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0

        28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has a purpose of suggesting the basic data to achieve customer satisfaction by understanding the preference of each type of restaurant industry for the taste of customers in 20’s referring to 8 images. In the preference for style of image in dining space,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prefer natural, modern and romantic image, and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preferred natural imag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prefer natural, romantic and modern in sequence as their general preference for style of image in dining space, and male participants preferred modern and natural but female participants preferred romantic and natural. The survey that was conducted for different menus has suggested that the reasonable image for fast food is casual, hard casual and classic for hotel restaurant, casual for school restaurant, romantic for cafe, casual for western restaurant, simple for Japanese restaurant, classic and elegance for Chinese restaurant and natural for Korean restaura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dining space image, factor 1 are called ‘cold image (CI)’ as they have simple and modern image, factor 2 are called ‘soft image (SI)’ as they have natural and romantic image, factor 3 are called ‘warm image (WI)’ as they have casual and elegance image and factor 4 are called ‘hard image (HI)’ as they have classic image.
        4,000원
        28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 to identify preference of main and side dishes of 681 children who lived in Seoul and Gyoung-gi (Incheon) in 2007. To accomplish this, we divided the children into three age groups, an infancy group (below 6 years of age), a middle years group (between 7 and 12 years of age) and a juvenile group (above 12 years of age). Specifically, 145 children were in the infancy group (boys 68, girls 77), 300 children were in middle years group (boys 138, girls 162) and 236 children were in juveniles group (boys 131, girls 105). The average body mass index (BMI) of the parents of the respondents appeared to be normal, and the majority of the parents had bachelor degrees. Across all age groups, most fathers were office workers and most mothers were housewives. The preference for staple foods showed that the infancy group and the middle years group preferred rice the most, while the juvenile group preferred stir-fried rice the most out of 5 grain items. Evaluation of the preference for different types of noodles showed that both boys and girls from the infancy group preferred jajangmyun, while those in the middle years group and the juvenile group preferred spaghetti. For breads, both boys and girls from the infancy group had the highest preference for cake, while boys and girls in the middle years group and boys in the juvenile group preferred pizza the most, and girls from juvenile group preferred cake the most. Evaluation of the preference for soups and pot stew revealed that both boys and girls in the infancy group preferred seaweed soup, while boys from middle years group preferred seol-long-tang and girls from middle years group preferred seaweed soup. Boys and girls from the juvenile group preferred seol-long-tang the most. For hard-boiled foods and stir-fried foods, members of all age groups preferred beef boiled in soy sauce the most and hard-boiled peppers the least. Finally, comparison of the preference for roasted foods, seasoned vegetables and kimchi revealed that the infancy group preferred roasted seaweed the most and that both the middle years and juvenile group had the greatest preference for roasted galbi.
        4,000원
        28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보통신의 발달로 날로 소형화되고 있는 정보기기들의 디스플레이는 평판화를 통해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현장감과 몰입감의 증진을 위해 고감도의 그래픽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실험기기에 대해서는 아직 인터페이스나 디스플레이 GUI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약하고, 전체적인 제품의 외관 디자인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정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기기와 이의 주사용자인 과학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험기기 컨트롤러 디스플레이 GUI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해 보았다. 그래픽 기반의 디스플레이 GUI와 텍스트 기반의 디스플레이 GUI에 대하여 동일한 태스크를 수행한 후 태스크 수행시간 및 오류 횟수 등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과학자들이 어떤 디스플레이 GUI 디자인을 더 선호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과학자들은 텍스트 기반의 디스플레이 GUI에서 더 높은 수행도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선호도 비교에서는 그래픽 기반의 디스플레이 GUI 디자인을 약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8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류가 식물 열매의 성숙도와 크기에 따라 어떻게 선택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육 중인 3종의 새에게 성숙도와 크기가 다른 식물 3종의 열매를 주어 그 먹는 양을 계수하고, 다변량통계로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새는 금계(Chrysolophus pictus, 꿩과), 양비둘기(Columba rupestris, 비둘기과)와 자바공작 (Pavo muticus, 꿩과)이고, 열매는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장미과), 뜰보리수나무 (Elaea
        4,000원
        286.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주요 복분자 산지인 고창, 정읍, 횡성, 순창산 복분자로 복분자주를 제조하여 제조 복분자주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과 기호도 조사를 통해 산지별 차이를 파악하였다. 복분자주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phenylethyl alcohol, isoamyl alcohol, diethyl succinate, isobutyl alcohol, acetic acid, octanoic acid, benzoic acid, α-terpineol, myrtenol, pcymene-8-ol이 동정되었고 특히 적포도주에 비해 terpene류가 많이 검출되어 복분자주의 odor-active compounds를 분석하기 위해 gas-chromatography-olfactometry를 포함한 다양한 향기성분 분석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Ester류는 횡성산과 정읍산 복분자주에서 많이 검출되었고 alcohol과 acid류도 횡성산에서 가장 많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Terpene류는 정읍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차후 이들 시료에 대한 묘사분석을 통해 향기성분과의 상관관계 분석이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제조 복분자주에서 고창, 순창, 횡성, 정읍순으로 나타났고 특히 횡성과 정읍 시료의 경우 단맛은 약하고 신맛은 너무 강한 것으로 나타나 당산비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287.
