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

        1.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정적 플랭크 운동의 동작 차이에 따른 코어근육의 근활성도를 비교하는 것이 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J”대학교 20대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연령, 23.20±0.65 세; 신장, 174.54±1.51 cm; 체중, 70.00±2.24 kg; 신체질량지수, 22.94±0.51 kg/m2), 4가지의 풀, 엘보우, 사이드 및 리버스 정적 플랭크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근전도 분석을 위한 표면전극 부착 부위는 신체 근육의 우측 복직근, 외복사근, 광배근 및 척추기립근으로 설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광배근과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 는 리버스 플랭크 동작 시 가장 높게 나타났고(p<.001), 복직근과 외복사근의 근활성도는 엘보우 플랭크 동작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정적 플랭크 동작 시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의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플랭크 운동 시 세라밴드 적용 유·무에 따른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를 비교·분석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건강한 20대 남성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연령, 21.75±0.57 세; 신장, 173.33±1.34cm; 체중, 65.92±1.64kg; 신체질량지수, 21.93±0.46kg/m2), 풀 플랭크, 엘보우 플랭크, 사이드 플랭크, 및 리버스 플랭크 운동은 4가지의 세라밴드(사용 안함(WT), 빨간색(RT), 파란색 (BT), 은색(ST))를 적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표면전극 부착 부위는 척추기립근(ES), 삼각근(DA), 외복사근 (EO), 복직근(RA), 대퇴직근(RF), 광배근(LD), 대흉근(PM), 및 대퇴이두근(BF)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풀 플랭크 동작 시 ES, DA의 근활성도는 W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났고(p<.05), EO, RA, RF, PM의 근활성도는 S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5). 엘보우 플랭크 동작 시 ES, DA의 근활성도는 W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났고(p<.05), RF, PM의 근활성도는 S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5). 사이드 플랭크 동작 시 ES, EO, RA, RF, LD, PM, BF,의 근활성도는 S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 났다(p<.05). 그리고 리버스 플랭크 동작 시 DA, EO, RA, RF, LD, PM, BF,의 근활성도는 S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플랭크 운동 적용 시 효과적인 신체근육을 강화시 키기 위한 훈련프로그램의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스탠스 자세와 운동면의 차이가 어깨돌림동작 시 활동근의 %MVIC를 비교분석하여 어깨강화운동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남성 8명을 무선배정하여 두발지지 자세, 한발지지 자세, 런지자세와 이마면, 수평면, 시상면에서 회전동작을 10회씩 수행하였다. 수행 중 가시위근, 가시아래근, 작은원근, 앞세모근, 배곧은근, 척수세움근, 큰가슴근, 넓은등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반복측정 일원분산분석(repeted 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첫째, 이마면에서 바깥돌림 동작 시 척추세움근은 두발지지 자세와 한발지지 자세보다 런지자세에서 높게 나타났고 안쪽돌림 동작 시 가시위근은 두발지지 자세보다 한발지지 자세, 한발지지 자세보다 런지자세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평면에서 바깥돌림 동작 시 앞세모근은 두발지지 자세보다 한발지지 자세과 런지자세에서 높게 나타났고 안쪽돌림 동작 시 가시아래근은 두발지지 자세와 한발지지 자세보다 런지자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큰가슴근에서는 한발지지 자세보다 두발지지 자세, 한발지지 자세보다 런지자세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시상면 바깥돌림 동작 시 배곧은근은 두발지지 자세보다 한발지지 자세와 런지자세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안쪽돌림 동작 시 가시위근은 두발지지 자세보다 한발지지 자세와 런지자세에서 높게 나타났고 가시아래근은 두발지지 자세와 한발지지 자세보다 런지자 세에서 높게 나타났다. 배곧은근에서 두발지지 자세와 런지자세보다 한발지지 자세에서 높게 나타났고 척추세움근은 한발지지 자세보다 두발지지 자세와 런지자세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탠스와 어깨의 운동면의 차이가 어깨위팔관절의 돌림운동 시 활동근들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스탠스자세와 운동면에 따라서 다른 양상이 나타났으며, 이를 어깨 강화 운동프로그램에 적용한다면 보다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생각 된다.
