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0

        41.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innovative behavior, turnover intention, and job security. An additional purpose was to examin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psychological ownership. The baseline of analyzing those relationships in this study is that the role of psychological ownership will be a mediator between job security and turnover intention as well as innovative behavior in the organization.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a model was built among job security as predictor variable, the psychological ownership as mediating variable and turnover intention, and innovative behavior as criteria variables based on the studies conducted in the various areas. The 248 questionnaires surveyed from the area of DaeGu and Kyungbuk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es. The detail statistical techniques are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job security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only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organization-level thinking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job security and innovative behavior also job security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may indicate that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organization-level thinking be a key factor to alleviate the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and to encourage the innovative behavior during their works for the small-medium size companies showing the unstable job security.
        4,900원
        4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서는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총체밀에 콩과작물의 혼파재배와 우분시용이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단위면적당 가축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시험은 분할구 집구로 배치한 3반복으로 주구는 총체밀 단파, 총체밀과 헤어리베치 혼파 및 사료용 완두 혼파를, 세구에는 우분 4수준으로(0, 50, 100 및 150kg N/ha) 시험이 실시되었다. 총체밀의 연간 건물수량은 지역 시험구 비교에서는 경주 시험구가 경산과 영주 시험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경주 시험구에서 시험구별 단․혼파 비교에서는 헤어리베치 혼파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우분 시용수준에 따른 건물은 전 시험구에서 시용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ha당 100, 150kg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사료작물의 사료가치 평가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콩과작물의 월동이 가능한 시험구에서는 총체밀 단파보다는 콩과 혼파구가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p<0.05). 경산지역에서 총체밀의 가소화양분총량(TDN) 함량은 사료용 완두구가 가장 높았으나(p<0.05), 총체밀 단파구와 유의적 차이는 나지 않았다. 한우 사육능력은 경주 시험구가 ha당 3.83두로 경산 시험구의 ha당 3.11두, 영주 시험구의 ha당 1.35두 보다 높았으며(p<0.05), 총체밀 단파보다는 콩과 작물혼파구가, 혼파구에서는 헤어리 배치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경북지역에서 사료가치 증진을 위한 콩과 사료작물 혼파는 겨울철 콩과작물의 월동성을 고려해야 하며, 콩과작물의 월동이 어려운 지역에는 우분을 시용하며, 또한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분 수준을 ha당 100~150kg 시용과 함께 콩과작물을 혼파하는 것이 가축사육 능력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4,000원
        43.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ap in perceived importance-satisfaction rates of foreign Chinese students regarding the university foodservice selection attributes. All statistical analyses are conducted by the SPSS package program (ver 20.0).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es are as follows: The validity of the 22 food service selection attributes is being evaluated via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n five factors are extracted. The five factors are: ‘Factor 1. Cleanness and service quality’, ‘Factor 2. Food quality and price’, ‘Factor 3. Physical environment’, ‘Factor 4. Convenience’, and ‘Factor 5. Servic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ne-way ANOVA, physical environment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periods of residence in Korea and the eating frequency at on campus foodservices. On the other hand, the food quality and price, convenience, and service environment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periods of residence in Kore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results, ‘ventilation of dining room’ is the key aspect that university food service managers should reinforce.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ustomer satisfaction rates, the food service managers should not only improve the quality of food and service but also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food service facility.
