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2

        61.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the mesh selectivity of a net pot for common octopus Octopus minor for the sustainable resources management of common octopus. The file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e total 10 times in the southern part of coastal sea in Korea from March to May in 2010 using net pots of five different mesh sizes (16, 18, 20, 22 and 26mm). The test of size selectivity, indicated a 50% selection value on the logistic master curve of 3.195, whereby 50% of individuals with a mantle size of approximately 70.3mm selected a mesh size of 22mm. Considering that 50% of common octopus entering sexual maturity have a mantle size of 70.6mm, the optimum mesh size should be equal to, or larger than 22mm.
        4,000원
        6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보리와 밀을 재배한 후 벼 이앙시기를 6월 10일 및 6월 25일로 달리하여 포트육묘의 재배적인 효과를 검토하고자 친농 품종을 공시하여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앙시기별 생육상황을 보면 경직경은 두 시기 모두 관행재배보다 포트재배가 굵었으며, 초장 및 유효경비율도 같은 경향이었으나, LAI, 완전미비율 및 단백질함량은 이앙시기간 차이가 인정되었다. 간장, 수장 및 등숙비율은 두 시기 모두 관행재배보다 포트재배에서 컸으나, 수수는 관행재배가 포트재배 보다 많았고, 천립중은 비슷한 경향이었다. 백미수량은 6월 10일 이앙에서는 관행재배보다 포트재배가 544 kg/10a, 6월 25일 이앙에서 513 kg/10a로 관행재배보다 각각 4%로 증수하였다. 수량과 수량구성요소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두 시기 모두 관행재배는 수수 및 등숙비율에서, 포트재배는 1수립수에서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또한 기여도를 보면 두 시기 모두 관행재배는 수수 및 천립중이, 포트재배는 1수립수 및 수수의 기여도가 높았다. 주간과 분얼간 분포도는 두 시기 모두 관행재배는1차, 주간, 2차 분얼 순이었고, 포트재배는 1차 분얼이 많았으나 주간이나 2차 분얼은 비슷하였다.
        4,000원
        6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수출 및 국내 소비 확대를 위한 황색계 중형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1995년에 황색계 중 소형종 C. ‘Golden Color’와 순노랑색계 중형종 ‘Eastern Star’ 품종을 교배하여 2008년에 황색계 중, 소형종 ‘프리티 옐로’(Cymbidium ‘Pretty Yellow’) 신품종을 개발하였다. 1995년부터 2007년까지 종자기내파종, 온실양성, 선발 그리고 특성검정으로 균일성, 안정성, 화색, 화수, 엽형 등이 우수하여 2008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 심의회를 거쳐 ‘Pretty Yellow’ 로 명명하였다. ‘Pretty Yellow’ 품종은 연한 오렌지색계 (O25A)의 설판에 연두색 빛이 도는 노랑색계 바탕색(RHS, Y13A)이며, 1개 꽃대에 14개의 소화가 착생하며 화폭이 약 5.9cm이다. 꽃모양은 꽃받침과 꽃잎이 안쪽으로 약간 오므라든 모양의 안아피기형으로 둥글고, 꽃대는 반직립성이며 식물체 크 기는 중소형이다. 꽃은 보통재배 시 1월 중순경부터 개화하는 중, 만생종이며 개화수명은 15-18oC에서 관리시 2개월 정도 유 지된다. 잎 형태는 꼬임이 적은 직립성이고 꽃대의 길이는 41.9cm로 짧은편이며 국내 소비자 기호성이 높다.
        3,000원
        6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화용 거베라의 채종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Ge- 10-47’(S4) 등 2계통에 대하여 1월부터 12월까지 15일 간격으로 자가수분을 실시하였고, ‘Ge-10-47’ 등 5계통 에 대하여 자가 수분, 형매 교배 및 타가수분 등의 교 배 방법에 따른 결실화율 및 결실화 당 종자 수를 조 사하였다. 교배시기별로는 주간 25 ± 3οC/야간 15 ± 3οC 가 유지되는 4-5월과 9-10월은 결실화율은 80% 이상이 고, 결실화 당 종자 수는 20개에서 70개로 다른 시기 보다 월등히 많았으나 겨울(11-2월) 및 여름(6-8월)에는 수정이 거의 안 되거나 낮게 나타났다. 교배 방법에 따 른 결실화율은 자가수분이 58.2%, 형매 교배는 70.8%, 타가수분은 77.5%이었다. 결실화 당 종자수도 자가수분 이 14.1개, 형매 교배가 19.0개, 타가수분은 22.7개를 나타냈다. 형매 교배 및 타가수분의 결실율이 자가수분 보다 높고, 결실화 당 채종립도 많은 경향이었다. 또한 교배 횟수는 2회가 알맞았고, 계통의 세대가 진전될수록 결실화율 및 결실화 당 종자 수는 현저히 적었다.
