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7

        2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비자 기호에 적합한 한국형 비육돈 생산을 위해 Landrace×Yorkshire×Duroc(LYD)와 Yorkshire×Berkshire×Duroc(YBD) 삼원교잡종 돈육 등심의 육질 특성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돈 육은 생후 180일령, 생체중 110-120kg의 규격돈으로서 교잡종 별로 20두씩 임의로 선택하여 도축 후 24시간 동안 0±1℃ 예냉실에서 냉도체를 만든 후 좌도체로부터 돈육 등심 부위를 발골 및 정형하여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YBD 교잡종의 수분과 지방함량이 LYD 교잡종에 비해 높았지만, 단백질 함량의 경우 LYD 교잡종 함량이 YBD 교잡종보다 더 높았다(P<0.05). pH와 보수력의 경우 YBD 교잡종이 LYD 교잡종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가열감량의 경 우 YBD 교잡종이 LYD 교잡종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P<0.05), 전단력가의 경우 교잡종간 유의 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육색지수의 경우 L*, b* 값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a* 값의 경우 LYD 교잡종이 YBD 교잡종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따라서 삼원교잡종간 육질 특성을 비교하였을 때 YBD 교잡종 등심육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 를 통해 두가지 형태의 삼원교잡이 육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22.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잡돈의 출하일령은 약 200일 이고, 175두의 돼지를 도축하여 3개의 그룹(59 ~ 95kg, 96 ~ 110kg, 111 ~ 148kg)으로 나누어, 등심, 상완세갈래근, 대퇴두갈래근, 반막모양근의 육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콜라겐과 지방함량은 반막모양근, 대퇴두갈래근이 111 ~ 148kg 그룹에서 다름 그룹에 비 해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p<0.05), 단백질함량은 반막모양근, 대퇴두갈래근과 상완세갈래근이 111 ~ 148kg 그룹에서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등심과 반막모양근의 명도는 111 ~ 148kg 그룹에서 높게 나타내었으며(p<0.05), 적색도와 황색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다(p>0.05). pH는 등심에서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낮은 값을 나타냈었다(p<0.05). 가열감량은 등심, 반 막모양근, 대퇴두갈래근, 상완세갈래근이 111 ~ 148kg 그룹에서 보다 59 ~ 95kg 그룹에서 낮게 나타 났으며(p<0.05), 보수력은 반막모양근과 대퇴두갈래근에서 체중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p<0.05). 전단력은 등심과 상완세갈래근에서 체중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p<0.05). 등심의 지방산 분석 결 과는 96 ~ 110kg 그룹에서 oleic acid, MUFA, MUFA/SFA가 높았고(p<0.05), 111 ~ 148kg 그룹에서 trans-vaccenic acid와 SFA가 높았지만(p<0.05), UFA는 낮았다(p<0.05).등심의 관능평가는 연도와 다 즙성이 96 ~ 110kg 그룹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p<0.05).
        4,500원
        2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the practical Hanwoo (Korean native cattle) improvement system through the combining of embryo transfer technology and confirming individual Hanwoo oocyte culture system and to investigate that correlation of Hanwoo carcass classification (intramuscular marbling) and oocyte donor for blastocyst production in vitro. In case of Hanwoo, the carcass meat quality grades were divided to grade 1⁺⁺, 1⁺, 1, 2, and 3 depends on fat distribution of longest muscle cross-sectional surface. As results, the numbers of follicular oocytes collected from individual fundamentally-registered Hanwoo yielded 1⁺⁺, 1⁺, 1, 2 and 3 meat quality were 9.5, 9.4, 8.5, 8.8 and 8.8 per ovary, respectively. The numbers of retrieval oocyte from follic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ttle yield 1⁺⁺, 1⁺ meat quality than in the cattle yield 1, 2 and 3 meat quality (p<0.05). The rates of blastocyst formation were 18.2, 21.3, 29.4, 30.9, and 31.5% in the cattle yield 1⁺⁺, 1⁺, 1, 2 and 3 meat quality of after in vitro maturation, respectively.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attle yield 1⁺⁺ and 1⁺ meat quality than in the cattle yield 1, 2 and 3 meat quality (p<0.05). In order to evaluate embryos quality, TUNNEL assay was conducted for each meat quality grade using blastocyst stage embryo on day 8. The results showed that apoptosis cell number was higher tendency in the cattle yield 1⁺⁺and 1⁺ meat quality (81 and 79, respectively) than in the cattle yield 1, 2 and 3 meat quality (51, 48 and 50,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ach group. After embryo transfer, the conception rate of recipient was 53.5 (23 out of 43), 52.1 (38 out of 73) and 58.0% (58 out of 100) in the meat quality of 1, 1+ and 1++,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p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ttle yield 1 meat quality than in the cattle yield 1⁺⁺, 1⁺ , 2, and 3 meat quality (p<0.05). In summa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confirming Hanwoo individual oocyte culture system and embryo transfer technology can make good use of the genetic resources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of Hanwoo. Relevance of the meat quality grade and reproductive ability of carcasses of Hanwoo will b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effective means for the associated research with obesity and reproduction.
