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77

        501.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용으로 사용하는 곰취의 국내 산지별(태백, 정선, 양구, 평창, 인제)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고, 곰취의 유효성분 분리를 통해 항산화 효능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산 지별 곰취의 항산화 효능에 대한 탐색 및 소재 개발 가능 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제산 곰취 50% EtOH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이 각각 71.77%, 98.95%로 높은 항 산화 활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ORAC activity assay kit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에서도 인제산 곰취 50% EtOH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높은 항산화 활성이 관찰되었 고, 100 μg/mL의 농도에서 290.19±5.79 μM TE/g으로 높 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지별 가운데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인 인제산 곰취 50% EtOH 추출물로부 터 유효물질 5개(chlorogenic acid (1), neochlorogenic acid (2), isochlorogenic acid A (3), isochlorogenic acid B (4), isochlorogenic acid C (5))를 분리하여 곰취 compound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인제산 곰취 50% EtOH 추출 물과 유사하게 compound 4, 5 (isochlorogenic acid B, isochlorogenic acid C)의 농도에 따라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89.76%, 92.72%)과 ABTS 라디칼 소거능(99.09%,98.95%)이 관찰되었고, ORAC assay에서도 compound 4, 5에서 각각 362.56±5.91 μM TE/g, 362.35±1.92 μM TE/g 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산지별 곰취 50% EtOH 추출물 가운데 인제산 추출물이 높 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 한 인제산 곰취 추출물에는 높은 항산화 활성 성분(compound 4: isochlorogenic acid B, compound 5: isochlorogenic acid C)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결과는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곰취의 항산화 활성을 보유한 기 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02.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우리나라의 식습관은 인스턴트 음식과 및 서구적인 생활방식이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전체 인구 중 약 25%가량이 비만인 실정이다. 비만인구가 증가하면서 각종 성인병의 유병률도 늘고 있으며, 비만 치료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고 있다. 더욱이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등과 같은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정신적인 질병까지 유발할 수 있는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큰 위험요소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실험은 약용버섯 중에 하나인 영지버섯이 비만에 효능을 보이는지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ASI 7137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양 성대조구인 Luteolin과 비슷한 경향으로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여 지방축적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혈중에서 지단백질의 콜레스테롤 에스터와 중성지방을 교환하는 역할을 하는 당단백질인 CETP(cholesterol ester transfer protein)활성 억제정도를 분석한 결과 50, 100, 200 ug/ml의 농도에서는 낮은 효능을 보였지만 ASI 7002, 7004, 7071, 7108, 7151, 7137 균주는 농도 의존적으로 수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503.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coffee waste was extracted with different solvents such as ethyl acetate, methylene chloride and methanol to investigat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glutathione S-transferas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3,060.61±357.12 μg GAE/mL in ethyl acetate, 909.09±35.71 μg GAE/mL in methylene chloride, and 1,602.27±30.36 μg GAE/mL in methanol.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the solvent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80.20±1.45% for ethyl acetate, 81.94±0.45% for methylene chloride, and 85.14±1.53% for methanol.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etween the solvents.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various extracts on glutathione S-transferase (% inhibition) was 92.12±0.56%, 88.48±0245% with methylene chloride extract, and 90.85±0.14% with methanol extract. These too were significant different (p<0.05) between the solvents. The two portions of coffee waste extracts obtained from ethyl acetate and methanol showed meaningful results o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the inhibition effects on glutathione S-transferase. Therefore, they can be utilized to develop health care foods and can be applied as antioxidants for cosmeceuticals.
        4,000원
        504.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ethyl acetate, n-butanol, chloroform, and water) from Robus idaeus in various radical scavenging models (DPPH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reducing power,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long with their antimicrobial potential. Measurement of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R. idaeu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The ethyl acetate extract (at a concentration of 1,000 μg/m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ducing power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 compared to the other extracts. Results were dose-dependent. Moreover,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R. idaeus (1,000 μg/mL) showed potent antioxidant efficacy (85.5±1.18%) as evidenced by nitrite scavenging ability at pH 1.2. All solvent extracts of R. idaeus showed lower SOD-like activity (13.72~20.54%). In additi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all solvent extracts except water extract showed strong inhibition (inhibitory zones in mm) of Staphylococcus aureus (19.40±1.00 mm) and Bacillus cereus (20.50±0.21 mm) growth. In particular, ethyl acetate extracts (100 mg/mL)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comparable to that of tetracycline (0.01 mg/mL), whic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R. idaeus is a natur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with enriched phenols and flavonoids concentration, that has potential in the development of health-enhancing food products.
