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2

        61.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food culture of Koreans aged over 80-years-old living in the areas of Goorye and Gokseong.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examination of individual ca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total number of survey subjects was 38; males constituted 34 percent of the subjects while females constituted 66 percent of the subjects. Average age of male subjects was 85.3 years while average age of females was 84.8 year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properties of the typical and traditional Korean table, which was the most common food life's property in the longevity area of was centered around rice, watery soup, vegetables, and fish. The first, as the supply step's property of food ingredients, various spices and ingredients such as piperitum, tumeric, ginger, garlic, chili pepper, and salted fish were used. Senior persons also supplied fresh vegetables at the kitchen garden, and they led a nature-friendly food life. The second, as the production of food and cooking of food step's property, there were multigrain rice and fermented foods such as soybean paste, kimchi, red pepper paste, salted fish, vegetables picked in soy sauce, etc. The recipe was cookery intermediated with water, soup, steamed vegetables, seasonings, etc., and it was characterized by a deep and rich taste due to the various spices and rich ingredients. The third, as the consumption of food step's property, senior persons regularly ate a balanced diet three times a day. They also had active 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eir neighbors by sharing food, which increased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improved their life satisfaction.
        4,800원
        6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1년 3월 전남 구례군 산동면 일대의 산수유나무 1년생 가지에 산란된 알을 발견하여 농과원 작물보호과에 분류의뢰하였고, 기주식물 조사, 산란 특성, 해충의 발육단계별 방제가능한 친환경 자재선발을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례지역에 발생한 날개매미충은 2010년에 충남 공주와 예산, 전북 순창에 발생한 종과 동일하며 전남지역에서는 산동면 286ha, 순천 서면 1ha가 발생하였고, 매미아목(Auchenorrhyncha) 큰날개매미충과(Ricaniidae)에 속하는 Ricanula sp.로 분류되었다. 알 크기는 장경 1.2mm, 단경 0.6mm로 우유색이며 1년생 가지속에 2줄로 난괴당 25.4개를 산란하였다. 산수유, 감나무, 후박나무 등 5종의 주요 산란기주에서 평균 25~31개 정도를 산란하는데 난괴 길이는 15.2~18mm정도이며, 기주식물에 따른 산란수와 난괴길이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날개매미충 약충은 4회 탈피하는데 1, 2, 3, 4령 약충의 평균 체장은 각각 1.7, 2.5, 3.4, 4.5mm이며, 항문 주변에 밀납물질로 ×자 모양을 형성하는데 몸체보다 긴 경우도 있으며, 3령충 이상이 되면 백색이 황색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다. 날개매미충의 기주식물을 조사한 결과, 목본류 32종과 초본류 19종으로 총51종이었으며, 산란 기주식물은 대부분 목본식물로 감나무, 산수유, 느티나무 등 31종이었다. 월동중인 알 방제에 적합한 친환경자재는 없었으나 클로피리포스수화제 처리에서 부화율이 0.3%로 매우 낮았으며, 부화약충 방제에는 친환경자재 중 홍맹이가 92.3%의 살충율을 보였으며, 2~3령 약충은 진압이 94.3%, 성충은 뉴바이오다킬이 82.4%의 살충율을 보였다.