        4,000원
        4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0년 구제역으로 많은 농가들이 피해를 입었으며, 발생원인과 바이러스 전파 과정에 대해서 명확한 원인과 근거를 찾을 수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제역의 발생에 있어서 불명확한 살처분 방지와 감염경로의 예측을 위한 지형적인 특성을 구명하고자, 2010년 경북지역을 대상으로 구제역이 발생한 농가 58개의 지형을 분류하였다. 분류요소는 농가가 위치한 고도, 경사도, 축사의 방향, 도로인접도, 마을인접도와 경사방향을 설정하여 발생농가의 지형적 자료를 각 항목에 분류하였다. 각 요소별 분류에서고도와 경사도, 하천인접도에서는 차이점을 나타내었으나, 축사방향 및 경사방향, 도로인접도, 마을인접도에서는 유사한 지형적인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제역 발생 농가만의 특수한 지형은 알수가 없었지만, 많은 변수들을 고려한 지형분류가 구제역 확산 방지와 예찰을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5.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경북지역에서 최근 몇 년동안 발생하여 피해를 준 돌발해충에 대하여 발생실태 및 생태적 특성 등을 조사하여 방제대책을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꽃매 미는 2009년부터 경산, 영천 등 5개 시군의 포도 주산지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여 2010년에는 11개 시군 4,628ha로 확대된 이후 감소하여 2012년 발생면적은 2008ha 정도였다. 꽃매미 발생면적이 크게 감소한 원인은 월동기간의 저온과 공동 방제의 결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북 성주지역의 참외 주산지에서는 꼬마담색 밤나방에 의한 피해가 처음으로 발생되었는데 발생면적은 10ha 정도였고 피해가 심한 포장은 80% 이상의 수량감소 피해를 주었다. 부산우단풍뎅이에 의한 피해는 복숭아 과원에서 발생하였는데 피해증상은 개화전인 꽃눈을 가해해서 꽃눈의 중 앙 및 상단부가 칼로 절단한 것처럼 보이고 꽃잎을 둘러싸고 있는 인편과 꽃잎이 같 이 잘려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2013년 미국선녀벌레가 칠곡 등 3개 시군에서 처음 으로 발생되었고 발생경로를 추적해 본 결과 고속도로를 중심으로 확산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47.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48.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공검지는 경상북도 상주시 양정리에 위치한 습지이다. 공검지는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습지임을 인정받아 1997년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2011년 6월 28 일에는 논습지 최초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을 뿐만아니라 제 10차 람사르 협약 등록을 추진하는 등 주목 받고 있는 습지이다. 이러한 점에서 공검지의 곤충의 종 다양성을 조사하고자 채집을 실시하였다. Pitfall trap, Sweeping, Searching, Light trap을 이용하여 곤충을 채집, 동정을 하여 데이터를 작성하였다. 채집시기는 2013년 5월, 7월, 10월로 분기별 총 3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출현종수는 5월 6목 12과 25속 26종, 7월 7목 38과 100속 104종, 10 월 7목 19과 32속 33종이 조사되었다. 목별 종수를 비교한 결과 딱정벌레목과 노린 재목, 메뚜기목 곤충이 상대적으로 높은 종수를 나타냈으며 딱정벌레목의 경우 5 월(46.2%), 7월(67.3%)에 종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월(24.2%)의 경우 낮아 지는 경향을 보였다. 메뚜기목은 5월(3.8%), 7월(5.8%), 10월(24.2%)로 나타났으 며 노린재목은 5월(19.2%), 7월(20.2%), 10월(33.3%)로 딱정벌레목과는 상반되 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검지에 나타나는 곤충의 출현정도를 비교분석하여 장차 습지 생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49.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경북 북부지역 노지고추에서 해충 발생증가와 재배농가의 인식부족으로 적기방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노지고추에서 발생하는 주요 해충은 총채벌레, 담배나방, 진딧물인데, 총채벌레와 담배나방은 고추과실을 직접 가해하며, 진딧물은 생육저하 및 바이러스를 매개하여 고추에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북 북부지역 노지고추에서 발생하는 주요 해충의 발생시기 및 피 해정도를 조사하여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총채벌레, 담 배나방, 진딧물의 발생소장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추 주산지인 영양지역에서 2009~2012년까지 황색평판트랩, 성페로몬트랩, 육안조사를 실시하였고, 피해정 도는 2010년부터 3년 동안 영양과 의성지역에서 7월 중순부터 9월 상순까지 순별 로 조사하였다. 총채벌레는 6월 중순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 상순, 7월 하순, 8월 하순으로 연중 3차례의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노지고추에 주로 발생하는 종은 대만총채벌레와 꽃노랑총채벌레이였으며, 대만총채벌레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총채벌레에 의한 평균 피해과율은 조사지역에서 8월 하순에 가장 높았다. 담배나 방은 5월 하순에 발생이 시작되어 6월 하순, 7월 하순~8월 상순, 9월 상순으로 연중 3차례의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8월 중순에 평균 피해과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진딧물은 6월 상순 이후 발생밀도가 증가하여 6월 하순~7월 상순에 가장 높았고 이 후 발생밀도가 감소하다가 9월 상순에 소폭 증가하였다.
        50.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북지역 버섯수출의 요인들을 분석하여 수출증대 전략과 수출지원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정보를 얻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가. 팽이버섯과 새송이버섯 품목의 경북지역 버섯수출량은 전국 버섯수출량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팽이버섯은 총수출액이 2009년 81%, 2010년 14%로 증가하여 2010년에는 최대수출량(9,415톤)과 최대수출액(14,840천)을 기록했다. 이후 2011년 -15%, 2012년 -19%로 다소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새송이버섯의 경우는 수출액이 2010년 52%, 2011년 18%, 2012년 6.5%로 증가하여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나. 2012년 기간의 경북지역 팽이버섯의 수출지역별 수출액을 보면 2010년에 대중국 수출액 2,325천, 대홍콩 수출액 7,653천에서 2012년에 대중국 196천, 대홍콩 1,666천로 각각 –91%(2,129천), -78%(5,987천)로 급감하였는데 같은 시기의 경북지역 총수출액도 14,841천에서 10,113천로 -31%(4,728천) 감소하였다. 다. 새송이버섯의 경우 팽이버섯과는 달리 유럽지역을 대표하는 네덜란드가 수출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중국으로의 수출은 미미한 수준이다. 라. 중국의 경우 2001년 공장형버섯농장 5개소, 생산량이 8천톤에 불과하였으나 2011년에는 652개의 공장형버섯농장, 생산량은 1,100천톤으로 매우 빠르게 급성장하였다.
