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7

        122.
        1992.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asma 용사된 단열피복에 내재하는 기공의 크기, 형상 및 분포는 피복층 자체의 물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용사변수에 따라 조사하였다. MgO 안정화 지르코니아 피복시 도입되는 기공은 미세기공 외에 각각 생성기구가 다른 조대한 기공 즉 구형과 불규칙한 기공, 그리고 crack으로 구성되었다. 용사거리에 따라 기공의 생성과정과 특성이 변하였으며 Plasma 전류 및 가스 유량의 증가에 의해서 기공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lasma 가스가 N2인 경우가 Ar보다 더 높은기공도를 보였고 전체적으로 단열피복의 기공도는 10~18%였다. Scratch test로 측정된 단열피복층의 상대적인 경도는 기공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4,000원
        123.
        198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육후기(生育後期)의 환경조건(環境條件)에서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이 수수류(類)의 광합성(光合成), 증산(蒸散), 기공저항(氣孔抵抗)의 일변화(日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비교(比較)할 일적(日的)으로 1985년도(年度)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의 포장(圃場)에서 대형(大型) 콘크리트 폿트에 토양수분(土壤水分)을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의 100, 80, 60 및 40%가 유지되도록 조절(調節)하고 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교잡종(交雜
        4,000원
        124.
        198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수류의 광합성(光合成), 증산(蒸散), 기공저항(氣孔抵抗)과 건물수량(乾物收量)에미치는 토괴수분(土壞水分)의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수수(Pioneer 931),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交雜種)(Pioneer 988)을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의 100, 80, 60, 40%로 조절(調節)된 대형콘크리트 폿트(길이 14m, 폭 1m, 깊이 1m)에 생육(生育) 시킨후 쾌청한 날을 택(擇)하여 초여름인 6월(月)20일(日), 6월(月
        4,000원
        125.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활용되는 재료로써 다양한 환경조건에 노출된다. 특히 물과 같은 매체를 통해 콘크리트에 유해한 인자가 유입되므로 많은 피해를 야기 시킨다. 이에 콘크리트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재료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중에 실란과 실록산 화합물은 흡수방지제로 활용도가 높은 재료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노후화되거나 열화된 콘크리트에 처리할 경우 기재 자체가 약해 쉽게 박리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실록산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활용해 콘크리트에 흡수방지제 효과와 동시에 표면강화 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기공률 및 표면경도 특성을 연구하였다.
        126.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시멘트는 알칼리활성화 시멘트 연구의 일환으로서 시멘트 조성에서 알칼리자극제, 고로슬래그와 레드머드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포틀랜트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클링커 프리 시멘트(Clinker Free Cement)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포틀 랜트 시멘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고분자 유기화합물인 재유화형 분말 폴리머를 혼입한 알칼리활성화 슬래그 시멘트에 레드머드의 대체율을 달리하여 강도특성, 기공특성 등을 기존 포틀랜트 시멘트와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활성화 시멘트에 레드머드를 대체할 경우 C-S-H 광물상과 에트린가이트가 주요 수화생성물로 포틀랜트 시멘트와 비교하여 조직이 치밀하고 대체율 10%까지는 압축강도 및 휨강도가 증가하 였다.
        127.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정질 실리카겔은 Si와 O로 이루어진 가장 간단한 화합물로서, 표면에 다양한 구조의 물과 수산기, 그리고 합성과정에서 형성된 유기 리간드(ligand)를 함유하고 있어, 지권, 수권, 그리고 생물권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모델 시스템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17O NMR 분광분석을 통해 비정질 실리카겔의 Si-O-Si와 Si-OH 산소 원자환경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iCl4의 수화반응을 통해 17O이 집적된 비정질 실리카겔을 합성하였다. 1H과 29Si NMR 분광분석 결과, 비정질 실리카겔 표면에는 다양한 수소결합 세기를 가진 물과 수산기 이외에, Si-O·sR 형태의 유기 리간드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유기 리간드는 에탄올 또는 증류수를 이용해 비정질 실리카겔을 초음파 세척함으로써 상당부분 제거 가능하다. 17O NMR 분광분석 결과, 짧은 펄스 길이(0.175μs)를 이용한 17O NMR 스펙트럼에서 Si-O-Si와 Si-OH 산소원자 환경이 거의 구분되지 않고 나타나는 반면, 특정 실험조건(2μs 펄스길이)의 17O NMR 스펙트럼에서는 약 0 ppm에서 빠른 동역학적 특성을 가지는 Si-OH로 추정되는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 피크는 비정질 실리카겔 표면의 유기 리간드가 제거됨에 따라 더 뚜렷하게 관찰되며, 이는 유기 리간드와 비정질 실리카의 산소원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존재함을 지시한다. 이와 같은 상호작용은 비정질 실리카겔 표면의 수산기의 원자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규산염 지구물질의 탈수반응 기작에 대한 이해를 고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지구물질의 탈수반응에 기인하여 일어나는 섭입대의 중간깊이(약 70~300 km)에서 일어나는 지진의 미시적인 원인에 대한 실마리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128.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study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etone vapor and toluene vapor from adsorption tower in the VOCs recovery device. The six kinds of activated carbon with different pore structures were used and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ccording to pore structure, desorption temperature, and adsorption method, respectively. Adsorption capacity of acetone vapor and toluene vapor by batch method was higher than that by dynamic method. Especially, activated carbon with medium-sized or large pores had more difference in adsorption capacity according to adsorption methods as a result of gradually condensation of vapors on relatively mesopore and large pores. Activated carbons with relatively large pores and relatively small saturated adsorption capacity had excellent desorption ability.
