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코칭 프로그램과 코칭 교과목 운영 효과를 밝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진로지도를 위한 커리어코칭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0년∼2014년 동안 12차례에 걸쳐 진행된 코칭 프로그램에 참가하거나 코칭 교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669명을 대상으로 현장실험설계와 질적 연구를 병행했다. 먼저, 코칭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현장실험설계에서는 연구대상자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에 속한 대학생들에게는 코칭 강의와 코칭을 병행하여 진행했다. 그리고 코칭 전후에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 가족관계, 시간관리행동, 감성지능, 커뮤니케이션 역량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를 진행했고, 학점을 조사했다. 두 집단의 코칭 전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IBM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했다. 한편,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대학생들이 코칭을 받은 후에 작성하여 제출한 소감문과 보충면접 내용을 분석했다.
그 결과, 코칭을 진행한 후에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 가족관계, 시간관리행동, 감성지능, 커뮤니케이션 역량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코칭이 대학생 진로지도와 일상생활의 긍정적인 변화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인적 서비스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진로지도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학생 커리어코칭 시스템(3C·A·N 모델)을 제안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습동기 향상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도미향(2014) CPA 코칭 모델과 코칭대화모델을 적용하여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습동기가 낮아진다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학습전환기에 있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S시에 위치한 S중학교의 1·2·3 학년 중 13명을 실험집단, 13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학습동기 향상 코칭프로그램을 주2회 60분씩 총 12회기로 2017년 8월 22일부터 2017년 10월 19일까지 실시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학습동기 검사를 실험집단· 통제집단 모두 사전·사후로 실시하였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자신에게 변화된 점과 느낀 점 등을 간단한 소감문으로 받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습에 대한 긍정적 인지와 정서 경험을 통한 성취동기, 통제소재,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통해 학습 및 생활 전반에 대한 동기각성, 긍정적 사고, 유능감, 내적 통제성이 강화되었다. 또한 목표 설정, 진로 탐색, 학습 환경 관리와 학습 기술 향상을 통해 청소년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수형자가 주체적⋅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주요 교육방법으로는 시청각교육과 그룹워크를 가미한 일본의 롤레터링 기법을 채택하였고, 총12회기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Z교도소 수형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제1기(12명)는 2015년 1월부터 4월까지, 그리고 제2기(13명)는 동년 5월부터 8월까지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교육 전후의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분노 그리고 충동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분석에는 SPSS ver.23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본 교육프로그램의 실시 후에 수형자의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은 향상되고 충동성은 저하되는 등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롤레터링 기법을 활용한 본 교육프로그램이 수형자의 수용생활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출소 후 재범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분노의 양상은 제1기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지만 제2기에서는 눈에 띄는 변화가 없었는데, 이것은 수형자의 형기, 죄명, 연령 등 그룹구성원의 속성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교정시설/소년원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문헌검토를 통하여 이론적 근간을 마련하고, 현재 교정시설/소년원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분석하고 문화예술 강사들의 포커스그룹 인터뷰 및 전문가와의 논의를 거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의 구성개념과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의 문항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고 윤문작업을 거쳤으며,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스크린 작업을 하였다. 본 조사는 2회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1차 조사 설문지의 배포와 수거는 2011년 8월 10일부터 8월 20일에 걸쳐 시행하였으며, 총 842명(교정시설 589명, 소년원학교 253명)이 참여하였다. 2차 조사는 1차 조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조정을 실시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1년 12월 10일부터 30일까지였으며, 총 691명(교정시설 505명, 소년원학교 186명)이 참여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문항스크린(기술통계치, 신뢰도 등),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순으로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6개 요인, 63개 문항으로 최종 척도가 구성되었다. 