        6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남지역에서는 2010년 6월 장성 축령산 인근 방임 포도과원에서 꽃매미가 처음으로 발생하여 영광, 담양, 광주지역에서 발생 확인된 후 금년에는 나주, 화순, 구례지역에 발생확인 되었으며, 꽃매미 방제효율을 향상시키고자 온도시험을 통한 알의 부화시기 예측모델 개발과 끈끈이트랩 유인효과를 검정하였다. 꽃매미 알은 길이 2.4mm, 폭 1.5mm, 높이 1.5mm의 갈색 볏단모양으로 난괴당 36.8개의 알을 줄기 표면에 산란하고 윗면을 회색의 밀납물질로 피복한다. 항온기에서 알의 부화 소요기간은 15, 20, 25℃에서 각각 55.9, 26.8, 21.6일이었으며, 부화율은 61.9, 57.8, 30.4%로 온도가 높을수록 부화 소요기간은 짧아진 반면 부화율은 낮아졌으며, 특히 30℃에서는 전혀 부화하지 않았다. 이를 근거로 산출한 온도와 발육속도와의 관계식은 Y=0.0028X-0.0228 (R2=0.9561)이며 알의 발육영점온도는 8.14℃, 유효적산온도는 355.4일도였다. 금년도 4월 30일을 기준으로 2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는 2011년 기상자료를 이용하고, 5월 1일부터는 2010년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부화시기를 예측한 결과 5월 22일(5/19~24)로 계산되었고, 본 시험에 사용한 알을 채취하였던 지역의 실제 부화시기를 조사한 결과 부화기간이 5월 15~20일로 예측시기와 약간 차이가 있었다. 황토색, 청색, 노랑색 끈끈이트랩 이용 꽃매미 약충과 성충에 대한 유인효과를 조사한 결과 황토색끈끈이트랩에서 약충과 성충 모두에서 높은 유인효과가 있었다.
        64.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and time spent watching TV and using interne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survey of 712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in Gwangju and Jeonnam area. The SPSS 12.0/win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523 samples. Amount of TV-watching time was found to be related to the dietary habit score in the subjects. The children who watch TV “less than 1 hour/day” on weekdays had a better dietary habit score than those who watch TV “more than 1 hour” (p<0.0001). The children who watch TV “less than 2 hours/day” on weekends had a better dietary habit than the children who watch TV “more than 2 hours/day” (p<0.0001). The internet usage was also related to the dietary habit score in these children: those who use internet “less than 1 hour/day” on weekdays had a better dietary habit score than the children who use internet “more than 2 hours/day” (p<0.0001). The children who use internet “less than 2 hours/day” on weekends had a better dietary habit score than the children who use internet “more than 2 hours/day” (p<0.0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ildren tend to have a better diet when their TV and internet time is limited and thus healthy dietary behavior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 sedentary pattern of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4,000원
        6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2006년 3월부터 11월까지 전라남도 북부지역 7개 시 군 지역에서 각 2곳을 선택하여 총 14개 조사 지역에서 외래식물과 귀화식물의 도시화지수를 분석하였다. 귀화식물은 26과 79속 105종 6변종 111종류로 확인되었다. 도시화지수는 함평군이 21.95%로 가장 높았으며 곡성군이 16.38%로 가장 낮았다. 귀화식물 과별 출현종류는 국화과가 36종류(32.43%)로 가장 많았고, 벼과 17종류(15.31%), 콩과 7종류(6.31%) 순이었다. 주요 귀화식물군락은 군락조성표에 따라서 아까시나무와 족제비싸리군락, 개망초군락 및 망초군락 등 21개 군락이 확인 되었다. 생태계 위해귀화식물은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애기수영, 도깨비가지, 미국쑥부쟁이, 돼지풀 및 단풍잎돼지풀 등 7종이었다. 국가 차원에서 외래종의 통합관리방안이 필요하지만 외래종분포를 확인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하는 것이 자생종의 보전과 보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4,000원
        66.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s of trust, knowledge, optimism, risk and benefits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genetically modified foods. A total of 326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data indicated a good model fit in Model 2 rather than Model 1, in which the direct effects of trust, optimism and benefit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he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genetically modified foods, while the direct effects of knowledge and risk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the interaction term of risk and benef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attitude. Moreover, the effect of risk on consumer's attitude toward genetically modified food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all levels of benefit, except at the lower benefit level.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genetically modified food developers and marketers should attach importance to the interaction effect of benefits to understand the elements of market demand and customer loyalty.
