate the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eding and atopic dermatitis of infan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eeding method of atopic dermatitis infant was composed of breast feeding 26.9%, bottle feeding 50.9%, and mixed feeding 22.2%. 95.3% of the subjects recognized mother's meal during breast feeding were transmitted to infant, but 30.8% of breast feeding restricted their foods. Weaning food was recognized as a nutritional supplement primarily. 61.5% of the subjects perceived the relation between food and atopic dermatitis and 58.8% of the subject perceived atopic dermatitis infants will be cured by growing. 39.9%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special food developed and made worse atopic dermatitis in their infants. Egg, mackerel, milk, pork, chicken scored high as doubtful food related with atopic dermatiti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food that develop atopic dermatitis symtoms and make guidelines for diet therapy for the infants with atopic dermatitis.
        4,000원
        277.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영양 지식과 태도는 영아기 영양관리와 건강에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되어 수유와 이유를 실시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영유아기 섭식에 관한 영양지식 정도와 태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종단적으로 아기의 성장에 맞는 섭식 관리에 대한 영양 교육을 실시한 후 부모의 영양 지식과 태도의 변화 및 이에 다른 수유와 이유 과정의 진행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영유아기의 올바른 섭식 관리의 지침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이를 위해 임신 후반의 특정 질환이 없는 임신부중 정상적인 재태 기간과 정상 분만을 한 88명의 어머니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54명은 교육군, 34명은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임신 말부터 생후 12개월까지 6회의 영양교육과 5차에 걸친 설문조사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 사항은 교육군와 대조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즉 영아의 출생시 평균 체중과 신장은 3.32kg과 50.95cm로 한국 소아 신체발육치와 비슷하였으며, 어머니의 평균 연령은 28.8세, 학력은 고졸 35.2%, 대졸 64.5%였다. 직업을 갖고 있는 경우는 교육군 14.5%, 대조군 19.3%로 큰 차이가 없었다. 이유지식은 교육전 10점중 대조군 7.33±0.92점, 교육군 7.54±1.03점이었다. 이유시기에 관해서는 낮은 점수를, 이유식을 먹이는 방법에 있어서는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그룹간 차이는 없었다. 반면 교육후에는 10점중 대조군 8.33점, 교육군 9.06점으로 교육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p〈0.05). 교육 후 이유태도는 5점중 교육군 3.74±0.36, 대조군 3.52±0.35로 교육군이 바람직한 태도를 보여주었다. 특히, 선식이용과 소금.설탕 이용, 이유식을 조제분유와 섞어 먹이는 것에 대해서는 교육군이 대조군보다 바람직한 태도를 나타내었다(p〈0.05). 이유식 먹이기에 있어서 교육군이 대조군보다 스푼을 이용해서 떠 먹이는 것을 많이 실시하고 있었고 6개월 때 떠먹는 정도 또한 교육군에서 좋았다. 설탕이용 및 시판이유식의 이용은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또한 9~12개월 때 이유식 섭취빈도는 시판 우유 및 조제유를 포함한 '우유.유제품'과 '과자류'의 이용에서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했다(p〈0.05). 특히 시판우유의 이용이 대조군에서 월등히 많았다(p〈0.01).이상에서와 같이 영양교육에 따른 두 그룹을 비교해본 결과 이유기 영양에 관한 교육에 따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특히 교육군에서 이유식을 먹이는 방법, 식품의 선택이 보다 바람직하게 제시되어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실시는 아기의 바람직한 식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이유식을 통한 다양한 식품의 경험 및 식품 섭취방법 등을 연습하는 과정을 통해 앞으로의 식생활 및 성장 발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영유아의 성장발달에 따른 적절한 영양교육의 실시가 보다 체계적으로 활성화 되어야 하겠으며 이를 위해 실제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내용, 방법 및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4,500원
        278.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selected supplementary vegetable resources to develpe nutritious supplementary model of korean formula for infants and children, purchased and analyzed it to use with a model. We also referred to an old book about Korean vegetable resources and searched a form of vegetable resources. There are a lot of vegetable resources of various kinds which lied scattered in mountains and fields of our country. As for these, a beyond compare menstruation activity component is becoming clear with a lot of things. It is thought that depth search and study of these vegetable resources and practical application to a infant and child supplemen is desirable. Therefore, we choosed vegetable resources ; a Capsella brusapastoris, a Codonopsis lanceolata, Dandelion, a wild plant, a Tractylis ovata(dried), a Tractylis ovata(native), a Pine plant, a burdock, a JanDae, a Plantain, a HollpDae, which gathered in our country, and we analyzied priximate aomposition of sample (moisture, ash, total carbohydrate, crude fat, crude protein, dietary fiber) and micronutrient contents of sample (calcium, Iron, flavonoids, vitamin A, vitamin C, vitamin E).
        4,000원
        279.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 지역의 단감원에서 2000­2001년에 수은유아등과 2001년에 갈색날개노린재의 집합페로몬(methyl (E, E, Z)-2, 4, 6-decatrienoate)) 트랩을 이용하여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stali)와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유아등 조사결과 썩덩나무노린재는 6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8월 상ㆍ중순이 최성기이었다. 갈색날개노린재는 썩덩나무노린재와는 달리 유살 최성기가 뚜렷하지 않았는데, 主 유인시기는 2개년 모두 7월 중순­8월 하순이었다. 두 종 모두 9월 이후에는 거의 유살되지 않았다. 집합페로몬 트랩에 의한 유살 양상은 유아등에 의한 유살양상과 달랐다. 집합페로몬 트랩조사 결과, 두 종 모두 5월 중순부터 8월 하순까지 꾸준히 유인되었다. 썩덩나무노린재는 유인수가 적어 주 발생시기가 뚜렷하지 않았고, 갈색날개노린재는 지역에 따라 6월 하순부터 8월 하순 사이에 많이 유살되었다. 갈색날개노린재는 수은유아등 보다는 집합페로몬 트랩에, 썩덩나무노린재는 수은유아등에 더 많이 유인되었다. 또한 집합페로몬 트랩에는 두 종 모두 수컷보다 암컷이 더 많이 유인되었다. 두 종류의 트랩에 의한 유살소장 차이의 원인을 탄닌함량과 연관지어 고찰하였다.
        4,000원
        280.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논에 설치한 유아등에 채집되는 멸구류를 비전문가들도 쉽게 동정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서 운영할 수 있는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검색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정확성 검정을 위해 곤충 동정 경험이 없는 1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흰등멸구의 동정 정확성은 56%에서 83%로 증가하였고, 애멸구의 동정 정확성은 47%에서 80%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벼 멸구의 동정 효율을 높이는데는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