        4,000원
        24.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초고압과 입자도 차이에 따른 더덕의 외피와 육질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진행하였다. 외피의 경우 입자도 크기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유의 차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육질의 경우에는 입자도 크기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유의 차가 나타났다. 초고압 하에서 실시한 더덕 외피에서는 입자도간 항산화 활성의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육질에서는 초고압 처리한 압력에 따라 또한 측정한 항산화 성분에 따라 입자도 간에 유의차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시료를 구성하는 물질이 서로 다른 경도를 지니고 있어서 내부저항에 차이가 생기는 것에 기인하며 초고압 처리가 내부저항에 작용하는 정도에 따라 기인되었을 것으로 추론한다. 이 같은 결과로 더덕을 외피와 육질을 분리하지 않은 채 입자도 영향을 분석할 경우 입자의 크기가 큰 영역에 항산화도가 높은 외피가 많이 분포되어 오히려 항산화도가 높음을 관찰하였다.
        4,000원
        2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육우 송아지 출하월령(3, 6, 9, 12개월) 조건에 따른 채끝등심(m. longissimus lumborum)과 꾸리육(m. tricep brachii)의 이화학적 육질 특성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특성을 비교하여 송아지고기의 상품성을 조사해 보고자 수행하였다. 채끝등심육과 꾸리육 모두 출하월령이 증가됨에 따라 수분 함량은 감소하였던(73.20~79.23%) 반면에 단백질(19.51~23.13%) 및 지방(0.76~1.99%) 함량은 증가하였다. 육색의 경우 두 부위 모두 출하월령이 증가됨에 따라 L*값(30.62~43.81)은 감소하는 반면에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P<0.05). pH는 채끝등심육은 3개월령(5.96)이 꾸리육은 3개월(5.67) 및 6개월(5.73) 령이 다른 출하월령들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미오글로빈 함량은 채끝등심과 꾸리육 모두 출하월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5). 전단력을 측정한 경과 채끝등심육 은 3개월령(5.94 kg)과 12개월령(4.34 kg)이 6개월(9.16kg) 및 9개월령(9.57 kg)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꾸리육은 3개월령(2.83 kg)이 9개월 (4.47 kg)령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가열감량은 채끝육의 경우 출하월령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꾸리육은 다른 출하월령들 보다 12개월(28.37%)령이 낮았고 3개월(36.55%)령이 높았다(P<0.05). 한편 채끝등심과 꾸리육은 모두 12개월령이 근절길이가 길었고 보수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채끝등심육은 3개월령에 C18:2n6, C20:1n9, 총 다가불포화지방산 (PUFA), 포화지방산에 대한 다가불포화지방산의 비율(PUFA/SFA) 및 오메가-6(ω-6) 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12개월령에는 C16:1n7, C18:1n9, 총 단가불포화 지방산(MUFA), 총 포화지방산에 대한 총 단가불포화 지방산의 비율(MUFA/SFA) 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꾸리육의 경우 3개월령에 C20:1n9 함량이 높았고 12개월령에는 C14:0, C18:1n9, 총 단가불포화지방산(MUFA) 및 총 포화지방산에 대한 총 단가불포화 지방산의 비율(MUFA/SFA)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4,500원
        2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우 보증씨수소 KPN 493, 586, 614, 632, 666을 암소에게 인공 수정하여 생산된 자손 축 총 60두(5처리×12두씩/처리구당)에 대한 육질의 이화학적 특성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등심 면적 및 근내지방도는 KPN 586 자손축이 가장 우수하였으며(p<0.05), 육질의 이화학적 특성에서는 처리구 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특히 풍미와 육색의 황색도(b값)가 KPN 493이 가장 좋았다(p<0.05). 지방산중 올레인산은 KPN 493은 가장 높았다(p<0.05). 또한 각 형질별 상관관계에서, 도체중과 등심 단면적, 등심 단면적과 근내지방도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1), 보수력은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 (P<0.01). 또한 연도는 다즙성과 정(+)의 상관관계, 풍미는 다즙성, 연도 간에 정(+)의 상관관계, C18:1n9과 C20:1n9와 불포화 지방산 간에는 정(+)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4,300원
        27.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국 생균제가 비육후기 거세한우의 성장율과 육질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실시하였다. 거세한우 15두(565±17kg)를 시험구별 개시체중이 유사하도록 산국 생균제 무첨가구(CON), 농후사료의 0.2% 첨가구(LCB) 및 0.4% 첨가구(HCB)에 각 5두씩을 배치하고 150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농후사료와 조사료를 8:2의 비율로 설정하고 생체중의 약 2.5%를 오전(8시)과 오후(5시)로 나누어 급여하였다. 미네랄 블록과 음수는 자유로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양시험 종료 후에는 모든 공시동물은 도축하여 도체특성을 조사하고 등심육을 채취하여 육질분석에 이용하였다. 개시체중과 종료체중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은 산국 생균제를 급여한 모든 시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었다(p<0.05). 