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62

        141.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university students (119 men and 134 women) in Chungbuk province using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nd eating patterns related to the use of food delivery app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2, 2019 to April 3, 2019. Of the total respondents, 77.2% reported that they had ordered food at least once using food delivery apps on smartphones. Further, 63.3% of the total subjects had ordered food delivery through smartphone apps once or twice a month, and the most preferred cuisine for food delivery was fast food, followed by Bunsik (Korean street food/snack), western food, and Chinese food.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for food delivery apps was 3.8 points, and the satisfaction score was the highest with the convenient ordering process (4.0), followed by good taste (3.9) and good portion (3.8). The subjects who used smartphone food delivery apps three times or more a month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instant food intake (p=0.0132), dining out (p=0.0282), and late-night eating (p=0.0047) than the subjects who ordered food using delivery apps less than three times a month. In conclusion, these study results may be applied as baseline data for dietary educ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4,000원
        142.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eed for skin health care is newly recognized in accordance with the importance and needs of skin care due to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 In this study, collected 202 questionnaire sheets in Seoul were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and frequency analysi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was done. Heredity, environmental factors and management condition of acne,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rosstabs. Mainly, women used skin care shop and their age groups were varied from twenties to fifties. Recognition of skin trouble were compound(42.1%), an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p<.05), while oily or compound to man and compound or acne skin to woman were observed. First occurrence of acne was generally middle school(33.7%). Facial acne progress areas was cheek(36.1%), forehead(30.7%), chin(28.2%) and neck(5.0%) in descending order, and present state of acne was in progress(60.9%). Etiologic factors were stress(39.1%), pre and post-menstruation(22.8%), environment(20.8%), heredity(17.3%).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gender(p<.01). Treatment places were at dermatologist(45.0%) and special skin care shop(27.2%). The most reliable place for treatment was special skin care shop(44.6%) and dermatologist(42.6%). It suggested that in acne of skin trouble, age groups of customers could be varied among male and female and in order to meet such requirements of customers, high quality service ought to be provided so that acne care could satisfy customers with the differentiated and careful service.
        4,000원
        143.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Pregnancy-related low back pain (PLBP) has fewer systematic guidelines than pregnancy-related pelvic girdle pain, previous studies have not evaluated physical therapy for this ailment in Korea. Objects: We aimed to provide a detailed account of clinical decision making by Korean physiotherapists while treating PLBP. Methods: In total, 95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mainly in places of continuing education held by the Kore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from April to July 2019. The same questionnaire was posted on a website used by physiotherapists. We collected subject information, a specific Vignette typically represent symptoms of PLBP, and responses to multiple questions about decision making, subjective recognition and interest level in the field of women’s health physiotherapy (WHPT). Results: The overall response rate was 56% (n = 537); of these, responses to 52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Most respondents chose various combinations of physical therapy method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recognition levels of WHPT according to gender (p < 0.05), age (p < 0.01), education level (p < 0.01), and clinical experience (p < 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est according to gender (p < 0.01) and education level (p < 0.01). With respect to the types of treatmen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selective rates for “manual therapy”, “pain control”, and “supportive devices” based on gender. Manual therapy tended to be chosen more with increasing age and clinical experience. With increased education level, there were fewer choices for the use of pain control.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data on how Korean physiotherapists manage PLBP patients using the vignette method. We were able to recognize the Korean physical therapist's decision on PLBP patients, and obser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This may aid in developing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 plans in the WHPT field.
        4,000원
        14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noise generation actual condition of large machine in plant. most of the plant's large-scale machines are designed and manufactured overseas, so it is difficult to access basic information. The regulatory standards, management plans and measurement methods for these machines are insufficient. It is necessary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noise storage devices installed for warranty and the noise reduction device when designing the equipment. Investigation of the occurrence of large-scale machine noise at domestic plant sites was conducted. The sound insulation design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care law benchmark and the large-scale machine compound noise design of the equipment are carried out.
