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3

        16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creasing use of organically grown foods has renewed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ricultural methods and food qua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organic strawberries. For this study, strawberries were measured in terms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weight, length, diameter, hunter color, soluble solid contents (SSC), moisture contents, and pH, as well as antioxidant activities, including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Consequently, conventional strawberries showed higher weight, diameter, and L (lightness) and b (yellowness) values than organic strawberries (p<0.001). Length, moisture contents, pH, a (redness) value, an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imilar (p<0.05). However, organic strawberries showed higher SSC and total flavonoid and phenol contents than conventional strawberries (p<0.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agriculture techniques.
        4,000원
        162.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bstract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Hibiscus esculentus, Cirsium japonicum, Zizania latifolia and Kalopanax pictus for functional food source were examin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phenolic compounds extraction from medicinal plants were at 50% ethanol with Hibiscus esculentus and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at 40% ethanol with Kalopanax pictus and at 60% ethanol with Zizania latifolia. The total phenolic contents from the extracts of medical plants were determined to be 2.72~34.15 mg/g in the water extracts and 2.83~34.23 mg/g in the ethanol extracts. The electron-donating abilities (EDA)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both above 74% at the low concentration of 50 μg/mL. The ABTS radical-cation decolorization was above 88% at 100 μg/mL concentration in all the extracts of various medicinal plants. The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 in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the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extracts was 1.73 ± 0.02 PF and 1.76 ± 0.01 PF at 50 μ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and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medicinal-plant extracts. The TBARs inhibition rates of all the medicinal-plant extracts, were above 80% at the 50 μg/mL concentration except Hibiscus esculentu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various oriental medicinal plants (Hibiscus esculentus,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alopanax pictus and Zizania latifolia) tha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re useful anti-oxidant and functional-food resources.
        4,000원
        163.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마토 부산물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토마토 50 자원의 잎 추출물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검정하였다. DPPH라디칼 소거 활성이 높았던 자원은 IT191046 (130.9 ug/ml),IT189949 (136.8 ug/ml), IT033117 (138.8 ug/ml), IT191047(148.9 ug/ml), IT033130 (152.5 ug/ml)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높았던 자원은 IT189949 (1348.6 ug/ml),IT033117 (1404.9 ug/ml), IT191046 (1516.8 ug/ml)이었고 총폴리페놀 함량은 IT207214 (59.9 mg GAE/g DW)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 활성이 높았던 자원은 IT189945 (24.8 ug/ml), IT173906 (26.5 ug/ml),IT033117 (27.1 ug/ml), IT191046 (27.4 ug/ml)이었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높은 정의 상관관계(r = 0.677**)를 보였고 다음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과 NO 생성 저해 활성이 높은 상관관계(r = −0.406**)를 나타냈다. 토마토 잎 추출물의 생리 활성 및 기능성 성분 분석 결과를 자원별로 군집 분석한 결과, Cluster I (n = 17), II (n = 4), III (n = 11), IV(n = 16)와 따로 분리된 두 자원(IT229651, IT211836)으로 분류되었다. 토마토 50 자원 중 IT033117과 IT191046은 DPPH,ABTS 라디칼 저해 활성 및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 활성이 높았으며 Cluster IV내에서 매우 가깝게 존재하였고,IT173906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활성이 높았으며 Cluster II에 존재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토마토 잎의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토마토 부산물의 다양한 활용 방안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사료 된다.
