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0

        121.
        201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ute pancreatitis (AP) is an inflammatory disorder and the severity range from mild to severe form. The mortality of severe form of AP is still high despite of tremendous improvement of diagnostic modalities and therapeutic options. Although pathogenesis of AP is still not fully understood, autodigestion theory is regarded as an initial common pathophysiologic mechanism of AP for about 2 centuries. However, it is obscure which mechanisms are involving the disease severity. Upregulation of adhesion molecules, leukocytes,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chemokines are also concerned local injury, systemic exacerbation of inflammation and ultimately organ failure. In addition, transcription factor Nuclear factor-kappa B is also influence the severity through upregulate the proinflammatory genes. The patterns of acinar cell death are closely correlated with disease severity of AP. The degree of acinar cell apoptosis is reversed correlated whereas necrotic cell death is proportionate to severity.
        4,000원
        122.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anch duct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BD-IPMNs) are characterized by cystic dilation of secondary ducts clearly communicating with a normalsized main pancreatic duct and seem to have a less aggressive clinical course than those arising from the main duct. BD-IPMNs are related to pancreatitis but the causal relationship is unclear. We report a case of a 62-year-old woman initially thought to have pseudocysts complicated by idiopathic recurrent pancreatitis but was finally diagnosed with BD-IPMN leading to recurrent acute pancreatitis attacks. The patient had six episodes of acute pancreatitis over 5 years. An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can revealed two cystic lesions of 2.0 and 1.5 cm in the pancreatic body, which appeared at the second episode of acute pancreatitis. Each pancreatitis episode improv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but the cystic lesions increased in size to 2.5 and 3.5 cm during the late follow-up period. A distal pancreatectomy was performed under the diagnosis of recurrent pancreatitis caused by BD-IPMN. The pathological findings revealed BD-IPMN with moderate dysplasia. We herein present a case of BDIPMN mimicking pancreatic pseudocyst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4,000원
        123.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5세 남자환자가 3개월 전부터 지속된 복부 불편감과 식욕 저하로 병원을 방문하였고, 복부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결과 췌장 발육 부전증과 췌장 두부의 종괴, 복막의 비후가 관찰되었다. 자기공명담췌관촬영술과 내시경역행담췌관 조영술에서 주 췌관은 정상이었으나 췌부와 미부의 췌관 및 산토리니관은 관찰되지 않았다. 양전자방출단층촬영에서 복막과 폐의 암전이 소견이 나타났으며, 복수천자에서 얻은 세포검사에서 선암종이 확인되어 타 장기의 전이가 진행된 췌장암을 진단하였다. 이에 저자는 췌장암이 동반된 배측 췌장 발육 부전증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124.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가면역췌장염과 췌장암의 감별진단은 유사한 임상증상 들과 영상검사소견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종종 어렵다. 혈청 IgG4는 자가면역췌장염과 췌장암의 감별에 중요한 인자 이다. 췌장암 환자에서도 약 10%에서는 혈청 IgG4가 상승할 수 있으나, 대부분 정상 상한의 2배 이내이다. 그래서 저자들은 자가면역췌장염과 감별이 어려웠던 혈청 IgG4가 정상 상 한의 6배 이상으로 상승된 췌장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125.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경/목적: 2012년 급성췌장염의 애틀랜타 분류 개정안이 발표되었고 이후 널리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92년 애틀랜타 분류와 2012년 개정안을 이용하여 급성췌장염 환자를 분류한 후 임상경과를 비교하였다.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3년 7월 사이 대구경북지역 6개 대형 병원에 입원한 총 574명의 급성췌장염 환자를 대상으 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2년 애틀랜타 분류와 2012 년 개정안을 이용하여 중등도 평가를 시행하고 인구 통계 자료, 장기부전, 국소합병증, 입원기간, 임상경과 등을 분석하였다.결과: 대상 중 377명(65.7%)이 남성이었다. 연령의 중간값 은 55.4세였다. 급성췌장염의 2대 원인은 음주(238명, 41.5%)와 담석(193명, 33.6%)이었다. 2012년 개정안에 따르 면 경증췌장염은 356명(62%), 중등췌장염은 197명(34.3%), 중증췌장염은 21명(3.7%)이었다. 입원기간은 중증도 증가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여 증가하였다(경증 5.9일, 중 등 8.3일, 중증 13일, p <0.001). 모든 경증 및 중등췌장염 환자는 임상적으로 호전되었다. 하지만, 호전을 보이지 않은 11명은 모두 중증췌장염에 속했다. 결론: 애틀랜타 분류 개정안이 급성췌장염의 임상경과를 예측하는 데 있어 좋은 방법이다.