        129.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라산 동·서사면의 해발고도에 따른 좀꽝꽝나무의 잎의 기공수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한라산국립공원의 동·서사면에 분포하고 있는 좀꽝꽝나무 자생지역을 중심으로 해발고도 500~1,600m까지를 2009년 11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동·서사면의 해발고도에 따른 좀꽝꽝나무의 잎의 기공수는 해발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기온은 고도가 높을수록 기온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지만 지형의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겨울철 적설과 여름철 강수에 의하여 상대습도가 지역적인 차이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해발고도에 따른 잎의 기공수와는 달리 동·서사면에 따라서 잎의 기공수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서사면의 평균기공수는 동사면보다 서사면이 많았다. 동사면의 경우 해발고도에 따른 분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서사면은 크게 3개집단으로 나누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해발 1,200m부터 증가하였으며, 1,200m 이하에서는 기공수의 기복이 동사면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해발 1,200m 이하에서 동·서사면의 상대습도와 같은 경향을 보이고 있어 강우나 적설 등이 잎의 기공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130.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tudy about the Effect of the Kwang-Dong Qi-Gong Therapy in Bariatr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practice of Qi-Gong shows in controlling obese that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adult diseas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chose some overweight or obese subjects over 17 years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and gave 4 weeks of twelve treatments to one group with Kwang-Dong Qi-Gong therapy developed by Hong Seong-Gyun in Kwang-Dong, and did not give any treatment to another group. And the effects were evaluated by comparative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s, the researchers measured the height, weight, body fat, BMI(Body Mass Index), hip size, etc. of two groups of them. And the health condition and eating habits of each persons of the two groups were examined before the experiment, and the difference of eating habits between the two groups was investigated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and the effects of the therapy that the treated group felt is investigated with an questionnaire sheet after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experiment 1.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about the effect of Kwang-Dong Qi-Gong therapy treated to control overweight or obese shows that: a) The height, body weight, BMI, body fat index, chest size did not make an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 The measurements of hip, waist, forearms, thighs, calves, and ankles made meaningful differences. 2.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the eating habits of the two groups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the frequency of dining together. 3. The effect of Kwang-Dong Qi-Gong therapy for the group that was given 12 treatments shows that: a) Regarding the change of their defecation, 81% of the subjects in the treated group said 'Yes' and 19% said 'No', that is most of subjects answered positively. b) Before the experiment, three subjects of the treated group had been taking medicine, but after the practice of Kwang-Dong Qi-Gong therapy, they appeared to stop taking medicine. c) 87% of subjects in the treated group said that they 'feel well' after he practice, 13% said that they 'did not feel well', that is most of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Kwang-Dong Qi-Gong therapy. d) 81% of subjects in the treated group replied that they 'feel peaceful in mind' after the practice, 19% replied that they 'did not feel peaceful in mind.'