분 중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가스는 시험구간 차이가 없었다. 신선육 관능평가에서 등심육의 육색은 산국 생균제를 급여한 시험구가 개선되었으나(p<0.05), 등심육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기타 신선육 관능평가는 시험구간 차이가 없었다. 등심육의 지방산 조성은 산국 생균제를 급여한 시험구에서 C14:0과 C18:0 함량이 증가하였으며(p<0.05), HCB 시험구에서 C18:2n-6와 polyunsaturated fatty acid 함량은 HCB 시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비육후기 거세한우에 산국 생균제를 0.4% 수준으로 급여하는 것은 사료효율 개선, 육색 및 등심육 지방산 품질개선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8.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흑염소 사양체계 확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방목과 사사형태의 사육이 흑염소의 발육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축은 흑염소 20두를 방목구와 사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10두씩 공시하여 2012년 5월1일부터 2012년 9월30일까지 153일간 수행하였다. 일당증체량은 방목구와 사사구가 각각 50.6과 52.3 g 으로 차이가 없었고, 도체율에서도 방목구와 사사구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도체의 지방함량은 사사구가 4.83% 으로 방목구의 3.30%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1). 흑염소 고기의 조지방 함량은 사사구가 2.05%로 방목구의 1.11%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등심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C18:1) 함량이 49.27∼50.0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palmitic acid(C16:0) 함량이 23.3∼23.5%, stearic acid(C18:0) 함량이 19.3∼19.5%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방산 조성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단력은 방목구와 사사구가 각각 3.16과 3.04 ㎏/㎠ 로 방목구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3), 관능검사 결과 중 연도는 사사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8).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흑염소를 방목과 사사형태로 사육하였을 때, 생산성과 도체특성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육질과 물리적 특성에서 사사형태의 사육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고기 생산을 위해서는 사사형태로 사육하는 것이 효율적인 사양관리체계의 확립과 함께 흑염소 생산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at quality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10 cuts (loin, striploin, chuck roll, chuck tender, short plate, brisket, bottom round, top sirloin, eye of round, and top round) from quality grade 1 beef from 11 Hanwoo steers at Hanwoo Experimental Station of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The protein contents were higher in top round (Udoon) and eye of round (Hongduke) and lower in loin (Dngsim) and short plate (Abjin) when compared to the other cuts (p<0.05). Whereas the intramuscular fat contents were highest in loin (12.51%), those were lowest in top round (4.14%) (p<0.05). The calories were higher in loin and short plate and lower in top round, chuck tender (Guri), top sirloin (Bosup), eye of round, chuck roll (Moksim), and bottom round (Sulgit) (p<0.05). The cooking loss (%) was 24.38% in loin and it was lower than the other cuts (p<0.05). The bottom round had higher water holding capacity (WHC) and chuck tender had lower WHC than those in the other cuts (p<0.05). In meat color, L* values were higher in loin and lower in top round than the other cuts (p<0.05). Total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were higher in loin and lower in bottom round than the other cuts (p<0.05). In amino acid compositions, top round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cuts (p<0.05). The iron contents were higher in chuck tender and chuck roll contained higher iron contents than those of the other cuts (p<0.05). In conclusion, the meat quality and nutritional proper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10 cuts in the same quality grade of Hanwoo beef. Therefore, the provision of the meat quality and nutritional information of 10 cuts to consumers could be important for utilization and balanced consumption of different cuts.