        4,000원
        165.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우디아라비아 북부지역에서 수집된 홍화 총 100자원에 대 한 총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여 항산화활성이 높은 홍화자원을 선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100자원의 홍화유전자원에 대한 총폴리페놀 함량은 14.2 ± 0.41 μg GAE mg−1dw에서 81.6 ± 1.56μg GAEmg−1dw 까지 분포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1.6 ± 0.07 μg ASC mg−1 dw에서 14.1 ± 0.23 μg ASCmg−1 dw까지 활성을 나 타냈다. ABTS 활성은 34.5 ± 0.70 μg Trolox mg−1 dw에서 156.5 ± 3.06 μg Trolox mg−1 dw까지 평가되었다. 항산화활성 을 측정한 DPPH와 ABTS 활성간에는 상당한 유의성(r = 0.954**)을 보였다. 2. 홍화자원 100자원의 총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활성 결 과값에 대한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활성이 높은 그룹(Group1)을 얻었다. Group1에 포함된 8개의 홍화자원은 나머지 그룹에 속한 자원들에 비해 항산화활성이 높았으며, 이중 K185841, K185879, K185863은 Group1내의 다른 자원들보다도 항산화 활성이 상당히 높아 홍화육종이나 기능성물질연구에 좋은 소 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166.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Butanol and ethyl acetate extracts of thermal treatment yam (Dioscorea batatas DECNE.) belonging to the family Dioscoreaceae were measured for thei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bility. In this study, ethyl acetate extract showed the most potent antioxidant activity evaluated by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and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Nevertheless, n-butanol extract was more effective in inhibiting linoleic acid peroxida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but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extract in nitrite scavenging activity β-carotene bleaching assays could not be found.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mal treatment yam could be used as easily accessible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and as a possible food supplement.
        4,000원
        167.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진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기용매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용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진피와 에탄올 진피 추출물을 대상으로 유기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염화 메틸렌,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료를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활성 저해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폴리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928.48±1.19 μg 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664.64±0.74 μg GAE/mL로, acetone인 경우 진피는 886.03±0.44 μg 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702.67±0.85 μg GAE/mL로,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413.08±1.39 μg 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429.64±0.61 μg GAE/mL로,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12,648.60±0.56 μg 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16,108.20±0.73 μg GAE/mL로 나타나, 진피나 에탄올 추출 진피는 모두 methanol로 추출한 것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의 함량 차이는 유기용매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2. 전자공여능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62.80%, 에탄올 추출 진피는 51.49%로 나타났으며, acetone인 경우 진피는 97.43%, 에탄올 추출 진피는 63.17%로 나타났으며,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52.20%, 에탄올 추출 진피는 67.68%로 나타났으며,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97.63%, 에탄올 추출 진피는 96.18%로 나타났다. Electron donating ability(EDA)는 유기용매 중 메탄올로 추출하였을 때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용매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3. Glutathione S-transferase(GST)에 대한 활성 저해능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76.22%, 에탄올 추출 진피는 75.54%로 나타났으며,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31.73%, 에탄올 추출 진피는 73.53%로 나타났으며,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97.48%, 에탄올 추출 진피는 48.70%로 나타났다. Glutathione S-transferase(GST)에 대한 활성 저해능은 진피인 경우 유기용매 중 메탄올로 추출하였을 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에탄올 추출 진피인 경우는 에탄올과 methylene chloride로 추출할 때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용매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4,000원
        168.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유기용매 추출물이 아닌 베리 열매 자체의 생리활성에 관한 정보와 천연보존료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 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양한 종 류의 베리 열매 착즙액의 항산화, 항균 작용 및 균 생육억제 효과를 비교․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은 체리, 아로니아 및 크랜베리가 다른 베리류에 비해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각 농도별로 측정한 베리 착즙액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모든 시료에서 농도에 따라 높아졌다. 특히, 아로니아, 크랜베리 및 라즈베리의 소거능이 다른 베리류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 인되었다. FRAP 활성은 6가지 베리 열매 중 아로니아의 활성 이 모든 농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100% 아로니아 착즙액의 FRAP 활성은 25% 포도 착즙액의 5배 이상이었다. 베리 열매 착즙액의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크랜베리와 라 즈베리가 대부분의 식중독 균에 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대부분의 베리 열매 착즙액이 그람양성균보다 그람음성균에 대한 생육저해활성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크랜베리와 라즈베리의 농도별 항균활성은 원액과 75%의 농도에서만 각 각 7가지, 6가지 식중독 균에 대해 생육저해를 보였고, 50%, 25%의 농도에서는 식중독 균 중 일부만 생육저해를 나타내 었으며, 10% 이하의 농도에서는 모든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아로니아, 크랜베 리 및 라즈베리는 다른 베리에 비해 높은 항산화 및 항균활성 을 보임으로써 천연보존료 및 기능성식품 소재로써의 이용 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69.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70% ethanol extracts of kiwi of three different colors (gold, green and red) by measuring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metal chelating effect, reducing power,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gold kiwi, 3.09 mg GAE/g, green kiwi 2.71 mg GAE/g, and red kiwi 4.59 mg GAE/g, respectively. Red kiwi showed higher antioxdidant activity than gold and green kiwi.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red kiwi exhibited 94.83, 99.57, and 97.88%,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20 mg/mL, which were equal to those of ascorbic acid (positive control). Metal chelating effect of red kiwi was superior to that of ascorbic acid. Therefore, the availability of red kiwi will be increased in the field of functional material for food additives and value added products.