        4,000원
        505.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Arctium lappa L. Arctium lappa fermented twice with Phellinus linteus (2nd FA) showed mor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non-fermented Arctium lappa (NFA), and Arctium lappa fermented once (1st FA) at a concentration of 62.5 ppm. The 2nd FA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concentration range of 31.5~125 ppm. The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1st FA and 2nd FA were similar to that of BHA, a synthetic antioxidant, at a concentration of 250 ppm.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2nd FA was higher than those of NFA and 1st FA. The flavonoid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1st FA and 2nd FA than NFA.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order of NFA, 1st FA, and 2nd FA at all concentrations. In conclusion, the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A. lappa were increas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fermentation. It is suggested that fermented Arctium lappa, especially 2nd FA, could be used as a natural ingredient for functional foods and medicine.
        4,000원
        506.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탄닌 함유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미생물 성장 및 메탄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반추위액은 농후사료와 조사료(timothy)를 40:60의 비율로 급 여한 반추위 cannula가 시술된 한우 암소에서 채취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식물 추출물은 상수리나 무(Quercus acutissima), 밤나무(Castanea crenata), 참가시나무(Quercus salicina),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그리고 떡갈나무(Quercus dentata)를 사용하였으며, 식물 추출물은 한국식물추출물 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반추위액과 McDougall buffer를 1:2의 비율로 혼합한 배양액을 0.3g timothy와 식물 추출물(기질의 5%)이 담긴 50mL serum bottle에 혐기상태로 15mL를 분주하였다. Serum bottle은 39℃, 120rpm으로 3, 6, 9, 12, 24, 48 및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본 실험 결과 배 양 시간이 지날수록 pH는 점점 감소하였으며, 정상범위에 포함되었다. 건물소화율은 대조구에 비해 첨 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암모니아, 총 가스 생산량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대조구에 비 해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24시간 메탄 발생량은 대조구에 비해 전 첨가구에 서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미생물 성장량은 첨가구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고, acetic acid 및 propionic acid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Real-Time PCR에서 섬유소 박테리아(R. albus, R. flavefaciens) 및 메탄 생성균(Ciliate associated methanogen)은 대조 군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 사용한 탄닌 함유 식물 추출물 5종 모두 반추위 발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메탄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상수리나무에서 반추위 발효성상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메탄 발생을 저감하는 식물 추출물로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4,900원
        507.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식물성 약재인 차즈기 추출물이 굴절이상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 고자 연구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선천성 또는 만성질환이 없고 내과적인 진찰결과 병적 증상 또는 소견이 없는 사람 중에서 임상병리 검사 및 활력징후가 정상범위에 속하며 등가구면 굴절이상도가 – 3.00D 이상인 피험자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500mg의 차즈기 추출물과 대조군 인 위약(placebo)을 각각 복용하고, 그로부터 2시간 후 시각적 근거리 작업을 2시간 동안 실 시하였다. 굴절이상도는 등가구면한 값으로 계산하였으며, 차즈기 추출물과 위약을 복용하기 전과 2시간 동안의 시각적 근거리 작업 후에 타각적 굴절검사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우위안과 비우위안의 굴절이상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0.05 수준 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차즈기 추출물과 위약(placebo)을 복용 전과 복용 2시간 후에 시각적 근거리 작업을 한 후의 굴절이상도 변화에 대해서 우위안과 비우위안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차즈기 추출물을 복용했을 때 우위안에서는 복용 전 –5.57±2.77 D에서 복용 후 –5.42±2.74 D로 굴절이상도가 감소하였고, 비우위안에서는 복용 전 –5.52±2.47 D에서 복용 후 –5.36±2.51 D로 감소하였 다. 반면에, 위약을 복용했을 때는 우위안에서 복용 전 –5.23±2.55 D에서 –5.36±2.59 D로 굴절이상도가 증가하였으며, 비우위안에서는 복용 전 –5.14±2.44 D에서 복용 후 –5.26 ± 2.42 D로 굴절이상도가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다. 시각적 근거리 작업 전과 후의 평균 굴절이상 변화를 비교한 결과, 차즈기 추출물을 복용했 을 때 우위안에서는 –0.155±0.27 D, 비우위안에서는 –0.163±0.28 D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굴 절이상도의 감소를 보였다. 위약을 복용했을 때는 우위안에서 +0.133±0.27 D (p=0.01), 비우 위안에서는 +0.120±0.25 D(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굴절이상도의 증가를 보였다. 결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위안과 비우위안 모두 차즈기 추출물을 복용하였을 때는 시각적 근거리 작업 후 등가구면 굴절이상도의 증가를 억제하고 감소시키고, 위약을 복용하였을 때는 굴절이상도의 증가를 보이는 결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차즈기 추출물에서 시력보호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508.