        4,000원
        67.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cultural dietary habits as well as attitudes toward food, within other life pattern elements, of students living in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Korea. Questionnaires from 1,000 student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regarding physical condition and health status, dietary consciousness, food preference, knowledge of food and nutrition, and dietary culture. The results showed that 1.6% of the students considered their own physical condition to be extremely poor, and 2.7% and 2.1% also considered their father's and mother's physical conditions as extremely poor, respectively. Among the respondents, 18.3% were smokers and consumed an average of 14.8 cigarettes per day. With regard to their dietary habits,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preferred to eat meals with friends rather than with family members, fruit was chosen for eating over health food supplements, and there was very little participation or interest in various food and cultural festivals. The female students had a tendency to alleviate mental stresses by eating, while the male students performed more physical activity to deal with stress. The female students also preferred cereal, fruit, fast food, and sweetened foods more than the male students. Between the smokers and non-smokers, significantly more non-smokers chose fruit (p<0.01), ethnic foods (p<0.05), and sweetened foods (p<0.05) as compared to the smokers. Body mass index (BMI)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ft drink (p<0.01), health food supplement (p<0.01), and alcoholic beverage (p<0.001) consumption, while BM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ereal (p<0.01), fruit (p<0.001), and sweetened food (p<0.01) intake. The health status of stude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father's health status (p<0.01), mother's health status (p<0.001), and BMI (p<0.05), as well as cereal (p<0.001), high protein side dish (p<0.01), fruit (p<0.01), vegetable (p<0.01), and traditional food (p<0.001) intake. The average body weight for female students was approximately 5 kg less than the Korean Nutrition Society's standardized weight, therefore,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measures be taken to develop a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help those students who often unintentionally skip breakfast or go on extreme diets to improve body image.
        4,000원
        68.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꽃송이버섯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북아메 리카, 유럽, 호주 등 전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특히, 이 버섯은 북반구의 온대지역에서 소나무속에서 널리 분 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버섯은 너비가 70 cm까지 자라고 자실체 생중량이 6kg까지 크게도 자란다 (Schmidt, 2006). 또한 김 등(1990)에 따르면, 꽃송이버 섯에 의한 낙엽송의 심재부후목은 직경이 28∼32 cm, 부 후근단면적은 47.3∼74.4%, 부후가 진전된 높이는 1.2∼ 5.5 m 까지 달하였고, 전체부피의 27.2%까지 피해를 받 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어 이 버섯에 의한 낙엽송 심재부후 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 꽃송이버섯은 1997년에 일본에서 처음 재배되기 시작 하였다. 특히, 이 버섯은 다른 버섯에 비해 베타글루칸 함 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더욱 세간의 관심을 모으게 되었 다(Ohno 등, 2000).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몇몇 업체에서 버섯재배가 상업화되어 가고 있으나, 이 버섯에 대한 기본 적인 생태조사는 거의 되어 있지 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위치한 전남 구례지역에서 꽃송이버섯이 자생하는 기주식물의 특성과 발생환경을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꽃송이버섯 자생지의 입지조 건을 분석하였다.
        69.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ing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ood involvement, health, mood, convenience, sensory appeal, weight control and vegetable consumption. A total of 290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measu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 for the data also indicated excellent model fit. The effects of food involvement on health, mood, convenience, sensory appeal, weight control and vegetable consum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health, mood, sensory appeal and eight control had significant effects on vegetable consumption. Moreover, health, mood, convenience, sensory appeal and weight control played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involvement and vegetable consumption. In conclusion, based on structural analysis, a model was proposed of interrelations among food involvement, health, mood, convenience, sensory appeal, weight control and vegetable consum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riginal vegetable consumption model was modified and should, preferably, be alidated in future research. Other variables, such as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may be incorporated to form vegetable consumption models that consist of new antecedent and consequence pairs.
