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

        42.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금추출물의 간장기능 회복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CCl4로 간중독을 유도한 쥐에게 황금추출물을 급여한 후, 혈액성상, 혈액 내 효소활성치 및 간장 내 전염증성 cytokines의 농도변화를 검토했다. RBC, Hb 및 PCV의 값은 처리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백혈구 총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황금 처리군 모두가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황금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neutrophils 및 eosinophile의 비율이 감소하고, lymphocytes 및 monocytes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basophils의 구성비는 처리군 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otal protein 농도 및 albumin 농도는 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albumin/globulin 농도 비율은 대조군보다 황금추출물 처리군에서 높았다. GOT, GPT 및 LDH의 효소활성치들은 모두가 대조군보다 황금추출물 처리군에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황금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장 내 IL-1β, IL-6 및 TNF-α의 농도는 대조군보다 황금추출물 처리군 모두가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IL-10의 농도는 대조군보다 황금추출물 처리군 모두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황금추출물은 간장기능회복에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물질을 내재하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43.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als with chromaticism and dissonance as seen in Arnold Schoenberg's early Lied, Schenk mir deinen goldenen Kamm. By espousing Edward T. Cone's idea of three dimensions consisting of harmonic language in tonal music, chordal vocabulary, succession, and progression, the paper distinguishes a radically chromatic idiom from a mild chromaticism that fits into traditional harmonic norms in the 18th to early 19th century. The former is originated from a discord between the three dimensions, whereas the latter marks an accord of the three. I have begun by summing up Schoenberg's own discussions of harmony as seen in his treatises Theory of Harmony and Structural Functions of Music for a logical clarification of his tonal idiom and then critically examined theoretical assumptions for Schenkerian background of the piece to suggest ways for modification. The opening passage shows a disagreement between chordal vocabulary, succession, and syntactical logics in stereotypical tonal idiom, while the second section features a harmony among the three dimensions. Exotic sound by whole-tone sonority proves to be adopted in traditional contexts of the tonal music. The rationales latent in harmony and disharmony among the dimensions have been cautiously considered in relation to poetic imagery of the texts.
        44.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ATA-binding protein-3 (GATA-3) and T-box expressed in T-cells (T-bet) are now considered as master transcription factors involving Th cell differentiation, but the roles of these factors are still uncertain in viv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these transcription factors in the liver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CCl4) in rats. In this study, liver damage were induced with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water extracts (SBW) and followed for 4 weeks. The expression of GATA-3 and T-bet protein in liver damage induced by CCl4 and the serum levels of immunoglobulin A (IgA), IgE were studied after 4 weeks of treatment. We found that effect of SBW on IFN-γ, STAT1, pSTAT1 and T-bet was decreased in vivo. Several genes were demonstrated to be IL-4 inducible prior to the discovery of STAT6. CCl4+SBW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Cl4 group in IL-4, STAT6, pSTAT6 and GATA-3. Our data indicate that cytokine protein production were increased in CCl4 group and CCl4+SBW group. From these results, water extracts obtained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may have an immunoregulatory effect in the liver induced by CCl4 of rats.
        45.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ngkeumbora”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a three way cross of Jinbubyeo, Odaebyeo and Fukei126 at Honam Agricultural Rease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6. This cultivar has about 110 days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under Korean climate condition. The milled kernel of “wangkeumbora”is translucent with non- glutinous endosperm. Amylose content of “wangkeumbora”is about 19.3%. “wangkeumbora”has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daebyeo”and shows high resistant reaction to the blast, but susceptible to major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rice yield of "Hwangkeumbora" is about 5.37 MT/ha under the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the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wangkeumbora”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in northern plain, mid-mountainous and southern mountainous of Korea.
        46.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wangeumnodeul 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Milyang165 and HR15151-B-21-3 at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7. This cultivar has short grains and about 139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direct seeding to harvesting in the southern plain areas. Culm length of this cultivar is 78 cm and the number of spikelet per panicle is similar to that of the check cultivar, Nampyeongbyeo, while filled grain rate is lower than the check variety. This cultivar is moderately resistant to leaf blast, bacterial blight pathogens of K1, K2 and K3 and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major virus diseases and insect pests. Milled kernel of Hwanggeumnodeul 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This cultivar has about 5.7% and 18.6% of protein and amylose contents, respectively. Palatability of cooked rice of Hwanggeumnodeul is similar to Nampyeongbyeo. Its milling recovery and head rice were 75.6% and 90.0%, respectively. Hwanggeumnodeul yielded 5.69 and 5.61 MT/ha in milled rice at the under wet-direct and dry-direct seeding conditions, respectively which are 17% and 12% higher than the check variety, Juanbyeo. It yielded 5.86 MT/ha, 8% higher than Nampyeongbyeo at the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the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wanggeumnodeul”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as well as direct seeding in the southern plain including Chungcheong province.