        4,000원
        14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9년 8월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소형선박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 30톤 미만의 선박은 3,782척으로 전체 등록선박 8,890 척 대비 42.5 %를 차지한다. 문제는 소형선박의 종사자들이 주로 외래어에서 기형적으로 파생된 비표준어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선내 의사 소통의 단절, 해기사 면허시험이나 해기 관련 교육수강 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는 등 많은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는 소형선박 종사자들의 직무능력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형선박 종사자들의 사용용어를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표준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사용용어 분석을 위하여 해기사 면허시험의 기출용어, 소형선박 교육교재의 다빈도 용어를 식별하였고, 이에 해당하는 비표준어를 조사하였다. 조사된 내용을 토대로 전문가 회의를 개최하여, 주요 용어에 대한 잘못된 일본식표기, 영어표기, 표 준어를 제시하여 어느 표기에 가장 친숙한지에 관해 설문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결과 항해 용어의 경우 비교적 표준어 사용의 비율이 높으나, 기관 용어의 경우 잘못된 일본식 표기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연령별, 톤수별 분석결과도 일본식 표기를 전반적으 로 많이 사용하며, 영어식 표기의 사용빈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소형선박 종사자의 표준어 사용을 위한 단기 및 장기 방안을 제안하였고, 이에는 소형선박 종사자들이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표준어사전의 제작, 표준어 사용에 대한 중요성 홍보, 교육기관을 통한 적극적인 교육, 외국인 선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 및 이행 등이 포함된다.
        4,000원
        14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Gangwon-do as well as the effects of dietary education on them. Forty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and their dietary lifestyle was examined using an Adult NQ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dietary education.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balance, diversity, moderation, and dietary behavior. The mean NQ score out of 100 was 48.00. Among the three grades of the NQ grade criteria, most subjects (50%) were in the lowest grade, which was poor. The mean scores of the NQ factors were highest for moderation (68.76%), followed in order by diversity (50.81%), dietary behavior (45.66%), and balance (21.01%). Compared to the criterion value, moderation was only good, and balance was the wor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subjects is poo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areas of the NQ score (53.7), balance (29.22) and dietary behavior (56.77) after dietary education. Nevertheless, the ‘balance’ area remained lower than the average, highlighting the need for education on food intake to enable diverse food intake.
        4,600원
        147.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부 캄보디아 Takeo주에서 수분환경에 의한 벼 생태 환경이 다른 농가를 대상으로 벼 작부체계, 벼 재배법 및 비료 관리에 대한 결과이다. 저지대 천수답 지역, 저지대 관개수로 지역 및 감수지역의 작부체계는 양상은 상당한 차이 를 보였다. 또한 조사지역에 있어서 품종, 육묘일 수, 재배 방법, 비료 관리 등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면적 당 종자 사용량과 질소 비료 사용량은 KampongReab코뮌이 각각 305 kg/ha과 121 kg/ha로 질소 비료는 권장량을 훨씬 초과를 하였다. 이는 제한된 관개공급과 직파 재배에 의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반면 Popel코뮌의 면적 당 종자 사용량과 질소 비료 사용량은 각각 71 kg/ha와 36 kg/ha로 질소량은 권장량과 비슷하였다. 최근 이 지역은 농촌지도 활동과 NGO 활동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서 새로운 농업기술이 즉 SRI가 많이 보급 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현재 캄보디아의 농촌의 발전은 현재 진행이다. 따라서 향후 캄보디아 농촌 개발계획에 있어서 수분과 지형에 따른 재배법 등에 정확한 목표를 두고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48.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유림경영제도 중 하나인 공동산림사업의 실태분석을 위해 참여형 산림관리 원칙인 이해 관계자의 참여, 의사결정의 투명성, 행위자와 이해관계자의 책무성을 이용하여 공동산림사업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Likert 5점 척도와 기입식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이해관계 자 참여(10문항) 항목에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할 수 있는 기회제공이 평균 3.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분쟁 및 갈등 해결 구조 구축이 2.3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투명성(7문항)은 사업에 대한 정보공개가 3.4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정보공유, 교육·홍보활동이 2.7점으로 분석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책무성(7문항)에서는 공동사업수행자의 자세한 역할규명 여부가 3.3점,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함께 사업에 대한 내·외부 모니터링 및 평가 여부가 2.7점으로 분석되었다. 참여형 산림관리 지표를 통해 분석된 본 연구결과는 추후 국유림 참여경영의 활성화를 위한 계획수립에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49.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기도 K 지역 중학생의 컴퓨터 및 인터넷 활용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실증 연구하였다. 중학생들의 인터넷 활용으로 인한 교육적 효과에 대한 방향과 실태를 살펴봄으로서 인터넷의 활용 방향에 대한 대안과 제안을 제시하려는 것 이다. 연구방법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통계분 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교육목적으로 활용하는 내용은 학업과 과제를 수행하기위한 자료 탐색으로 대부분 활용하였고 그러한 연유로 인터넷은 중학생들에게 매우 유용한 교육 도구로 활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중학생들에게 인터넷 활용에서 교육적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학력향상을 가져올 수 있어야 한다고 느끼고 있었고 인터넷은 이와 같은 학습영역인 사고력 개발, 문제 해결능력, 자기통제능력에는 한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었다.