        4,000원
        65.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aquatic organism in the coastal waters off Taean,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catches by commercial fishing of the pot and gill net from April 2010 to January 2011. A total of 58 species, 10,602 individuals and 547,569g of aquatic organism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Aquatic organism were composed of 22 species of Pisces, 20 species of Crustacea, 8 species of Gastropoda, 3 species of Echinodea, 2 species of Cephalopoda and Bivalvia, and 1 species of Holothuroidea. 41 species in 9 orders and 22 families were collected by the pot, and 28 species in 15 orders and 22 families were collected by the gill net. Volutharpa ampullacea was the most dominant in the pot, while Okamejei kenojei was the most dominant in the gill net. These two species accounted for 73.9%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64.4% in biomass.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 in spring in the pot, and autumn in the gill net.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highest in winter and summer respectively in the pot, and summer in the gill net. The number of species of the consignment quantity caught by commercial fishery of the pot and gill net in Mohang was 12 and 14 respectively. Cluster analysis based on species composition of the 18 most common species showed that the species were separated into 3 different group. Group A was composed of species which were abundant in spring, group B was composed of species which were abundant in summer and autumn, and group C was composed of year-round residents.
        4,600원
        67.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화용 바위떡풀 신품종 ‘은하수(Eunhasoo)’는 꽃이 백색 품종인 백수(百壽)를 모본으로 진한 핑크색 품종 인 양우(良友)을 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 하였으며 2004년~2007년까지 온실에서 재배하면서 특성검정을 한 후 최종 선정하여 ‘은하수(Eunhasoo)’라는 품종으 로 품종보호권이 등록되었다. ‘은하수’는 꽃이 9월 30일부터 피기 시작하여 10월 하순까지 약 26일간 지속되며 꽃 수는 325개 정도이 고 꽃대수 4.3개, 꽃대길이는 12.2 cm로 작고 화분에 꽉 차서 안정적이었다. 꽃은 연한 분홍색(R-P 65B +W-155A)이며 꽃 길이는 2.2 cm, 폭은 2.0 cm 로 작았고 꽃잎 수는 8.3개로 비대(大)자형을 이루며 옆 길이는 3.1 cm, 폭은 3.6 cm로 컸으며 잎 수는 36.0개로 적었다. 수술은 수에 있어서 3~7개로 변화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3,000원
        68.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위떡풀 분화용 신품종 ‘스타플라워(Starflower)’는 핑크색 품종인 주노(朱鷺)를 모본으로 밝은 핑크색 품 종인 홍완(紅完)을 부본으로 하여 2004년 인공 교배하 여 2005년~2007년까지 온실재배를 하면서 특성검정을 한 후 최종적으로 화색, 화형 및 초형이 우수한 신품 종으로 출원하여 2011년 품종보호권이 등록되었다. ‘스타플라워’ 품종의 꽃은 10월 3일부터 피기 시작 하여 10월 하순까지 약 26일간 지속되며 꽃은 85개 정도이고 화경수는 6.4개로 많으며 화경장은 15.5 cm 로 적당하였다. 꽃은 진한 분홍색(R-P 67C)이며 꽃 길이 3.3 cm, 폭이 3.1 cm 정도이고 꽃잎 수는 6.0개 로 불규칙적이며 잎 길이는 5.0 cm, 폭은 5.5 cm로 컸으며 엽수는 44.0개 적었다.