        47.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wangkeumnuri’' is a japonica rice variety developed and register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in 2006. This variety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Milyang 165’' (Junambyeo) with good quality and high yield and HR14732-B-67-2-3 with multi-disease resistance. This variety has about 125 days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west-southern coast, Honam and Youngnam plain of Korea. It is about 76 cm in culm length and tolerance to lodging. In reaction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it shows resistance to blast, bacterial blight pathogen from K1 to K3 and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other major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rice of ‘'Hwangkeumnuri’' exhibits translucent, relatively clear non-glutinous endosperm and midium short grain. It has similar amylose content of 18.9% and lower protein content of 6.2%, and good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Nampyeongbyeo’'. The milled rice yield performance of this variety is about 5.74 M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Hwangkeumnuri’' would be adaptable to west-southern coast, Honam and Yeongnam plain of Korea.
        48.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at quality inspection of distributed Scutellariae Radix in Korea.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se herbal medicines, we carried out TLC pattern, foreign matter in purity, loss on drying, ash, acid-insoluble ash, oil content, dilute ethanol-soluble, water-soluble, ether-soluble extracts contents, quantitative analyses, residual SO2, individual heavy metal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To measure contents of baicalin, baicalein and wogonin, we were quantitative analyzed using HPLC. The average contents of baicalin, baicalein and wogonin were detected by 13.28 (±0.43)%, 1.17 (±0.04)% and 0.40 (±0.02)%, respectively. Each average contents As, Cd, Hg and Pb was 0.059 (±0.054) mg · kg-1, 0.019 (±0.010) mg · kg-1, 0.017 (±0.057) ppm and 0.242 (±0.084) mg · kg-1, respectively.
        49.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previously examined extracts, isolated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SB), chemical mediators, and IgE by mesenteric lymph node (MLN) lymphocytes in rats.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xtracts of SB on the MLN lymphocytes function of mice given orally by 20 mg/kg for 2 weeks with dextran sulfate sodium (DS)-induced colitis. Results show that IgE levels in MLN lymphocytes was low, while IgA was high, in mice given SB compared to that fed water. Concentrations of Inteferon-γ and interleukin (IL)-2 of T cells by concanavalin A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B fed group than the normal group. Activation-induced IL-4 and IL-10 secretion was lower in SB fed mice compared control mice after DS-induced coliti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B suppresses the inflammation in DS-induced colitis through the modulation of Th1/Th2 balance to down-regulate TH2 response in MLN lymphocytes.
        51.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Gergi)에 함유된 항산화 억제활성 물질을 분리하고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황금 500g을 100% MeOH로 추출하여 150g의 수율을 얻었으며, 다시 분획하여 Ethyl ether 13.2g과 n-BuOH 10.3g, Water 126.5g을 얻었다. 2. Ethyl ether 분획을 Column chromatography, TLC 및 HPLC를 이용하여 xanthine oxidase 억제활성을 가진 compound I을 분리하였다. 3. 1H-NMR, 13C-NMR, MS spectrometer 등 분광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Compound I의 구조를 규명한 결과, flavonoid 물질로서 compound I은 구조식이 3,5,7-trihydroxy-2'-methoxy-flavanone로 확인되었다.
        52.
        200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금의 천연항균제 개발을 위하여 황금의 일반성분 및 미량물질들을 분석하였으며 항균활성물질의 검색을 위하여 LC-MS를 이용하였고 검색되어진 성분들에 대해서는 항균력 비교시험을 하였으며 항균활성물질들에 대해서는 HPLC를 이용하여 그 양을 정량하였다. 황금의 일반성분으로는 수분 , 탄수화물 , 조회분 , 조단백질 및 조지방 이었고 미량성분에 있어서는 칼륨 12,050mg/kg과 마그네슘4,296 mg/kg의 함량이 현저하게 높았다. LC-MS
        53.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애완견의 털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을 분리 동정한 후, 이 분리 세균들에 대한 항세균효과가 있는 생약재 추출물을 탐색하였다. 애완견의 털에서 76개의 세균을 분리한 결과, Staphylococcus속이 41균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Micrococcus속이 21균 주, Enterococcus속이 8균주, Bacillus속이 3균주, Exiguobacterium속 of 2균주, Shigella속과 Zoogloea속이 각각 1균주씩으로 동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개의 털에 존재하는 세균들이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분리균주들에 대한 항생제 저항성과 생약재 추출물의 항세균 활성은 디스크 확산법으로 확인하였다. 황금의 추출물이 애완견의 털로부터 분리한 세균들에 대해 높은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어 항생제 저항성이 있는 세균들에 대한 새로운 항미생물제로 사용학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4.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도에는 2,100종류의 식물이 자라고(양과 송, 2002)있으나, 근래에 소황금(Scutellaria orthocalyx)이 확인되어 한국 미기록 식물로 보고하는 바이다.
