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

        2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미 재배시 플로랄폼 배지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험한 결과 배지별 pH 변화의 경우 초기 재배시에는 5.6 ~ 6.2의 범위로 안정적이었으나, 2년 재배 후에는 배지 종류에 관계없이 4.7~5.1의 범위로 산성화 되는 경향이었다. EC의 경우 관수직후에는 암면 배지나 플로랄폼 배지에 비해 코이어 배지에서 높았으나, 2년 재배 후에는 암면 배지에서는 2.3 dS·m−1이었으며 코이어 배지는 2.5 dS·m−1 및 플로랄폼 배지는 2.7 dS·m−1로 나타났다. 배지별 이온 축척량의 경우 암면 배지는 질소의 함량만 증가 하였을 뿐 기타성분은 감소하는 추세였고 플로랄폼 배지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비료성분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코이어 배지에서는 질소, 칼슘이 증가되었고 인산, 칼륨 및 나트륨 성분은 감소되었다. 장미 삽목 후 배지별 발근율은 플로랄폼 >암면 >코이어 배지 순이었다. 장미 생육의 경우, 절화장은 암면배지에서 컸으나 화고, 화폭 및 절화수량은 배지별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장미 양액재배 시 암면배지와 코이어배지는 플로랄폼 배지 사용과 유사한 생육을 보였다. 이는 기존 사용 배지인 암면배지와 코이어배지를 플로랄폼 배지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2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공장 내 적색광, 청색광, 적청 혼합광, 자외선, 적외선, 형광등의 광원을 달리하여 어린잎 상추의 생육과 무기성분 흡수를 검토하였다. 잎의 형태는 Red 파장에서 초장 및 하배축의 길이신장이 촉진되어 도장하였고 Far red에서는 생장이 불가능하였으나 Red + Blue의 혼합광원에서는 초장이 짧고 엽수가 많고 생체중이 증가하여 상추의 형태 및 발달 차원에서 유의적으로 좋았다. 광질에 따른 어린잎 상추의 색차 및 상대 엽록소 함량을 조사한 결과, 적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a* 값은 Red + Blue 혼합광 및 형광등에서 높았고 적색광 및 자외선에서는 낮게 나타났는데 상대 엽록소 함량을 나타내는 SPAD도 같은 경향이었다. 특히 상대엽록소 함량은 형광등의 10.5에 비해 혼합광에서 1.8배 향상된 적색도를 나타내었다. 광원별 상추의 무기물 함량을 조사한 결과, pH 및 K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N, Ca, Mg, Mn, Fe, Ascorbic acid 함량은 LED 처리구에서 많았고 P 및 Mn 함량은 형광등 처리구에서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단색광에 비하여 Red + Blue 혼합광에서 상추의 생육이 우수하고 무기물 함량이 증대되어 식물공장 내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혼합광 조절로 상품성 있는 고품질의 상추 생산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
        25.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펄라이트 배지에서 적산일사량에 따른 급액이 장미 'Cardinal'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배지내의 pH는 6.0에서 6.1사이로 안정적이었고 EC는 급액보다는 배액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후기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무기 성분은 비순환식 C. Sonneveld처방 기준으로 보면 인산과 칼리, 마그네슘이 집적됨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칼리와 마그네슘은 각각 기준량 195ppm, 18보다 집적됨을 알 수 있었다. 배지의 배액율은 전체적으로는 일사량이 많으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장미 수액은 오전 9시 경부터 12시까지 흐름이 있었는데, 10시 30분에서 11시 사이에 273g·hr-1이었는데 일사량에 비례하여 수액흐름이 증가하지는 않았다. 양액소모량은 250W·hr-1에서는 50m1구에서 212.8ml로 많았는데 수량도 154.6본/10a로 많아 양액소모량이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펄라이트 배지에서 양액공급량은 11월부터 3월에 200W·hr-1에서 50ml를 1일 6~10회 급액하고 일사량이 많을 때는 250W·hr-1에서 30ml를 1일 22~30회 급액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6.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계 절화장미 'Vital'재배시 보광이 장미의 생육과 절화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하였다. 보광 광원은 250W의 메탈할라이드등, 고압나트륨등 및 혼합(메탈할라이드등+고압나트륨등)등을 베드 위 120cm 높이에 310cm×450cm로 설치하였다. 보광등에서 1m 떨어진 지점의 광도는 32~34μmol·m-2·s-1였다. 보광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개화소요일수가 1번화는 5~8일, 2번화는 3~5일 단축되었다. 보광구 간에는 혼합등이 개화소요일수가 가장 짧았고, 고압나트륨등, 메탈할라이드등 순 이었으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생육도 보광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좋았다 특히 블라인드 발생이 5~7% 감소되어 절화수량 증가의 주 요인이었다. 보광구간에는 혼합등이 가장 좋았고, 메탈할라이드등, 고압나트륨등 순 이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보상점보다 낮은 광도의 보광도 개화소요일수 단축 및 블라인드 발생억제에 효과적이었다.
