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1

        61.
        201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pulla of Vater (AoV) is a small dilated duct less than 1.5 cm long, formed by the union of pancreatic duct and common bile duct. AoV has also anatomic layer of mucosa, sphincter of Oddi, perisphincteric or duodenal submucosa, and duodenal proper muscle, which corresponds to mucosa, muscularis mucosa, submucosa, and proper muscle layer of other gastrointestinal tract organs, respectively. Because of its small compact size and variation of anatomic structure,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identify layering architecture of AoV. This anatomic difficulty may cause some problem in T classification of ampullary carcinoma (AC). The most confusing point in T classification is the vague definition of T2, “Tumor invades duodenal wall”. It seems that duodenal wall includes duodenal mucosa, submucosa, and proper muscle layer. However there is no precise description or definition about duodenal wall that might lead personal variation in T classification of AC staging. We found that clinical course of AC with perisphincteric and/or duodenal submucosal invasion is more close to AC with T2 than T1. Although it is described as T1b according to T classification scheme of ordinary gastrointestinal tract cancer, we thought AC with T1b may have more high-grade malignant potential than those of other gastrointestinal (GI) tract malignancy. AC showed various clinicopatholgic findings that represent heterogeneous tumor groups within category of AC. Recently site-specific classification of AC was introduced, and it showed relatively well-categorized clinical prognosis. It may be reasonable to understand site-specific tumorigenesis in AC. The standard gross protocol is needed to evaluate pathologic T classification of AC. In conclusion, ampullary neoplasm is composed of various subtypes, which require a separate approach according to anatomic epicenter of ampullary neoplasm. Although submucosal invasion in AC was classified into pT1b, its’ biologic behavior is more close to pT2.
        3,000원
        6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ronic inflammation has long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contributing factor to the development of malignant tumors in various tissues.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a potential association between chronic periodontitis, a representative inflammatory disease in the oral cavity, an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the most common form of malignant tumors in the oral cavity. A ret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to include the cases and controls, each of which consisted of patients first diagnosed with OSCC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respectively. The existence or a history of periodontal disease was quantitatively estimated based upon the level of alveolar bone loss (ABL) from panoramic radiographs in these groups. Unlike other covariates, including LDH, WBC count and hemoglobin, the levels of ABL measured at three independent regions (second premolar and first/second mola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SCC group, regardless of the patients’age in most cases. Our results thu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chronic periodontitis, represented by significant ABL, is an important and clinically relevant factor potential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OSCC.
        4,000원
        6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김천 김공폭 암각바둑판을 사례로, 암각바둑판의 의미와 입지 및 장소정체성을 고찰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암각바둑판이 새겨진 장전폭포일대는 예로부터 수도암에서 가야산 해인사에 이르는 길목의 승경으로 회자되어 왔다. 수도산에서 발원한 수원(水源)이 장전폭포를 거치는 대가천과 남쪽의 황점 및 장전리에서 비롯된 목통천이 무흘구곡 제6곡인 옥류동 옥류천에 합류된다. 추가 발견된 암각바둑판은 계류형 암각바둑판의 전형적 입지로서, 화강암 협곡과 너럭바위 등의 지형경관이 탁월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옛 선비들의 풍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재차 확인되었다. 만폭 암각바둑판의 크기는 46.0×46.5㎝, 기반암의 크기는 3.0×1.6m 이었으며 높이는 0.7m였다. 바둑판 상부에 "晩"이라 기재되어 있고 대국방향을 장축으로 한 좌향은 NW-SE로 나타났다. 추가 발굴된 김천의 암각바둑판의 명칭은 폭포 상단에 크고 깊게 음각된 '만폭(晩瀑)'이라는 폭포명과 암각바둑판 상단에 이에 조응(照應)하여 새겨진 '晩' 등을 반영하여 '김천 만폭 암각바둑판'으로 명명함이 타당하다고 본다. 