        134.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트레스 반응을 측정하는 스트레스 반응 척도 설문지(Symptoms of Stress: SOS)를 이용한 횡단적 연구로서 심신수련의 하나인 기수련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72명의 건강한 정상인과 180명의 기수련자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였으며, 기수련자들은 수련기간에 따라 초급군(1-4개월; 64명), 중급군(5-12개월; 50명), 고급군(1년 이상; 66명)로 나누었다. 실험결과 1년 이상 수련한 기수련자들이 말초혈관 증상군, 심폐 증상군, 중추신경계 증상군, 위장계증상군, 습관적 행동 형태군, 우울 증상군, 불안증상군등의 스트레스 반응 하위척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전체 스트레스 값은 대조군에 비해 기수련자 집단이 아주 낮았으며 수련기간이 길수록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수련이 스트레스 중재와 스트레스 증상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136.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물질 연입필름 2종류(15%의 SiO 계 LDPE, 10%의 zeolite계 LDPE와 기공필름 및 LDPE필름(두께 30)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MAP효과를 조사하고자, 표고버섯을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포장한 다음 2와 5에 저장하면서 중량감소율, 표면색과 상품성 지수를 조사하였다. 표고버섯의 MAP시 중량감소율과 상품성에 미치는 포장방법의 영향은 표고버섯의 높은 생리특성으로 인하여 2에서는 인식할 수 없었으나 표면색의 경우는 5의 저온보다는
        138.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echanism of stomatal closing in response to O_3 was indirectly investigated by using H_2O_2 which is the intermediate product of O_3 metabolites. Stomata in epidermal strips close in response to H_2O_2. The effect of H_2O_2 on stomatal closing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H_2O_2. 10 ppm H_2O_2 showed a clear effect on stomatal closing and 1000 ppm H_2O_2 induced complete stomatal closing after the treatment of 3 hours. Stomatal closing by H_2O_2 in intact leaf was also observed by measuring the diffusion resistance with porometer. It was found that the stomatal closing by H_2O_2 was not mediated by Ca^2+, and that was a different result observed in stomatal closing by water stress. Reversely, Ca^2+, showed a great inhibition on stomatal closing. The leakage of K^+ in epidermal strips was doubled in response to H_2O_2 when it was campared to the control. 10 ppm H_2O_2 decreased photosynthetic activity. Fv/Fm representing the activity of Photosystem Ⅱ was reduced about 4 % in 10 ppm H_20_2 and 8 % in 100 ppm H_2O_2 in the treatment of 1.5 hour. However, stomatal closing by 10 ppm H_2O_2 was reduced about 56 %. Accordingly, it can be suggetsted that stomatal closing by H_2O_2 is related with the decrease of photosynthetic activity, but it was chiefly induced by the change of the membrane permeability.
        139.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本) 연구(硏究)는 고추냉이의 밭재배에 있어서 관개계획(灌漑計劃)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단수처리(斷水處理)동안 기공전도도(氣孔傳導度)와 광합성(光合成), 그리고 토양수분포텐셜을 조사하였다. 1. 고추냉이의 기공전도도(氣孔傳導度)는 광도(光度) 1000μEm-2s-1에서 70mmolem-2s-1로 배추의 138mmolem-2s-1보다 약 49%가 낮았으며, 낮동안 일시적인 광도(光度)의 변화에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고추냉이의 기공전도도(氣孔傳導度)가 감소(減少)하는 토양수분포텐셜은 오전(午前) 10시(時)에는 약 -50kPa, 오후(午後) 3시(時)에는 약 -30kPa로 오전(午前)보다 오후(午後)에 높았다. 3. 고추냉이의 광합성(光合成)은 광도(光度) 1000 μEm-2s-1에서 7.6mgdm-2hr-1으로 배추의 15.3mgdm-2hr-1보다 약 50%가 낮았으며 광합성(光合成)이 안정되기 까지의 시간은 배추보다 고추냉이가 더 낮았다. 4. 고추냉이의 광합성(光合成)이 감소(減少)되 는 토양수분포텐셜은 오전(午前) 10시(時)에는 약 -50kPa, 오후(午後) 3시(時)에는 약 -30kPa로 오전(午前)보다 오후(午後)에 높았으며 토양수분포텐셜에 따른 광합성(光合成)과 기공전도도(氣孔傳導度)와의 상관관계는 고도의 유의성 (r=0.955)이 인정되었다. 5. 고추냉이의 관개시기(灌漑時期)는 낮동안의 기공타도도(氣孔惰導度)와 광합성(光合成)이 감소(減少)되지 않는 토양수분포텐셜 -30kPa 이상일 때가 바람직하다.
        140.
        199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등숙기간중 벼의 탄소동화율과 기공전도도 그리고 수용성 탄수화물농도의 내생리듬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연상태의 광주기 조건에서 재배된 벼를 일정한 환경조건으로 옮긴 다음 지엽을 대상으로 이들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자연상태의 광조건에서 성장한 벼의 탄소동화율은 약 24시간을 1주기로 하여 일정한 진폭으로 변화되었으며, 정오에 최고에 달하고 한밤중에 최저에 이르나 72시간이 경화할 때 쯤 변화의 폭은 점차적으로 줄어 들어 120시에는 최고, 최저에 도달하는 시각이 바뀌어 정오에 최저에 달하고 한밤중에 최고에 이르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반응은 기공전도도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 이들 관계는 매우 밀접함을 보였다. 반면, 개화 후 14일 동안 낮과 밤 모두 일정한 광조건에서 성장한 벼의 탄소동화도율과 기공전도도의 반응은 전자와 같이 주기적인 폭의 변화를 찾아볼 수 없었다. 잎내의 수용성 탄수화물 농도의 변화 또한 탄소동화율과 기공전도도의 변화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에서 탄소동화율과 기공전도도 그리고 수용성 탄수화물의 내생림듬은 작물에 부분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또한 이들은 광주기(photoperiod)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광주기가 탄소동화작용 및 수용성 탄수화물 형성에 중요한 조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