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4

        61.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anting position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ginsenoside content in Panax ginseng C.A. Meyer at different growth stages. Referring to shoot growth characteristics, stem length, stem diameter and leave area were higher at front than rear, increasing as the proceeding of growth stages. But a lower chlorophyll contents was caused at front compared to rear and decreased as the proceeding of growth stages contrarily. According to root characteristics, root length and main body length were higher at front, with a positive correlation to growth stages, which was also shown on fresh root weight and dry root weight with the maximum in August. Meanwhile, the effect of planting position on ginsenoside content could also be definite by the highest content at front showing high light intensity, increasing as the proceeding of growth stages as well.
        62.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inese milk vetch (CMV) is a winter legume that is commonly used as cover crop in Korea. Kill date of cover crop for addition into soil affects N content in cover crop and N availability in soi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MV as green manure cover crop according to kill dates before growing corn without artificial fertilizer. Top of CMV cut three times on 13 April, 27 April, and 11 May were added into soil at a rate of 600 kg per 10a. Sugar content in CMV litter was persistently decreased from mid-April to late-May. The decrease of sugar content might be due to the transformation into starch and/or other storage or structural constituents. The decreased amount of sugars was greater than 12% and the increased amount of starch was less than 0.2%. Concentration of NH4+ in soil treated by CMV litter cut on May 11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in the treatment with early-cut (April 13) CMV, the concentration at 28 and 49 DAT (days after treatment) was higher in the treatment with late-cut CMV litter. Regardless of cut (kill) date of CMV, the phosphatase activity in the treatment of CMV litter was higher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Soil dehydrogenase activity was increased steadily by addition of CMV litter implying total microbial activities in the soil were increased.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tatus of cover crop species at kill date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soil enzyme activities derived from microorganisms. Therefore, the optimal kill date of cover crop should be examin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over crop as green manure crop regarding the practical sequence in cropping system
        64.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sponse of grain yield and milled-rice protein content to nitrogen (N) rates at various growth stages is critical for quantifying real-time and real-amount of applied N requirement for target grain yield and protein content. An experiment including 10 N rate treatments at transplanting, tillering and panicle initiation stages with four rice cultivars in 2003, 6 N treatments with two rice cultivars in 2004 and 2005 was conducted. Increase of N rates at PIS significantly increased both grain yield and milled-rice protein content but increase of N rates at tillering stage significantly increased grain yield but not milledrice protein content. Therefore, high grain yield and low milled-rice protein content would be difficult to obtain only by adjusting N rates at PIS. Internal N use efficiency (INUE) was 60.5 kg grain/kg N accumulation on an average over N treatments, cultivars, and experimental years, showing considerable reduction especially at high shoot N accumulation in the experimental year of low sunshine duration. Milled-rice protein content tended to increase almost linearly with increasing shoot N accumulation, but it revealed big variation even at the same shoot N accumulation at harvest. Milled-rice protein content decreased with increasing INUE. N accumulation in the milled rice increased at an almost constant proportion of 45.5 percent of the shoot N accumulated at harvest, showing slight decresing proportion with the increasing shoot N accumulation.
        65.
        2004.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자두류 중 피자두를 생육시기별로 채취하여 총 8종에 대한 일반성분 및 총 페놀성 화합물, 축합형 탄닌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과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았다. 피자두 과육의 수분함량 및 아세톤추출물의 조회분, 조단백, 조지방 함량을 분석한 결과, 시료 1, 5, 8번은 각각 수분 88.52, 87.01, 83.56, 조분 7.12, 3.35, 3.57, 그리고 조단백7.52, 5
        66.
