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21.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als with human reaction speed according to human physical conditions (body size) such as head width, thickness, breast width, arm extent, and age Especi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mpared between young and old generation. According t
        4,000원
        22.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tor skill learning can be acquired implicitly without consciousness of what is being lear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mplicit motor learning in young and elderly people using a perceptual-motor task. Forty normal young and elderly subjects participated. A modified version of the Serial Reaction Time Task (SRTT) using six blocks of twelve perceptual motor sequences was administered. The paradigm consisted of the first random sequence block followed by the four patterned blocks and another random block. In each block, the go signal consisted of an asterisk displayed in the one of the four parallel arrayed boxes in the middle of the screen. Subjects were instructed to push the corresponding response buttons as quickly as possible. Young subjects demonstrated shorter reaction times during the consecutive patterned blocks reflecting appropriate learning accomplished. Elderly subjects were able to learn a perceptual-motor task with implicit knowledge, but the performance was lower than that of the young person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mplicit sequence learning is still preserved in elderly adults, but the rate of learning is slower.
        4,000원
        23.
        200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very human action concerning to human brain contains the time between the brain decision and the action, so it is very difficult for Scientists, who study about human, especially Ergonomist, to get correct analysis. This study, therefore, had an experiment to get a time during taking some action, which does not ask any brain work called human basic reaction time. The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have much more correct data analysis from your experiment by removing the time we do not need. Especially, this study deals with the basic reaction time of old people to compare with young age which took before by us, and we want to know the relation between the age and their basic reaction time.
        4,000원
        24.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래에 들어 질병으로 인하여 의사표현이 곤란한 환자에게 뇌파에 기초한 BCI(Brain Compute, Interface)와 같은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정 자극에 대해 유발되는 뇌파의 측정과 분석은 BCI를 위한 뇌파의 패턴과 인터페이스의 설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청각 자극 인가 후 피험자의 반응시간을 측정하는 시스템을 EEG와 같은 생체 신호 계측 시스템과 연동이 가능한 형태로 개발하는 것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능적으로 자극신호 발생부, 반응시간 측정부, 유발뇌파 측정부, 동기신호 발생부로 나뉘어진다. 자극신호 발생부는 실험에 이용되는 자극신호를 제작하는 부분으로서 Flash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반응시간 측정부는 문제에 대한 답 선택 요청시각으로부터 피험자의 반응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부분으로서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유발뇌파 측정부는 시판용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동기신호 발생부는 전체 시스템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부분으로서 문제제시, 답 요구와 동기한 화면상의 명암신호와 이를 검출하는 광센서로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에서는, 기존의 유발전위 측정 및 자극시스템에 특정 모듈(반응시간 측정 장치, 동기신호 발생장치)만을 추가하여 실험자의 의도에 맞는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어 유발응답 및 반응시간의 측정을 필요로 하는 연구를 가속화 할 것이 기대된다.
        4,000원
        25.
        200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간의 정신부하작업중 반응시간이 제한된 긴급상황에서 시스템이 비정상적인 상태로 변화할 경우 인간의 수행도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보조할 수 있는 보조장치의 설계에 도움을 주는 기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긴급상황에서의 최우선시 되는 수행도는 반응시간보다는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제어하여 비극적인 재해를 방지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여러 작업 수행도들 중에서 제어에 실패하게 되는 요인의 영향도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실험결과 인간의 반응은 극히 제한된 짧은 반응시간내의 수행도는 단일작업에서의 수행도는 시스템의 전체 영향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럴 경우 부수작업을 부여했을 때 시스템의 변화 요인의 영향도를 더욱 잘 나타내는 것임을 유도하였다. 그러므로 시스템의 상황이 비 정상적인 상태로 진행될 경우, 특히 이러한 상황에서 반응해야 할 시간이 제한적일 경우 수행도 측정에는 다양한 형태의 부수작업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측정이 더욱 효율이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이러한 실험의 결과를 유추해보면 안전장치 기기의 설계를 위해서는 운용되는 상황에 맞는 측정방법이 개발되어야 긴급 상황의 수행도를 측정할 수 있다.
