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7

        82.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양1호’는 1999년 내병 다수성인 ‘풍산나물콩’을 모본으로, ‘수원187호’를 부본으로 하여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한 품종이다. 유한신육형이며 꽃은 자색이고 잎은 피침형이며 모용은 회색이다. 종자의 종피와 배꼽은 황색이며 성숙한 꼬투리는 잘 터지지 않는다. 개화와 성숙이 빠르며 평균 성숙기는 9월 27일로 ‘풍산나물콩’보다 10일 빠르다. 경장은 51 cm로 다소 작으며 도복에 강하고, 불마름병과 뿌리썩음병, 성숙기 탈립에 강하다. 바이러스 접종시 괴저가 발생하나 포장에서는 강하며 종자병해는 ‘풍산나물콩’과 비슷하다. 종실 100립중은 11.6 g이며 발아율이 높고 경실종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풍산나물콩’에 비해 콩나물 수율이 11% 높다. 종실 수량성은 전국 4개소에서 3년간 시험한 결과, 3.03MT/ha로 ‘풍산나물콩’보다 3% 증수하였다.
        83.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다소비 되는 십자화과 새싹채소 7종(콜라비, 적무, 브로콜리, 배추, 유채, 무순 및 다채)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내 ROS 생성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페놀함량은 콜라비 새싹과 무순 추출물이 23.97±0.46 mg TAE/g 및 24.40±1.24 mg TAE/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무순 추출물이 15.30±1.35 mg CE/g으로 다른 새싹채소 추출물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ORAC value를 측정한 결과, 콜라비가 DPPH radical 소거능(IC50=1.95 mg/mL)과 ORAC value(79,032.5 μM TE/g)에서 모두 항산화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채를 제외한 새싹채소 추출물 6종 모두에서 세포 내 ROS 생성량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십자화과 새싹채소 중 콜라비 새싹과 무순 추출물의 경우 항산화활성 및 지방세포 내 ROS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지며, 천연물 유래 항산화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84.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환경 친화적인 새싹채소류의 고품질화를 위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살균기술을 개발할 목적으로 국내산 적무 종자의 다양한 열처리 방법에 따른 발아율과 미생물 저감효과를 조사하였다. 열수처리는 60, 65, 70, 75, 80, 90℃에서 각각 30, 60초간 실시하였고, 건열처리는 70, 80, 90, 100℃에서 5분간 실시하였다. 열수 처리에 따른 미생물의 제어효과는 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온도변화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01). 70℃ 이상의 온도에서 총세균수는 3 logs 이상의 감소를 보였으며, L. monocytogenes는 검출되지 않았다. 건열처리는 온도변화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01). 100℃에서 5분간 처리한 후 총세균과 L.monocytogenes 수는 3 logs 이하 감소하였다. 열수처리에 따른 발아율의 변화는 처리 전과 후 모두 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75℃ 이상의 온도에서 온도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한편, 열수처리 후 침지시킨 종자에서 발아가 더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열처리에 따른 발아율은 80℃ 이상의 온도에서 온도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건열처리한 후 증류수에 3시간 침지시킨 종자의 발아율은 90℃ 이상의 온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적절한 열처리는 75℃, 30분 이상의 열수처리하는 방법으로, 적무 새싹채소의 종자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증가시킴과동시에발아율을증가시키는것으로판단된다.
        89.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흑’은 나물콩 특성이 우수한 고품질 내재해 다수성 신품종육성을 목표로 ‘다원콩’과 ‘진주1호’의 F1에 ‘진주1호’를 다시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YS1318B-2B-3-3-3-4-1계통으로 계통명은 익산63호이다.유한신육형으로 꽃색은 자색이고 잎의 모양은 난형이며 종피색과 제색은 흑색이며, 성숙기가 지나도 협개열에 강하다. 성숙기는 10월 4일로 ‘다원콩’보다 10일이 늦은 만숙종으로 경장이 다소 길고, 꼬투리수가 많으며, 종자 100립의 무게는 8.8 g으로 ‘다원콩’보다 작은 소립이다. 바이러스 접종시 모자이크를 보이나 포장에서는 강하며 불마름병은 ‘다원콩’보다 강한 중도저항성을 보였다. 종실의 조단백과 조지방함량은 ‘다원콩’과 비슷하며, 콩나물의 아스파라긴산 함량은 낮았으나 이소플라본 함량이 ‘다원콩’의 2배 이고, GABA 함량이 높은 고기능성 품종이다. 콩나물재배시 경실과 비정상발아율이 낮고 발아율과 배축신장성이 좋으며 수율이 풍산나물콩에 비해 20% 높았다. 수량성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전국 6개소 평균수량은 ha당 2.34톤으로서 ‘다원콩’보다 128% 증수하였다.