        3,000원
        52.
        2012.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could adversely affect heal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the contribution of ETS exposure in nonsmokers of entertainment facilities. We simultaneously measured nicotine and nitrogen dioxide (NO2), which are known as indicators of ETS, concentrations in indoor internet cafe, billiard, karaoke, bar and restaurant, and estimated exposure level of other harmful agents occurred from tobacco smoking. Mean nicotine concentration (10.57±2.53㎍ /m3 ) of internet cafe was the highest comparing to other facilities, whereas mean concentration of restaurant where was non-smoking area was 0.28±0.08㎍ /m3 . There was statistically not correlated between NO2 and nicotine concentrations in entertainment facilities. Therefore, the use of NO2 concentration as indicator of ETS exposure may not be available. To date, there are no standards about each agent occurred from ETS. Consequently administrative control and regulation, and further researches in relation to ETS exposure should be needed.
        4,300원
        53.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형할인마트 이용자의 쇼핑 성향에 따른 가드닝용품의 이용실태와 만족도를 알아 보기 위하여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최대 소매 업태인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를 선정하여 2011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의 기간 동안 총 364부의 설문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대형할인마트 이용자들의 소 비특성을 파악 하고자 쇼핑성향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행 추구형 쇼핑성향, 친환경적 쇼핑성향, 쾌락 형 쇼핑성형, 경제적 쇼핑성향 4가지 요인이 분석 되 었다. 전반적으로 가드닝 용품의 구매경험이 높았고, 구매횟수는 월 1∼2회, 평균 구매금액은 월 3∼5만원, 구매상품의 종류는 화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 상자의 대형할인마트 쇼핑성향에 따라 구매경험은 유 행 추구형 쇼핑성향 72.6%로 높았고 구매횟수는 유행 추구형, 쾌락형, 경제추구형의 40%이상이 월1∼2회, 친환경적 쇼핑성향이 38.1%가 월 5∼6회 정도 구매하 였다. 월 평균 구매금액은 친환경적 쇼핑성향 42.9%, 유행추구형 32.8%가 월 3∼5만원 구매하는 것으로 나 타났고, 쾌락형은 37.2%가 월 1∼3만원, 경제적 쇼핑 성향은 37.1%가 1만원 미만 구매하였다. 가드닝 용품 은 유행 추구형, 쾌락형 쇼핑성향을 지닌 소비자들은 화분, 친환경적 쇼핑성향의 경우 채소씨앗, 경제적 쇼 핑성향은 식물세트를 가장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 형할인마트 내 가드닝 용품에 대한 만족도 및 재 구 매 의도는 평균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다양성의 한계가 가장 큰 불만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basic educational data on the proper eating habits of children who use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ducted by polling the fourth, fifth, and sixth-grade children of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s are summarized as follows. Male children had more meals and ate them faster than those of female children, and they also tended to watch more TV and read books. Moreover, children of families headed by fathers ate until they were full, whereas children of households headed by mothers ate less. More female than male children skipped breakfast, and the percentage of children who had their meals alone was high among children reared by their grandfathers. Most of the children ate only what they liked. Moreover, male children ate only particular fruits and vegetables, whereas female children ate only beans and miscellaneous cereals. Most of the children recognized that they had eating problems, such as eating only what they liked and eating meals on irregular schedules. Such eating habits were affected mainly by family members such as parents, brothers, and sisters. Female children scored higher than male children in terms of nutrition and hygiene knowledge. Approximately 40~50.3% of all subjects became interested in nutrition and hygiene education at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Most of the children recognized that nutrition and hygiene education is necessary at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They also recognized their own eating problems and wanted nutrition and hygiene education to be taught at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Accordingly, regula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eals for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considered a children`s particular home background to improve eating habits in the children.