        4,000원
        126.
        201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advances in the imaging techniques, it is now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iagnose and stage pancreatic cancer. However, there is no uniform definition of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BRPC)” and consensus on this terminology has not been reached yet. Although there has been much progress in the therapeutic strategies for pancreatic cancer, the optimal treatment scheme for BRPC is still under debate.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prospective studies using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re warranted. This article is intended to review the currently available definitions and management of BRPC. Promising novel ablative methods that are used as local treatments for locally advanced pancreatic cancer are also introduced. In the near future, these ablative methods might prove to be invaluable for those with BRPC.
        4,000원
        127.
        201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gnosis of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is exceptionally poor because timely diagnosis in resectable stages is rare and there is no curative treatment for unresectable cases. Numerous researches to overcome these obstacles resulted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small progress. Recently two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ported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5-FU, irinotecan, leucovorin and oxaliplatin or Nab-paclitaxel plus gemcitabine was better survival than gemcitabine monotherapy. Many novel biological agents targeting the pancreatic cancer itself and surrounding micro-environment has been reported to be promising in preclinical investigations and phase 1/2 clinical studies. However, only erlotinib – a small molecular inhibitor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pathway – was approved for the targeted therapy for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In this review, we discuss briefly about recent advances in the combination chemotherapy and the targeted therapy including several complications related with these drugs.
        4,000원
        128.
        201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ncreatic cancer is still one of the most dreadful malignancies with 5-year survival of 5%. The lack of effective diagnostic tools for early detection of pancreatic cancer is the major factor for the poor prognosis of pancreatic cancer. Considering the relatively lower incidence of pancreatic cancer, it seems to be reasonable to find and investigate the high risk group of pancreatic cancer rather than to screen general population. During the last 2 decades, several epidemiologic and genetic high risk groups of pancreatic cancer were found. Especially, western countries including US have been taking care of genetic high risk group and reported several meaningful outcomes. With advances of understanding molecular carcinogenesis and progression of pancreatic cancer, the effort to find specific biomarkers for both detection and treatment of pancreatic cancer has been overwhelmed. Various types of biomarkers including protein, microRNA, exosomes or circulating tumor cells itself have been under investigations. Although there has been no single biomarker which can overcome CA19-9 in serum to date. It will be worthwhile to wait for more potent biomarker which can be used for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ncreatic cancer in near future.
        3,000원
        129.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장의 신경내분비종양은 매우 드문 종양이나 최근 영상 검사가 발전하면서 진단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세로 토닌 분비 신경내분비 종양은 매우 서서히 진행하고 임상 양 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 영상검사에서 폐 쇄 병변 없이 췌관 확장만 7년 동안 서서히 진행하여 췌관내 유두상 점액종양으로 의심하였던 환자에서 세로토닌 분비 신경내분비종양으로 수술 후 뒤 늦게 진단하였기에 이를 보고 하는 바이다.