        4,000원
        170.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ussula rosacea, a mycorrhizal fungus, has been used for edible and medicinal purpo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 vitro antioxidant, anti-hyperglycemic, anti-cholinesterase, and nitric oxide inhibitory effects of the fruiting bodies from R. rosacea extracted with methanol, and hot water. The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2.0 mg/ml) of R. rosacea were comparable with BHT, the positive control. The chelating effects of the mushroom and hot water extra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HT. The reducing power of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 (6 mg/m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HT. Seven phenolic compounds were detected from acetonitrile and hydrochloric acid solvent extract of the mushroom. alpha-amylase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were lower than that of acarbose, the positive control. The acetylcholinesterase and butyrylcholinesterase inhibitory effects were moderate compared with galanthamine, the standard drug.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 induced RAW 264.7 cells were inhibited significantly by the mushroom extract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herefore, we demonstrated that fruiting bodies of R. rosacea possess in vitro antioxidant, anti-hyperglycemic, anti-cholinesterase, and NO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ies. Th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the fruiting bodies of R. rosacea are good natural antioxidant, anti-hyperglycemic, anti-cholinesterase, and anti-inflammatory sources.
        4,000원
        171.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mcho (Salicornia herbacea) extracts were evaluated for total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1.81 g and 0.72 g per 100 g of dried sample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Hamcho significantly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The scavenging activity of hydroxyl radical was 13.8~26.2% and 14.2~16.0%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The inhibitory effect of conjugated diene formation was 24.6~39.1% and 28.4~39.6%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However, pro-oxidative effect was also observed in the Hamcho extracts. The Hamcho water extract showed the pro-oxidant effect by enhancing the formation of hydroxyl radical and conjugated diene. The ethanol extract of Hamcho induced conjugated diene formation at 0.5 mg/mL but not at 1 mg/mL. The hydroxyl radical formation was not induced by the Hamcho ethanol extrac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how that Hamcho extracts can act as pro-oxidants by generating hydroxyl radical or conjugated diene in addition to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Hamcho and its use as food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with caution because antioxidant dietary plants such as Hamcho possess possible adverse effects induced by pro-oxidant activity.
        4,000원
        17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전통 식품 소재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참죽나무 순을 동결건조하여 일반성분과 무기질 함량을 측정하였고,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얻은 열수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능을 살펴보았다. 참죽나무 순의 일반성분 및 무기질 분석 결과, 조단백질, 조섬유, 칼슘과 칼륨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는 참죽나무 순 분말 열수 추출물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함량이 더 높았으며, DPPH 유리 라디칼 소거능과 FRAP 또한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참죽나무 순 분말은 영양성과 식이섬유소의 기능성이 높아 식품의 재료로 이용가능성이 높으며, 참죽나무 순 분말로부터 유용성분 용출 및 기능성 증대를 위해서는 70%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17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Yangha Buds (Zingiber Mioga R)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steamed-rice cake, Sulgidduk, prepared with Yangha Buds juice.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measured based on DPPH radical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otal 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in Yangha Buds (water extract and juice). Sulgidduk was prepared by adding Yangha buds at concentrations of 0, 1, 2, 3, and 4% of juice. To analyze quality characteristics, proximate composition, color, texture profiles,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measured. As content of Yangha buds juice increased, L-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a-value and b-value increased (p<0.05). For texture profiles, control group scored higher score for hardness as compared to groups added with Yangha buds juice. Springiness, chewiness, and adhesive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In the sensory evaluation, samples containing 3% Yangha buds juice showed better results for attitud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Yangha buds are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consumer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Sulgidduk.