        4,000원
        2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지의 종류 및 부피가 절화 장미의 발근과 발근 후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은 유리온실의 철재 베드에 높이 1.5m의 아치형 터널을 설치하고 습도유지를 위하여 fog(200sec./5min. or 100sec./5min) 가습하고, 삽목초기에 차광률 55%의 한랭사로 차광하였다. 실험재료는 Rosa hybrida 'Red Sandra'와 'Little Marble' 두 품종을 사용하였다. 배지의 종류에 따른 발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10가지 배지(토실이 상토, 암면큐브, phenolic foam, perlite, vermiculite, 또는 perlite와 peatmoss 1:1, perlite와 coir 1:1, perlite와 rockwool 1:1, rockwool 1:1, rockwool과 peatmoss 1:1, rockwool과 coir 1:1, v/v)를 준비하여 삽목하였다. 발근배지의 부피에 따른 발근 및 생육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3가지의 배지(토실이 상토, 암면큐브, phenolic foam)를 각각 3가지 부피(3×3×3cm, 5×5×5cm, 7×7×7cm)에 삽목하였다. 배지의 종류를 달리한 실험은 두 품종 모두에서 Rockwool 1: Peatmoss 1 배지에서 발근과 생육에서 가장 좋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배지의 부피에 따른 발근율과 모든 생육은 배지의 용적이 커질수록 좋았다.
        4,000원
        28.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겨울철 광원별 보광처리에 따른 장미의 생육장태와 온실내의 온 습도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보광재료는 나트륨등과 형광등을 사용하였고, 처리는 야간에 5시간씩 하였고, 2회 수확하였다. 온실 내 온도는 보광시작 후 나트륨 등 보광처리가 높았으며, 슬라브내 온도는 오전 6시에 나트륨등으로 보광한 처리가 높게 나타났으며, 일일 평균습도는 나트륨 등 처리가 낮게 나타났다. 나트륨 등 처리시 장미 줄기의 인산, 칼륨, 칼슘, 마그네슘 함량은 다른 처리보다 많았고, 잎에서는 칼륨과 마그네슘 함량이 다른 처리보다 낮았다. 잎의 엽록소 함량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절화장과 줄기 직경은 다른 처리보다 나트륨 등 처리에서 양호하였다. 수량은 2회 모두 나트륨 등 보광에서 더 많이 나와 일조량이 부족한 겨울철에 나트륨 등으로 보광하면 장미 수량과 품질을 높일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9.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장미 삽수의 조제방법이 발근과 발근 후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재료로는 Rosa hybrida 'Red Sandra'와 'Little Marble' 두 품종을 사용하였다. 삽수 길이를 달리한 실험은 'Red Sandra'는 4, 7, 10cm, 'Little Marble'은 3, 5, 7cm 로 처리하였다. 소엽수를 달리한 실험은 삽수당 소엽 5매엽을 0, 2, 4, 또는 5매 남겼다. 삽수 채취부위를 달리한 실험은 꽃봉오리로부터 소엽 5매엽을 첫 마디로 하여 마디별 1~2, 3~4, 5~6, 7~8마디로 4처리하였다. 발근과 생장에 있어 삽수 길이는 두 품종 모두 7cm가 좋았다. 발근률에 있어 소엽을 5매 모두 남기고 1~2마디를 삽수로 이용시 두 품종 모두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4,000원
        3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계절별로 EC를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EC농도는 급액보다 배액이 높았고 EC를 높게 급액하면 급배액간의 농도차가 많았으며 pH는 급액 EC가 높을수록 배액의 pH가 낮았다. 장미품질은 절화장, 경경, 엽수, 화고, 화폭과 같은 장미의 품질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량은 4월과 5월에 EC 1.3으로 공급한 처리에서 6% 정도 많았고, 6, 7, 8월에는 EC 1.0으로 공급한 처리에서 10%정도 많았다. 또한 9월과 10월에는 EC 1.0과 1.3으로 공급한 처리에서 수량이 10%정도 많았다. 전체적으로는 EC를 봄에는 1.3,여름에는 1.0, 가을에 1.3, 그리고 겨울에 1.64로 조절한 (B)처리가 수량이 가장 많았다.