        90.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response of 22 soybean cultivar sprouts to flooding stress was investigated. After sprouts were subjected to flooding stress for 10 days at the V4-V5 growth stages, their dry weights were compared. All plants were kept in a greenhouse under natural light conditions, an average daytime temperature of 35.6 ± 5.3℃ and an average nighttime temperature of 18.2±1.7°C. Soybeans were grown in a concrete bed filled with silt loam soil. Subjecting plants to flooding stress resulted in a large reduction in plant dry weight, plant height, number of nodes, and number of leaves. Cultivars differed significantly in their responses to flooding stress, as indicated by these characteristics (p<0.05). Soybean cultiva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degree of flood tolerance: strong, moderate, and weak. Hannamkong, Namhaekong, Sobaegnamulkong, and Sorogkong had strong tolerance for flood conditions. Tawonkong, Pureunkong, Eunhakong, Myeongjunamulkong, Doremikong, Saebyeolkong, Paldokong, Sowonkong, Pungsannamulkong, Dagikong, Dachaekong, and Anpyeongkong had weak tolerance for flood conditions.
        91.
        2013.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valuate peanut sprouts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ybean yoghurt with different percentages (0.5, 1.0, 2.0, and 3.0%) of peanut sprout powder (PSP) contents were investigated. The pH of soybean yogurt with PSP decreased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during fermentation, whereas the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Hunter L value (lightness) decreased while the b value (yellowness) and a value (redness) increased as the PSP concentration in soybean yogurt increased. Prior to fermentation, the sugar content of the soybean yogurt increased as the PSP level increased, but the contents decreased as fermentation progressed. Meanwhile, the viscosity of the soybean yogurt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nd the lactic acid bacteria popul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sensory properties, including the flavor, col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soybean yogurt containing 0.5 and 1% PSP,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tested yoghurts (with 0, 2.0, and 3.0% PSP content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oybean yogurt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PSP concentrations of over 1.0%.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PSP has beneficial effects on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soybean yogurt, and that the addition of 1.0% PSP is the most suitable for manufacturing soybean yogurt.
        92.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β -carotene concentrations was determined in soybean cultivar according to seed size, usage, seed coat color and cotyledon color as well as the process of seed germination. The total average concentration of β -carotene was 6.6~mug/g in soybean seed, 33.3~mug/g in soybean sprout. According to seed size, the total β -carotene concentration of soybean was 6.9~mug/g in large soybean seed, 6.7~mug/g in medium soybean seed, and 6.31~mug/g in small soybean seed. In soybean sprout, the total β -carotene concentration was 21.4~mug/g in large soybean sprout, 30.5~mug/g in medium soybean sprout, and 43.5~mug/g in small soybean sprout.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seed, the total β -carotene concentration of soybean seed was 7.2~mug/g in cooked with rice soybean seed, 6.1~mug/g in paste and curd soybean seed, and 6.3~mug/g in sprout soybean seed. In soybean sprout, the total β -carotene concentration was 25.9~mug/g in cooked with rice soybean sprout, 32.4~mug/g in paste and curd soybean sprout, and 41.9~mug/g in sprout soybean sprout. When comparison with seed coat color, the total β -carotene concentration of soybean with brown seed coat (8.8~mug/g ) was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soybean with yellow (6.1~mug/g ). In soybean sprout, the total β -carotene concentration was 21.8~mug/g in black seed coat sprout, 38.7~mug/g in brown seed coat sprout, 34.1~mug/g in green seed coat sprout, 39.5~mug/g in yellow seed coat sprout, and 30.5~mug/g in mottle seed coat spr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β -carotene.