        4,000원
        17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추출물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항산화, 항균, 항염증 활성의 용매별 추출에 따른 변화를 구명하고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오미자를 물과 70% 에탄올, 99.9% 메탄올로 추출한 후, 폴리페놀 함량,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활성, 항균활성, NO 생성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오미자 물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9.2 mg/g이었고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에 의해서 각각 70.7%, 77.2% 증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IC50이 399.7 μg/mL으로 항산화능이 가장 높았고, 메탄올 추출물(400.8 μg/mL), 물 추출물(992.4 μg/mL)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물 추출물보다 유기용매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높음에 따라 소거활성이 증가하여, 폴리페놀 함량과 라디칼 소거활성은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병원균 3종 E.coli, S. typhimurium, St.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은 물 추출물의 경우 38.9~64.5%인 반면 유기용매 추출물에서는 70.0 ~ 85.6%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NO 생성에 대해서는 물 추출물이 대조군에 비해 35.7% 저해시켰으나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에 의해서 각각 22.1%, 25.7%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오미자의 유기용매(에탄올, 메탄올) 추출물은 물 추출물에 비하여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 활성, 항균 활성이 우수하였다. 반면에 항염증능은 유기용매 추출물에 비해 물 추출물이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본 실험결과는 오미자 추출물을 건강 기능식품 개발 소재나 가공식품으로 활용할 때 주요 대상으로하는 건강기능성을 증진시키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75.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체내에 과도하게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세포 구성성분들을 손상시키고 각종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만한 사람은 정상체중을 가진 일반인들에 비해 높은산화적 스트레스 상태임이 알려졌다(Furukawa et al.,2004). 본 연구에서는 전통 한약재로 잘 알려진 하고초ethanol 추출물의 항비만 및 스트레스 억제활성을 3T3-L1및 HepG2 세포에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50 및 100μg/mL의 하고초 추출물은 각각 대조군 대비 78.4%, 및 72.3%의 3T3-L1 세포의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였다. 둘째, 100μg/mL의 하고초 추출물은 HepG2 세포에서 ethanol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멸을유의적으로 보호하였다(대조군 대비 79.3%). 셋째, 10, 100및 200μg/mL의 하고초 추출물은 60μM의 AAPH 및10μM의 Cu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농도 의존적이며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하고초 추출물이 항비만 및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를 통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라 생각된다.
        4,000원
        176.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설탕과 설탕 대체 감미료를 첨가하여 아로니아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잼에 대한 이화학적 제품특성,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설탕과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수분 함량(28.4~29.5%)은 유사하였고, 올리고당과 자일리톨을 첨가한 잼의 수분 함량(31.6~32.3%)은 높게 나타났다. pH, 총산의 함량, 당도는 당의 종류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퍼짐성이 가장 높았으며, 올리고당과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퍼짐성이 가장 낮았다. 아로니아잼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올리고당, 자일리톨,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첨가한 당류의 종류와 관계없이 아로니아잼에는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맛, 향미 및 전반적인 만족도 측면에서 자일리톨을 첨가한 잼이 비교적 높은 관능적인 선호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리스리톨은 색, 맛, 질감, 향미, 전반적인 만족도 측면에서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아로니아를 함유하는 잼을 제조할 때 자일리톨이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주요 당류로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4,000원
        177.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r3+ 및 Se을 첨가하여 수경 재배한 치커리 3종의 에탄 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양액만으로 재배한 치커리보다 양액에 Se이나 Cr3+을 첨가한 치커리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FRAP 환원능이 증가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도 증가하였다. 특히 Se을 첨가한 치커리보다 Cr3+을 첨가한 치커리에서 더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Cr3+ 을 첨가한 CLER 및 CLE의 경우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치커리 추출물의 수경재배 과정에서 양액에 Cr3+, Se의 첨가는 치커리의 항산화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 증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78.