        4,000원
        36.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osmetics materials by comparing growth characteristics, photosynthetic rate and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Rosa multiflora and Perilla frutescens at different altitudes. Methods and Results : This experiment is being carried out in April 2018 in Namwon (500 m above sea level) and Iksan (15 m above sea level) in Jeollabuk-do.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R. multiflora were investigated at the end of May. Flowers were collected at this time and used as samples for functional analysis.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 frutescens were investigated in the middle of August and the ground part was collected at this time and used as a sample for functional analysis. Photosynthetic rates were measured using LCpro+ (ADC, UK). The marker compound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using HPLC Alliance e2695 and 2998 PDA detector (Waters, USA). Photosynthetic rate (based on 1,600 μ mole of light intensity) was measured in mid-June as follows. The R. multiflora showed 9.8 μ mole․CO2/㎡/s in Iksan and 7.9 μmole․CO2/㎡/s in Namwon. The P. frutescens showed 15.0 μmole․CO2/㎡/s in Iksan and 8.8 μmole․CO2/㎡/s in Namwon. Overall, Photosynthetic rate was higher in Iksan. As a result of analyzing 18 kinds of marker compound, gallic acid and astragalin were found in R. multiflora,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were found in P. frutescens. Gallic acid and Astragalin of R. multiflora showed 5.4 ㎎/g and 28.4 ㎎/g in Iksan and 3.2 ㎎/g and 21.6 ㎎/g in Namwon, respectively.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of P. frutescens were 2.7 ㎎/g and 49.7 ㎎/g in Iksan and 2.5 ㎎/g and 33.6 ㎎/g in Namwon, respectively. Conclusion : Comparing the yield of the harvesting parts by region, both R. multiflora and P. frutescens was higher in Namwon.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of four detected elements of gallic acid, astragalin,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all four components were high in Iksan.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due to optical environment difference.
        37.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he Rosa multiflora, a well-known plant belonging to Rosacea, is widely used in orthodox medicine in worldwide. However, its biological activity and cosmetic preservative efficacy have not yet been studied. Thus, this species is yet to be defined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Accordingly, an investigation of the above mentioned atrributes was performed on a 50% ethanol extract of Rosa multiflora. Methods and Results: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throug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s with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dditionally,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and flavonoids were analyzed. The phenolic compounds were detected using HPLC.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and Candida albicans was assessed using the disc diffusion assay. The preservative effect (challenge test) on a formulation of soothing gel was performed for 28day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denoted by the SC50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for DPPH radical scavenging) value was found to be 131.63 ㎍/㎖.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ere 202 ㎎/g and 86.77 ㎎/g, respectively. In additon, astragalin and gallic acid were identified in the extrac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 against S. aureus and E. coli was observed to be 5 - 0.5%, and no significant activity was noted against C. albicans. The ethanol extracts (5% and 10%) met the preservation standards of the Cosmetics,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TFA). Conclusions: Thus the ethanol extract of R. multiflora can be used in cosmetics as a natural preservative and antioxidant.
        38.
        201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oots of Rosa multiflora Thunberg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s remedies for rheumatic arthralgia and scabies. In this study, the anti-fung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 supercritical extract of Rosa multiflora root were investigated in vitro.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were examine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extract were assessed. The results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in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of Rosa multiflora root exhibited low toxicity to RAW 264.7 cells at 100 μg/mL the highest concentration tested. Cells stimulated with LPS produced more nitric oxide than normal control cells; however, cells treated with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 decreased this produc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Finally,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showed significant anti-fungal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s of the roots of Rosa multiflora might be used to develop potent anti-fung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gents, and may be useful as ingredients for related new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39.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다마스크 장미 내 고분자 당단백을 bioconversion 기술을 이용하여 저분자화한 다마스크 장미추출물(Rosa damascena extract containing low molecular glycoprotein, RELG)의 항노화 효능을 측 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한 RELG의 항산화능 평가(IC50)는 22.6 μ g/mL으로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 21.1 μ g/mL와 비교하여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고 피부세포실험에서는 15 μ g/mL 에서 자외선과 H2O2에 의한 활성산소 생성을 28% 억제하였다. 또한 같은 농도에서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 분해 효소(MMP-1)의 생성을 48% 억제하고 10 μ g/mL에서 대조군 대비 보습인자인 aquaporin 3 (AQP3)의 발현을 44%, 중성지질 생합성을 10% 촉진하여 항주름 효능과 더불어 보습효능까지 나타냈다. 추가적으로 두피 모유두세포에서는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사멸을 15 μ g/mL에서 10% 억제하고 활성산소의 생성을 90% 감소시켰다. 본 연구 결과, RELG는 효과적인 항노화 화장품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40.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A critical features of Alzheimer’s disease (AD) is cognitive dysfunction, which partly arises from decreased in acetylcholine levels. AD afftected brains are characterized by extensive oxidative stress, which is thought to be primarily induced by the amyloid beta (Aβ) peptide. In a previous study, Cinnamomum loureiroi tincture inhibited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y. That study identified AChE inhibitor in the C. loureiroi extract. Furthermore, the C. loureiroi extract enhanced memory in a trimethyltin (TMT)-induced model of cognitive dysfunction, as assessed via two behavioral tests. Rosa laevigata extract protected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cytotoxicity. Administrating R. laevigata extracts to mice significantly reversed Aβ-induced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as shown in behavioral tests. Methods and Results: We conducted behavioral to examine the synergistic effects of C. loureiroi and R. laevigata extracts in inhibiting AChE and counteracting TMT-induced learning and memory losses. We also performed biochemical assays. The biochemical results showed a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d oxidative stress and cholinergic neurons damage in TMT-treated mice. Conclusions: A diet containing C. loureiroi and R. laevigata extracts ameliorated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s in the Y-maze and passive avoidance tests, and exerted synergistic inhibitory effect against AChE and lipid peroxidation.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