만폭 암각바둑판 주변의 바위글씨로 볼 때 폭포의 이름은 만폭을 비롯하여 '수렴폭(水濂瀑)', '귀이폭(歸異瀑)' 등의 이명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폭포수의 상류에서 물을 공급하는 수원은 '원천(源泉)', 떨어지는 폭포수를 담는 못은 '지일담(知一潭)'이며 폭포 하단을 에워싸고 있는 벼랑은 '운금벽(雲錦壁)' 등의 경물명을 부여함으로써 일정한 의미를 설정한 것으로 추정된다. 만폭 암각바둑판의 조영자는 주변에 각자된 4인명의 바위글씨로 보아 수원 백씨 등이 조성 및 향유주체가 되어 구한말 이후 20C 초반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바위글씨와 주민 증언을 통해 볼 때 수원 백씨 이전 이곳은 원림경영 등에 대한 별도 주체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계속적인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6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창암의 서론(書論)과 서적(書跡)의 내용을 중심으로 ‘창암체’ 형성 기반으로서의내면적 사유(思惟)와 용필법(用筆法)의 특징을분석 하고 ‘창암체’에 투영된 양상을 논의하였다. 창암은 당대서풍의 문제점을 개혁하고 옛 법을 회복하여 서예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기 위하여 서론(書論)을 저술하였다. 書를 書道로 천명한 창암은 자연의 경지에 계합하는 서를 이루기 위해 음 양(陰陽)의 상반응합(相反應合)의 조형원리를 도입하고 귀어자연 (歸於自然)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뿐만 아니라 극공(極功)의 연마를 강조하면서 내면적 사유와 실제 글씨와의 일체경계를 지향하였다. 즉 서가의 도정(道程)으로 유법(有法)의 연마에 극공을 기울여 마침 내 무법(無法)의 자연에 계합할 것을 제시하였다. 그가 용필법을 중 시한 이유는 필법의 오묘함을 터득했을 때에야 만물의 형태가 기묘 한 書로 드러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논의한 것처럼 창암의 사유(思惟)와 필법적 특징은 ‘창암체 (蒼巖體)’에그대로투영되었다. 창암은내면적 사유와실질적필법이란 두 측면을잘 융합시킨것이다. ‘창암체’는 순수(純粹), 소박(素朴), 졸박 (拙朴), 생동(生動)의 풍격을 띠고 있으며, 자연만물처럼 소박하고 단순 하면서도 무궁한 것을 함유하고 있어 일명 ‘행운유수체(行雲流水體)’라 는별칭을얻기도하였다. 창암이서예를자연물과동일한층차(層次)의 존재물로보고자연을담아냄으로써‘창암체’는자연만물과같은객관성 과 실재성을 지니게 된 것이다. 서예사적관점에서볼때창암의친자연주의적서예관은동국진체(東 國眞體) 서가들의 천인합일적 서예관념을 계승한 한편으로, 자연이 書 의전형이자귀착점이라고인식했던창암자신의미학적사유의결과이 다. 그는 조선의 산천과 조선인의 심상에 부합하는 새로운 풍격의 서예 미학을개척하여한국적고유성의영역을확장함으로써결국19세기동 국진체 서가로 우뚝 선다. 결과적으로 서예로서 시대정신을 대변하고 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창암은 조선 후기 예술사에서 서예의 위상을 확고히 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8,700원
        65.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iliary invasion by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much less common. Patients manifest obstructive jaundice as the initial complaint, but most of them are inoperable. We report a case of completely improved biliary invasion in HCC after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A 61-year-old woman was referred for evaluation of jaundice. A biliary invasion of huge HCC was confirmed by image of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CT) and biopsy specimen. After improvement of jaundice by endoscopic retrograde biliary drainage and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she underwent TACE as a palliative treatment. Follow-up CT showed partial lipiodol uptake in hepatic tumor and its bile duct invasion. In follow-u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occluded cholangiogram showed neither luminal obstruction nor filling defect after removal of biliary stent. Our case suggests that obstructive jaundice, caused by inoperable huge HCC with biliary invasion, may be expected to resolve successfully biliary obstruction by a choice of TACE.
        4,000원
        66.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대생들의 유방암 검진의도를 높이기 위한 심리적 결정요인을 살펴 보고자 하였으며 , 이를 위해 건강신념모델을 구성하는 4개의 신념변인들 (지 각된 이익성,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성 )이 유방암 검진의도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첫째, 지각된 이익성은 유방암 검진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예측변인으로 확인되었으나 , 지각된 민감성과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성은 유방암 검진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둘째, 사회적 지지를 구성하는 변인들(친구지지 , 가족지지 , 타인지지 )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그 결과, 친구지지는 자기효능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 가족지지와 타인지지도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 셋째, 유방암 검진과 관련 자기효능감이 유방암 검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 은 유방암 검진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6,000원
        67.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멍게껍질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을 효소 및 열수로 추출하여 면역활성 및 항암 효과를 평가하였다. 세포독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주에 추출물을 10∼200 ㎍/㎖ 농도로 처리한 결과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다양한 농도에서 효소 및 열수 추출물의 생리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NO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과 효소 추출물은 높은 NO 생성량을 보였다(123.0~161.7%). 위암 및 대장암 억제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에서 평가하였지만 최대 200 ㎍/㎖ 농도에서도 위암세포 AGS와 대장암세포 HT-29의 세포생장 억제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4,000원
        68.
