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medical tourism (MT) has focused more attention on the growing supply side of the market than the demand side (Gan & Frederick, 2013). There is a need therefore for more research to better understand the demand aspects of this growing industry. Most of the research on MT consumers focuses on two main factors for deciding to travel abroad for medical care: cost and quality of the service (Gan & Frederick, 2013; Lunt et al., 2011). Since both outcome and process healthcare service quality (SQ) remain a concern for medical tourists (Gan & Frederick, 2013; Lunt et al., 2011),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medical tourists’ perceptions of their international patient experienc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is topic, and address the demand side research gap, by content analyzing the online testimonials of medical tourists, who traveled to Thailand for medical care, through a SQ lens. By doing so, this research strives to provide a first-person perspective of Thailand’s MT SQ. No other studies in the MT literature have been identified that used this approach to investigate MT SQ.
As ICT advances, industries related to digital technology are disrupting the boundaries of corporations and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industrial ecosystem. The electronic game industry is also continuously growing through convergence among various technologies, content genres and platform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hierarchical elements of hybrid game contents from the viewpoint of the ecosystem as well as the importance and influence their components have upon each level.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and influence of the components of the ecosystem from the viewpoint of the value chain of hybrid game contents, an Exper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employing 18 experts from the game industry, academia and R&D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e Expert Delphi Survey were compiled, a hybrid game ecosystem defined for each layer, and a communication system diagram created depi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system and value chain of the hybrid game contents. Based on the analysis, to invigorate hybrid game contents, a direction for policies was presented for each hierarchy from both the micro and macro perspectives.
Polyploidy analysis being one of the important mechanisms to study the genetic resources and plant diversity which plays significant role in crop evolution, breeding programs, and crop improvement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he root tips of nine Cymbidium genotypes were used as materials to determine their chromosome number and flow cytometric analysis of chromosomal ploidies. The chromosome number (2n=40) has been observed in all the nine genotypes. Results showed that among nine cymbidium genotypes, six were tetraploid (2n=4x=80), two diploid (2n=2x=40), and one triploid (2n=3x=60). This study provides useful chromosome landmarks and evidence about genome evolution, heteromorphic chromosomes based heterozygosity, basic chromosome number and ploidy level in the genus Cymbidium.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theoretical base line for crossbreeding in the genus Cymbidium.
본 연구는 국내 어린이신문의 내용적 문제점과 원인을 탐색하여 이를 개선할 수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1차적으로 국내에서 발간되는 어린이신문에 대 한 내용적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지면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고 , 그 원인 과 해법을 탐색하기 위해 초점집단 (초등학생과 학부모, 교사, 언론인, 전문가)을 대상 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 내용분석 결과에 따르면, 일반 신문과는 차별되게 이 미지와 텍스트를 함께 사용한 형태의 기사와 중립·긍정적인 기사가 가장 많았다 . 어린 이신문의 기사 비중은 42%로 정보·학습적 내용과 광고가 더 높은 비중을 보였다 . 정 보·학습 콘텐츠는 영어·한자 학습에 편중되었으며 , 자체 제작보다는 학습콘텐츠 제작업 체와 이들의 출판물에 의존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광고는 도서광고가 주류를 이루었 다. 심층인터뷰의 분석결과 , 어린이신문은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과 이해 증대, 글쓰기 능력과 사고력·판단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하지만 어린이신문이 신문보다는 ‘학습지’에 가깝다고 평가되었다 . 