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식물성 약재인 차즈기 추출물의 눈 피로 개선에 대한 양안시기능 평가를 해보고자 한다. 방법: 선천성 또는 만성질환이 없고 내과적인 진찰결과 병적 증상 또는 소견이 없는 사람 중에 서 임상병리 검사 및 활력징후가 정상범위에 속하며 등가구면 굴절이상도가 –3.00D 이상인 피 험자 30명을 대상으로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피험자들은 차즈기 추출물을 구강 섭취하는 실 험군과 위약(placebo)을 구강 섭취하는 대조군의 총 2개의 그룹으로 15명씩 나뉘어 무작위로 ‘시험물질 → 위약 투여군’과 ‘위약 → 시험물질 투여군’으로 배정하여 각각 일주일 동안 구강 섭취하도록 하였다. 500mg의 차즈기 추출물과 대조군인 위약(placebo)을 각각 복용하고, 체내 에 흡수되는 시간을 감안하여 2시간 후 시각적 근거리 작업을 2시간 동안 진행한 후에 폭주근 점과 조절근점, 양안조절용이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는 3회 측정한 평균값으로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0.05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시각적 근거리 작업 전과 후의 평균 폭주근점 변화를 비교한 결과, 차즈기 추출물을 복 용 했을 때는 7.80±2.33 cm에서 6.94±2.16 cm로 –0.86±0.16 cm만큼 감소하는 유의성을 보였고, 위약을 복용했을 때는 8.18±2.26 cm에서 9.41±2.20 cm로 +1.23±0.75 cm만큼 증 가하는 유의성을 보였다. 평균 조절근점 변화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차즈기 추출물을 복용했을 때 우안에서는 -0.85±1.32 cm, 좌안에서는 -0.71±1.21 cm, 양안에서는 –0.69±1.46 cm로 통계적으로 조절근점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으며, 위약을 복용했을 때는 우안은 +0.73±0.79 cm, 좌안은 +0.83±1.12 cm, 양안은 +0.67±0.84 cm로 조절근점이 유의하게 증 가하는 변화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평균 양안조절용이성 변화를 비교한 결과, 차즈기 추출물을 복용했을 때는 +1.27±2.41 cpm의 변화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위약을 복용했을 때는 –0.07±2.57 cpm로 통계적으로 유의할 정도의 차이는 아니지만 감소하는 경향 을 볼 수 있었다. 결론: 차즈기 추출물에서 위약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평균 폭주근점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폭주력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평균 조절근점 또한 감소하였으 므로 조절력 개선에도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평균 양안조절용이성 역시 차 즈기 추출물에서 증가하였으므로 조절 부담에 의한 눈의 피로도를 개선하는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차즈기라는 식물성 약재가 눈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09.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피부의 피부 노화, 질환, 훼손은 내부적인 요인으로서 활성산소라는 사실이 밝혀진 이래로 합 성 항산화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물 항산화제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들 중에 지실은 오래전부터 만성적인 염증, 알리지 완화, 황산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미생물을 이용한 발 효는 조직에 결합 되어 있는 생리활성 물질의 유리로 생체이용율(bioavailability) 훨씬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 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실 열수 추출물을 기질로 GRAS 알려진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를 수행하 고 발효가 항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하였다. 지실 열수 추출물은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있는 hesperidine, naringine, luteoilin, imperatorin등의 플라보노이드 및 furocoumarin등이 동정 이 되었고 함유량은 hesperidine naringine, imperatorin, luteolin 순이었다. 열수 추출물을 기질로 하여 분리된 Leuconostocs sp. strain JYK로 발효를 수행한 결과 지실 열수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71.2±4.58 (mg/g)의 총 페놀 함량이 있는 것으로 측정이 되었고 반면에 발효 추출물에는 89.2±13.47 (mg/g)으로 약 25.3%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지실 열수 추출물에는 25.1±4.12 (mg/g)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있는 것으로 측정이 되었고 반면에 발효 추출물에는 31.0±4.06 (mg/g)으로 약 23.5%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DPPH 소거능은 지실 열수 추출물에는 70.9% 반면에 발효 추출물은 86.2% 측정이 되었다. 총 항산화 능력은 18.7% 발효추출은 26.6%로 발 효를 통하여 약 40% 증가하였다. 따라서 미생물 발효를 통하여 천연물에 포함이 되어있는 기능성 물질 에 대한 생체 이용률을 높인다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피부 노화 완화 및 개선 작용으로 기능성 화 장품 및 식품의 소재로 활용 가치를 높여 줄 것으로 기대를 한다.
        4,000원
        51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Cibotium barometz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Diabetes was induced by intravenous injection of STZ at a dose 45㎎/㎏.b.w. dissolved in citrate buffer(pH4.5). The ethanol extract of Cibotium barometz was orally administrated once a day for 7 days. The contents of serum glucose, triglyceride(TG) and tota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05) in Cibotium barometz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those of STZ-control group, The content of glutathione(GSH) and activity of gluthathione-s-transferase(GS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Cibotium barometz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those of STZ-control group. andactivityes of catalase(CAT) and glutathione peroxidae(GSH-Px) were signiicantly decreased (P<0.05) in Cibotium barometz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those of STZ-control group. Also the content of hepatic glycogen and activities of glucose-phosphate dehydrogenase(G-6-PDH)and glucokinase(GK) were significamtly increased(p<0.05), but activity of glucose-6-phosphatase (G-6-Pase) was significamtly decreased (p<0.05) in Cibotium barometz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those of STZ-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thanol extract of Cibotium barometz would have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effect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4,000원