        3,000원
        6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모란 선인장 2개와 다육식물인 월토이, 미니염좌, 청솔 중 1개를 혼합 식재한 상품을 소비자가 이용할 장소를 감안하여 온실, 창가 및 실내에 LED 적+청색 혼합광을 조사한 것과 안 한 것을 구분하여 위치시킨 후 6개월 동안 고사율 및 생육조사를 하였다. 창가의 식물 고사율은 처리 후 4개월만에 비모란(적)은 13.3%, 비모란(황)은 16.7%, 월토이는 39.3%, 미니 염좌는 5.7%, 청솔은 50.0%이었다. 이보다 광량이 적 은 실내의 식물 고사율은 2개월만에 비모란(적)은 13.3%, 비모란(황)은 6.7%, 월토이는 40.0%, 미니 염 좌는 10.0%, 청솔은 43.3%로서 창가의 4개월과 유사 하였다. 하지만 광도가 현저히 낮은 실내와 창가 조건 에서도 LED 적+청색 혼합광에서는 비모란 및 다육식 물은 고사된 것이 거의 없었다. 한편 LED 적+청색 혼합광에서 다육식물의 초장 및 엽수의 생장은 재배온 실의 것이 실내 것보다 양호한 경향을 보였고, 청솔은 모든 위치에서 다른 식물보다 초장이 길게 자라서 4개 월 후에는 비모란과 미관적으로 어울리지 않았다. 따라 서 접목선인장과 다육식물을 합식한 것을 실내에 들여 놓을 경우, 고사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광이 가장 잘 비치는 곳에 놓거나 가능하다면 LED 적+청색 혼 합광 밑에 두는 것이 관상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4,000원
        70.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분화 심비디움 11 품종의 절화 수명에 대해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심비디움 절화수명은 ‘Red Heart’(5일)와 ‘Cosai’(5 일), ‘Hukumusme’(4일)로 가장 짧았고, 가장 긴 것은 ‘Golden Bambi’(21일)로 절화수명이 짧은 품종의 4배 정도 수명이 길었다. ‘Golden Bell’, ‘Miss Kim’, ‘Marine Green’ 의 절화수명은 8~10일이었고, ‘Golden Tiara’, ‘UFO’, ‘Orange Fresh’, ‘Gengi’의 절화수명은 6~7일이었다. 절화수명연장제 ‘화정’과 ‘Florbelle’의 100 배, 200배액 처리시 처리 별로 절화수명에는 큰 차이는 나지 않았으나 ‘화정’ 100배액이 품종에 따라 절화수명 에 효과가 있었다.
        4,000원
        71.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optimal design of a shrimp pot to control the catch size and to reduce catch the small size shrimp, tank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study the pot stability under water. Tank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measure the drag with 4 kinds of model pots that have 50% selection on the individual of 25mm carapace length. The drag of each pot was measured every 10 times with changing the current speeds from 0.1m/s to 0.7m/s in 0.1m/s intervals and the pot attack angle from 0˚ to 90˚ in 15˚ interval in a flume tank. The relation between the current speed and drag was presented. The stability of pot was estimated using the drag data and the friction data of Kim et al. (2008b).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rag was shown lower as small as the projected area of pot depending on the current speeds and angles. The model pots were showed to slide on the seabed in case of rock at the current speeds 0.35-0.38m/s and the possibility of turn over at the current speeds 0.77-0.89m/s. In conclusion, the stability of a shrimp pot showed more stable as the pot of the lower the height and the smaller projected area on current.
        4,000원
        72.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팔레놉시스 ‘스노우 엔젤’(Snow Angel)는 2008년도 에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성한 품종이다. 백색에 진홍색 레드립 중소형종 ‘0361’을 모본으로 하고 백색에 분홍 그물무늬와 진분홍립을 가진 중소형종 ‘S98PN1’을 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 하였다. 2000년부터 2002 년까지 83개체의 실생을 계통양성 하였다. 계통 중에 서 꽃 모양이 둥글고 흰색에 분홍립을 가진 소형의 팔레놉시스 ‘99-0404-13’을 개체 선발하였다. 선발된 계통에 대하여 2003년부터 2007년까지 개체증식 및 1차 생육특성검정을 수행하고, 2008년에 ‘원교 F2-18’ 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2차 특성검정, 안정성, 균일성에 대한 연차별 재현성 및 기호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꽃 모양과 화색, 재배력 등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8년 에 직무육성품종심의회를 거쳐 ‘스노우 엔젤’로 명명하 고 품종 등록하였다.