        2013.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암과 같이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을 진단받은 환자들은 여러 신체적인 변화와 불안 및 우울증 등의 정서적인 고통에 의해 심리적 상태가 매우 불안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극심한 정서적 혼란상태가 이어지게 되어 전체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주게 된다. 암 생존자들은 재활 과정에서 필요한 건강관련 정보에 대한 요구도가 매우 높으며, 암 치료 과정 중 발생하는 여러가지 부작용 및 신체적 어려움은 심리적인 측면에도 많은 문제를 일으켜 암 환자의 삶의 질을 낮추는 요인이 되고 있다. 암 환자를 위한 재활에서 작업치료자의 역할은 암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개인적, 신체적, 심리적으로 최대한 기능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며, 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심리 사회적인 중재와 목적 있는 활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삶의 질은 환자중심 접근법을 적용하였을 때 향상될 수 있으며, 환자를 존중하고 환자와 협력하는 치료적 접근법을 통하여 환자에게 주도적으로 치료 상황에 참여하고 의미있는 작업을 스스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을 때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일생동안 관리가 필요한 암이라는 질환을 겪고 있는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인 각 영역들에 특화된 작업의 중요성을 인식시킴과 동시에 사회적인 영역에서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4,500원
        69.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Warthin’s tumor of major salivary glands, in particular of parotid glands, is a common benign tumor that may occur synchronously or metachronously in the same or contralateral gland. Moreover, epithelial malignance associated with a Warthin’s tumor is extremely rare, and exists in three forms; epidermoid carcinoma, adenocarcinoma, and undifferentiated carcinoma. The reports, related with a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in a Warthin’s tumor at the parotid gland were reported only additional 3 cases from 1999 to 2010; 30 cases reported up to 1999.[2,4,7] This case report was a extremely rare case where both a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and a Warthin's tumor were coexisting in the same
        4,000원
        70.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al erythroleukoplakia is characterized by severe dyskeratosis intermingled with multifocal erosive spots on the buccal mucosa, dorsal tongue, and lower lip, etc. A case of oral erythroleukoplakia was diagnosed among 83 cases of common oral leukoplakia since 1997. The pathological examination showed the typical features of leukoplakia with severe epithelial dysplasia, exhibiting dyskeratosis, acanthosis, and basal hyperplasia. The oral erythroleukoplakia was explored in comparison with a representative common oral leukoplakia by the immunohistochemical method using PCNA, β-catenin, EGFR, p53, TNFα, pAKT, and STAT3. Oral erythroleukoplakia showed strong positive reaction of PCNA, p53, EGFR, TNFα, pAKT1 and STAT3 in its spinous layer cells and these reactions were reduced in its basal layer cells, while common oral leukoplakia showed diffusely weak reaction of those proteins. Particularly, β-catenin was positive in the nuclei of some basal and spinous layer cells of oral erythroleukoplakia contrast to the common oral leukoplakia.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present oral erythroleukoplakia was proliferative with the activation of β-catenin pathway, revealed the dysplastic changes of epithelium by the overexpression of EGFR, p53, and pAKT, and also produced inflammatory react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cytokine-dependent signalings of TNFα and STAT3. These data indicated that the present oral erythroleukoplakia might undergo the early stage of multi-step carcinogenesis via the overexpression of different oncoproteins, especially β-catenine, p53, pAKT, and STAT3.
        4,000원
        71.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유류오염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필요한 모든 방제자원을 사전에 확보하고 사고에 대응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현실적으로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대규모 유류오염사고에 대비하여 유류오염으로 피해를 입게 되는 오염지역의 어선을 활용하는 방안이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지역 어선을 이용한 임시방제정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는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소형어선에 적합한 기름방제용 스위핑 암 시스템을 검토하였다. 모델로 선정된 소형 선박은 연안유자망어선 및 연안복합어선으로 2.5~3.5톤, 길이 8~9 m, 폭 2.5~2.8 m, 마력 200~250 HP, 선질 FRP인 어선이다. 개발된 장치는 모델 선박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었다. 조립 및 분해를 쉽게 하기위해 각 부품의 무게를 10 kg 이하로 구성함으로써 현장 실용성을 높였다.