        200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tends to search factor affecting the selection of financial products by analyzing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individual financial products whose recognition of importance in the property of financial products in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operty of investors.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is used to test the priority model. The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how the model helps providing better decision choices in financial products.
        4,200원
        288.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두루미류 취식무리의 미소 취식지 선호에 대한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철원지역에서 월동기인 2005년 12월에서 2006년 2월, 2007년 1월에서 2월까지 총 12회 실시하였다. 두루미와 재두루미가 먹이로 하는 쌀 낙곡의 밀도는 논의 중앙보다 가장자리에 많았다. 하지만, 두루미류는 논의 중앙보다는 논둑 인근 지역을 취식장소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상대적으로 재두루미는 두루미에 비하여 논의 중앙 지역을 취식장소로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두루미의 경우 논둑이 높고 논둑 식생의 높이가 높은 경우와 논둑 높이와 식생의 높이를 합한 높이가 높은 경우를 취식위치로 선호하였다. 재두루미는 논둑, 식생, 논둑과 식생의 높이 합이 키에 비하여 높은 경우를 선호하지 않았다. 또한, 두루미와 재두루미에서 모두 은폐지역에서 취식하는 비율이 날씨요인과 관계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두루미류가 개방된 취식지(수평가시권이 넓은 지역)를 선호한다는 기존 가설과는 달리 은폐된 취식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간의 비교에서는 두루미가 재두루미에 비하여 은폐된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리크기별 은폐지역과 비은폐지역 취식비율은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무리크기를 고려하지 않은 취식비율과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두루미가 은폐지역을 선호하고 재두루미가 은폐지역에 상관없이 취식지를 선택하는 경향은 취식무리의 크기에 좌우되지 않는 종 특이적인 성향을 보였다.
        4,500원
        289.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host preference, survivorship and feeding behavior using EPG against ggot-mae-mi, Lycorma delicatula against seven plants such as Ailanthus altissima, Vitis vinifera, Malus pumila, Pyrus calleryana, Hibiscus syriacus, and Pinus densiflora. In host preference. L. delicatula was most preferred the Ailanthus altissima, Vitis vinifera and was not preferred the other plants. Survival rate of 3rd Nymph was recorded from Ailanthus altissima, Vitis vinifera as 15.0, and 15.4 days, respectively, it showed longest period. However, Malus pumila, Pyrus calleryana, Hibiscus syriacus, were survived within 6 days and Pinus densiflora was within 5 days. Moreover, L. delicatula was survived within 2 days to the three kinds of fruits. Ecdysis rate from 3rd to 4th nymph also high from Ailanthus altissima, Vitis vinifera as 63.3, 63.0 % and the order was followed as Malus pumila(17.7%) > Pyrus calleryana(9.3%) > Hibiscus syriacus(7.8%) > Pinus densiflora(5.9%). Especially, ecdysis rate was recorded 0% to the three kinds of fruits. Feeding behavior was analyzed using EPG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their waveform from seven kinds of plants and three kinds of fruits. Non-probing time was short in host plants, reversely, Phloem-feeding time was recorded longer in Ailanthus altissima, Vitis vinifera as 45.7 and 13.7 min, respectively. And other plants and fruits were not showed feeding behavior.
        290.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less certain limitation is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job type will be inevitable in the future because of development of industry, adaptation on speedy life style, and leisure oriented nuclear family style. In this paper, a prospective model of supply and demand of work force has been developed basing on various categories of industries and patterns about employees to look over efficient supply and demand of work force suiting employment of work force policies. In this paper, after Analyzing job preference, we have noticed a more stable job system and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over the existing job system.
