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nalyzes the usage of “Haeyo(-이에요/예요, -이에요/예요?, -아/어 요, -아/어요?)” and “Hapsyo(-입니다, -입니까?, -ㅂ/습니다, -ㅂ/습니까?)” styles based on gender using the “Electronic Everyday Dialogue Corpus”. First, a question is posed regard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できる韓国語初級Ⅰ (Chapter 3: 그건 뭐예요?)”, which states that “-예요/이에요” is frequently used by women and men from Seoul, whereas “-입니다” is more commonly used by men. The findings reveal that both men and women generally prefer the “Haeyo” style, with women showing stronger inclination. Additionally, regardless of the region, both genders use the “Haeyo” style more frequently than the “Hapsyo” style.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whereas women predominantly use the “Haeyo” style, men use both “Haeyo” and “Hapsyo” styles. This shows that Korean textbooks should provide more accurate descriptions of language use that reflect contemporary sociolinguistic trends.
In daily written communication, speakers occasionally use the nonstandard, abbreviated form “ㅕ” instead of the standard “ㅟㅓ” when combining verbs ending in “ㅟ” with suffixes beginning with “ㅓ”. This study examines the frequency of “ㅕ”using corpus data and investigates the sequential aspects of its usage through conversation analysis. First, eight verbs ending in “ㅟ” are selected, and the frequency of “ㅟㅓ” and “ㅕ” in four types of uncorrected written corpora is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in messenger and online conversation corpora, the “ㅕ” form is used in a majority of instances for verbs such as “바뀌다” (to change) and “사귀다” (to date).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relational context,” such as speaker-listener intimacy, contact frequency, and relationship, significantly affect the usage, whereas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no linear causal relationship. Meanwhile, conversation analysis show that the use of the abbreviated form “ㅕ” is related to affiliation achieved within sequential structures. This study aims to promote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linguistic phenomena by analyzing them through the parallel application of two empirical methodologi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lationships of water and dietary fiber intake with various health-related factors using data from the 2016~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 total of 8,419 adults aged 19~49 yea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1) sufficient intake of both water and fiber (Type 1) (n=2,235), (2) water deficiency with sufficient fiber (Type 2) (n=1,470), (3) fiber deficiency with sufficient water (Type 3) (n=1,031), and (4) deficiency in both water and fiber (Type 4) (n=3,683). General characteristics, body composition, health behaviors, dietary habits, nutrient and food intake, and dietary quality were compared. Type 4 had more female (p=0.028), older adults (p<0.001), and higher socioeconomic status (p<0.001) than Type 1. Type 1 consumed breakfast more frequently (p<0.001). Nutrition label recognition, usage of nutrition label, and all nutrient intakes were the highest in Type 1 but the lowest in Type 4. Type 1 also had better dietary variety score and nutritional qualit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dequate water and fiber intake for balanced nutrition and suggest that targeted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especially for male and low-income groups with insufficient intake.
본 연구는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포장 육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트레이를 종이 트레이로 대체하 여 포장 및 유통할 때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제품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 여 수행되었다. 안정성 비교를 위하여 국내에서 도축된 우 육을 가열하지 않은 생고기 상태로 각각 플라스틱 트레이와 종이 트레이에 넣고 트레이 내부를 15±5% O2와 85% CO2로 가스 처리한 다음, 포장 상단을 폴리에틸렌 필름으 로 밀봉하여 5oC에서 냉장 보관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 군은 6개의 시험구로 분류하여 1, 3, 5, 7, 9, 11, 13일 동 안 저장하고, 각 저장 기간에 해당되는 시료에 대하여 미 생물 및 이화학 규격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조 군과 비교하여 모든 중량(100 g, 500 g, 1,000 g)에서 총균, 대 장균군, 대장균수와 같은 위생 지표 병원성 미생물 실험 값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P<0.05), 마찬가 지로, 포장된 육류 표면의 색도 헌터 값(a*, b*, L*)과, pH, 포장재의 치환된 O2와 CO2의 가스 측정치 비율, 휘발성 염기성 질소(volatile basic nitrogen, VBN) 수치와 같은 이 화학적 측정값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05). 상기 의 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친환경 종이 재질 트레이를 MAP 방식에 적용하였을 경우 플라스틱과 비교하여 안전 성이나 품질을 손상 시키지 않고 육류 제품의 MAP 응용 분야에서 플라스틱에 대한 지속 가능한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통하여 식품 산업에서 지속 가 능한 포장 솔루션의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플라스틱 소 재에 대한 의존도가 감소하여 환경적 영향이 완화될 것으 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reduce the use of chloride-based deicers by analyzing their residual quantities on road surfaces. The freezing conditions of road surfaces were quantitatively defined using needles of consistent weight and diameter, and indoo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observe changes in surface conditions caused by residual deicers under various temperatures. To validate the equipment, a deicer currently used in Korea was applied to granite plat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pplication rates and salinity measurements obtained using the SOBO3+ device was analyzed. Subsequently, the device was employed to measure salinity changes over time by assessing the variations in residual deicer quantities on roads with different traffic volumes and application rates. To identify issues in current reapplication methods, the deicer was reapplied at 2-h intervals,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salinity were monitored. Results of laboratory experiments revealed that the interval for surface state changes decreases with the temperature despite increased deicer usage, and that similar surface change patterns are presented at higher (-2 °C, -4 °C) and lower temperatures (-6 °C, -10 °C). Across all temperature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for the surface-change graph is approximately 0.90. Equipment verification shows that 10% of sodium chloride is underestimated, whereas aqueous calcium chloride is accurately measured and no correlation is indicated between measurement accuracy and road surface temperature. Field experiments confirmed that the deicer dispersion rates increases with the traffic volume. Furthermore, the final salinity increases after the reapplication of the deicer, except in cases of high traffic volume, and that repeated applications with reduced spray amounts are more effective than single applications with higher spray amounts under low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findings obtained, a plan to reduce deicer usage is proposed. Future research should incorporate additional variables that affect deicer loss and surface condition changes to further refine the results.