        4,000원
        30.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온미생물인 Bacillus coagulan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탈피대두박(fermented soybean meal; FS)을 어분대체 단백질원으로서 10%, 20% 및 30% 수준별로 첨가한 배합사료를 급여하여 넙치의 성장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하였다. 사육실험은 평균체중 123 g의 넙치를 원형수조에 50마리씩 실험구별로 3반복으로 수용하면서, 대조 배합사료(control)와 실험배합사료(FS10, FS20, FS30)를 8주간 사육하였다.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 배합사료를 공급한 넙치의 등근육과 실험 배합사료를 공급한 넙치의 등근육에서 유의적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조지방 함량은 실험배합사료 FS20, FS30을 공급한 넙치 등근육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18:2n-6의 함량은 실험배합사료 FS10, FS20, FS30을 공급한 넙치 등근육에서 대조 배합사료를 공급한 넙치 등근육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든 시험구에서 넙치 등근육의 유리아미노산 중 taurine, leucine, alanine, lysine이 공통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공급한 사료에 따라 넙치 등근육의 유리아미노산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핵산관련물질 중 AMP의 함량은, FS20 및 FS30을 공급한 넙치 등근육에서 대조 배합사료를 공급한 것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험 사료조성으로 넙치 치어를 사육하였을 때 어분대체 단백질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을 어분 단백질 함량기준으로 30%까지 대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4,500원
        31.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비육돈에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가 돈육의 물리-화학적 특성, 육색, 지방산 조성 및 구성 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내고자 실시하였다. 평균 체중이 77.71±1.92 kg인 3원교잡종 ((Landrance×Yorkshire)×Duroc) 비육돈 72두를 공시하여 돈방 당 6두씩, 시험구당 3반복으로 실시하였고, 시험사료는 일반 배합사료(대조구, C)에 청보리 사일리지를 1%(T1), 2%(T2) 및 3%(T3) 첨가하여 46일간 급여하였다. 청보리 사일리지가 돈육의 특성에 미치는 결과, 등심의 조단백질 함량은 T2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았고, 등심의 육색 중 적색도는 T3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등심의 불포화 지방산 및 다가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T2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은 반면, 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등심의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alanine 및 tyrosine 함량은 T2구 및 T3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따라서 비육돈 사료에 청보리 사일리지 2%이상 급여는 등심육의 조단백질 함량과 지방산 조성 및 구성 아미노산 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청보리 사일리지 2% 급여구는 등심 중에 불포화 지방산의 조성을 높이면서 포화지방산의 조성을 낮추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32.
        201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otal of 30 Korean native pigs (gilt 15, boar 15)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by gender. The carcass weight of boa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ilts, whereas the carcass yield of gilts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boars (p<0.01). Boars had significantly higher moisture contents in loin muscle than gilts, whereas the protein contents of loin muscle had significantly higher in gilts than boars (p<0.01). In the results of meat quality analysis, the cooking loss (p<0.01), shearing force (p<0.05),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in meat color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but the pH was significantly lower (p<0.01) in gilts compared with boars. Arginine (p<0.05), alanine, aspartic acid, histid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serine, threonine and tyrosin (p<0.01) for gil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boars. The results of fatty acid composition showed that gilts had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of C16:1n7, C18:1n9, C20:1n9 (p<0.01) than boars in intramuscular fat, whereas boars had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of C18:2n6, C20:4n6 (p<0.01) and C18:3n3 (p<0.05) than gilts in intramuscular fat.
        4,000원
        3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arity on chemic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of Hanwoo cows (n=74, 2-15 years old). The beef loin and top round muscle samples were obtained and divided by 3 groups of parity numbers (G1, 0; G2, 1-3; G3, 4-9 times). Loin and top round from G1 had significantly higher intramuscular fat contents and lower protein contents than those from G3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agen contents among 3 parity groups (p>0.05). In meat color, G1 was higher in a* values for loin and higher in L* and a* values for top round muscle (p<0.05). The loin from G1 had significantly lower cooking loss (%) than G3,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er holding capacity among 3 parity groups. For top round muscle, G3 had significantly higher Warner-Bratzler shear force values and lower water holding capacity values than G1 (p<0.05). In fatty acid composition, G1 had significantly higher C18:1n7 and C18:1n9 contents for loin, and it had significantly higher C16:1n7 and C18:1n7 contents for top round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p<0.05). In free amino acid composition, alanine was highest and followed by glutamine, phenylalanine, isoleucine, proline, glycine, methionine. In conclusion, the parity conditions influenced on chemic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depending on different cut of Hanwoo cows, and the parity numbers were related with the age of cows.