        4,000원
        70.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tourists' preference for alternative restaurants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4 attribute levels: origin description, food type, price and service guarantee. A total of 210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from tourists who visited Kwangyang, Suncheon and Yeosu during Jan. 2 - Jan. 15, 2007. Conjoint experiment method was used to develop hypothetical restaurants. Ordinal probit model wa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attribute levels on the tourists' preferenc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ordinal probit model analysis result for the data indicated excellent model fit. The effects of attribute levels (origin description, traditional food, fusion food, price, service guarantee) on the tourists' prefer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estimates of marginal willingness to pay for origin description(3.063), food type(2.349), and service guarantee(2.356)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tourists were more willing to pay for origin description than other attribute levels. Tourists also considered the origin description as the very important attribute. In conclusion, based on conjoint analysis, a model was proposed of marginal willingness to pay of attribute level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riginal model was modified and should, preferably, be validated in future research.
        4,000원
        7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s of menu price and image on perceived sacrifice and value of tourist restaurant,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acrifi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u price and value, and between image and value. A total of 273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ANCOVA was used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acrifice on the relationships among menu price, image, and value. When the menu price and perceived sacrifice were regressed on the value, the menu price and perceived sacrifi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when the image and perceived sacrifice were regressed on the value, the image and perceived sacrifi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valu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erceived sacrifice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u price and value.
        4,000원
        72.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occurrence and damage of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on water seeding area in Jeonnam province. The density of golden apple snail maintained high until October 2003, but quickly decreased from November. They overwintered only in a portion of the water canals but could not find in dried paddy field. They reproduced from May and June in the canal water and paddy field, respectively. Feeding time of golden apple snail on rice seedlings was 235.2 seconds, feeding length of that was 8.4 ㎝. When golden apple snail fed rice seedlings, the stem remain only 2.5 ㎝ from areal part which could not recover. The more density of golden apple snail, the faster feeding rate. Density and number of eggs laid of golden apple snail after overwintering was higher on bank around of paddy field than on middle of that. The percent of shell size after over wintering was higher in small (below 25 ㎜) than big (over 36 ㎜). But in case of Boseong area, the size was reverse because the soil has soft mud. The survival rate of overwintering golden apple snail was lower than that of breeding. They did not move when the temperature changed rapidly, but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y start to move. They dead almost below -3℃. The damage of rice by golden apple snail in the direct water seeding was 20%. In machine transplanting, rice damaged only fore-end of leaf and recovered subsequently. When golden apple snail release in direct water seeding field, the percent of damage was 5.6% in immediately release plot. The later release, the lower damage.
        4,000원
        73.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에서는 중등과정 기상학 내용을 지리학 분야에서 배운다. 본 연구는 북한 지리교과서에 나오는 기상학분야 용어를 남한의 지구과학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비교하여 같은 의미이면서 다른 용어 40개를 발췌하여 각 용어에 대해 전남지방 고등학생들이 이해하는 정도를 비교하였다. 용어의 이해도 조사는 전남지역 소재 2개 고등학교 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등학생들이 남한 용어에 대한 이해 수준은 북한용어의 이해 수준에 비해 평균적으로 30% 정도 높다. 더운전선, 합치기과정, 하루변화, 비탈면 등 9개의 북한 용어는 오히려 남한 용어보다 이해 수준이 높다. 이해 수준이 보다 낮은 3때 용어 가운데 2때 용어는 북한 고유어를 이용하여 최근 만들어진 것들이다. 남한의 용어 대부분은 한자어, 외래어 등에서 유래한 용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체로 북한 고유어로 새로 만들어진 용어보다 더 높게 이해되고 있다.