        200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두류중 후무사를 6월 말경에 처음으로 수확하여 5일 간격으로 6차례 채취한 다음 최종 수확 10∼25일전 까지의 후무사 1-4를 미숙과로, 최종 수확 0∼5일전까지의 후무사 5, 6은 완숙과로 구분한 후 각각 메탄을 추출물을 제조하여 대표적인 식중독 세균 4종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각 균에 대한 후무사의 항균력은 시료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저해를 보였고, 특히 5.0 mg/disc의 농도에서는 이들 4종의 균 모두에서 가장 높은 항균활
        67.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염수 농도, 처리기간 및 처리시기가 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처리시기는 분얼기, 감수분열초기, 출수기였으며, 염수처리 농도는 고농도(3.0%), 중농도(1.5%) 및 저농도(0.5%)로 하여, 고농도와 중농도는 4일간, 저농도는 30일간 처리하였다. 공시품종은 장안벼로 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던 다음과 같다. 1. 잎 피해율은 처리시기에 관계없이 고농도 단기처리에서 가장 심하였으며, 1999년에는 분얼기, 출수기, 감수분열초기 순으로 및 피해율이 높았으나, 2000년도에는 출수기, 감수분열초기 , 분얼기 순이었다. 2. 출수기는 분얼기 염수처리에서 1-5일 지연되었다. 간장 및 수장의 단축은 감수분열초기에 염수를 처리하였을 때 가장 심하였다. 3. 감수분열초기 염수처리에서 수량감소가 가장 켰고, 다음이 출수기, 분얼기 순이었으며, 이삭수를 제외한 수량 및 수량 구성요소에서 무처리>중농도 단기처리>저농도 장기처리>고농도 단기처리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수량구성요소중 등숙률과 천립중이 염수처리에 의한 감소가 가장 현저하였다. 4. 감수분열초기 염수처리에서 다른 생육시기에 비해 많은 지발이삭의 발생으로 이삭수가 많았으며, 지발이삭에 의한 수량 보상력은 2.1-12.0%이었다. 5. 립중, 등숙속도 및 등숙기간에 대하여 분얼기 처리에서는 처리농도 및 처리기간별로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감수분열초기 처리에서는 저농도 장기처리 및 고농도 단기처리에서, 출수기 처리에서는 고농도 단기처리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69.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작물은 재배환경, 재배방법, 생육 시기 및 부위별로 약리성분 함량에 차이가 많은데, 이뇨, 진통, 지혈, 조직재생 및 혈관확장 등의 약리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어성초를 생육 시기별, 부위별 및 퇴비 시용량별로 유효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 시기별 quercetin 및 tannin 함량은 생육 초기인 4월 20일에 채취하였을 때 각각 0.72, 2.1%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개화기 전까지 감소하다가 개화기 이후로 증가하였다. 부위별 quercetin 및 tannin 함량은 꽃에서 2.06, 5.3%로 가장 높았으며, 잎, 줄기, 뿌리 중에서는 잎에서 각각 0.81 및 2.3%로 높았다. 퇴비 시용량별 어성초의 quercetin 및 tannin함량은 무처리구에서 각각 0.67 및 2.3%로 가장 높았고, 퇴비시용량이 증가할 수록 지상부 수량은 증가하였으나 유효성분 함량은 감소하였다.
        70.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생육단계별 야간조명 처리가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을 분석하여 생육단계별 피해정도를 알아보고자 유한신육형인 신팔달콩 2호와 검정콩 1호, 무한신육형인 무한콩을 공시하여 유묘기, 화아분화 전기, 화아분화 후기, 개화기, 협 신장기 및 종실비대기의 6 시기의 야간에 각각 15일간씩 20~30 Lux(0.05~0.08W m2 , 0.24~0.36 u ㏖ S1 m2 )의 조도에서 시험을 수행한 결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는 야간조명처리시 대조구에 비하여 2~8일 지연되었으며, 생육단계별로는 화아분화 전기에 야간조명시 7~9일이 지연되어 개화지연정도가 가장 컸다. 2. 경장은 대조구에 비하여 협신장기 이후 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증가되었으며, 절수는 신팔달콩 2호 및 검정콩 1는 화아분화 추기 이전에 야간조명 처리시 증가되었으나, 무한콩은 화아분화 후기 이후 처리시 증가되었다. 3. 유한형 품종의 협수는 유묘기의 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4. 수량은 모든 생육단계의 야간조명 처리에서 감소되었으며, 감소 정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화아분화 전기는 7~11%, 화아분화 후기에는 6~8%, 유묘기에는 5~8%, 개화기에는 3~8%이었다.
        71.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작물은 재배 환경이나 재배 년수, 생육시기 , 부위별로 약리성분 함량에 차이가 많은데, 본 연구에서 해독, 소종, 소변불리, 간염, 황달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삼백초를 생육 시기별 및 부위별로 유효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 시기별 quercetin, quercitrin 및 tannin 함량은 생육초기에 가장 높았으며, 개화기 전까지 감소하다가 개화기 이후로 약간 증가 하였다. 7월 26일 수확했을 때 quercetin, quercitrin 및 tannin함량은 각각 5.72, 5.45g/kg 및 1.5%였다. 부위별 유효성분을 분석 한 결과 quercetin은 횐잎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고, quercitrin은 잎에서 가장 높았으며, tannin은 꽃에서 가장 높았다. 부위별 무기성분 함량은 꽃에서 K, Ca, Mg, Cu, Zn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횐잎에서는 K, Zn의 함량이 비교적 많았으며, 잎에서는 Fe가 가장 많았고 뿌리 에서 는 Na가 가장 많았다.