        51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kebia quinata fruit(AQF), as identified in the preceding paper, polyphenols and other phenolic components of saponin also has similar or higher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well-known for soothing, anti-oxidizing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moisture, sebum, melanin, erythema content of facial skin. As a result of measur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 examine independent anti-oxidation of AQF, there was a slight scavenging activity. Compared to before the usage of cream, a group who used cream with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showed a very slight increase in the moisture content and slight decrease in the sebum, melanin, erythema on their faces after 4 weeks of tests, indicating that there was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found. This study proves that the akebia quinata fruit(AQF) extrac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improvement of facial skin and italso implies that the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has high potential as an ingredient of cosmetic products.
        4,300원
        51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윈터체리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검증하여 기능성 미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DPPH, ABTS, FRAP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검증에서 윈터체리추출물은 매우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에도 농도 의존적인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마우스 유래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에서 윈터체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세포 내에서 생합성 되는 멜라닌의 양이 상당히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멜라닌 생성을 더욱 유도하는 α-MSH를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윈터체리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인 억제 효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윈터체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는 MITF 전사인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멜라닌 생합성과 관련된 티로시나아제와 Tyrp-1 등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일어나게 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윈터체리 추출물은 기존의 미백 원료들을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함께 사용할 경우 상승 효과를 낼 수 있는 새로운 미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51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the fibrinolytic, thrombin inhibitory, anti-oxidative, acetylcholinesteraseinhibitory, and immuno-enhancing activities of the water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isolated from Grifola frondosa. Fibrinolyticactivity was analyzed using the fibrin plate method, and thrombin inhibitory activity was assayed using the substrate H-D-Phe-pip-arg-pna. Anti-oxidative activity was estimated using the DPPH assay, and AChE inhibitory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spectrophotometric method. Immuno-enhancing activity was examined using the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RAW 264.7macrophage cells.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using the MTS assay. Fibrinolytic activities were the highest in water extract (1.55plasmin units/mL) followed by water fraction (0.85 plasmin units/mL). The thrombin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water and ethylacetate fractions were determined to be 76.43% and 72.59%, respectively. Th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ofchloroform and hexane fractions exhibited values of 95.14% and 94.74%, respectively. The butanol fraction showed the highestanti-oxidative activity at 94.47%. Anti-proliferating activity against Raw 264.7 cells showed no cytotoxicity. The production of NOin Raw 264.7 cells increased up to 2-fold by adding the water fraction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that Grifola frondosa may serve as a useful functional food for the enhancement of immune function and the prevention andtherapy of cardiovascular diseases.