전체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의 신뢰도는 .927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형적합도 지수 또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최종적으로 ‘스트레스 17문항’, ‘사회성 17문항’, ‘문화예술 선호성 7문항’, ‘긍정성 10문항’, ‘자기조절력 8문항’, ‘표현력 4문항’의 6요인, 6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new chain metrics for obtaining lean Overall Equipment Effectiveness(OEE) and present implementation strategy which considers the properties for Total Productive Maintenance(TPM) to reduce machine losses, Performance Analysis and Control(PAC) to reduce labor losses, Lean Production System(LPS) to reduce floor wastes, and Theory of Constraints(TOC) to minimize the problem of Capacity Constrained Resource(CCR). The study reviews the related literatures and reformulates the structure of machine losses, labor losses and field wastes. The research also develops the integrated productivity metrics according to time, units, reliability and maintainability. It is found that the study develops the actual productivity measure in terms of efficiency, effectiveness and standard productivity. In addition to that, it outlines and develops by using the integrated LPS and TPM, lean OEE measures such as Time Based Productivity(TBP), Unit Based Productivity(UBP), and Reliability & Maintainability Based Availability(RMBA). Implication examples are proposed to make it easier and available for practioners to understand the implementation strategies about TPM OEE, lean OEE and TOC OEE. Futhermore related to other studies, the research contributes to create a new chain productivity measures to clear the interrelationship concepts of productivity,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Moreover the paper develops the enhanced OEE measures by integration of TPM, PAC, LPS and TOC with the perspective of schedule, throughput, reliability, maintainability and availability.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자기격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으로 하여금 자기격려를 통하여 아동기의 발달과 적응뿐만 아니라 가정 및 사회환경으로부터 오는 다양한 어려움을 잘 극복하여 긍정적 자기개념을 형성하며, 청소년기를 앞두고 자기정체성을 긍정적으로 확립할 수 있도록 아동이 자기 성장을 스스로 주도함으로서 자긍심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격려의 구성요인을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존중, 자기칭찬, 자기표현, 자기확신의 6가지로 설정하여 프로그램의 개발준거로 사용하였으며, 에니어그램을 활용하여 머리형, 가슴형, 배형 중심에너지를 가진 세 집단의 다문화가정 아동 21명을 대상으로 10회의 프로그램을 주 2회로 5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머리형 중심에너지, 가슴형 중심에너지, 배형 중심에너지를 가진 각각의 다문화가정아동이 자기격려프로그램의 효과에서 프로그램 적용 전의 자기격려 평균보다 프로그램 적용 후의 자기격려 평균이 높게 나타나 각 중심에너지별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격려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전교차로는 일반적인 신호교차로보다 안전성 향상 및 지체감소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회전교차로는 일반 평면교차로보다 자동차간 혹은 자동차와 보행자간의 상충횟수가 적고, 교차로 진입부와 교차로 내에서 감속운행하게 되며, 교차로를 통과할 때 대부분의 운전자가 비슷한 속도로 주행한다는 점 때문에 일반적인 교차로보다 안전성이 높은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지방부 비신호 Y형 교차로에 대해 회전교차로로의 변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기초단계로써, 미시적 교통류 분석 S/W인 VISSIM을 활용하여 회전교차로 설치 전 후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ROUNDABOUT의 운영 효율성을 평가하였으며, 현장조사 검증을 통해 설치준거를 제시하였다. 모의실험결과, 신호 및 비신호 Y형 교차로를 회전교차로로 변형하면 수용할 수 있는 교차로 전체교통량이 증가하고 안전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형을 활용하여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평가하고, 교통량 및 회전교통량을 고려한 설치 가능 범위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Job characteristics hav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job characteristics are the core job dimens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ptitude and personality also act on job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chinese characters by province and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odel for chinese by province and city. Consequently, we suggest to be applied the model to korean finns strategically, which push into China, by view of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adaptation in China.