        72.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crops, grown in a rice soybean rotation, can suffer when grown in soil with excessive moisture. The objective of this work were to determine the reduction in growth and yield, responses of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of soybean to excessive soil moisture achieved by prolonged irrigation. Responses of different cultivars were determined at growth stages from V6 to R8 to clarify the sensitive growth stages or characteristics to excessive soil moisture. Cultivar differences in response to excessive soil moisture condition were conspicuous in seed dry weight and harvest index (HI) but not in the response of seed number or pod number per plant. The timing of irrigation causing the condition of excessive soil moisture influenced the vegetative or reproductive traits. Soybean plants were more affected by irrigation commencing at the pre-flowering than at the post-flowering stage. Post-flowering irrigation did not reduce growth of vegetative organs significantly; in fact the growth of stems and leaves was facilitated by the prolonged irrigation commencing at flowering. Differences between cultivar response to prolonged irrigation were assumed to relate to the reduced amount of assimilates translocated to the reproductive organ
        73.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xtens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effects of drought stress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soybean but information is rather restricted on the limited-irrigation system by way of precaution against a long-term drought condition in the future. The experiment for limited-irrigation was conducted in transparent vinyl shelter at Asian Vegetable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AVRDC), Taiwan in 1997. Two soybean varieties, Hwangkeum and AGS292, improved in Korea and AVRDC, respectively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normalized transpiration rate (NTR) and fraction of transpirable soil water (FTSW) in both varieties were similar that the NTR was unchanged until FTSW dropped to about 0.5 or 0.6. At FTSW less than those values, NTR declined rapidly. Days required to harvest in both varieties were significantly prolonged at IR6 treatment compared to any other treatments. Daily mean transpir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at IR5 treatment, as averaged over varieties. Similarly, water use efficiency was also high at 1R5 treatment. In both varieties, seed yield was the greatest at the IR5 treatment, as compared to any other limited-irrigation treatments, due to the increased seed number and high transpirational water use efficiency. The indices of input water and seed yield for the different limited-irrigation treatments against control indicated that Hwangkeum produced 59.6% or 60.7% of seed yield using 36.1% or 44.9% of input water, as compared to control, by irrigation at only R5 or R6 stages, respectively. The AGS292 produced 56.1% of seed yield with 35.4% of input water of control, when irrigated at R5 s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elucidated that the limited irrigation at R5 stage in soybean can be minimized yield loss with such small quantity of water under the environment of long-term drought stress and the expected shortage of agricultural water in the future.
        74.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water deficits on soybean [Glycine max (L.) Merr.] could appear on seed quality through changes of morphological plant characteristics. Two Korean genotypes, Hwangkeum (determinate growth habit) and Muhan (indeterminate growth habit), were us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treatment stage and method of water deficit during reproductive growth period on yield and seed quality of soybean. Water deficit at R5 or R6 stages was as damaging to seed quality as double water-deficit treatments at R2+R5 or R2+R6. However, seed from double water-deficit treatment tended to have lower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compare to the corresponding single water-deficit treatment. In comparison with Muhan, Hwangkeum had significantly greater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value. Seed yield per plant in both genotypes depended greatly on seed yield of branches. However, the proportion of number of branch seed to total seed umber in Hwangkeum was increased as the water deficit was applied during later reproductive stage, whereas, in Muhan the proportion was lower. Water-deficit treatments including the single and double water-deficit treatments and non-stressed treatment were able to b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for Hwangkeum and four groups for Muhan based on the influences on yield components, number of pod, number of seed, and single seed weight,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both genotypes, R2+R5 water-deficit treatment decreased number of pod and seed, but increased single seed weight. On the contrary, R6 or R2+R6 stress increased the pod and seed number, but decreased single seed weight
        75.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the time course changes of transpiration, diffusion resistance and photosynthetic rate of rice at several different growth stages subjected to soil moisture stress (SMS) and recovery by irrigation. A japonica rice cultivar 'Dongjinbyeo', was grown under flooded condition in a plastic container filled with silty loam soil. At 5 main growth stages, the container was treated by SMS until initial wilting point (IWP) and then reirrigated. The duration of SMS until IWP were the longest, 13 days for tillering stage, and the shortest, 7 days for panicle initiation and meiosis stage. The transpiration rate rapidly decreased during SMS and the transpiration rate at IWP of the stressed plant showed 10∼20% compared with control, and the transpiration rate of stressed plant at most growth stages also recovered rapidly after irrigation and then reached 100% of control within a week. The shoot photosynthetic rate in all growth stages rapidly decreased by SMS, and the rates at IWP of stressed plants were de-creased nearly to 0%, beside the treatment at tillering stage. The recovery degree of photosynthetic rate by irrigation ranged from 20 to 90%, showed higher at early growth stages of SMS treatment than that of later stages. At all growth stages the leaf diffusion resistance of stressed plants was over 3 times that of the control resulting from a rapid increase at 3 to 5 days after draining for SMS, and showed quick recovery by irrigation within 3 days after drainage. The above physiological parameters changed in close relation with the decrease of the soil matric potential after SM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t all main growth stages of rice plants the transpiration and photosynthesis reduction by stomatal closure reponded sensitively to the first stage of SMS closely related with decrease of soil water potential, while those recovery pattern and recovered degree by irrigation are little different by growth stage of rice.