        4,000원
        291.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가 간 문화의 차이에 의하여 생활습관이나 방식이 많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중에서도 음식은 다른 분야보다 많은 차이를 나타난다. 특히 음식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음식도구 중 디자인요소가 동일하고 유사한 것이 있거나 다른 요소와 기능을 갖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각 국가 간의 음식도구를 유니버설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식에 대한 행동분석프로세스를 개발하여 국가 간 음식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식도구의 디자인요소를 창의성의 관점에서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과 내용으로는 첫째, 음식에 대한 소비자행동분석 프로세스의 개발 및 관찰을 통하여 행동분석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행동분석을 접목하여 음식행동분석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둘째로, 개발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국가 간 음식의 주문부터 평가까지의 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나타난 현상에 대한 문제점 파악 및 이에 대한 결과물을 각 국가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식도구에 대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셋째, 국가별 개발된 디자인 안을 대상으로 선호도,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통하여 국가별 선호요소와 창의성평가요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지는 효과는 개발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국가별, 음식별, 행동별, 식당형태별로 비교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고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음식도구 디자인에 이용할 수 있으며 국가 간 동일 아이템을 디자인 교육시간에 진행시켜 대학의 디자인교육의 비교를 통하여 상호간에 협력과 상호보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 아이디어 전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4,000원
        29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마케팅 분야에서 기업 이미지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런데 기업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마크 중 로고타입은 심볼마크와 로고마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로고타입은 심볼마크와 함께 기업의 개성과 특성을 함축적으로 나타내는 것이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형태에 의한 이미지 표현이 중요시되며, 따라서 시각디자인의 조형적인 측면이 중요하게 고찰되어야 한다. 그런데 로고타입과 로고마크에 관한 조형적 측면에서의 연구, 특히 글꼴의 형태와 이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한글 로고타입의 시각적인 형태와, 기업에 따라 선호되는 로고타입의 형태에 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기업의 업종에 따라 선호되는 로고타입의 형태요소에 차이가 있었는데, 건설회사 로고타입에서는 돋음체 계열의 몸통에 줄기 굵음, 돌기 없음, 사선형 맺음, 직선곡선형 맺음이 선호되고, 은행의 로고타입에서는 돋음체 계열의 몸통에 돌기 없음, 사선형 맺음, 한쪽곡선형 돌기, 줄기는 중간이 선호되며, 연구소의 로고타입에서는 돋음체 계열의 몸통에 사선형 맺음, 줄기 굵음, 직선형 돌기가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회사, 은행, 연구소의 로고타입 형태에 공통적으로 적용해야 할 요소는 사선형 맺음으로 나타났고, 곡선형 맺음과 줄기 얇음은 피해야 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돌기, 맺음, 굴림은 기업의 업종에 따라 다르게 적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293.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cherry tomato plant cultivars (Lycopersicon esculentum Miller, cultivars ‘Koko’ and ‘Pepe’) were supplied with high (395 ppm), medium (266 ppm) and low (199 ppm) concentrations of nitrogen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development, cultivar preference and honeydew production by greenhouse whiteflies,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 (Hemiptera: Aleyrodidae). The nitrogen, protein, andchlorophyll content of tomato leaves were higher in the high nitrogen supplied plants than in the medium or low nitrogen supplied plants, but the sugar content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The developmental times of eggsand nymphs decreased as the nitrogen concentrations increased in both cultivars. The preference of T. vaporariorum was compared by counting the number of eggs deposited on leaves in choice and non-choice tests. In the non-choice test, no significant nitrogen treatment effects were observedbut the upper plant stratum was preferred for egg laying. In the choice test,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of cultivar and nitrogen concentration. T. vaporariorum laid eggs more on leaves of plants with higher nitrogen at the upper stratum. In both experiments, T, vaporariorum preferred the ‘Koko’ cultivar to the ‘Pepe’ cultivar. The honeydew production of T. vaporariorum nymphs increased with decreasing nitrogen treatment concentrations. The largest honeydew production was detected in the ‘Pepe’ cultivar grown at low nitrogen concentration. It is concluded that cultivar ‘Pepe’ had an advantage over ‘Koko’ in term of T. vaporariorum management program in tomato greenhouses.
        295.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egetable eating behaviors an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ke. The subjects consisted of 191 fourth and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Gyeonggi province. The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ke wa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precontemplation (PC, 18.4%), preparation (P, 43.5%), and action/maintenance (A&M, 48.2%). The trend to eat a variety of foods was more distinctive as the students went from the PC to the A&M stage. The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ke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kimchi-eating pattern of the students. The A&M group ate more vegetables than the PC group because they liked vegetables and/or wanted to prevent disease. The PC group had a lower tendency to follow recommendations for vegetable eating than the P and A&M groups. The PC group also had an incorrect notion that low vegetable consumption over an extended time would not have a big impact on their health. The vegetables of high preference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otato, sweet potato, lettuce, radish, perilla leaf, cucumber, and cabbage. The vegetables of low preference were spinach, onion, balloon flower, and green pepper. The PC group had lower preferences for most vegetables than the P and A&M groups. Therefore, careful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especially for students in the PC group in order to explain the positive effects of vegetable intake and negative effects of an unbalanced diet. It is also necessary to survey students' tastes consistently and to develop recipes that encourage them to consume more vegetables agreeably.