Nuclear power plants, like other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s, could be under the threat of terrorism or other malicious action. Thus, a nuclear power plant has a robust security system that includes security guards, sensors, barriers, access control systems, lights, and alarm stations with security procedures. However, an effective security system is hard to design because a chain is only as strong as its weakest link, and there could be a vulnerable hole even in the robust security system. Thus, an effective security system requires the evaluation of all possible scenarios. Evaluation software for security system effectiveness assists in systematically assessing all the possible attack scenarios. Many countries developed security effectiveness evaluation software. The first software was developed by the U.S.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in the 1980s. Now there are several commercially available software packages with a function to simulate limited-scope combat between security guards and attacking enemies. However, academic communication is comparatively weak because it may contain sensitive information on the vulnerability of nuclear power plants. We developed original software called Tools for Evaluating Security Systems (TESS) to identify the most vulnerable path to the designated target and model the security systems of all South Korean nuclear power plants. We also used commercial security effectiveness evaluation software, AVERT, to model the same nuclear power plants. TESS was developed to verify the results of commercial security effectiveness evaluation software for the purpose of regulatory use. For the feasibility test, we compared the results of two software with those of force-on-force (FoF) exercises in nuclear power plants. According to the relevant Act, every nuclear power plant site should perform the FoF exercises every year. KINAC was in charge of evaluating the FoF exercise and used several of its results for the study. In the results, even in some differences in detail, the two software and FoF exercises showed qualitative similarity. Conclusively, evaluation software is a useful tool to design and/or assess the security systems of nuclear power plants. We modeled the security systems of all South Korean nuclear power plants, and compared the developed software, a commercial software and FoF exercises. The results showed qualitative similarity. We provided the results of evaluation to nuclear operators for the better security of nuclear power plants.
이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의 음악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그 효용성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원학습공동체 소속의 교사 8명이 가상현실에 기반을 둔 가창학습 콘텐츠와 뮤지컬 공연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효용성과 자신이 겪은 경험에 대하여 논의를 한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가상현실에 기반한 가창학습 콘텐츠의 특징은 첫째, 온라인 교수 환경에서도 모델링과 피드백에 유용한 콘텐츠이다. 둘째, 가상현실을 활용한 교수 환경을 통해 시 공간 개념을 확장하였고 전통 교실에서 어려웠던 1대 1 교수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셋째, 클라우드 기반의 모바일 교과서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교원학습공동체를 통한 콘텐츠 개발과정에서 나타난 교원들의 경험과 실천에 대한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콘텐츠의 제작 과정에서 교사들은 시행착오 및 반성적 성찰을 통해 교사전문성이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콘텐츠 제작 후 공문 및 다양한 채널을 통해 나눔을 실천함으로써 교육크리에이터로서 보람과 긍지를 느꼈다. 셋째, 교원학습공동체의 자발성과 비전의 공유는 콘텐츠 제작을 위한 학습 참여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콘텐츠의 개발 과 효용성에 관한 논의는 비대면 온라인 시대 음악교육의 발전을 위해 큰 기여를 하리라고 본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Off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in recipient countries' economy. ODA is designed to mitigate poverty and stimulate economic growth in the developing countries. We classify total ODA into bilateral ODA and multilateral ODA depending on the number of donor countries. If the ODA flows from one donor country to one recipient country, it is classified as bilateral ODA. If the multiple countries simultaneously become donor countries through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United Nations and World Bank, it is classified as multilateral ODA. This paper compares the effect of bilateral ODA and multilateral ODA in determining recipient countries' economic development, and trie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o Korean OD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Our primary explanatory variables are bilateral and multilateral ODA. Private credit in recipient countries is adopted as additional explanatory variables to capture the level of financial development in recipient countries. We measure the ODA effectiveness using econom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of the recipient countries as the dependent variable. We collect 142 recipient countries' data from OECD statistics, during the period from 1970-2014. Panel least squares estimation with country fixed effect is employed as the empirical model.
Results - Our results support that ODA variable has a negatively significant impact on recipient countries' economic growth, while i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uman development index. Recipient countries' private credi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conomic growth and human development index. The interaction variable of ODA and financial development turns out to be significant in general. We fin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ODA depends on recipient countries'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and this effect is stronger in multilateral aid than bilateral one.
Conclusions - From the analysis, we have confirmed that the recipient countries financial development is the necessity condition to achieve positive effect of ODA.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Korean government should increase the share of multilateral funding and pay attention to recipient countries'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ODA.