        55.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균력의 우수성이 확인된 황금추출물을 포장필름소재로 개발하여 과채류에 대한 포장실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1% 농도로 황금추출물을 첨가시킨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에 의하여 딸기를 포장하고 5에서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실험한 결과 무첨가 대조필름에 비해 호기성 총균수, 곰팡이 및 효모수로 측정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생물 증식억제의 효과로 인하여 항균성 필름은 포장된 딸기의 부패율을 낮추어 주고,
        56.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에서 황금의 맥후작 직파 재배시 재식밀도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적정재식 밀도를 확립 하고자 시험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장은 20×10cm의 밀식일수록 크고, 30×10cm, 40×l0cm의 소식일수록 짧아서 재식주수와 경장은 정의 상관이 인정 되었다. 2. 경직경은 30×l0cm, 40×l0cm의 소식일수록 크고 20×10cm의 밀식일수록 작았다. 3. 수량구성 요소인 주근장과 수량인 건근중은 30×l0cm, 40×10cm의 재식주수가 적을수록 높아서 재식주수와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4.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경직경이 크고 주근장이 길어서 10a당 건근중이 많은 30×10cm(33주/m2)가 알맞은 재식거리였다.
        57.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의 황금재배시 토성 및 시비조건에 따른 증수효과(增收效果)를 구명하고자 여천(麗川)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재식거리를 40×10cm로 콘크리트 pot에 토성별 시비조건을 달리하여 4월(月) 1일(日)에 점파하였고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토양의 화학성을 보면 유기물, 유효인산(有效燐酸), 칼리함량은 식양토, 양토, 사양토 순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토양의 물리성은 사양토에서 고상(固相)비율, 식양토에서 공극율이 가장 높았으며 퇴비의 전질소(全窒素) 및 칼리함량이 각각 2.25, 1.59%였고 C/N율은 21.4로 분해가 용역(容易)하였다. 2. 입모률(立毛率)은 퇴비시용구가 86~88%로 높았고 토성 및 시비조건의 생육(生育)은 양토 및 퇴비시용이 경장 및 경태가 각각 44~47 cm, 7.50~8.17 mm로 가장 길고 굵어져 주당 분지수 및 건경엽중이 각각 16.6~18.5개, 22.1~26.0 g정도로 증가되었다. 3. 지하부 생육을 보면 식양토와 무비구에 비해 양토 및 퇴비 시용구가 주근장 및 주근경은 각각 2.2~3.0 cm, 1.09~1.81 mm 정도로 길고 굵어져 상근중 비율도 2~6% 높아졌으며 주당 건근중이 2.3~3.2 g으로 무거워 생장량이 증대되었다. 4, 근(根)의 baicalin, baicalein, wogonin 함량은 토성 간에는 식양토가 각각(各各) 9.03%, 2.72%, 1.62% 높은 함량으로 나타났고 시비조건은 무비구(無肥區)(7.13%, 1.35%, 0.49%)에 비해 퇴비 시용구에서 각각 2.80%, 2.45%, 1.91% 높은 함량을 보였다. 5. 토성 및 시비조건에 따른 상관관계는 경장, 주당 분지수, 주근장, 건근중 등의 지참, 지하부생육과 근의 전질소, 가리간에는 정(正)의 상관을 보였고 근의 baicalin, baicalein, wogonin 등의 총 유효성분함량과는 유의적(有意的)인 부(負)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58.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약재로 수요가 많고 꽃이 아름다워 화훼용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황금을 활성탄을 사용하여 분화재배를 실시할 경우 꽃의 수명이 오래가고 수확시 품질이 양호한 한약재를 생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본 시험을 수행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황금의 생장은 활성 탄(Activated Charcoal) 30%가 첨가되었을때 경장과 경태가 크고 가지수가 많아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2. 황금의 개화는 각 처리 공히 90%이상이 개화되었다. 3. 