        76.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owth/differentiation factor-9 (GDF-9)은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superfamily의 member로서 난소의 난자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며 정상적인 난포발달에 있어 필수적인 성숙인자로 최근에 알려졌다. 본 연구는 RT-PCR을 통해 생쥐의 원시난포에서의 GDF-9 mRNA의 발현 여부와 함께 난포의 발달단계에 따른 상대적인 발현량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는 ICR 생쥐를
        77.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북, 경남, 전남으로부터 배향초 종자를 수집하여 수원에서 재배하면서 수집종간 정유와 estragol 생산량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상부 건물중을 기준으로 생육정도를 비교한 결과, 가령산종과 순천종은 초기 생육이 좋았으며 목포종과 진도종은 개화 후 생육이 좋았다. 반면 담양종은 수집종 중에서 건물중이 가장 가벼웠다. 2. 대체적으로 estragol 함량은 각각 잎 82.3~89.1%, 화기 81.1~89.2%, 줄기 72.0~45.6%였으며, 수집종간에 큰 차이는 없었고, 개화성기에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3. 정유함량은 개화성기에 1.0% (잎 1.0%, 화기 2.1%, 줄기 0.5%)로 수확시기 중 가장 높았으며, 특히 개화성기에 수확한 목포종의 화기는 3.3%의 정유함량을 보여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4. 건물중과 정유함량이 좋았던 개화성기에 가장 많은 정유와 estragol이 생성되었으며, 수집종중에서는 목포종과 진도종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78.
        199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양수분 부족이 콩의 생육 및 수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비가림 비닐하우스 안의 베드에서 우리나라 기상여건상 토양수분 부족의 유발가능성이 높은 영양생장기인 신장기에 제 3 복엽기부터 30일간 단수(FNS)와 생육중기인 착협시부터 30일간 단수(BPS), 생육후기 인 입비대시부터 30일간(BSS) 토양수분 부족을 유발시켜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의 건물중은 FNS 단수처리시 감소율이 가장 컸으며, BPS와 BSS 단수처리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2. 엽록소 함량은 FNS와 BPS 단수처리시 처리종료 직후에는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수확기에는 회복이 되어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3. 한발처리 종료직후의 토양깊이별 뿌리 분포는 단수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지표면 가까이에서 분포되 었으며, 뿌리혹 수와 뿌리혹의 건물중은 BPS 단수처리시 감소가 가장 심하였다. 4. 개체당 협수, 개체당 입중 및 수양은 단수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BPS 단수처리시 감소율이 가장 심하였다.
        79.
        199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주요 생육기별 관수처리시간에 따른 생육양상과 감수요인을 구명하고자 콩의 생육기 V3(6월16일),V6(6월29일),R2(7월3일),R4(7월29일) 시기에 관수시간을 6.12.24시간씩 명명 유지하여 비가림하우수내에서 pot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는 무처리 대비 V3~cdotV6 생육기 관수처리에서 1일정도 지연되었다. 2. 성숙기는 무처리 대비 V6 시기 6~12시간 관수처리시 2~3일 조숙되었으나, V6 시기 24 시간과 R2~cdotR4 시기의 관수처리는 2~8일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3. V6와R2 시기의 24시간 관수처리는 생장점이 고사하였으며 경장과 주경절수는 관수처리 시기가 빠르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내수는 처리시기가 늦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감소되는 경향으로 V6 시기 24시간과 R2 6~24시간 R4 시기 6시간 관수처리는 16~26%, R4 시기 12시간 관수처리는 40%, R4 시기 24시간 관수처리는 60%씩 명명 감소되었다. 5. 수량은 관수시기가 늦고 관수시간이 길수록 감수되는 경향으로 무처리 대비 V3 시기 전처리와 V6 시기 6.12시간 처리까지 유의차가 없었으나 V6 시기 24시간, R2 시기 6.12 시간 및 R2 시기 6시간 관수처리는 27~36%, R2 시기 24시간 관수처리는 43%, R4 시기 12시간 관수처리는 53%, R4 시기 24시간 관수처리는 66%씩 명명 감수되었다. 6. 콩 생육기별 관수피해 정도는 R4>R2>V6>V3 시기순으로 감수폭이 컸다.