        93.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땅콩의 새로운 수요개발을 위해 국내 육성품종 37종에 대한 땅콩 싹나물 비교시험을 통하여 싹나물에 적합한 우량품종을 선발하고 생육형질 상호간의 관계를 조사여 싹나물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시험에 이용한 각 품종의 100립중은 조광 56 g에서 호광 142 g까지 넓게 분포하였다. 전체품종의 하배축길이는 팔광 4.3 cm에서 대신 5.8 cm 분포하고 평균 5.1 cm였으며 하배축의 직경은 평균 6.9 mm 미광 5.0 mm에서 대청 8.0mm까지 걸쳐 분포하였다. 뿌리길이는 대청 11.1 cm에서 미광 20.6 mm에 분포하였으며 평균 14.6 cm이였다. 상배축의 길이는 평균 1.8 cm로서 대풍 0.8 cm에서 미광 4.6 cm에 걸쳐 분포하였다. 미광은 하배축이 가늘고 짧으며, 상배축과 뿌리가 가장 길었고 기능성 성분 resveratrol 함량(88.2ug/g )도 높았다. 중소립종 조광은 하배축의 길이(5.0 cm)가 짧은 편이나 하배축 직경(7.8 mm)은 통통하고 싹나물의 크기가 균일하며 수율은 820%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깨끗한 외관 품질을 가져 땅콩 싹나물로 적합한 특성을 가졌다. 땅콩 싹나물 형질 상호간의 상관관계에서 땅콩 종자의 100립중은 싹나물의 resveratrol함량, 성묘율, 수율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묘중, 곡묘 하배축 개열성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싹나물 뿌리 길이는 상배축의 길이, resveratrol 함량, 수율과는 정의 관계를 나타내고 하배축 직경과 개열성과는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95.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생력재배로 일시수확 및 관행재배로 생산한 녹두의 품질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력재배는 7월 23일에 파종하여 10월 28일 일시에 수확하였고, 관행재배는 6월 13일에 파종하여 8월 중순부터 3차례 손으로 수확하였다. 1. 종실의 전분, 조단백질, vitexin 및 isovitexin 함량은 재배방식과 수확기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 종실의 조지방 함량은 생력재배, 관행재배 3차, 2차, 1차 수확한 종실 순으로 많았다. 2. 종실의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는 재배방식 및 수확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 종류는 관행재배로 2차 수확한 종실에서 17종으로 가장 많았고, 관행재배 3차나 생력재배로 일시에 수확한 종실은 12종으로 가장 적었다. 주요 포화지방산 중에서 palmitic acid와 arachidic acid는 관행재배 1차, 2차, 3차 및 생력재배 수확 순으로 높은 비율인 반면 stearic acid는 반대의 경향이었다. 주요 불포화지방산 중에서 linoleic acid는 관행재배 1차, 2차, 3차 수확 및 생력재배 순으로 조성 비율이 높았다. 3. 종실의 아밀로그램 특성은 재배방식 및 수확기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다. 관행재배로 1차에 수확한 종실은 호화개시온도, 최고점도, 최종점도, 최저점도 및 강하점도가, 관행재배 3차에 수확한 종실은 치반점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생력재배로 수확된 종실은 모든 아밀로그램 측정값이 현저하게 낮았다. 4. 녹두나물을 생산하고 나물의 수율과 색도 및 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생력재배로 생산한 녹두는 나물의 생산수율이 낮으나 색도와 아미노산 함량은 관행재배로 수확한 종실을 이용하여 생산한 나물과 비슷하였다.