Background : Korean mountai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are difficult to industrially apply because of its scarcity and high cost. Advances in plant biotechnology have made it possible to produce mountain ginseng on a large scale using adventitious root cultures in bio-rea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cosmetic emulsion using ginsenoside and physiological activity - enhanced raw materials by fermentation process. Methods and Results :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s were fermented with Pediococcus pentosaceus HLJG 0702 (KACC 81017BP). ginsenoside contents was analysed by using HPLC.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b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was measured by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fter microfluidizer processing was performed to prepare emulsions with homogenized particles,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were measured throug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 e(TEM). Particle stability compares pH, viscosity, light and zeta potential. When fermented with Pediococcus pentosaceus HLJG 0702, the highest change rates of Rg3, Rk1 and Rg5 were shown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increased. The whitening effect was 73.2 ± 0.9% when treated at 100 ㎍/㎖, 1.5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The optimum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were shown to be 418.0 ± 14.9 ㎚ for 6 times treatment with 0 - 10 times microfluidizer treatment. Stability was about 3% in pH, viscosity and light test. the zeta potential was found to be homogeneous at –33.33 mV. Conclusion : Pediococcus pentosaceus HLJG 0702 Fermented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s were found to have effective ingredients and improved physiological activity. We have also developed emulsions that exhibit optimal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Background : Korean mountain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are difficult to clinically apply because of its scarcity and high cost. Advances in plant biotechnology have made it possible to produce mountain ginseng extracts on a large scale using adventitious root cultures in bio-reacto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riations of ginsenoside compounds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s by fermentation process. Methods and Results :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s with five days fermentation using four strain of bacteria(Leuconostoc mesenteroides(KACC 15744), Bacillus circulans(KACC 15822), Bacillus licheniformis(KACC 15823), Bacillus subtilis subsp. inaquosorum(KACC 17047)). Ginsenoside contents was analysed by using HPLC. To exa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associated with biological functions, radical scavenging analyses DPPH, ABTS and SOD-like activity analyses were conducted.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increment. The result showed increased total ginsenoside contents by fermentation process. In particular, B. licheniformis showed the highest ginsenoside contents. Regarding ginseng fermented with B. licheniformis, values of 70.6 ± 1.4%, 44.3 ± 1.7%, and 88.4 ± 1.3% were measured using DPPH, ABTS, and SOD-like antioxdiant activity analyses, respectively. The total phenolic contents in ginseng fermented with B. licheniformis was 184.5 ± 0.9 ㎍·GAE/㎖,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as 108.5 ± 1.8 ㎍·QE/㎖ in ginseng fermented with L. mesenteroides. Conclusion : The high activity of β-glucosidase was selected bacteria. The four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examined, the use of B. licheniformis to ferment ginseng resulted in greatest increase in biological activities and ginsenoside contents.