        80.
        199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작물의 생육시기별 산성비에 대한 내성과 피해양상을 알기 위하여 벼, 콩, 고추 3개 작물을 영양생장기-수확기 또는 생식생장기-수확기에 pH2.7의 인공산성비를 10mm씩 2일 간격으로 처리한 후 작물의 생육,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작물의 피해양상, 식물체 중 엽록소, 질소, 황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공산성비에 대한 잎의 가시적 피해는 벼 < 고추 < 콩의 순으로 컸으며, 생식생장기-수확기 처리보다 영양생장기-수확기 처리에서 피해가 더 심했다. 피해증상은 벼는 갈색반점, 콩은 황화현상과 갈색반점, 고추는 작은 갈색반점이나 구멍이 생겼다. 2. 생식생장기에 조사한 벼, 콩, 고추의 엽록소 함량은 모두 pH 2.7 인공산성비의 영양생장기-수확기 처리 < 생식생장기-수확기 처리 < 무처리 순으로 높았으나 광합성 능력은 차이가 없었다. 3. 질소 함량은 벼에서는 인공산성비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콩과 고추에서는 영양생장기-수확기 처리에서 생식생장기-수확기 처리 혹은 무처리보다 질소 함량과 흡수량이 많았다. 4. 황 함량은 벼, 콩, 고추에서 모두 차이가 없었으나 흡수량은 벼 와 콩에서는 인공산성비 처리 기간이 길수록 많았다. 5. 벼와 콩의 수량은 pH 2.7 인공산성비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벼는 영양생장기-수확기 처리에서 임실률, 등숙률, 1,000립중이 감소하였다. 고추는 주당 과실수와 과중의 감소로 수량은 영양생장기-수확기 처리 < 생식생장기-수확기처리 < 무처리 순으로 높았다. 6. 인공산성비를 개화기에 1회 처리할 때 벼는 pH2.3이하에서 영화에 갈색반점이 생기며, 콩과 고추는 각각 pH 1.7 및 2.0에서 꽃잎은 시드나 과실은 생장하였다. 인공산성비의 pH가 2.6에서 1.7까지 낮아질 때 콩은 협당립수가 감소하였으나 벼의 임실률과 고추의 착과율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으며 생육초기일수록 상관이 높았다. 6. F1 은 생육초기에 엽의 질소함량이 높아 단위동화율이 높을 뿐만아니라 질소의 군락내 상하간의 농도 구배가 크고 흡광계수가 낮아 군락의 광합성에 유리하고, 이에따른 영양 생장기 건물 생산성의 증대가 단위 면적당 영화수의 증대를 통해 수량의 증대를 가져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높았고 그 다음으로 운봉>화서>철원산미 순으로 낮았으며 강하점도는 철원산미가 가장 켰고 그 다음으로 화서>운봉>진부산미 순으로 저온하에서 등숙된 쌀일수록 낮았으며 치반점도는 이와 정반대의 경향이었다. 밥의 점성 /경도비율은 철원산미가 여타 지역에 비해 약간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6. 식미관련 미질특성을 이용한 주성분 분석에서 전정보의 약 60% 설명이 가능한 제1 및 제2 주성분치상의 5개 품종별 4개 산지미의 분포로 보아 대체로 진부산미와 여타 지역산미로 확연히 구분되었고 다시 진부산미는 2개군, 여타 지역산미는 3개군으로 세분화 할 수 있었으며 산지내 품종변이가 가장 작았던 것은 화서산미였고. 고냉지산미는 품종 간 변이가 켰다. 식미관련 종합적 미질특성면에서 가장 양호한 군에 속하는 것은 철원, 운봉 및 화서산 오대벼와 운봉산 소백벼였다.것으로 나타났다. 아마도 이런 산림형태는 자연 기후환경변화 뿐만 아니라 인간간섭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이 시기에 경작식물인 벼과(Gramineae), 옥수수(Zea), 메밀(Fagopyrum)과 논밭의 뚝 등지 에서 서식하는 돼지풀(Ambrosia) 등이 처음으로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인간간섭이 행해졌음을 잘 뒷 받침해준다. 또한 담수성 조류는 변함없이 산출되는 반면, 해양성조류인 와편모류가 산출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해안환경에서 다소 멀 어진 저지대의 습윤한 충적대지환경으로 변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나타났다.ates in 1678, was th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