        3,000원
        73.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면관수 방식인 C-형강 매트재배 시스템을 이용한 소형 분화 국화 재배 시 daminozide 농도에 따른 관 주처리, 저면공급 및 정식시기에 따른 생장억제 효과의 지속력 및 저면공급의 처리효과를 구명하고자 본 실험 을 수행하였다. 1차 정식처리구에서 4,000 mg·L-1 이상 의 관주 처리구에서 초장신장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차 정식처리구의 경우 5,000mg·L-1 에서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분산분석 결과 정식시기도 초장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양액과 저면 공급한 처리구에서 daminozide가 화뢰의 형성, 생 체중 및 건물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하여 정식시기를 조절하여도 초장을 조절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초장신장 억제를 위한 생장조절제 처리 시 정식시기와 공급방법의 다양 화를 통해 분화 국화의 효율적인 초장 조절이 가능 할 것이다.
        4,000원
        74.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iodegradable octopus pot was developed to reduce plastic pollution problem in the sea and fishing trouble between fishermen. It can be expect to recycle other wasted biodegrade fishing gear. Experimental fishing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fishing efficiency between Polyethylene (PE) octopus pots and biodegradable (Polybutylene Succinate and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octopus pots which was tried to make in this study in the sea. There were caught by 237 numbers of fishing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mong the 237 numbers of fishing, 160 or 67.5% were PE pots which were more than the biodegradable pots. A comparison of the monthly catches between the PE pots and biodegradable pots shows that the catches were overall higher in the PE pots than in the other pots. The result is very similar with the comparison of total catches by each type of the pots. In terms of bycatch, the number of species, amount of catches and the number of fishing with bycatch were more significant in the biodegradable pots than in the PE pots.
        4,000원
        7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의 가장 초기 희곡 중의 하나인 『치킨 국물 뚝배기』는 어느 배고픈 부랑자가 인색하기로 소문난 노파로 하여금 국물을 끊이는 데 동참하게 만드는 희극이다. 유럽에서 널리 알려진 구전 설화로서, 예이츠는 여기서 가장 중요한 요소를 사용한다. 이 극에서 예이츠가 어떤 기법과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있다. 이 논문은 그가 평범한 구전 설화를 어떻게 재구성하여, 독백, 대화, 노래, 무대지시, 등의 서정적 형식을 통해 극화시키는지 연구한다.
        4,900원
        7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누리’는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서 2006년 육성된 절 화 및 분화용 아시아틱 나리이다. 1999년 오렌지색 품종 인 ‘Avignon’를 모본으로 하고 노랑색 품종인 ‘Nove Cento’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얻어진 실생 계통 중 화색과 화형이 안정적인 계통을 ‘A99-6-48’로 선발하였다. 2002~ 2003년 기내 조직배양을 통해 증식하여 포장에서 순화 및 양구하였으며 2004~2005년 2차 특성검정을 통해 ‘JLA99-7’ 계통으로 선발되었고 2006년 최종 선발되어 ‘온누리’는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서 2006년 육성된 절 화 및 분화용 아시아틱 나리이다. 1999년 오렌지색 품종 인 ‘Avignon’를 모본으로 하고 노랑색 품종인 ‘Nove Cento’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얻어진 실생 계통 중 화색과 화형이 안정적인 계통을 ‘A99-6-48’로 선발하였다. 2002~ 2003년 기내 조직배양을 통해 증식하여 포장에서 순화 및 양구하였으며 2004~2005년 2차 특성검정을 통해 ‘JLA99-7’ 계통으로 선발되었고 2006년 최종 선발되어
        3,000원
        77.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st fishing was carried out using six kinds of different mesh sizes (20, 22, 24, 28, 35, 40mm) for springnet-pot to study bycatches according to the mesh size and catches survey was done for another one (mesh size : 22mm, entrance round : 350mm) in Geo-je & Tong-young waters of Korea. On the first sea experiment, it was thought that suitable mesh size of spring-net-pot catching conger-eel over 35cm with decreasing the catches of conger-eel (Conger myriaster) below 35cm was 24mm. On the second sea experiment, commercial catches were crabs (Charybdis bimaculata), octopus minor (Octopus variabilis) and others including conger-eel, and catches proportion was 60% of total catches weights. There was no big difference for the monthly catches. Self-consumption catches were 9 species including conger-eel below 35cm holding 50% of catches in the side of weights. There were 40% of bycatches for the catches weights and 63% for catches numbers in the 22mm mesh size of spring-net-pot having entrance round over 140mm. It showed that 50% of catches weights were discarded.