수량은 활성탄(Activated Charcoal)이 30%첨가되었을 때 생육이 양호하여 근경과 근장이 크고 근중이 무거워서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이와 같은 이유는 활성탄 시용에 의한 토양의 보수력과 보비력이 양호하여 물리성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보다 더 낮은 농도나 높은 농도에서는 효과가 적은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황금을 재배할 경우 활성탄(Activated Charcoal)의 효과가 인정되어 약초의 종류에 따른 농도별 시험이 계속적으로 이 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59.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에서 황금재배시(黃芩栽培時) 적심시기(摘芯時期)와 질소, 가리의 추비방법에 의한 증수효과(增收效果)를 구명하고자 여천(麗川)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재식거리(裁植距離)를 4×10cm로 4~5립(粒)을 4월 1일에 점파하였고 적심시기(摘芯時期)는 무적심구(無摘芯區)와 7월상순 1회 적심(摘芯), 7월상순과 8월중순에 2회 적심(摘恣)한 3처리에 대해 기비(基肥) : 추비(追肥) 비율(比率)을 70% : 30%, 60% : 20+20%, 50% : 20+20+20%으로 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의 화학성을 보면 시험후 토양이 시험전 토양에 비해 유기물(有機物), 유효린산(有效燐酸), 가리, 칼슘, 마그네슘, C. E. C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2. 적심시기(摘芯時期) 및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의 생육은 7월상순과 8월중순에 적심직후(摘芯直後) 2회 추비(追肥) 시용구가 무적심(無摘芯)의 7월상순 1회 추비(追肥) 시용구에 비하여 경장(莖長)들은 짧았으나 분지수(分枝數,) 경태(莖太등) 지상부와 주근장(主根長), 상근중(上根重) 비율(比率) 등 지하부 생장량이 증대되었다. 3. 건근수량(乾根收量)은 무적심(無摘芯) (158kg/10a)에 비해 2회 적심구(摘芯區)가 15% , 1회 적심구(摘芯區)가 10% 증수(增收)되었으며 질소, 가리 비료의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에는 2회 추비(追肥) 시용구가 1회 추비(追肥) 시용구 (150kg/10a)에 비해 상근중(上根重) 비율(比率) 향상으로 29% 증수(增收)를 보였다. 4. 2회 적심(摘芯) 처리에서 건근수량(乾根收量)은 경장(莖長)과 주당(株當) 생경엽중(生莖葉重), 지상부 생육간(生育間)에 질(負)의 상관(相關)이 인정되었고 주당(株當) 분지수(分枝數) 및 주근량(主根長)및 상근중(上根重) 비율(比率)과는 밀접한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며 2회 추비(追肥) 시용재배에서도 경장(莖長), 주당분지수(株當分枝數) 및 주근량(主根長), 주근경(主根徑)등 지상, 지하부 생육과 건근수량간(乾根收量間)에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60.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 황금(黃芩)의 맥후작(麥後作) 직파재배(直播栽培)의 적정파종기(適定播種期)를 구명(究明)하여 재배기술(栽培技術)을 개선(改善), 보완(補完)하고 수량(收量)을 증대(增大)시켜 안정생산(安定生産)에 기여(寄輿)하고자 여천재래종(麗川在宋種)을 공시(供試)하여 실시(賣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出芽) 소요기간(所要期間)에 있어서 6월(月)1일(日) 파종(播種)은 6월(月)12일(日)로 11일(日)이 소요(所要)되었고 6월(月)10 일 파종(播種)은 6월(月)16일(日)로서 6일(日)이 소요(所要)되었으며 6월(月)20일(日) 파종(播種)은 6월(月)23일(日)로서 3일(日)이 소요되었다. 2. 개화(開花) 소요기간(所要期間)에 있어서 6월(月) 1일(日) 파종(播種)은 54일(日)이 경과(經過)되어 7월(月)24일(日)에 개화(開花)되었고 6월(月)10일(日) 파종(播種)은 45일(日)이 경과(經過)되어 7월(月)25일(日)에 개화(開花)되었으며 6월(月)20일(日) 파종(播種)은 37일(日)이 경과(經過)되어 7월(月)27일(日)에 개화(開花)되었다. 3. 지상부(地上部)의 생산물(生産物)인 주경장(主莖長), 주경경(主莖徑), 주경절수(主莖節數), 분기수(分技數) 및 건경엽중(乾莖葉重) 모두 6월(月)1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4. 지하부(地下部)의 생산물(生産物)인 주근장(主根長), 주근경(主根徑), 주당상근수(株當上根數) 및 건근중(乾根重) 모두 6월(月)1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