최근 국내에는 불규칙한 강우로 인해 수자원관리가 어려워 집중호우와 돌발홍수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홍수 예경보 시스템구축을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이나 강우-유출 모의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모의 강우 적용 시 발생하는 유출량을 분석하여 그 대안을 찾고자 한다. 기존의 강우-유출 모의실험장치는 규모와 유지관리비용 측면에서 부담이 되는 실정이라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 모의실험장치의 장단점을 보완한 소형강우모의장치의 설계와 개발 및 활용을 통해 인공강우 분사에 의한 시료의 포화와 지표 및 지하수 유출을 관측하였으며, TDR-300로 측정된 시료의 함수비는 강우강도를 112mm/hr로 설정하여 측정했고 실험 전, 후 차이를 비교 했을 때 모래의 경우 20.87% 증가하였고, 흙은 2.32%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물수지방정식으로 분석한 결과 총 유입량이 28891.5 cm3였고 모래의 경우 지표유출량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침투량은 26941.5 cm3, 함수량은 1950 cm3 로 산정되었고 흙의 경우 지표유출량이 22080 cm3였고, 침투량과 함수량은 각각 3480 cm3, 3331.5 cm3 였다. 이를 통해 소형강우모의장치의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한국연구재단은 2010년도부터 예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목적으로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에 다문화교육 강좌를 지원하는 사업을 수행해오고 있다. 4년째 접어드는 이 사업의 성과를 측정할 필요가 있으나 아직 표준화된 방법으로 측정된 바가 없다. 다문화교육 강좌 지원 사업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강좌의 수강생들이 다문화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받아들이는지를 파악해 볼 수 있고, 이는 수강생들의 다문화 감수성을 측정해 봄으로써 가능하다.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강좌를 수강하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감수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다문화감수성 측정 도구는 각자 특장점을 갖고 있으나 다문화교육 강좌의 특성을 반영하는 다문화적 감수성을 측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아 다문화감수성 측정 도구를 새롭게 개발할 필요성이 발견되었다. 둘째, 선행 연구를 기초로 예비 문항을 추출하여 구성한 예비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예비 검사를 한 결과 6개 영역, 34개 문항으로 구성된 1차 본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셋째, 1차 본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교대와 사범대에 재학중인 52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기초로 6개 영역, 24개 문항으로 구성된 다문화감수성 척도 초안을 완성하였다. 넷째, 다문화감수성 척도 초안에 대해 다문화교육 전문가 3인이 2차례 검토를 하였고, 이들이 제시한 검토 의견에 따라 척도 초안을 수정 및 보완하여 6개 영역, 25개 문항으로 구성된 다문화감수성 척도를 완성하였다.
In these days, agricultural products are regarded as a core income source in tourism villages. Nevertheless, poor packaging of agricultural products has threatened the competitiveness and quality of products. For farmers, it is less likely to employ individual designer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their packages due to low accessability to rural villages and budgets.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conducted 'Charrette' in order to improve agricultural product packaging. The target village was 'Goraday' in Gangwon province. This study consisted of different steps for building and implementing proper 'Charrette' programs. Then, it also conducted empirical investig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Charrette'. 'Charrette' has made progress as follows; first step was concerned with advance preparation for constructing program. Second, implementation of 'Charratte' include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development of design. Third, evaluation and feedback stage have given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bout suggested design with local residents. Empirical investig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Charrette' has been composed with survey and interview targeting participants. In survey and interviews, designers were asked about their attitudinal changes in relation to knowledge, recognition, func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oward 'Charrette' and 'agricultural product package desig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the event. The results showed that knowledge and perception of designers toward 'agricultural product package design' have positively increased. In addition, it revealed that designers were satisfied with collaborations with others and their contribution to rural community business. However,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sufficient preparation time/schedules and opportunity to meet other and farmers before events would be required to have better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in relation to their tasks and role distribution. Furthermore, it is also required for designers to hold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y in order to actualize their packaging design.
척추변형의 치료는 수술을 통하거나 보조기 등의 교정기를 착용하는 것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하나, 후유증의 위험과 성장과 함께 재환원 되는 문제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세교정의 환원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적-통제적 정보처리 모형을 적용하여 의식적 자세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Feldenkrais (1903~1984), Pilates (1880-1967)의 이론들과 국선도와 합기도의 호홉 기법을 적용하여 16개 동작으로 구성된 의식적 자세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의식적 자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총 45명의 참가자를 세 집단으로 나누어 의식적 자세조절 운동에 15명(남 10명, 여 5명), 자세조절 운동에 15명(남 8명, 여 7명) 그리고 통제집단 15명(남 8명, 여 7명)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의식적 자세조절 프로그램은 10주가 진행되었으며, 측정은 사전, 10주 운동 직후, 4주 휴식기 후에 어깨각도, 척추각도, 발란스, 전방굴곡이 측정되었다. 그 결과, 처치 전에 실시한 어깨각도, 척추각도, 발란스, 전방굴곡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휴식기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세조절 운동시에 동작에 대한 의식적 집중이 자세조절의 자동화를 촉진시킨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