        3,000원
        29.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reaction time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 making information related with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exercise self-schema. So it would have the hypothesis that exercise self-schema affected to judgement, remember and expectation of the content related with physical activit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experiment were 36(male:15, female21,Mage=21.25). Task was presented at computer screen. Participants reaction time and contents were saved automatically. And it was measured the physical activity’s amount for 7 days through questionnaire. All anaysis were conducted by SPSS 18.0 and AMOS 18.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participants who had higher exercise self-schema had faster information processing about physical activity content than the participants who had lower exercise self-schema. Also group of higher exercise self-schema had more vocabulary comments. And at the expect behavior related physical activity, the group of higher exercise-self schema seek more physical activity than the group of lower exercise self-schema. Finally, higher exercise self-schema group had more physical activity. Conclusion: it had identified that exercise self-schema was significant factor at information processing related physical activity. So it is needed to study and develop the program which help developing exercise self-schema.
        30.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yaw head rotational reaction time and premotor time to visual stimuli in central and peripheral visual fields would improve with practice. Method: The task was to make a complete horizontal head rotation regardless of target eccentricity in two response conditions: TOWARD and AWAY conditions. In the TOWARD condition subjects rotated their head in the direction ipsilateral to target appearance for a congruent S-R response. In the AWAY condition subjects rotated their head contralateral to target appearance for an incongruent S-R response.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following sequence of testing and training: (1) Pre-test, (2) Training (6 days over 2 weeks), and (3) Post-test. Measures associated with yaw head rotations involved with reaction time, premotor time and electromechanical delay. Results: Results revealed shorter yaw head rotation RT in TOWARD and AWAY conditions after 6 days of practice in TOWARD and AWAY conditions. We found the greater observations especially for the centrally placed targe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greater performance improvements were observed for most subjects when practice and testing were within the same condition, indicating support for the well-known learning specificity phenomena.
        31.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A 하수처리장 내 혐기 소화 상징액 그리고 농축조 상징액을 대상으로 반응시간에 따른 질소 화합물 성상 변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수처리장에서 질소 처리는 일반적으로 질산화 – 탈질의 생물학적 처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친환경·저에너지 형 기술이 주목받음에 따라 기존의 완전질산화 반응과 비교하여 경제적인 아질산화 반응 및 관련 연계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아질산화 반응은 SRT 조절에 따른 nitrite oxidizing bacteria(NOB)의 wash-out 또는 free ammonia(FA)에 의한 저해 작용과 같은 인위적인 조작이 없으면, 자연적 안정적으로 유도되기 어려운 반응으로 알려져 있다. 약 300일에 걸친 실험실 규모 아질산화 반응조 운전을 통하여 운전 SRT 별 반응시간에 따라 반응조 내 질소 화합물의 성상 변화를 분석하였다. 안정적인 아질산화 반응이 유도된 구간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가 감소함에 따라 아질산성 질소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완전질산화가 유도된 구간에서는 일정 반응 시간 암모니아성 질소가 감소함에 따라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가 증가하다 일정 시간 이 후 아질산성 질소가 감소하고 질산성 질소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완전 질산화가 유도된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긴 SRT로 인해 반응기 내 아질산성 질소로 전환되었던 질소 화합물이 다시 질산성 질소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아질산성 질소가 질산성 질소로 전환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아질산화 반응이 유도 가능한 SRT를 파악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실 규모 운전 결과를 바탕을 도출된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실제 하수처리장에 아질산화 반응 도입 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netically modified (GM) papaya (Carica papaya L.) line 55-1 (55-1), which is resistant to papaya ringspot virus infection, has been marketed internationally. Many countries such as the European Union, Japan, and Korea have a mandatory safety assessment, approval and labeling regulations for GM foods. Thus, there is a need for specific methods for detecting 55-1.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real-time PCR detection method applicable to 55-1 for a variety of papaya products. The limit of detection was possible for fresh papaya fruit up to dilutions of 0.005% and 0.01% (weight per weight [w/w]) for homozygous SunUp and heterozygous Rainbow cultivars, respectively, in non-GM papaya. The 55-1 event-specific detection method observed parallelism (r2>0.99)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line 55-1 cultivars and Ct values obtained in amplification plots at concentrations of 0.005-10% for SunUp DNA and 0.01-10% for Rainbow DNA. The method was applicable to the qualitative detection in various types of processed products (cocktail fruit, dried fruit, juice, etc.) containing papaya as a main ingredient. Monitoring papaya products for the presence of GM papaya were demonstrated using a P35S and T-nos real-time PCR detection method but no amplification signals were detected.