        4,000원
        514.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shroom have long been valued as highly nutritious and tasty foods in many societies throughout the world. Itis known for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potential.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anti-cancer proper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prostate cancer activity of mushrooms. For that, eight kinds ofmushrooms such as, T. matsutake, S. crispa, G. lucidum-US, G. lucidum-AS, C. cardinalis-BR, G. frondosa, P. linteus, U.esculenta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Among them, three kinds of mushrooms including T. matsutake, G. lucidum-US andC. militaris-BR extracts inhibited prostate specific antigen (PSA) expression in prostate cancer cell, LNCaP. These resultsdemonstrate that some of mushrooms inhibited PSA expression suggesting that the mushrooms might be a candidate for thetreatment of prostate cancer.
        3,000원
        515.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shroom is known for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potential.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inhibitory effect of mushroom o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s. To definethe underlying mechanisms of action, tumor necrosis factorα/IFNγ-activated human keratinocytes model was used. Mushroom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ytokines in HaCaT cells. Taken together,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mushroom inhibitedinflammtion, suggesting that mushroom (DW extract: Grifola frondosa Cordyceps militaris), (Ethanol extract: Ganoderma lucidum,Lentinus edodes, Cordyceps militaris, Flammulina velutipes) might be a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skin inflammation.
        4,000원
        516.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ein/Poria cocos extract nanofibers were prepared based on the electrospinning of aqueous solutions with different Poria cocos extract concentrations (0, 5, 10, and 15 wt.%). The electrospinning parameters, including the polymer contents, voltage, and tip-to-collector distance (TCD), were optimized for the fabrication process. The resulting electrospun materials were all characterized using field-emission scanningelectron microscopy (FE-SEM). The diameters of the electrospun zein nanofibers were found to increase when increasing the zein concentration.
        3,000원
        517.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vious reports revealed that DMfree (green tea extract) inhibited expression of the IL-6 gene in Mycobacterium lepraeinfected MSCs (mesenchymal stem cells). This study aimed to measure IL-6, IL-1β, TNF-α and PGE2 production in M. leprae-infected MSCs using ELISA. To confirm the effect of DMfree on IL-6 and signal transduction, a western blotting test was performed. DMfree inhibited the expression of IL-6 in the MSCs and the heterodimer of STAT3, which also affects the expression of multiple genes. Though DMfree pre-treatment of control MSCs produced a baseline level of IL-6, i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IL-6 in M. leprae-infected MS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L-6 production between 1 and 7 day treatment groups. M. leprae-infected MSCs produced more IL-1β, TNF-α and PGE2, but DMfree could not inhibit their production at a physiological concentration. This is different from other reports that used higher concentration of EGCG treatment, resulting in significant inhibition of the cytokines. The inhibition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EGC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Mfree can alleviate inflammation involving IL-6.