        4,000원
        34.
        2012.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ovine fatty acid binding protein 4 and 5 (FABP4 and 5) is a major positional and physiological candidate gene for the bovine marbling and carcass weigh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economic traits of Korean cattle (Hanwoo) and genetic variation in fatty acid binding protein 4 and 5 (FABP4 and 5) genes within carcass/meat quality traits and the before/after of fatting in breed Hanwoo. Here, we characterized the nucleotide polymorphism of FABP4 and 5 in 86 cattle. We were detected the variability of three types (GG, AG, and AA) by PCR, and economic traits were analyzed by the mixed regression model implemented in the ASReml program. As the result of statistical and supersonic analysis, FABP4 gene was highly showed significant effect (p<0.006) on marbling score (MS), in contrast FABP5 gene was lowed (p<0.084) on MS before fatting. But, FABP4 gene was highly showed significant effect (p<0.0054) on MS, in contrast FABP5 gene lowest (p<0.0899) on MS in the after of fatting. Compare to supersonic result before fatting in FABP4 gene, it was detected type GG: (p<7.18), AG: (p<8.50), and AA: (p<10.50) (n=50), showed type GG: (p<4.88), AG: (p<2.33), and AA: (p<0.00) after weed out (n=20). Futhermore, it was detected type GG: (p<9.30), AG: (p<7.95), and AA: (p<7.40) (n=50) before fatting in the FABP5 gene. It was shown type GG: (p<2.67), AG: (p<3.50), and AA: (p<5.00) after weed out (n=50). Our results indicate that FABP4 and 5 gene transcription is regulated by the environment of feeding and management, and suggest that feeding and management could be potential key in determining FABP4 and 5 genes transcription for carcass/meat quality traits in breed Hanwoo.
        4,000원
        35.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양질 조사료의 급여가 한우비육우의 사양성적, 육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효과분석은 국내에서 수행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총 5편의 연구논문들을 인용하였다. 양질조사료를 급여한 시험구를 처리구로 하고 볏짚을 급여한 시험구를 대조구로하여 처리구 결과와 대조구 결과의 평균차를 이용하여 효과의크기를 분석하였고, 요약효과는 임의효과모형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그 결과, 사양성적에대한 정의효과는 사료섭취량, 일당증체량, 종료체중 및 사료효율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유의성은 일당 증체량에서만 발견되었다. 육생산량에 대한 정의효과는 도체중, 배측최장근 면적및 생산성 지수에서 나타났고, 등지방두께에서는 부의효과가 나타났다. 유의성은 도체중과배최장근 면적에서만 나타났다. 육질에 대한정의효과는 marbling score와 지방색에서 정의효과가 나타났으며, 육색은 부의효과가 나타났으나 유의적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4,000원
        3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cottonseed meal (CSM) supplementation on carcas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Hanwoo (Korean cattle) bulls. Twenty two months-old-Hanwoo bulls of eight heads (4 heads per treatments) were fed for 5 months on a diet with or without (control) CSM (500 g/head/day). The samples of M. longissimus dorsi from carcasses were used for the quality measurement. Dietary CSM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the carcass traits of bulls and pH value, drip loss, water-holding capac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eef loin. Crude protein and crude ash content of beef loin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beef loin from bulls fed CSM than in the control. During storage of 5 days at 4℃, CIE a*, b*, C* and total color valu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beef loin from bulls fed CSM than in the control. Overall,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CSM supplementation may improve the oxidation stability of Hanwoo beef loin.