        4,200원
        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필라테스 동작 시 폼롤러의 적용과 움직임에 따른 몸통과 하지의 근활성도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피험자로 남자 8명을 선정하여 필라테스 네발자세, 교각자세, 코어컨트롤 동작을 매트위에서 정적동작, 폼롤러 위에서 정적동작, 폼롤러 위에서 동적동작으로 무선배정하여 1주 간격으로 수행하였다. 각 동작의 수행 시 척추세움근,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중간볼기근, 넙다리두갈래근과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첫째, 네발기기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동작에서는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중간볼기근, 넙다리두갈래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p<.05), 폼롤러 정적동작에서는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둘째, 교각자세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동작에서는 넙다리두갈래근의 근활성도가 높 나타났다(p<.001). 셋째, 코어컨트롤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 동작에서는 배곧은근, 척추세움근, 중간볼기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p<.01), 정적 동작에서는 배바깥빗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5). 필라테스 운동시 근활성도를 고려하여 방법과 난이도를 적용하면 더욱더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5.
        2017.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표전 근전도 신호를 기반으로 기존의 재활로봇 알고리즘의 성능의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특징 요소를 개발 및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 기존의 선형 재귀 모델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로봇 제어 알고리즘을 수정하여, 2개 이상의 주파수 특징을 가지는 근 전도신호에 그 특징의 수에 맞추어 주파수 영역을 다르게 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결과 : 측정된 결과 개선된 알고리즘의 모델이 기존 모델대비 높은 정확도가 나옮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이를 적용 한다면, 근전도 기반 재활로봇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제안된 복수의 필터뱅크 특징을 기반으로 한 개선될 선형 재귀알고리즘이 기존 알고리즘보다 높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뇌졸중 환자의 치료를 위한 재활 로봇을 제어하는데 활용된다면, 환자의 의지를 더욱 정확히 반영한 재활치료를 통하여 환자의 재활치료효과를 증진시킬 것이라 기대된다.
        4,000원
        6.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hort foot exercise (SFex) is often prescribed and performed in the sport and rehabilitation fields to strengthen intrinsic foot muscles. However, SFex is difficult to perform because of lack of feedback methods.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SFex with and without electromyography (EMG) biofeedback on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MLA) of healthy individuals who maintained a static standing position. Methods: All participants (14 males and 12 femal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biofeedback and non-biofeedback groups). The EMG activity of the abductor hallucis (AbdH) and tibialis anterior (TA) and the MLA angle on the dominant leg side were measured with the participant in the standing position in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conditions. The intervention session consisted of 15 minutes of SFex with (biofeedback group) or without (non-biofeedback group) EMG biofeedback. The groups were compared using two-way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The post-intervention activities of the AbdH muscle (p<.05) and the AbdH/TA ratio (p<.05)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biofeedback group than in the non-biofeedback group. The activity of the TA (p<.05) and the MLA angle (p<.05) in the biofeedback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ost-intervention condition than in the pre-intervention condition. Conclusion: The present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combination of SFex and EMG biofeedback can effectively facilitate the muscle activity of the AbdH and strengthen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4,000원
        7.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뇌와 근육은 상의 하달식 구조로 상지 운동 수행 과정에서 뇌파와 근전도 신호의 변화와 함께 기능적 연결성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상지 운동을 수행하였을 때의 뇌파와 근전도 신호에 대해 코히어런스 방법을 적용하 여 운동 의도 여부에 따른 뇌와 근육간의 연결성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상지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운동 피질 영역의 뇌파는 뮤 리듬(mu rhythm, 8~14 Hz)과 베타 리듬(beta rhythm, 15~30 Hz)에서 활성화 되며, 근전도 신호는 베타 리듬과 파이퍼 리듬(piper rhythm, 30~60 Hz)에서 활성화 된다. 뇌파와 근전도 신호간의 코히어런스 분석 결과 운동 의도를 포함한 능동 운동 수행 시 수동 운동을 수행하였을 때 보다 유의미한 차이로 높은 코히어런스 계수가 확인되었다. 이는 인지적 반응과 근육의 움직임 사이의 코히어런스 관계로 운동 의도가 포함된 상지 운동 수행 과정에서 의 뇌와 근육간의 연결성을 해석할 수 있었다. 운동 의도에 따른 뇌-근육간의 코히어런스 특징을 이용한다면 재활 기기 사용자의 운동 의도에 따라 피드백이 필요한 재활 훈련 시스템 설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두 가지 유형의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를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발병 6개월 이내의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 실험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치료와 상상 훈련 결합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치료를 하루 20분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상지기능평가로 울프운동기능평가(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Fugl-Meyer Assessment (FMA)를 사용 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 평가로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사용하였다. 