따라서 기사의 비중 확대와 학습·정보 내 용과 광고의 축소, 초등학생의 학년별 수준에 맞춘 기사 제공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아울러, 어린이신문의 활성화와 가정·학교에서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어린이신문 의 보급에 대한 재정 지원, 읽기 문화 진흥을 위한 정책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기능성 게임은 지적 장애인의 과제분석, 촉진, 반복을 주요 전략으로 사용하는 직무 훈련에 효과적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성 게임과 장애인 직무 훈련의 공통점을 살펴보고, 기능성 게임이 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구체적 예로 “직업 기능“ 교과서의 콘텐츠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음식 조리" 단원의 콘텐츠를 분석하여 적합한 게임의 구성과 형태를 연구하였다. 훈련 및 학습 효과의 최대화를 위해 장애인을 위한 기능성 게임은 기존의 엔터테인먼트 게임들과의 차이가 있어야 함을 설명하였으며, 지적 장애인 기능성 게임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새 교육과정은 별도의 해설서가 개발되지 않았다. 국가 수준의 한문과 교수․ 학습이나 평가 관련 연구가 충분하지 않고, 학교 한문 문법이 제정되지 않아 한문 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세부 진술 내용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현실에서 해설 서의 不在는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紛紛한 해석을 야기할 것으로 예측된다. 마 침 개발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은 교육과정 의 학교 현장 적합성과 활용도를 提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은 새 교육과정의 대영역 ‘한문 지식’ 중 중영역 ‘한자’ 영역의 학습 내용 성취기준의 세부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기 준 및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아울러 성취기준 및 성취 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이해를 돕기 위해 평가문항을 예시하였다. 교육과정 영역별로 제시된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한문 학습의 출발점과 도달 점 설정, 한문 학습의 위계 구분 등의 논의를 촉발할 것으로 예상한다. 관련 연구 는 추후 한문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내용의 수준과 범위 설정을 위해 반드시 진행되어야 할 분야이다. ‘한자’ 영역의 학습내용 성취기준과 성취기준의 학교급별, 과목별 수준 구분의 주요 근거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범위이다. 餘他의 영역과 다른 한자 영역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이다.
이 글은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문화’ 영역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을 소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화’ 영역은 3개의 중영역, 5개의 내용 요소로 구성, 조직되었으며, 내용 요소에 따라 학습내용 성취기준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성취기준을 개발하고, 성취기준에 따라 성취수준 을 세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학교의 교수․학습과 평가 활동에 활용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문화’ 영역 예시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선다형, 서술형, 그리고 수행 평가 도구를 몇 가지 예시했다. ‘문화’ 영역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정의적 영역 평가 도구 개발이 후속 과제로 요청된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naming standard of Korea menu names divided into two groups, main dish and side dish.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contents analysis of selected literature articles and multiple-response cross tabulation analysis.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naming standard of Korea food consisted of the main ingredient name - sub ingredient name - main condiment name and main recipe. On the other hand, the menu name that is in native language or has a historical origin is exempt from this class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new standard, 'Hansik Menu Naming', to assist the food service industry and correct the names of unknown foreign dishes.
한자는 이미 도구로서의 가치뿐 아니라, 동시에 문화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 다. 『문화요소』를 한자 교육 중에 접목한 가운데, 『도구』와『문화』라는 두 가지 효과를 모두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대학 학제에 이러한 교수 방법을 배합하여 3학년에서 4학년으로 변화하는 기제로 삼아, 대학은 한자 교육의 단원 속에 더 많은 문화 요소를 융합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문화적 요소를 더욱 침투하게 하는 가운데, 더욱 정확하게 한자 를 파악하고, 한자를 학습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나아가 학생들이 본국의 문화를 더욱 사랑하는 정서를 배양하게 할 수 있다. 본문은 필자가 교육을 시행하면서 기획한 한자 학습 단원을 예로 들어, 한자 학 습 과정 중 문화 요소를 융합시킬 필요성과 함께 기대되는 학습 효과를 설명하고 자 한다.
LC-DAD-ESI/MS를 이용하여 국내 자색벼 품종에 대해 개별 안토시아닌 조성 및 함량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색벼 품종에서 분리된 모든 개별 안토시아닌의 화학구조는 MS fragment 패턴을 확인하여 cyanidin을 base로 한 unknown 화합물 1종을 포함, cyanidin 3,5-diglucoside, cyanidin 3-glucoside, peonidin 3-glucoside의 총 4가지 개별성분이 분리 및 동정되었다.
2. Cyanidin 3-glucoside 및 peonidin 3-glucoside이 주요성분으로 cyanidin 3-glucoside의 경우 90% 이상의 가장 높은 함량 비중을 나타냈으며, 개별성분별 평균 함량은 cyanidin 3-glucoside > peonidin 3-glucoside > cyanidin 3,5-diglucoside > unknown(cyanidin based)의 순으로 나타났다.