        4,000원
        74.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라남도 순천시 서 면 청소골 일대에 분포하는 히어 리개체군의 분포특성과 개체군 동태를 조사하였다. 히어리개체군은 계곡부와 인접한산림 가장자리를 따라 대상으로 분포하였으며,북사면,북서사면 및 북동사면에만 분포하는 특이성을 보였다. 교목층이 형성된 삼림내에서 아교목층이나 관목층을 이루고 있으며,종조성에 있어서는 히어리가 분포하지 않는 인접지 역 삼림식생과 별다른 차이는 없었다. 25 m2당 평균개체수와 개체당 평균 맹아지는 각각 6.25주 및 3개로서 다른 지 역 에 비해 낮은 밀도를 나타냈으며, 이 지 역의 히어 리개체군이 쇠퇴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75.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domestic violence has increased drastically and it is not only reflecting violence of the society but also causing reproduction and a vicious circle as an education ground of force at home. However, compared with its seriousness, the policy countermeasures which have been taken to find out realities and causes and to deal with problems are still unsatisfactory. Therefore, through comparative review, needs of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tudy in relation to realities and measures against domestic violence as a human right have been raised. This research is conducted this way as follows. First, compare the actual condi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dynamic structure with social characteristic. Second, weigh legal and institutional issues against domestic abuse comprehensively. Third, from these, draw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family violence and explore legal and systematic measures for its prevention in multilateral ways tailored to our society's culture and peculiaritie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possible to reflect by both making right perceptional changes toward domestic violence and diagnosing prevalence of values and social and cultural factors which cause domestic abuse related crimes for fostering equal family culture and policymaking. As a human right it is also possible to activate legal, institutional approach and discussion about domestic abuse while using and making long-term preventive strategies, as a result we can fully guarantee fundamental human rights of victims.
        5,200원
        77.
        200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도 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과 수소-산소동위원소를 파악하여 해수침투경로와 오염여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지역 지하수의 물리적인 특성은 중성과 전이환경에 속하며, 해수와 지표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적인 특성에서도 해수의 침투, 육상의 오 · 폐수 및 농약이나 폐기물에 의해 오염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지하수 중 여섯 지역에서 Cl은 먹는 샘물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이퍼도에서 GG-4와 14지역은 해수의 침투로 오염되었으며, 수질유형을 구분하여 보면 GG-3, 7 및 13지역은 Na와 HCO3가 지배적이고, GG-14지역은 해수와 같이 Na와 Cl이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수리지구화학적인 모델링 분석결과 해수의 방해석과 백운석 포화지수는 과포화상태이며, GG-3, 14 및 18지역에서 포화영역에 접근하고 있다. 수소-산소동위원소비에서 본 역 지하수의 기원은 순환수이며, GG-1, 5 및 14지역의 높은 산소동위원소는 지표수의 유입과 해수 침투에 의한 것이다. 본 연구결과 GG-14지역의 지하수는 해수의 침투에 의해 오염되어 있으며, GG-3, 7 및 13지역을 제외한 지하수들은 해수의 침투 및 인위적인 오염원에 의해 오염이 진행되고 있다.
        4,300원
        78.