결과 : 1) 4주간의 중재 후, 상상 훈련 결합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치료를 받은 집단에서 FMA와 WMFT의 통계학적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1). MBI 평가 역시 통계학적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특히 개인활동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2)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를 받은 집단의 경우 FMA의 손목 움직임 항목과 WMFT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또한 MBI 전체 점수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향상은 없었지만 개인활동 항목에서만 통계학적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두 유형의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회복과 일상생활활동에 효과적인 치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100원
        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신경근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마비측 상지 기 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2년 8월부터 2013년 2월까지 K의료원에 외래 치료 중인 44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대 조 실험을 하였다. 두 집단은 전통적 재활치료와 함께 실험군은 상상 훈련과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를, 대조군은 일반적인 전기자극치료를 회당 30분간, 주 5회, 6주간 실시하였다. 상지기능평가로 Fugl-Meyer Assessment (FMA)와 Manual Function Test (MFT)를 사용 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 평가로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사용하여 중재 전·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1) 6주간의 중재 후 실험군의 FMA, MFT 점수의 비교 결과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1). 2) 실험군의 MBI 점수의 비교 결과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하지만 개인위생과 옷 입기 항목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5). 반면 대조군의 경우 약간의 점수 향상은 있었지만 모든 평가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 :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기능적 전기자극치료에 비해 뇌 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기능을 향상 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손의 움직임과 관련된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900원
        10.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얕은손가락굽힘근에 진동자극을 적용하는 것이 손의 기민성을 향상시키고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개시와 종료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실험연구방법 중 ABA 연구 설계를 이용하였다. 총 실험회기는 24회로 기초선 과정, 중재 과정, 기초선 회기 과정으로 나누어 각 8회기씩 진행하였다. 중재기간 동안 진동자극은 환측의 얕은손가락굽힘근에 적용되었다. 상자와 블록 검사(Box and Block Test; BBT), 그리고 컵을 쥐기 및 놓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개시시간과 종료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 BBT 점수는 기초선 과정에 비교하였을 때 중재기간 동안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5), 과제 수행 동안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개시시간과 종료시간은 중재 기간 동안 유의하게 단축되었다(p<.05). 이 러한 경향은 회귀 과정 동안에도 긍정적으로 유지되었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진동자극이 이환된 손의 기민성을 향상시키고 물건을 쥐고 놓는 동안 손과 얕은손가락굽힘근의 활성 형태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300원
        11.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ra-rater reliability and determine the validity of electromyography (EMG) measurements to represent muscle activity and ultrasonography (US) to represent muscle thickness during manual muscle testing (MMT) to external abdominal oblique (EO) and lumbar multifidus (MF). Twenty healthy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asked to perform MMT at differing levels. The subjects' muscle activity using EMG was measured by a ratio to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MVC) and root mean square (RMS) methods. The subjects' muscle thickness using US was measured by raw muscle thickness and change ratio of thickness to maximum (MVC) or resting condition. In three trial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each subject by one examiner.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f EMG and US to EO and MF was calculated using intra-class coefficients.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all measurements was excellent (ICC=.75~.98) in EMG and US. The conduct validity was calculated by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ments to compare whether the EMG and US measurements were different between MMT at different levels. There was onl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grades at %MVC thickness measurement of 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MVC thickness measurement of US was a more sensitive and discriminate in all manual muscle testing grades. This information will be useful for the selection of US measurement and analysis methods in clinics.