        4,000원
        78.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ernative subirrigation way, capillary wick system (CWS) was tested to reduce labor cost, waste water, contamination of ground water, and use of fungicide compared to overhead irrigation system (OIS). CWS helped reduce remarkably the working hours for watering from 4 hours in OSI to just 5 minutes. Labor cost was saved 98% in CWS compared to OIS. B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growing media, 1 coconut coir+2 perlite (v/v) mixture was selected because it had an ideal distribution of three phase, e.g. 1 solid: 1 liquid: 2 gas phase. Medium mixture containing scoria had so high bulk and particle density to hurt root. In bark-containing medium, the liquid phase and the percent saturation of liquid phase with time elapsed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mixture. It meant that the mixture contained very low level of water. Application of CWS for cyclamen pot produc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incident of fusarium wilt symptom from 18% in conventional over watering system to 4%. Cyclamen pot irrigated by capillary wick had shorter petiole and more leaves than those by overhead watering. As a result, this system was highly beneficial to get uniform pot products with high quality. It improved water and nutrient solution efficiency relative to conventional overhead irrigation system (OIS).
        4,000원
        79.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 아직 많이 이용되지 않는 식물 중 실외 정원의 화분에서 봄부터 가을까지 잘 견뎌낼 수 있는 자생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 30여 지역을 탐사하였다. 일반적인 화분(직경 27.5 cm ×높이 27.5 cm) 과 걸이용 화분(직경 27.5 cm ×높이 13 cm)에 식물을 채 취하여 심거나 파종하여 충남 성환(북위 36´´56´ 동경 127´´09´)의 정원에서 재배하여 생육이 좋은 것으로 파 악된 자생식물은 일반적인 화분용으로는 13과 29속 38종 (초본식물 37종류, 목본식물 1종류)이었으며, 걸이용 화 분용으로는 28과 43속 46종(초본식물 29종류, 목본식물 17종류)이었다. 이 중 이용 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식물은, 일반적인 화분에는 박주가리과의 박 주가리, 도라지과의 염아자, 국화과의 인진쑥ㆍ사자발쑥ㆍ 물쑥, 사초과의 가는그늘사초, 화본과의 수크령ㆍ강아지풀, 꿀풀과의 배초향ㆍ긴병꽃풀ㆍ꽃향유ㆍ산박하ㆍ들깨풀, 콩 과의 털갈퀴나물, 후추과의 후추등, 장미과의 분홍찔레의 16종이었고, 걸이용 화분용으로는 박주가리과의 박주가 리, 국화과의 좀씀바귀, 메꽃과의 메꽃ㆍ둥근잎유홍초, 마과의 마, 꿀풀과의 긴병꽃풀ㆍ백리향, 콩과의 제주달구 지풀ㆍ털갈퀴나물, 방기과의 새모래덩굴, 후추과의 후추 등, 미나리아재비과의 긴잎으아리, 장미과의 분홍찔레, 양 지꽃, 꼭두서니과의 계요등, 꼭두서니, 포도과의 담쟁이 덩굴 18종이었다.
        4,300원
        80.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플라스틱하우스 수박 재배 시 육묘 포트종류와 그 정식 방법이 정식 후 생육 및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잎의 수, 면적 및 광합성률, 초장, 생체중량 모두 정식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관행포트 묘에 비해 이중플라스틱포트 묘에서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확과의 과고, 과폭 및 과중도 이중플라스틱포트 묘에서 다른 포트 묘에 비해 다소 큰 경향이었다. 과피두께는 사각형피트포트 묘에서 가장 얇았고 관행포트 묘에서 가장 두꺼웠으며, 배꼽 직경은 과피두께 결과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중플라스틱포트 묘의 정식 깊이에 따른 초기 생육은 포트 높이의 2/3 정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