        34.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 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D노인전문병원에 입원 중인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2005년 3월 2일부터 2005년 10월 20일까지 주 1회, 총 35회를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설계하였다. 시각을 자극하기 위해 다양한 화색의 소재를 제공하였다. 특히 원색이나 선명한 색을 많이 보도록 하였다. 또한 소재를 색별로 분류하기, 색 이름 말하기, 지정하는 색을 찾아내기 등의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둘째로 청각을 자극하기 위해 작업을 단계별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간단하고 짧게 설명하였으며 원예치료사의 소리를 듣는 즉시 바로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노래 부르기, 박수치기, 자연의 소리 듣기 등과 같이 다양한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였다.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 시간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12.82초에서 16.18초로 외부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시간이 3.36초 늘어난 반면에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 속도가 18.78초였으나 원예치료 실시 후에는 10.83초로 유의하게 단축되었다(p=.018) 이는 다양한 식물을 매개로 하는 원예활동이 대상자의 인지력을 강화시켰다고 생각된다. 특히 색을 식별하는 능력과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원예치료는 치매노인의 빛이나 소리와 같은 외부 자극에 반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켜 주는데 효과적이었다.
        35.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eutron capture spectrum for the light nuclide was very useful to study the nuclear structure. In the present study, the capture gamma-ray from the 27-keV resonance of 19F(n,g)20F reaction were measured with an anti-Compton NaI(Tl) spectrometer and the 3-MV Pelletron accelerator of the Research Laboratory for Nuclear Reactors at the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A neutron Time-of-Flight method was adopted with a 1.5 ns pulsed neutron source by the 7Li(p,n)7Be reaction. In the present experiment, a Teflon((CF2)n) sample was used The sample was disk with a diameter of 90mm. The thickness of sample was determined so that reasonable counting rates could be obtained and the correction was not so large for the self-shielding and multiple scattering of neutrons in the sample, and was 5mm. The primary gamma-ray transition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measurement of Kenny.
        36.
        200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주시자극에 대한 시각적 주의집중 정도와 운동시표의 발현 위치가 단순 및 선택반응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스포츠에서의 운동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시각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6명과 3명의 남성 피험자는 각각 3개의 단순반응 과제와 1개의 선택반응 과제에 참가하였고, 각 과제는 1블록 120시행의 합계 22블록으로 구성되었다. 각 피험자는 의자에 걸터앉아 눈이 컴퓨터 모니터에서 40cm 떨어진 위치에, 안면고정대를 이용하여 얼굴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했다. 그리고 나서, 피험자가 버튼을 누르면, 주시점의 위치에 5∼7개의 주시자극이 300ms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제시된다. 주시자극이 제시된 후, 제시된 주시자극의 중심으로부터 8방향 (시계의 12시 방향을 0°로 해, 시계회전 방향으로 45°, 90°, 135°, 180°, 225°, 270°, 315°) 의 주변거리 1°, 2°, 3°, 4°, 5°의 위치에 무작위로 운동 시표가 제시된다. 피험자는 주시자극을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있다가, 시선의 중심 및 주변의 임의의 장소에서 나타나는 운동시표에 대해서, 가능한 한 빠르게 단순선택반응동작을 수행했다. 이 실험을 통해 얻어진 단순반응 시간에 대해서는 반복측정에 의한 3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선택반응 시간에 대해서는 반복측정에 의한 2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움직임 대상에 대해 주의를 많이 기울이며 운동시표에 대한 예측이 어려운 학습자는, 움직임이 예측되는 대상의 바로 위 3° 지점에 시선을 두는 것이 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며 시각적 주의의 수준을 낮게 유지 할 수 있는 학습자는, 움직임 대상의 바로 위 1∼2° 지점에 시선을 두는 것으로 반응시간의 단축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38.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prepare ethylene propylene diene terpolymer(EPDM)/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NBR) blend which represents good environmental resistant properties including favorable oil and ozone resistance. With incorporation of EPDM, NBR and other ingredients, the rubber and chemical additives were mixed by mechanical method such as Banbury mixer and open 2-roll mill. Then rubber vulcanizates were manufactured by hot pr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il and ozone resistance of the test specimens were measured. The oil resistance and ozone resistance of EPDM and NBR, respectively, is remarkably improved by blending EPDM with NBR. The optimum results of oil and ozone resistant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at EPDM/NBR(=25/75 wt%) composition ratio.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