        4,000원
        12.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sh-up plus has been advocated for increasing the activity of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the most critical scapular stabilizer. However, no previous study has reported the possibility of compensatory motion on the part of the pectoralis major, which could substitute for the action of the serratus anterior during push-up plus.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 of electromyography (EMG) biofeedback of the pectoralis major muscle on the pectoralis major, upper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muscles during push-up plus. Fourteen healthy young subjec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subject performed push-up plus from the quadruped position, in two conditions (i.e., with or without visual and auditory biofeedback). Surface EMG was used to measure pectoralis major, serratus anterior, and upper trapezius activity. A paired t-test was used to determin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ditions. Additionally, effect size was calculated to quantify the magnitude of EMG biofeedback in each muscle.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reduced pectoralis major muscle activity significantly (p=.000) and increased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activity significantly (p=.002), but did not induc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p=.881). Thus, it is concluded that the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of pectoralis major muscle activity can be used to facilitate serratus anterior muscle activity during push-up plus.
        4,000원
        1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게임 입력장치의 과도한 사용에 따른 부작용으로 손목 터널증후군을 호소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생체신호를 게임의 입력장치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손목의 움직임시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를 입력받아 효과적으로 잡음을 제거하고 신호를 증폭하는 하드웨어 모듈을 설계하였다. 또한, 웨이브릿 패킷 변환을 통하여 동작의 특징벡터를 추출하고, 주성분 분석을 통하여 특징벡터를 재배치함으로서 특징벡터의 분산을 감소시켰다. 데이터 분류 알고리즘인 SVM을 적용하여 학습된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4가지 동작에 대해 90% 이상의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4,000원
        1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근전도 신호를 활용하여 정상인의 보행과 관련된 상지와 하지 근육의 신호를 확인하고 저항센서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확인하였다. 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정지해 있을 때와 평지를 보행할 때, 상지의 4부위(대흉근과 승모근)와 하지의 10부위(대퇴직근, 대퇴이두근, 내측광근, 외측광근, 반막양근, 반건양근, 가자미근, 장비골근, 내비복근과 외비복근)에 전극을 부착하여 근전도를 측정하였다. 저항센서는 양측 발바닥의 8부위에 센서를 부착하여 보행시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근전도 신호는 정지상태에 비하여 보행 시에 허벅지의 외측광근과 반건양근을 제외하고 모든 근육에서 유의하게 높은 진폭을 가졌다. 또한 보행주기의 두 단계인 입각기와 유각기와 관련된 근육을 확인하였다. 저항 센서의 신호 분석 결과, 평균 보폭 주기 동안 크게 입각기와 유각기의 두 주기와 세부적으로 여덟 단계 - 초기 접지기, 하중 반응기, 중간 입각기, 말기 입각기, 전 유각기, 초기 유각기, 중간 유각기, 말기 유각기 - 의 보행 주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손기능에 대한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발병 6개월 이상인 뇌졸중 환자 10명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5명씩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1일 1회, 주 5일, 6주 동안 수행하도록 하였다. 훈련의 1회기는 15초의 휴식기와 5초간의 추적과제를 수행하는 활동기로 구성되며 1회 훈련동안 추적과제를 총 40번 시행하였다. 반면, 대조군의 모든 치료 상황은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제외하고는 실험군과 같았다. 손기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훈련 전·후에 개정된 Ashworth 척도, Fugl-Meyer 평가,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뇌졸중 상지기능 검사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실시하였다. 결과 : 실험군은 개정된 Ashworth 척도를 제외한 모든 검사에서 훈련 후의 결과가 훈련 전의 결과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대조군은 모든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간 비교에서 실험군의 훈련 후 손기능 향상이 모든 검사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5). 결론 : 본 연구는 실시된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손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지지한다.
        4,300원
        16.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repetitive lifting task on the level of activation and median frequency of the paraspinal muscles, and to provide basic data of the maximal acceptable duration of the lifting task to avoid muscle fatigue. Ten healthy male subjects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and they repetitively (12 lifts/min) lifted a box (46 ㎝ × 30 ㎝ × 30 ㎝, 15 kg) for 10 minutes. Electromyographic data (muscle activation and median frequency), heart rate, and Borg CR10 score were recorded at 1, 3, 5, 7, and 9 minutes after the lifting task. Electromyographic data was recorded from the elector spinalis, mutifidus, external oblique abdominis, and rectus abdominis for 1 minute.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repetitive lifting task progressed, the heart rate and Borg CR10 sco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ddition, activation of the muscles increased. The median frequency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time in the elector spinalis, mutifidus, and external oblique abdominis (right side), except for the external oblique abdominis (left side) and rectus abdominis. It is suggested that the median frequency recorded from a dynamic task is used to monitor muscle fatigue. Furthermore, the repetitive lifting task (15 kg, 12 lifts/min) should not continue for more than 3 minutes in order to avoid muscle fatigue.