3. 흑진주벼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408 mg/100 g으로 흑남벼보다 약 6배 정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od and dietary educational content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on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The research objects consisted of 51 kinds of textbooks (15 kinds of primary school textbooks, 29 kind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7 kind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e contents related to food and dietary education were counted and analyzed. The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wo categories: application method and subject matter. Application method included texts, cases, visual aids (pictures, photos, illustrations, chart, etc.) and activities, whereas subject matter consisted of seven types (well balanced nutrition and health, understanding of food and nutrition, cooking principles, cooking lessons, traditional foods and culture, others).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method in primary school textbooks show that visual aids were the most common in all six grades. For the subject matter, 'understanding of food and nutrition' was most abundant in primary school textbooks while 'well balanced nutrition and health' accounted for a large part of the contents in middle school textbooks. However, the contents regarding traditional foods and culture were insufficient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al contents on traditional foods and culture should be added to prim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and covered in various subjects. Furthermore, high school 'home economics' contents need to emphasize comprehensive food and dietary education and adjust to 'science & technology for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과학 기본과정 지구과학영역의 자율학습용 콘텐츠에 대하여 분석 및 평가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8)의 '초 중등교육 e-러닝 품질관리 가이드라인(Ver.2.0)'에서 제시한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 품질관리도구'를 적용하였다. 콘텐츠 분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안내는 학생들이 한 차시에 학습하게 될 내용들을 간략히 소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수학습에서는 진단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본 학습에서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콘텐츠를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었고, 본 학습 시간은 15분 내외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평가에서는 학습자가 오답에 대한 피드백은 이루어지지 않고, 틀린 문항 수만 제시되어 있었다. 그리고 학습정리는 그 차시에 배운 중요한 내용에 대해서는 다시 요약 정리하여 제시하고 있다. 콘텐츠 평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구분석, 교수학습전략,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각 차시마다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윤리성에 대한 평가는 적합하지 못한 단어나 문장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의 평가는 콘텐츠 내의 저작물에 대한 국제저작권표시방법을 준수하여 표시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수설계의 평가는 단순 그림 위주의 설명을 제시하였고, 플래시 등의 시각자료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원체계의 평가에서는 학습자가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콘텐츠 학습 중 학습자가 메모할 수 있는 메모기능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평가에 대한 평가는 서술 내용에 대한 명확한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았다. 따라서 각각의 차시마다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습내용의 평가분석은 수정 보완하지 않은 탓에 최신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각 차시마다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영화, 텔레비전, 만화, 잡지, 광고 등 각 분야에서 이루어졌던 미디어 폭력물 연구를 이용자 제작콘텐츠로 확장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여러 형태의 이용자 제작콘텐츠 중 제작과 유포가 용의하고 누구나 여러 인터넷 게시판을 통해 쉽게 접근이 가능한 웹툰을 중심으로 하여, 폭력물 연구의 초석을 다지고자 내용분석을 통해 폭력성의 수위를 객관적으로 점검해보았다. 웹툰의 경우 포털사이트에서 고료를 지급받는 전문적 작가진에 의해 서비스되는 웹툰과 다양한 커뮤니티 게시판 등에서 일반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제작하고 유포하는 웹툰이 구분될 수 있어, 제작 주체 간 웹툰의 폭력성에 차이가 보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분석은 영화와 텔레비전 폭력물의 내용분석에서 사용된 PAT단위 분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분석결과, 폭력적 행위가 묘사된 웹툰은 표집 대상의 60%정도로 나타났다. 한편, 폭력 연구에서 최근 주목 받기 시작한 언어적 폭력이 웹툰에서는 물리적 폭력만큼이나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웹툰의 폭력성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텔레비전의 폭력성을 연구한 기존의 연구에 비추어보아, 그 심각성이 간과할 수 없는 수준임이 밝혀졌다. 