        4,000원
        130.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발프로산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항간질제로서 약제 유발성 췌장염의 흔한가능한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 러나 발프로산 유발성 췌장염의 유해사례로서발프로산 유 발성 췌장염의 국소 합병증으로서 췌장 가성낭종은 매우 드 물며 주로 소아청소년기에 호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이로 인한 발프로산 유발성 췌장염에 병발된 출혈성 가성낭종 은 보고된 증례가 없을 정도로 드물다. 이에 본 저자들은 발 프로산을 복약한 후 발생한 급성 출혈성 췌장 가성낭종을 경 피적 배액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4,000원
        131.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만성 췌장염은 심한 췌장 실질의 파괴로 인하여 통증, 외분비 및 내분비 기능 장애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만성 췌장염의 임상 양상은 심하고 지속적이며 잘 조절되지 않는 복통과 흡수장애, 당뇨병을 특징으로 한다. 만성 췌장염은 난치성 복통 외에도 원인, 외분비기능, 내분비기능 모두가 일련의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단순하게 복통 만을 조절하려고 하거나 흡수장애 만을 고려한 치료는 또 다른 합병증을 유발 할 수 있다. 반면, 원인, 통증, 외분비기능, 내분비 기능을 모두 고려한 다중 접근은 환자의 증상만이 아 니라 삶의 질을 회복시켜 주고 새로운 삶의 원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4,000원
        132.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ute pancreatitis is an inflammatory disease of the pancreas. Acute abdominal pain is the most common symptom, and increased concentrations of serum amylase and lipase confirm the diagnosis. Pancreatic injury is mild in 80% of patients, who recover without complications. The remaining patients have a severe disease with local and systemic complications. Acute pancreatitis is a hypercatabolic state resulting in rapid loss of body weight, fat and protein. Nutritional support is an integral part of patient care and is started early in the course of disease.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disease (80% of patients) do not require enteral nutrition (EN) or parenteral nutrition(PN), as they will begin oral feeding within 4 days of presentation. Nutritional support is needed for severe disease, EN is preferred over PN, and use PN when EN is contraindicated or not feasible. Most groups have used nasojejunal feeding, which has difficulties in maintenance of the tube position and patency. Nasogastric feeding in severe AP has shown little difference in terms of clinical outcome from nasojejunal feeding. In this review, we review the role, methods,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nutritional supports in acute pancreatitis and also present recently recommended standard guidelines.
        4,000원
        133.
        201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장내 부비장에서 발생하는 유표피 낭종은 매우 드문 양성 질환으로 대부분 건강 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CEA 또는 CA 19-9 등의 혈청 종양 표지자의 상승을 동반하는 췌장의 낭성 종양과 감별이 어려운 질환이다. 저자들은 건강 검진에서 CA19-9의 상승으로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하고, 췌장 미부의 낭성 종양을 진단받은 환자에서 내시경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 및 낭종액 분석을 시행하고 점액성 낭성 종양 의심하에 수술을 시행하였으나, 최종적 으로 췌장내 부비장의 유표피 낭종으로 진단된 증례를 경험 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췌장내 부비장 유표피낭종은 다른 악성화가 가능한 췌장 낭성 종양과 감별이 어려운 질환이지만, 내시경 초음파 검사, 자기공명 영상 등의 추가 검사를 통해 췌장 미부의 부비장을 수술 전에 진단하면, 추후 불필요한 수술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34.
        201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장 가성 낭종의 종격동 침범은 매우 드문 췌장염의 합병증이다. 췌장염 환자가 비전형적인 흉통이나, 호흡곤란, 삼킴곤란 등을 호소하면 이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종격동 췌장 가성 낭종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빠른 진단과 적절한 처치가 중요하다. 비록 현재까지 제한적으로 시행된 시술이지만, 종격동 가성 낭종에서 초음파 내시경 유도 배액술은 기술적으로도 가능하고 외과 수술보다 덜 침습 적이며 효과적인 배액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종격동 침범 가성 낭종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내시경 배액법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4,000원
        135.
        201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십이지장 벽내혈종은 70-75%는 복부 둔상에 의해 발생하며 그 외 항응고제 사용이나 혈액응고장애에 의한 자발적 출혈, 치료적 내시경 시술 후 합병증의 증례가 보고되었으나 췌장염에 의한 증례는 드물다. 75세 남자가 전복부통증, 오심, 구토로 내원하여 시행한 전산화 단층촬영과 상부 위장관 내시경에서 급성 알코올성 췌장염으로 인해 발생한 십이지장 벽내혈종이 관찰되었으며 내과적 보존 치료로 급성 췌장 염을 치료하여 벽내혈종까지 흡수되었다. 이는 급성 알코올 성 췌장염에서 십이지장 벽내혈종이 발생할 수 있으며 수술 적 치료를 시행하지 않고 내과적 보존적 치료를 초 치료로 시행해 볼 수 있는 임상경과를 보여주기에 저자들은 이를 보고한다.
        4,000원
        136.