        4,000원
        37.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우 고급육 생산을 위해 종모우의 개량과 선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좀 더 효율적인 개 량을 위해서는 고급육을 생산할 수 있는 한우 암소의 개량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 안성지역 한우의 육질 개량을 위해 지역 한우농가의 소를 대상으로 육질 초음파 측 정과 육질관련 유전자와의 비교 분석을 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육질분석을 위해 3산 이상 한우 번식우 86두를 대상으로 초음파로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을 측정하였다. 각 개체별로 혈액을 채취하여 유전자를 분석하였으며, 유전자 분석은 육질관련 유전자로 알 려진 FABP4와 FABP5-1, FABP5-2를 이용하였다. 개체별로 고급육 생산을 위한 사양관리 전과 사양관리 후 표현형과 유전자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번식우의 일반 사양관리 조건(비육전)에서 FABP4는 육질초음파 측정 결과와 유전자 분석과의 상관 관계가 0.006으 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FABP5는 상관 관계가 0.084로 비교적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비육후 도축하였을 때 FABP4는 육질초음파 측정 결과와 유전자 분석과의 상관 관계가 0.0054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FABP5는 상관 관계가 0.0899로 비교적 낮은 결과를 보였다. FABP4 유전자에서 비육전 초음파 측정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GG type은 7.18, AG type은 8.50, AA type은 10.50이었으나(n=50), 비육후 도축한 결과 GG type에서 4.88, AG type은 2.33, AA type은 나타나지 않았다(n=20). FABP5 유전자에 서 비육전 초음파 측정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GG type은 9.30, AG type은 7.95, AA type 은 7.40이었으나(n=50), 비육후 도 축결과는 GG type에서 2.67, AG type은 3.50, AA type 5.00으로 나타났다(n=20). 두 가지 유전자에서 비육전과 비육후 유전자와 표현형과의 관계 가 반대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이 결과를 통해 육질관련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더 라도 비육을 하지 않고 일반 번식우 사양관리를 하였을 때 육질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8.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ur previous study demonstrated that fermented four-herb combination (Ulgum, Yagmomil, Maesil and Bokbunja) with probiotics (Saccharomyces cerevisiae, Lactobacillus acidophilus, Bacillus subtilis) (hence, this additives was designated PFH) have immune enhancing and antibacterial effects in broiler chickens.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FH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s. Twenty-day-old Ross broiler chickens were fed with or without PFH for 2 weeks. Body weight gain of the 2% PFH-fe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Moreover, body weight gain of the 1% PFH-fed group was also showed a increased tendenc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0.06).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ed intake was observed among the groups. Feed conversion ratio of the 2% PFH-fed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P <0.05). In addition, feed conversion ratio of the 1% PFH-fed group was also showed a slightly decreased tendenc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0.07).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ximate composition (moisture, crude fat, crude protein and crude ash) and the physico-chemical index (cooking loss, shearing force, water holding capacity and pH) were found among the groups. In addition, succulence, tending and flavor in meat of all 3 groups were also not different.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PFH could be used as the alternative of antibiotic growth promoters 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4,000원
        39.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conducted to screen compounds affecting ruminal fermentation under in vitro incubation. Saponin, chitosan, metformin, zinc acetate, zinc chloride, zinc oxide, zinc sulfate, ascorbic acid, oil-coated ascorbic acid, nicotinic acid, eastern herb cocktail, charcoal extract and garlic sources (lyophilized and extract) were added to rumen culture fluid at 1.25% of substrate (100% timothy) volume at 24 h incubation. pH, total gas, ammonia, VFAs were measured. Ascorbic acid increased total gas production indicating fermentation level. All zinc compound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lthough zinc sulfate increased propionate of volatile fatty acid (p<0.05). In following experiment, ascorbic acid, oil-coated ascorbic acid, garlic lyophilized, herb cocktail and zinc sulfate were added to rumen culture fluid at 2.5% of substrate with 3, 6, 12 and 24 h incubation. Zinc sulfate decreased both ruminal fermentation and VFAs production but ascorbic acid enhanced total gas production. Ascorbic acid increased fermentation regardless of supplement concentration although excessive zinc sulfate decreased ferment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optimal level of trace compounds might affect ruminal fermentation in ruminant.
        4,000원
        40.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의 육성기 또는 비육기에 Bio 이온수 급여에 따른 성장, 혈액분석 및 육질 특성 평가를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Bio 이온수 무 급여구 (대조구), 육성기 급여구 및 비육기 급여구로 3시험 구를 두었으며, 각 시험구 당 33두의 3원교잡종 (Landrace☓Yorkshire☓Duroc) 돼지를 배치하였으며, 총 99두를 이용하여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다. Bio 이온수 급여는 육성돈과 비육돈의 성장과 사료효율에 영 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P>0.05), 비육기 급여구에서 일당증체량과 A등급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대조구 에 비해 Bio 이온수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혈액성상 분석 결과 적혈구와 백혈구의 수치가 증가하였다 (p<0.05). 일반성분, 육색, pH, 육즙감량, 가열감량 및 전단력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 산 분석 결과 육성기 급여구에서 포화지방산/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낮게 나타났고, 불포화지방산의 함량 비 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열육 관능검사에서 향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4,2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