제작주체별로 웹툰의 폭력성 빈도와 강도, 맥락적 요인에서 차이점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시각자료는 과학교과서의 주된 구성 요소이며, 학습자에게 과학적 개념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매개체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분야에 사용된 시각자료의 유형과 기능 및 구조를 분석하였다. 시각자료 유형에서는 사진과 삽화의 비율이 그래프와 표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시각자료의 기능에서는 예시적 기능과 보충적 기능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장식적 기능, 설명적 기능, 탐구적 기능의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시각자료의 구조에서는 단독의 비율이 다중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한 다중 구조에서 짝은 주로 대비에, 연속은 주로 순서를 표상하는데 사용되고 있었다. 시각자료의 유형, 기능, 구조 모두 교과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 과학에서 시각자료의 교육학적 의의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지구과학 분야에서 시각자료의 기능과 구조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를 제안하였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33종류의 식용유지를 대상으로 하여 benzo[a]pyrene의 함량을 모니터링한 결과 압착올리브유 0.5-1.4 μg/kg, 혼합올리브유 0.6-1.0 μg/kg, 참기름 0.9-1.3 μg/kg, 대두유 0.6-3.3 μg/kg, 옥수수유 0.5-1.1 μg/kg, 해바라기유 1.2, 1.7 μg/kg, 홍화유 1.0, 2.1 μg/kg, 유지가공품 1.0, 1.4 μg/k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대부분의 시료에는 benzo[a]pyrene 기준치인 2.0 μg/kg를 초과하지 않았지만, 미국산 대두유와 미국산 홍화유에서 각각 3.3 μg/kg, 2.1 μg/kg로 두 종류에서 기준치 이상 검출되었다. Benzo[a]pyrene은 식용유지로 제조되기 이전에 원재료가 오염되었거나, 가공공정, 환경으로부터 노출되는 등 노출경로는 다양하다. 정제과정인 deodorizing 과정이나, bleaching 과정에 의해서 benzo[a]pyrene의 함량이 감소되며, 압착올리브유와 혼합올리브유의 실험결과에서 정제올리브유가 혼합되어 있는 혼합올리브유의 benzo[a]pyrene의 함량이 낮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Benzo[a]pyrene의 함량은 연기성분에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원재료를 건조시키거나, 볶는 과정에서 밀폐된 상태로 진행하는 것보다 개방된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benzo[a]pyrene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교과교육학지식(PCK)은 과학 교사의 전문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인식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주제-특정적 PCK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교사들의 PCK를 명시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분석틀을 개발 및 적용하여 예비 및 현직 지구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동일 주제에 대한 PCK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서로 다른 2개 주제에 대한 PCK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각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 주제에 대한 예비 교사와 현직 지구과학 교사의 PCK는 구성 요소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서로 다른 주제에 대한 PCK의 변화는 경향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구성 요소 및 교사에 따라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PCK의 주제-특정성을 확인하였으며, 과학 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및 평가에 PCK분석틀 및 프로파일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th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and biogenic amines(BA) content in Korea traditional soybean paste and commercial soybean paste. The results of microbiological anaylsis through Korean traditional soybean pastes(L1~L4) were 7.8 ± 0.1 log CFU/g ~ 7.9 ± 0.1 log CFU/g, commercial soybean pastes(H1~H6) were 6.2 ± 0.1 log CFU/g ~ 7.4 ± 0.1 log CFU/g for APC (Aerobic Plate Count), and L1~L4, H5, H6 soybean pastes were 2.3 ± 0.4 log CFU/g ~ 2.6 ± 0.1 log CFU/g for Bacillus cereus. But other microorganism was not dectected. Among biogenic amines, PUT(putrescine), TYR(tyramine), HIS(histamine), PHE(2-Phenylethylamine) were dectected high level and CAD(cadaverine), TRY(tryptamine), AGM(agmatine) were dectected medium level and SPD(spermidine), SPM(spermine), NOR(noradrenaline), SER(serotonin) were dectected low level. Dectected contents of biogenic amines were higher in commercial soybean past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soybean paste.
We measured the non-carbon content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CNTs) in SWCNT soot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 The weight increased percentage by the oxidation of metal in the raw soot is well obtained by TGA graph which was confirmed with ICP-AES, XRD, and XPS. This work will be very useful for the purity precise evaluation of SWCNT with UN-vis-NIR spectrosco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