        201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leeding from pancreatic pseudocyst is a rare complication. Furthermore, massive upper gastrointestinal (GI) bleeding from gastro-cystic fistula formation and intracystic bleeding are both extremely rare and are also potentially fatal. A 53-year-old male was referred to the emergency room with melena and hematemesis. An urgent endoscopy revealed a massive gastric hematoma but showed no specific bleeding focus. Gastrocystic fistula formation and intracystic bleeding leakage to the stomach were suspicious in the follow-up endoscopy. A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scan demonstrated splenic artery pseudoaneurysm and extravasation of contrast media into the cyst that was abutted to the greater curvature side of the stomach. A splenic artery embolization was performed and no further bleeding occurred after embolization. Upper GI bleeding from gastro-cystic fistula and intracystic bleeding are rare but possible. Therefore, this po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unknown cause of an upper GI bleeding in a patient with pancreatic pseudocyst.
        4,000원
        137.
        201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장암은 비뇨기과 악성 종양 중 두번째로 많은 빈도를 차지하며 다양한 임상 양상을 갖는다. 그 중 약 1/3은 진단 당시 전이성 암으로 발견된다. 3,4 전이가 호발하는 부위는 폐, 뼈, 림프절과 간 등을 포함하며 드물게 췌장으로 전이를 동반한다고 알려져 있다. 8 췌장 전이의 경우 반수 이상에서는 증상이 없고 증세를 보이는 경우는 복통, 체중 감소, 지방변으로 내원하며 드물게 담도 폐쇄에 의한 증상으로 내원하게 된다. 출혈로 내원하는 경우도 전체의 40% 정도가 되지만 췌장의 자연 출혈로 인해 담관염을 유발하는 경우는 드물다. 10 저자 들은 신장암의 전이성 췌장암과 이로 인한 출혈이 담관염을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3,000원
        138.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비장은 정상인의 약 10%에서 발견되고 약 16%에서 췌장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췌장 내의 부비장에서 발생한 유표피 낭종은 극히 드물고 특이적 방사선 소견이 없어 진단하기 매우 어려워 췌장의 낭성 종양으로 오진하기 쉽다. 저자들은 우연히 발견된 췌장 미부의 낭성 종괴에 췌장 낭성 종양 의심하에 원위부 췌장절제술을 시행하였으나 수술 후 병리학적인 검사상 췌장 내 부비장에서 발생한 유표 피 낭종으로 진단된 증례를 2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 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췌장 내 부비장의 유표피 낭종은 영상학적인 검사나 임상양상을 통해서는 다른 췌장의 낭성 종양과 쉽게 구분할 수가 없으며 따라서 췌장 낭성 종양에 대한 감별진단으로 췌장 내 부비장의 유표피 낭종의 가능성도 고려가 필요하겠다.
        4,000원
        139.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initial genetic studies about pancreatitis in Korea, gene mutations were thought to be rare. However, the recent findings of PRSS1, SPINK1, and CFTR mutations in patients with idiopathic chronic pancreatitis or inherited cases of chronic pancreatitis are much more common than originally predict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underlying genetic background in idiopathic chronic pancreatitis to avoid progression and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In addition, concentrated and strict follow-up must be given to the patients because of very high risk of pancreatic cancer.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studies about genetics in pancreatitis were not enough to compare with Western studies. Accordingly, further large scale studies are necessary to find other unknown possible genes that could be related to the chronic and hereditary pancreatitis.
        4,000원
        140.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utoimmune pancreatiti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pancreatobiliary cancers because they often have similar clinical features and images. Accurate and practical diagnostic algorithm for AIP is important to avoid unnecessary surgery and delayed treatment. International Consensus Diagnostic Criteria for AIP suggested that diagnostic algorithms and the practical patterns considerably vary worldwide. Patients with clinically suspected AIP can be categorized into patients with typical features of AIP and patients with indeterminate features based on CT findings. Serology and other organ involvement can be used as collateral evidence of AIP. If a patient presents with diffuse pancreatic enlargement but is lack of collateral evidence, pancreatogram could be useful. If a patient has obstructive jaundice, biliary drainage and endobiliary biopsy are recommended. Duodenal papillary biopsy for IgG4 immunostain can be used during ERCP. In case of atypical imaging findings, EUS-guided FNA/biopsy is recommended to exclude pancreatic cancer and to obtain the suggestive findings of AIP. If type 2 is clinically suspected, EUS-guided core biopsy is required for the definite diagnosis. Short-term steroid trial can be performed to confirm the diagnosis of AIP when pancreatobiliary cancer workup shows negative results. However, clinical practice in diagnosing AIP varies depending on the local expertise, facilities, cost, prevalence of AIP and its subtypes.
        4,000원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