        4,000원
        72.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해저케이블 부두 하역용 장비인 코일링 암(coiling arm)에 대한 국산화 자체개발 내용 중 구조설계 및 해석 결과 내용을 제시하였다. 상세 구조설계를 위해 3차원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 정밀도의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유한요소 기법을 이용하여 전산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코일링 암의 활용 목적에 맞추어 하역대상 케이블을 선박에서 케이블 탱크로 하역시 효과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베어링 및 롤러 부품을 설계하여 메인 암이 회전하고 케이블 가이드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고, 기존의 외국 모델에서 사용하던 와이어 및 모터 시스템을 이용한 케이블 가이드 작동방식을 유압 시스템을 이용한 작동방식으로 변경하여 원가절감을 달성하면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장비 자체의 자중 및 하역 케이블 하중조건에 대한 응력 해석을 수행하였고, 유압시스템의 과작동에 따른 파손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케이블 가이드의 운동 및 설치 지면의 경사도에 따른 전복 안전성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설치장소의 풍하중 효과도 추가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수입품 코일링 암의 작동방식 개선과 독자적인 구조설계 및 해석 방법을 확립하였으며, 실제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된 제품의 현장설치 완료 및 하역작업의 효율적이고 정상적인 운영을 완료 및 검증하였다.
        4,000원
        73.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physical therapy program on quality of life (QOL), and neck and shoulder disability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The program included neck and shoulder range of motion (ROM) exercises, massage, progressive strengthening exercises, and stretching exercises. Sixteen patients who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physical therapy for 40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Fifteen other patients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who did not performed the physical therapy program.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QLQ-C30) and head and neck (EORTC QLQ-H&N) instruments, and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rehabilitation program. The 40-minute program consisted of a 10-minute ROM exercise for the neck and shoulder, a 10-minute massage and 15-minute of progressive resistance exercises, followed by a five-minute stretching exercis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for changes in global health, physical function in the EORTC QLQ-C30 and cancer related symptoms in the EORTC QLQ-H&N35 (p<.05). The NDI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5). Physical therapy may therefore benefit the physical aspects and QOL and improve neck and shoulder disability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4,200원
        7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idering the dearth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medicinal properties of Luffa cylindrica, we assessed the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hyperplasia inhibitory activity of cancer cells from Luffa cylindrica extracts by employing biological and biochemical assays. Ethanol extracts of Luffa cylindrica inhibited MDA-BSA (malondialdehyde-bovine serum albumin) conjugation reaction (66.38±2.65), DPPH (1, 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production (60.13±0.42) and lipid peroxidation (56.04±3.24). In this study, Luffa cylindrica is believed to exert possible antioxidative effects. The direct and indirect antimutagenic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s of Luffa cylindrica were examined by the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imurium TA98 and TA100. The inhibitory effects on indirect and direct mutagenicity shows an weak tendency, particularly in direct mutagenicity mediated by 2-nitrofluorene in Salmonella typimurium TA98 (5.82±5.74) and in indirect mutagenicity mediated by 2-anthramine in Salmonella typimurium TA100 (5.76±2.15). The ethanol extracts of Luffa cylindrica on cancer cell hyperplasia inhibitory activity via MTT (3-(4, 5-dimethylthiazol-2-yl)-2, 5 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exerted cytotoxic effects on Hela cells (55.83±3.83) and MCF-7 cells (33.03±2.09), which were used in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it believed that the ethanol extracts of Luffa cylindrica have antioxidative capacities as well as hyperplasia inhibitory activity of cancer cells. Furthemore, Luffa cylindrica is a candidate for the prevention and dietetic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and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4,000원
        7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i-metastatic effect of Juniperus chinensis extract by inhibition of galectin-3 expression. For this study, we carried out the experiment of galectin-3 expression assay and in vivo metastasis mouse model bearing colon 26-M3.1 lung carcinoma, and also MMP-1, MMP-2 and MMP-9 inhibitory assays relating metastasis mechanism. J. chinensis extract significantly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f basal expression and MNNG-induced expression of galectin-3 in colon 26-M3.1 lung carcinoma at the all tested doses (5, 50 and 500 ㎍/㎖). In case of the inhibition of MMP-1, MMP-2 and MMP-9, the weak activity was showed at the doses of 50 and 500 ㎍/㎖ and was not detected at the dose of 5 ㎍/㎖. However, J. chinensis extract significantly showed the anti metastatic activity on mouse mode bearing colon 26-M3.1 lung carcinoma. Therefore, this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J. chinensis is a potent inhibitor of galectin-3 expression, and holds great promise for use in inhibiting metastasis induced by elevated expression of galectin-3.