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서는 조리과정(non-blanched, blanched, seasoned) 중 시래기의 항산화 관련 물질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여 한식 고유의 조리법인 나물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80% ethanol에 추출한 시래기의 수율은 무친 후가 7.55%로 가장 높았으며, 데치기 전이 4.91%를 나타내었고, 데친 후가 0.33%로 가장 낮은 수율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3.57~129.85 mg GAE/100 g FW 범위로 무친 후 시래기가 129.85±0.62 mg GAE/100 g FW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무친 후가 35.56±1.19 mg CHE/100 g F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4가지의 항산화 실험(DPPH assay, ABTS assay, FRAP assay, Reducing power) 결과, 무친 후 > 데치기 전 > 데친 후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균 활성 측정 결과, 데치기 전 시래기에서만 활성이 나타났는데, B. cereus와 E. cloacae 두 균에 대해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냈고, E. coli와 P. aeruginosa 두 균에 대해서는 10 mg/disc의 농도에서만 각각 9.25 mm, 9 mm의 clear zone을 생성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할수록 radical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의 활성이 증가하여 시래기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항균 활성 측면에서는 시래기를 조리하지 않고 섭취하는 것이 좋으나, 건조 나물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특성상 반드시 불린 후 조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무치거나 조리하는 과정에서 갖은 양념이 첨가되어 항산화 효능이 증가하므로 시래기를 섭취할 경우, 가능하면 장시간 물에 삶는 조리법은 피하고, 무치는 조리법을 사용하는 것이 건강에 이로울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79.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기간 숙성시킨 된장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5년 및 30년간 숙성시킨 된장을 150일(대조구)과 2년간 숙성시킨 된장을 비교하여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시험하였다. 150일간 숙성시킨 된장을 대조구로 하여 분석한 결과 수분 함량은 숙성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회분 함량은 숙성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30년간 숙성시킨 된장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된장의 명도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고 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되었으며 황색도와 적색도는 25년 및 30년간 숙성시킨 된장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된장 중 무기물의 총 함량은 대조구가 3125.10 mg/100 g으로 가장 낮았으며, 30년간 숙성시킨 된장이 6451.95 mg/100 g으로 가장 많았다. 구성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3848.34~4382.06 mg/100 g의 범위였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30년, 25년 및 2년간 숙성시킨 된장의 순이었다. 기능성 생리활성 물질인 γ-amino-butyric acid (GABA)의 함량은 장기간 숙성시킬수록 그 함량이 증가하여 30년간 숙성시킨 된장에서는 무려 30.57 mg/100 g으로 검출되어 대조구(0.41 mg/100 g)보다 약 74.6배나 증가하였다. 유기산의 분석 결과 oxalic acid의 함량이 약 82.59~217.06 mg/g으로 가장 많았으며 lactic acid와 acetic acid의 함량은 숙성 기간에 따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maleic acid와 succinic acid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소플라본의 함량은 daidzein과 genistein이 숙성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glycitin 및 malonyldaidzin의 함량은 숙성시킬수록 증가하였다.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에 의한 환원력에 의한 된장의 항산화 활성은 숙성 기간에 따라 대차를 보이지 않았으며, 150일간 숙성시킨 된장과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25년 및 30년간 숙성시킨 된장을 150일, 2년간 숙성시킨 된장과 비교할 때 품질면에서 손색이 없었으며 식품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장기간 숙성시킨 된장의 연구와 개발이 계속해서 이루어진다면 한 단계 더 높은 기능성 전통 발효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5,400원
        180.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부가가치 식품 산업에서 블루베리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주요 영양성분 분석, in vitro 항산화 활성, 그리고 아세트콜린에스터레이즈 (AChE) 효소 저해 활성을 연구하였다. 블루베리에 포함된 주요 미네랄 중 칼슘이 가장 풍부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아미노산은 주로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로 구성 되었다. 지방산의 분포는 76.78%의 포화지방산과 23.21%의 불포화 지방산으로 구성되었으며, vitamin C는 22.48 mg/100 g으로 분석되었고 주요 유리당으로서는 과당과 포도당이 검출되었다. 생리적인 활성 효과를 확인하고자 블루베리의 에탄올 추출물을 염산, 에틸아세테이트, 그리고 산성메탄올을 이용하여 분획하였다. Total phenolics 함량은 각각 1.65, 2.31 그리고 4.45 mg of GAE / g 어었으며, in vitro 항산화 효과로서의 FRAP assay와 MDA 생성 저해 효과는 안토시아닌 분획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에탄올 추출물, 비 안토시아닌 분획물 그리고 안토시아닌 분획물에서 모두 AChE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특히 블루베리의 안토시아닌 분획물에 의해 억제되는 양상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영양성분을 포함하는 블루베리의 안토시아닌 분획물은 우수한 in vitro 항산화 효과와 AChE 저해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