        4,300원
        55.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경북지역에는 약 700여두의 칡소가 사육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자연종부에 의한 번식에 의존하고 있어 사육농가에 따른 근친의 위험도가 증가하고 있고 품조의 퇴화가 의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북지역에 사육하고 있는 칡소의 유전적 근연관 계를 분석하여 향후 교배계획 등에 활용할 자료를 확보하고자 실시하였다. 칡소 개체에 따른 모색발현은 전체 칠소무늬, 부분 무늬, 황색 및 흑색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경북지역 사육 칡소 암소와 수소 총 67두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DNA를 분 리하였다. 근연관계분석은 ISAG에서 추천하는 27개 초위성체 마커를 활용하여 PCR 분 석을 하였다. 결과는 POPGENE32 및 UPGMA 등의 클러스터링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유 전적 거리 및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칡소의 모색은 전체 칡소 무늬, 9.6%, 부분 칡소 무늬, 56.0%, 황색 20.8% 및 흑색 13.2%로 조사되었다. 칡소 혈액으로부터 DNA를 분리하여 genetic distance(GD)를 조사 하여 모색 발현과 비교한 결과 전체 칡소무늬는 GD 값이 0.92, 부분 칡소무늬는 1.32, 황색은 0.79 및 흑색은 0.77로 분석되었다. GD 값이 큰 개체들 간에 교배한 경우 칡소무 늬가 발현된 송아지가 많았다. 본 연구결과 경북지역 칡소의 기초적인 유전적 근연관계를 확인할 수있었으며, GD값이 클 수록 모색이 정확하게 발현되는 경향이었다. 하지만 근연관계 분석에 더 많은 칡소의 분석과 모색유전자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56.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북지역의 포도 주산지에서 2010년부터 2011년 2년간 꽃매미 월동실태를 조 사한 결과 영천 등 14개 지역에서 월동난괴가 발견되었고 이들 지역 중 영천, 경산, 군위 3지역은 난괴수가 포도나무 1그루에 5개 이상으로 다른지역보다 월동밀도가 높았다. 꽃매미 주요 산란처는 가죽나무, 쉬나무, 두릅나무 등이었다. 지역별 부화 시기는 경북 남부지역인 경산, 영천, 경주 3지역의 경우 5월 상순부터 부화되기 시 작하여 부화최성기가 5월 중순이었고, 중북부지역은 5월 중순부터 부화되어 최성 기는 5월 하순이었다. 지역별 최종 부화율은 평균 71%로 나타났고 봉화지역은 월 동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7.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Chinese university or college students' preference for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A questionnaire developed from literature review included a series of questions about Korean food that included preference, satisfaction, product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We analyzed 240 valid responses.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frequence, IPA,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software. Of the 41 kinds of Korean food included, the students' average preference was 3.24 and satisfaction was 3.23 on a 5-point scale. The students questioned preferred Bulgogi (3.99), Galbigui (3.92), Galbitang (3.88), Galbizzim (3.87), and Samgyeopsal (3.86) to other Korean foods. With regard to satisfaction, Bulgogi (3.94) was chosen by Chinese students as the most satisfying Korean food, followed by Galbitang (3.80) and Galbigui (3.80). The perceived quality of the Korean food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4,000원
        5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use of information for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and perception of informations offered on Office of Education homepages according to Daegu and Gyeongbuk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The most frequently used web site information source and information type were ``charged foodservice information sites``(63.5%) and ``information on nutrition or menus``(63.5%), respectively. Subjects belonging to schools that served more meals per day tended to use informations more frequently. Information on ``management of the foodservice production process`` showed a low satisfaction level as compared to importance in all groups, and information on ``nutrition education`` showed a similar tendency for subjects belonging to schools that served 1 meals per day. Overall, efforts for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re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school foodservice.
        4,000원
        59.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북지역에 근로하고 있는 장애인의 직무만족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기입식 및 면접을 통해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근로자의 직무관련요인에 대한 만족 수준은 대체로 양호(M=3.56)하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근로자의 감독관련 요인에 대한 만족수준을 향상하기 위해 직무수행에 대한 자율성과 권한을 부여함으로서 장애인근로자의 감독관련 요인에 대한 만족수준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장애인근로자의 보수관련요인에 대한 만족수준은 양호(M=3.327)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근로자의 승진 관련요인에 대한 만족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애인근로자들의 승진을 위한 직급제를 도입하여 장애인들이 열심히 일하면 승진할 수 있다는 동기부여를 해줄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장애인근로자의 동료관련 요인에 대한 만족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동료들이 서로 간에 칭찬과 격려를 해 주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겠다. 일곱째, 장애인근로자의 이직관련 요인에 대한 만족수준은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으나, 사회통합을 위한 일반사업체로의 전환을 염두에 두고 있는 사람이 적거나, 장애인근로자가 이용할 다른 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에 현 시설에 계속 다니는 것이 나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6,7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