        4,000원
        17.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손가락 폄근에 실시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 치료가 편마비 환자의 손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명의 뇌졸중 환자를 무작위로 EMG-stim군과 대조군에 각각 10 명씩 배정하였다. EMG-stim 군은 하루에 30분씩 2회, 주 5일, 10주 동안 (총 100회) 손가락 폄근에 EMG-stim 치료를 실시하였다. 반면, 대조군에게는 어떠한 치료도 실시하지 않았다. 손 기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치료 전·후에 적분 EMG, 관절 운동 범위, 퍼듀 페그보드 검사를 EMG-stim군과 대조군 모두 실시하였다. 결과 : 치료 전·후 EMG-stim군은 적분 EMG, 관절 운동 범위, 퍼듀 페그보드 검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5). 그러나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 간 비교에서 EMG-stim 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종속 변수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5). 결론 : 본 연구에서 장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실시한 EMG-stim 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손기능 회복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4,000원
        18.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FDS) and the flexor carpi ulnaris (FCU) by the shape of the ultrasound head. Twelve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and performed ultrasound therapy with a round head and a long handled head during each 5-minute application.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FDS and FCU were recorded by surface electrodes and normalized by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valu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uscular fatigue of FDS and FCU a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ultrasound head (p>.05). Without the shape of head, the mean power frequency decreased with the time. There also was no difference in %MVIC of the FDS and FCU a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ultrasound head (p>.05), but the force exerted exceeded 20%MVIC. There was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umulative workload of the FDS and FCU as determined by the shape of ultrasound head (p<.05). The workload was however not affected by the shape of the ultrasound head. Constant static grasp of ultrasound transducer head during ultrasound therapy is considered a high risk factor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4,000원
        19.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Authors reported that mouth guard is a part of equipment for body-contact sports players. Mouth guards protect orofacial injuries but have some problems in breathing and speaking. Some authors reported that mouth guards have also improve the muscle strength and sport ability.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change of masseter muscle EMG after wearing of mouth guard. 10 D university male base ball play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impression taking, mouth guards were constructed and weared. Masseter muscle EMG and nasal ventilation after ten day's adaptation were checked. They were requested clenching with or without mouth guard. EMG and nasal ventilation were checked by iworx 104 instrument simultaneousley. The result showed that masseteric EMG were improved and nasal ventilation were stable after wearing mouth guard. It concluded that mouth guard had improved muscle activity and stabilized the nasal ventilation depend on experimental method.
        4,000원
        20.
        2006.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젊은층과 고령층을 대상으로 계단 상하행시 하지근군의 근전도(EMG; Electromyogram)를 측정하여 발휘근육부위와 근피로 정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근전도 amplitude 분석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피험자는 젊은층과 고령층 각각 20명이었으며, 하지근 8부위(전경골근, 내측광근, 외측광근, 대퇴직근, 반건양근, 대퇴이두근, 내비복근, 외비복근)에 전극을 부착하여 계단 상하행 전후의 근전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젊은층은 계단 상하 보행 후 모든 측정 부위의 근전도 amplitude가 커졌으며, 고령층도 전경골근과 대퇴직근을 제외한 근육 6부위에서 근전도 amplitude가 커졌다. 또한 젊은층과 고령층의 amplitude 분석 값을 비교해 보면, 대퇴이두근과 내비복근을 제외한 모든 근육부위에서, 젊은층의 amplitude 값이 고령층에 비해 계단 상하 보행 전후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전경골근은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이와 같이 젊은층에 비해 고령층은 근육량이 적으므로 amplitude의 변화가 작은데, 노인들을 위한 제품 또는 환경 설계시 노인 근전도의 특성을 고려하여 측정하고 분석해야 할 것이다.
        3,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