        8,100원
        150.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시력보정용 안경의 사용은 개개인의 특성마다 다른 사용실태를 보여주고 있다. 특성별 다양한 사용실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안경사에 대한 간접적인 사회적 인식을 보며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한 정립에 활용 되고자 한다. 방법 : 연구방법으로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약 1,500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RDD(random digit dialing) 방식의 CATI(computer assisted telephone interviewing)를 이용하여 구조화된 웹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성인의 연도별 시력보정용 안경 교체주기는 2년 이상이 2015년 46.0%, 2019년 50.7%였다. 청소년의 연도별 교체주기는 6~12개월이 2015년 44.8%, 2019년 46.5%였다. 성인의 연도별 사용하는 콘택트렌즈의 종류는 2015년(52.8%)은 '연속착용 렌즈'가 높았으며 2019년(48.9%)은 '원데이 렌즈'가 가장 높았다. 청소년의 연도별 사용하는 콘택트렌즈의 종류는 2015년(42.3%)과 2019년(46.7%)은 둘 다 ‘연속착용 렌즈’와 ‘원데이 렌즈’가 동일 했다. 성인의 연도별 시력 검안 장소는 안경원이 매년 높게 나타났고, 고려요인은 매년 안경 구입 시 안경렌즈의 중요가 높았다. 안경원 선택 시 고려요인은 합리적 가격(53.4%)과 정확한 시력검사(47.7%)로 나타났다. 결론 : 성인의 교체주기는 길어져만 가고 전문지식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상황에서 안경 판매사라는 인식을 탈피하여 시력검안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인지하고 사람들에게 점차 정착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800원
        158.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eral information, unbalanced diet, and dietary habits of 86 children in Daegu. The research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diet and dietary habits of childre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The results reveal that younger children have a more unbalanced diet. Children dislike side-dishes the most. Furthermore, due to the longer time taken to consume food, parents persuade children to eat quickly. Children were also determined to have a high intake of foods and drinks containing sugar; beverages containing sugar are consumed 1-2 times a week by 5-year-olds, and once daily by 6- and 7-year-o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tritional education, and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dietary programs for young children.
        4,000원
        159.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milk consumption in university students. A questionnaire, comprised of general questions and factors related to milk consumption, was administered to 269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134 males, 135 female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rtion of males reporting that they drink milk because “for good nutrition”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s (p=0.0200). Additionally, males initiated more effort to drink milk than females (p=0.0192). Analysis of the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milk consumption shows that the proportion of respondents exercising regularly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milk consumption group (p=0.0199). The proportion of respondents often consuming carbonated drinks as snacks was significantly low in the milk consumption group (p=0.0219). Whereas, the proportion of respondents consuming fruits as their main snac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lk consumption group than in the non-milk consumption group (p=0.0063). Also, the milk consumption group shows significantly highe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milk than the non-milk consumption group (p<0.0001).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valid foundation to provide university students with nutritional education relative to milk consumption and its associated benefits in the future.
        4,300원
        160.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8년 경기도내 대형마트, 온라인에서 유통 중인 해조류 및 해조류가공품 80건을 대상으로 중금속 4종(납, 카드뮴, 비소, 수은)의 오염도를 모니터링하고, 해조류 섭취에 따른 위해도를 평가하였다. 현재 해조류에 설정된 중금속 기준은 납의 경우 미역(미역귀 포함)에만 0.5 mg/kg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며, 카드뮴은 김(조미김 포함)과 미역(미역귀 포함)에 0.3 mg/kg 이하로 설정되어있다. 검사 결과 기준이 설정된 제품은 모두 기준치 이내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 중 특히 비소의 경우 대부 분의 해조류에서 대체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유기비소와 달리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무기비소의 함량이 다소 높은 톳과 모자반을 함유한 가공식품에 무기비소 기준을 신설하여 2018년부터 시행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톳 제품은 시행일 전에 제조되어 기준 적용 대상은 아니었지만, 건조 톳 8건 중 4건은 수산물, 4건은 기타 수산물가공품으로 분류되어 있어 명확한 유형 분류 기준이 먼저 필요할 것이다. 노출량에 따른 위해도는 안전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섭취하는 해조류의 종류에 비해 중금속 기준이 설정이 되어있는 해조류는 미비하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해조류의 중금속 관리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 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