        4,000원
        296.
        2009.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preference of consumers on mobile devices. Preference analysis was performed on five major brands with five aspects such as commercial image, price, design, function and dur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manufactures of mobile devices.
        3,000원
        297.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ve preference for hot & spicy sauces using conjoint analysis, with focus on English consumer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we were able to derive a standard with the best sauce attributes. The respondent group was selected from the CCFRA's customer database. The qualification criteria for inclusion in the sample were: the primary grocery shopper in the household, a consumer of a range of home cooked oriental & far eastern cuisines, enjoyed hot & spicy chili-based foods, and willing to buy hot chili-based oriental sauces. A total of 676 respondents completed the survey in which 76% were women, and all respondents were between the ages of 18 and 65 years. An online survey method was used and a conjoint analysis was adopted. In conjoint analysis, a product is described as a combination of a set of attribute levels, where a utility value is estimated for each attribute level. In summing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ensory property (flavor) attribute was most important, the second was brand, and the third was price. For the sensory property attribute, a mild chili sauce of blended garlic, sugar, and lime scored highest. In terms of brand, Blue Dragon was selected as the best. The lesser known Korean Kochujang brand of "Hot&Joy" scored lowest with respect to brand value. Encouraging, however, was the description based on the Hot&Joy product: a hot chili sauce blended with ginger and garlic, which held appeal across age groups and genders. In terms of price, 75p per bottle had the best score.
        4,000원
        298.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od preference and attitude according to six emotion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Also, it was studied whether the desire to food consumption was changed by each mood.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to 285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emotions. Pizza & pasta, ice cream and cake were preferred during happiness and amusement. In sadness and anger, alcohol was the most preferred food item. There was the preference of beverage, Jjigae & Baikban, ice cream and snack during relaxation. Chocolate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during depression. The taste and flavor was the main preference attributes during all emotions. The self-assessed food intake during happiness, amusement, anger and relaxation was increased but it was decreased during sadness and depression (p<0.001).
        4,000원
        299.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로봇디자인에 대한 선호 반응의 결과를 바탕으로 로봇 얼굴을 구성하는 조형요소의 조합 관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기본적인 목적이다. 아울러 분석 결과로부터 선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디자인가이드의 제시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7가지의 로봇 얼굴 사진을 실험자극으로 선정하고, 선호 반응 및 연상 반응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로봇 얼굴의 형태 보다는 눈의 형태가 선호 반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등 다양한 특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로봇 얼굴에 대한 선호반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 조형요소의 특성 도출 및 기본적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먼저, 눈의 형태는 세로의 길이가 가로 길이 보다는 긴(167%) 타원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눈 사이의 거리는 얼굴 폭의 35% 정도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눈의 위치는 얼굴의 중심축으로부터 상향에 배치하여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머리 전체의 형태는 원형을 이용한 구 타입이 바람직하다. 머리의 형태와 눈과의 조화는 로봇으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귀엽고 깜찍한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4,000원
        300.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넥타이 문양디자인 선호도와 구매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은 '유행 지향', '보수 전통지향', '과시적 브랜드 지향', '개성 지향', '실용 지향', '패션 무관심' 형으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패션 라이프스타일 요인들을 군집 분석하여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집단을 '개성 추구', '실용 & 브랜드 추구', '보수 전통 & 개성 추구', '유행 추구', '패션 무관심'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넥타이 문양 선호와 구매 의사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 지향'형은 '무지단색', '원', '페이즐리'의 넥타이 문양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꽃' 문양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 전통지향', '과시적 브랜드지향', '실용 지향'형은 '줄', '체크'의 넥타이 문양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유행 지향', '과시적 브랜드지향', '개성 지향'형은 '무지단색', '꽃', '동물'의 넥타이 문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 지향'형은 '무지단색', '꽃', '동물'의 넥타이 문양에 대한 구매 의사가 있는 반면, '실용 지향'형은 '원' 문양에 대한 구매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지향'형은 '원' 문양에 대한 선호 및 구매 의사가 동시에 있었고, '유행 지향'형 역시 '무지단색', '꽃', '동물' 문양에 대한 선호 및 구매 의사가 동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수 전통지향' 및 '과시적 브랜드 지향'형이 '줄', '체크' 문양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나, 구매 의사는 '페이즐리' 문양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선호하는 넥타이 문양과 구매하고자 하는 문양 간에 차이를 보였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