        4,000원
        518.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갈대 뿌리 추출물을 첨가한 베이스 와인을 제조하고, 이에 효모를 첨가한 스파클링 와인을 제조하였다. 발효 과정 중 베이스 와인의 pH는 발효 기간이 늘어날수록 두 군 모두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발효 14일차에는 각각 3.21과 3.23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며(p>0.05), 산도는 두 군 모두 증가하였다. 당도는 발효 14일차 각각 7.33 °Brix, 6.90 °Brix로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알 코올 함량은 발효 14일차 대조군과 첨가군이 13.83%, 14.20% 로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p<0.05). 색도는 발효 1일차에는 두 군 모두 명도(lightness)가 높아졌는데, 효모의 첨가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 기간이 증가할수록 두 군 모두 낮아졌 다. 적색도(redness)와 황색도(yellowness)는 발효 14일차에는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은 대조군과 첨가군이 각각 29.19 mg/100 mL, 34.97 mg/100 mL로 첨가군이 유의적 으로 높았으며(p<0.05),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큰 변화를 나 타내지는 않았다. 플라보노이드는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두 군 모두 감소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결과, 대조군과 첨가군은 각각 44.26%, 64.37%로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알코올 도수 14%의 로제 베이스 와인에 효모의 생육이 억제되어 발효가 일어나지 않아 갈대 뿌리 추 출물을 첨가하여 알코올 도수 8%로 낮춘 후 효모 5종을 접종 하였다. 스파클링 와인의 발효 기간 중 pH는 A군을 제외한 실험군들은 모두 발효 1일차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 으며,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당도는 실험군들 모두 감소하였으며, 알코올 함량은 다소 증가하였다. 병내 기압은 발효 8일차 A군 4.30 kgf/cm2, C군 3.58 kgf/cm2, B군 3.35 kgf/cm2, D군 3.27 kgf/cm2로 최종 기압이 측정되었다. 관능검 사 결과 향미(flavor), 부드러운 정도(softness), 전체적인 기호 도(overall acceptability) 모두 대조군(시중 판매 제품)이 각각 6.90, 7.13, 7.33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실 험군들 모두 5.25~5.58로 평균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 상의 결과 갈대 뿌리 추출물을 첨가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 시 Saccharomyces cerevisiae Vitilevure Quartz가 가장 적 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519.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인 비만을 예방 하기 위한 식품소재로서 3T3-L1세포를 이용하여 탈피한 도 토리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T3-L1 세포에서 생존율(MTT assay)을 측정한 결과, AE와 AW 시료 모두 500 μg/mL 농도에서는 다소 생존율의 감소를 보여, 300 μg/mL를 최종 농도로 정하였다. 3T3-L1 세포의 지질축적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 100 μg/mL로 처리하였을 때 두 시료 모두 지질축적량의 증가를 보였으나, 200 μg/mL 처리농도에서 AE 시료는 82%로, AW 시료는 74%로 감소되다가 300 μg/mL 농 도에서는 두 시료 모두 약 53% 수준까지 지질축적이 억제되 었다. 3T3-L1 세포에서 중성지방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AE 시료의 경우 200 μg/mL 농도에서 11%의 감소율, 300 μg/mL 농도에서 42% 수준의 감소율을 보였다. AW 시료도 200 μg/ mL 농도에서 5%의 감소율과 300 μg/mL에서 41%의 감소율 을 보였다. 3T3-L1 세포의 ROS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시료 농도 200 μg/mL에서 AE는 42%, AW는 33%로 300 μg/mL에 서는 AE는 58%, AW는 52%로 ROS 생성량의 억제를 보였다. 3T3-L1 세포에서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대조군과 비 교하였을 때 두 시료(AE와 AW) 모두 300 μg/mL 농도에서 PPAR-γ은 54%와 38%, aP2는 40%와 18% 수준의 발현을 억 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탈피한 도토 리는 3T3-L1 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새로운 항비만 소 재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20.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Opuntia humifusa with 3 different mushroom mycelia: Phellinus linteus, Lentinula edodes, and Pleurotus ostreatus. Fermented Opuntia humifusa by Phellinus linteus (FOP) and Lentinula edodes (FOL) showed mor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non-fermented Opuntia humifusa (NFO) and fermented Opuntia humifusa by Pleurotus ostreatus (FOPO). At a concentration of 250 ppm,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FOP and FOL were similar to that of BHA, a synthetic antioxidan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had a similar tendency to that of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owever, the flavonoid content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NFO, FOL, FOPO, and FOP. At all concentrations,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FOP and FOPO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kojic acid.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NFO and FO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FOP and FOPO showed a higher fat accumulation inhibitory effect than NFO and FOL. These results provide baseline data for Opuntia humifusa as a novel functional food.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