        96.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나물용 녹두 신품종 '주현'은 금성녹두와 VC1834-4-B-2-B-3B-B를 인공교배하여 2009년에 육성되었다. '주현'의 생육습성은 직립, 잎 모양은 심장형, 백축색은 녹색, 성숙기에 꼬투리는 검고 곧으며, 종피는 광택이 없는 녹색이다. 개체당 협수는 26개로 표준품종인 '어울녹두'보다 8개 많고, 녹두나물 수율은 표준품종보다 18% 많다. '주현'은 바이러스,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및 도복에 대한 포장저항성은 강하고, 평균수량은 1.84 MT/h
        97.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ptortus clavatus, one of the many insects in major crops, damages pods and seeds, which reduces seed vigor and viability in soybea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versely damaged seeds by R. clavatu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an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of damaged seed with quality and yield of soybean sprouts. All seeds damaged by R. clavatus significantly (P<0.05) reduced seed vigor as measured by the rates of seed germination, germination speed, and seedling emergence. Mean seed germination rate of non-damaged seeds in sprout-soybean varieties was 97.8%, whereas the rates of seeds damaged at different levels, 31-50% and 51-80%, were 23.0 and 5.4%, respectively. The rates of seedling rot and abnormal, incomplete germination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s the amount of seeds damaged by R. clavatus increased to 5, 10 and 15% against the total seeds for sprout production. Yield of soybean sprouts from seeds damaged at different levels decreased up to 13% as compared to that in normal seeds. In customer preferences on soybean sprout produce, 84% of customers participated in survey preferred to purchase sprouts from seeds with 5% of damaged seeds, but sprouts produced from seeds with 15% of damaged seeds were intended to purchase only by 22% of the customers. Areas of the seed damaged by R. clavatus were readily infected by pathogens as the seed germinated, resulted in deteriorated quality and reduced yield of sprout produce.
        98.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raw Sesamum indicum seeds (cv. Kopum and cv. Mihuk) and their sprouts germinated for 7 days.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of sprouts (29.34±3.3 mg/g DW)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aw seeds (6.85±0.39 mg/g DW). All individual free amino acid, including asparagine, alanin, arginine, and leicin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esame sprout. And also germinated sprou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otal phenolic contents (2.2±0.3 mg GAE/g) that resulted in the increased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Subsequently, two varieties of sesame and its sprouts were analyzed for their phenolic constituent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atechin, sinapic acid and salicylic acid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phenolic acid presented in sesame sprout. However, the major biological constituents sesamin and sesamolin conten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germination.
        9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elect cultivar suitable for peanut sprout from general Korean peanut cultivars developed already. On sprouting peanut, it rapidly increase the content of trans-resveratrol that has effects on anti-cancer, anti-inflammatory, blood-sugar-lowering and other beneficial cardiovascular in mouse. For this experiment we tested peanut sprout characteristics on 37 cultivars cultivated for 7 days at 26℃ temperature. The characteristics among cultivars showed the variations as follow: The range of 100 grain weight is 56 to 142, hypocotyl length 4.3 cm to 5.8 cm, diameter of hypocotyl 5.0 to 8.0 mm, epicotyl 0.8 cm to 4.6 cm, seedling ratio per seed number 84 % to 100 %, weight per seedling 4.9 g to 8.4 g, the rate of hypocotyl cleavage 0 % to 46 %, the content of trans-resveratrol 22.5 ㎍/g to 88.2 ㎍/g and sprout yield 360 % to 820%. We considered the selecting points as high sprout yield, high seedling rate, high resveratrol content, high low brownish cotyledon, no hypocotyl cleavage, and fat hypocotyl etc. Fortunately, the best cultivar "Jokwang" was selected on these conditions with 7.8 mm diameter, clean cotyledon color, 100 % seedling rate, 0 % hypocotyl cleavage, 63.3 ㎍/g resveratrol, and 820 % sprouting yield. This cultivar may use as new food and nutraceutical material.
        100.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황"은 양질 내재해 다수성 나물콩 신품종 육성을 목표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나물콩 품종으로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황"의 신육형은 유한형, 꽂색은 자색, 엽형은 피침형이며 모용색은 회색이며, 성숙기 꼬투리색은 담갈색이고, 종피색 및 배꼽색은 황색이며, 립형은 구형으로, 꼬투리는 성숙 후에도 잘 터지지 않는다. 2. "소황"의 성숙기는 9월 29일로 대비품종인 풍산나물콩 보다 10일 빠른 중생종이며, 100립중은 8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