        200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나주-영암 인근인 영산강 하류 부근의 3개소에서 채취된 시추퇴적물의 수직적인 퇴적환경과 지구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하여 이들 시료를 대상으로 퇴적물의 입도 분포와 금속원소의 함량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추퇴적물의 심도에 따른 입도는 잔자갈에서 니질에 이르고 상향세립화의 특성을 가진다. 퇴적물의 분급도는 poorly sorted에서 very poorly sorted로 불량하게 나타났으며, 왜도는 대체로 양의 왜도가 우세하였다. 퇴적물의 입도별 분포상에서 연구지역의 퇴적층은 사행천을 이루는 하성층으로 생각된다. 지구화학적 원소들의 거동은 일부 시추퇴적층 입도의 상향세립화에 대한 의존도가 영향을 주기는 하였으나 탄산염 함량변화 등을 포함하는 환경적 변화에 의한 조절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퇴적물에 함유된 금속원소들의 농축을 알아보기 위한 부화지수의 분석결과는 유의할 정도의 부화가 관찰되지 않아 특정 금속원소에 의한 농집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4,900원
        79.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남 일부지역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녀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음료 섭취량과 음료 섭취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음료의 기호도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단위 체중당 음료 섭취량은 총평균 28.5ml로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남·녀별로는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1일 평균 음료 섭취량은 총 671.66ml이며 각 음료군별로는 물 304.1ml, 탄산음료류 156.9ml. 유제품류 110.5ml. 과일쥬스류 36.2ml, 야채쥬스류 15.5ml. 커피 및 코코아류 32.9ml, 한국 전통음료류 26.5ml로 나타났고 남.녀별로는 남학생이 685.5ml로 여학생 654.9ml보다 높게 나타났다. 카페인음료는 고교생이 중학생보다 더 많이 섭취하였다(p<0.05). 음료 섭취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면 간식을 자주 먹는 사람이 가끔 먹는 사람보다 음료 섭취량이 높았으며 식사내용과의 관계에서는 육식을 좋아하는 사람이 음료 섭취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빵식을 자주 하는사람이 매끼 밥식을 하는사람 보다 음료섭취량이 유의적으로(P<0.01) 높게 나타났다. 기호도가 높은 음료는 오렌지 쥬스, 물. 우유, 요구르트, 식혜 등이고 싫어하여 먹지 않는 것은 전통차가 많았으며, 먹어본 경험이 없는 것도 대부분 전통료유와 주류로, 전통음료에 대한 기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4,000원
        80.
        199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촌 급식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급식의 영양섭취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녀학생의 평균신장은 각각 141.9±5.82㎝, 142.5±5.82㎝로 한국 소아 발육 표준치의 99.5%, 98.9%였으며 평균체중은 남학생이 36.3±7.39㎏, 여학생이 35.7±8.35㎏으로 한국 소아 발육 표준치의 98.1%, 96.4%를 나타내 여학생의 체중은 표준치보다 미달되었다. 부모의 교육수준은 고졸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직업은 부의 경우 남학생은 농업, 여학생은 상업이, 모의 경우는 남녀 학생의 39.0%가 농업에 종사한다고 응답하였다. 부모의 월수입 정도는 101만원 이상∼200만원 미만이 56.4%로 가장 많았다. 에너지 섭취량은 남학생이 489 ㎉, 여학생이 443㎉로 권장량의 67∼70%를 나타내어서 매우 부족한 상태였고, 단백질 섭취량 역시 남학생이 16.5g, 여학생이 15.7g으로 권장량(78∼83%)에는 미달이었다. 칼슘 섭취량을 살펴보면 남학생은 180㎎, 여학생이 169㎎으로 남녀 모두 권장량에 미달이었다. 탄수화물은 총 열량 섭취량의 68∼69%, 단백질은 총 단백질 섭취량의 61∼63%를 섭취하고 있었다. 지질은 총 지질 섭취량의 15∼16%였다. 그러나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우유로부터의 칼슘 섭취량이 늘어나 학교급식에서 우유급식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철분 및 인의 섭취량도 권장량에 매우 미달이었다. 비타민은 niacin(114∼119%)과 ascorbic acid(114.4∼114.5%)를 제외한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의 섭취량 모두 권장량에 미달이었다. 식습관 점수에 따른 분류를 보면 식습관이 `나쁘다(poor)`로 평가한 그룹이 전체의 43.6%(72명)에 해당하였으며, 여학생의 식습관 점수(9.3±3.6)가 남학생(8.4±2.5)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농촌 초등학교에 학교급식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영양소 섭취량은 권장량보다 훨씬 미달이었고, 식습관 점수도 매우 낮아서 학교급식의 양적 확대와 더불어 질적 개선 및 지속적인 효과를 얻기 위한 체계적인 운영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아동들의 올바른 식품 선택 및 식습관 형성을 위한 실질적인 영양교육 지도가 필요하며 영양에 관한 지식,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영양교육 program의 개발, 보급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