        4,000원
        7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지버섯 자실체를 열수추출과 주정추출을 하여 항산화 효능 및 간암 및 위암세포의 생장 저해도를 분석하였다. 항산화 효능을 실시한 결과, 대조군인 Trolox, BHA보다 높은 항산화 효능을 보인 것은 ASI 7004, 7014이며, 이 두 균주는 열수추출물과 주정 추출물에서 모두 높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냈다. 나머지 균주는 대조군인 ABTs보다 대체적으로 높은 효능을 보였다. 또한 암세포 생장저해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열수, 주정 추출물을 간암세포인 HepG2에 농도별로(100, 200, 400μg/ml) 처리하여, 세포 생장 저해도(MTT assay)를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ASI 7002, 7011, 7014, 7020이 농도 의존적으로 간암세포의 생장을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정 추출물에서는 ASI 7011, 7019가 농도 의존적으로 간암세포 생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암세포인 AGS에 농도별로(100, 200, 400μg/ml)처리하여, 세포 생장 저해도(MTT assay)를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ASI 7001, 7002, 7019, 7020이 농도 의존적으로 위암세포의 생장을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정 추출물에서는 ASI 7001, 7002가 농도 의존적으로 위암세포 생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8.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암 환자의 특성에 따른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차이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자 하였으며 암 환자가 필요로 하는 작업수행영역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확인함으로써 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작업수행에 바탕을 둔 환자중심적인 작업치료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암으로 진단을 받은 만 18세 이상의 입원이나 외래로 치료를 받고 있는 암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 문지를 통하여 대상자의 특성을 조사하였고 Frenchay Activities Index(FAI)를 이용하여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으로 작업수행영역을 확인하고, SF-36으로 삶 의 질을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와 삶의 질은 독립표본 t-test와 ANOVA를 사용 하였고,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와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Efficient) 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작업수행영역에 따른 삶의 질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삶의 질 영향 요인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입원 여부에 따라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직업, 경제상태, 입원 여부에 따라 삶 의 질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와 삶의 질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작업수행영역 중 여가에 의의를 둔 대상자가 가장 많았으며 생산적인 활동에 응답한 대상자의 삶의 질이 가장 높았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경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암 환자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은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작업수행을 바탕으로 한 환자중심적인 작업치료의 역할이 강조된다.
        4,500원
        7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otal polyphenol content(TPC) and total flavonoid content(TFC) of extracts from Korean cabbage and cabbage using a spectrophotometric method as well as glucosinolates concentration by HPLC. TPCs of Korean cabbage and cabbage extracts were 308.48 ㎍ GAE/g dry weight and 344.75 ㎍ GAE/g dry weight, respectively. TFCs of Korean cabbage and cabbage extracts were 5.33 ㎍ QE/g dry weight and 5.95 ㎍ QE/g dry weight, respectively. We found six different glucosinolates, namely progoitrin, glucoalyssin, gluconapin, glucobrassicanapin, glucobrassicin and 4- methoxyglucobrassicin in the Korean cabbage extract. In the cabbage extract, there was four glucosinolates, namely glucoraphanin, sinigrin, glucobrassicin and 4-methoxyglucobrassicin. We determined the cytotoxic effect of Korean cabbage and cabbage extracts in AGS human stomach cancer cells, HepG2 human hepatic cancer cells and LNCaP human prostate cancer cells by MTT assay. Dose-depende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extract concentrations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The overall results support that both Korean cabbage and cabbage, the major vegetables in Korea, contain bioactive compounds such as polypheol, flavonoids as well as glucosinolates and they may play a positive role in cancer prevention.
        4,000원
        80.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 rehabilitation program on quality of life (QOL),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fatigue during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patients. The program includes aerobic exercise,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s. Sixty-five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asked to perform supervised exercises that last for 60 minutes five times a week for six weeks.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cancer (EORTC QLQ-C30) and the breast (EORTC QLQ-BR23), predicted maximal volume of oxygen consumption () and fatigue severity scale (FSS)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rehabilitation program. The 60-minute program consisted of a 10-minute warm-up, 30-minute of aerobic exercises, and 15-minute of strengthening exercises, followed by a five-minute cool-down. Heart rates were monitored throughout the exercise class to ensure that patients were exercising at the target heart rate of 40~75% of the age-adjusted heart rate maximu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s of physical function and cancer related symptoms in the EORTC QLQ-C30 and EORTC QLQ-BR23 (p<.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redicted (p<.05),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SS (p>.05).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a supervised rehabilitation program may benefit the physical aspects and QOL of patients receiving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