작물 증발산량은 잠재 증발산량에서 작물계수를 곱하여 작 물의 요수량을 산출할 수 있어 수자원 관리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특히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관개 및 배수 논 문 NO.56에서 발표한 Penman-Monteith 방정식(FAO 56-PM) 은 잠재 증발산량을 추정하는 표준방법으로, 평균온도, 최대 온도, 최소온도, 상대습도, 풍속 및 일사량의 6가지 기상 데이 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농경지 인근에 설치된 기상센서는 설 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높아 결측, 이상치와 같은 데이터 신뢰 성 문제를 야기하여 정확한 증발산량 계산을 복잡하게 만든 다. 본 연구에서는 인근 기상청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필요한 6가지 기상 변수를 예측함으로써 기상 센서 없이 작물 증발산량을 추정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우리는 기상청의 API를 통해 수집할 수 있는 22개의 기상 변수를 입력 데이터로 활용 했다. 9개의 회귀 모델을 학습한 후 성능에 따라 상위 3개를 선 택하고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을 적용하여 최적의 모델을 식별 했다.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인 모델은 Extreme Gradient Boosting Regression(XGBR)이었으며 평균온도, 최대온도, 최소온도, 상대습도, 풍속 및 일사량에서 결정계수(R2)가 각 0.98, 0.99, 0.99, 0.91, 0.72, 0.86로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XGBR 모델이 작물 기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작물 증 발산 모델에 필요한 입력 값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 값비 싼 기상 센서가 필요 없음을 시사한다. 이 접근 방식은 센서 설 치 및 유지보수가 어려운 지역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으며, 직 접적인 센서 데이터 없이도 표준 증발산 모델의 사용을 가능 하게 한다.
배추는 한국에서 연중 소비되는 김치의 주 원료이며, 노지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온실 재배 수경재배 시 스템은 기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토양을 대신한 배지를 사용함으로써 토양 병원균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할 수 있어 재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수경재배용 배지 중 일부는 재사용이 가능하고, 이러한 배지의 조성은 작물 생 장과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재사용 코이어 배지 또는 인공배지를 첨가한 배지 조성에 칼슘 공급원을 처리하여 배추(Brassica rapa ‘Bulam Plus’)를 수경재배 했을 때 배액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0주동 안 수행하였다. 배지 조성은 재사용 코이어: 피트모스: 펄라이트 비율(v/v/v)을 각각10:0:0, 7:2:1, 5:3:2의 세 처리 와 각 처리에 칼슘 공급원인 CaSO4(G)와 CaO(Q)를 200g/m2 혼합한 총6가지 처리(G10:0:0, G7:2:1, G5:3:2, Q10:0:0, Q7:2:1, Q5:3:2)하였다. 배액량, 배액의 pH와 EC, 생육, 잎끝마름(Tipburn)발생을 조사하였다. 배추 생육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처리에서 배액률은 감소하였고, 처리 9주째는 20%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배액의 EC는 G 처리가 Q 처리 보다 높았으나 배액의 pH는 Q 처리가 높았다. 처리 10주째 배추의 초장, 엽수, 엽폭은 처리 간 유의성이 없었다. 엽 록소함량값(SPAD)은 G7:2:1과 G5:3:2처리에서 높게 나타났다. 잎의 당도와 건물중은 Q5:3:2처리에서 높았으며, 건물 중이 관찰되었다. 배추의 잎끝마름 발생은 처리 25일째 관찰되었으며, G7:2:1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CaO가 첨가되고 재사용 코이어 50% 함유된 Q5:3:2처리에서 수경 재배된 배추 생육이 양호하였다. 본 연 구는 간이 시설을 적용된 수경재배 시스템에서의 안정적 배추 재배를 위해 재사용 코이어 배지와 칼슘 공급원에 관 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Light-weight ceramic insulation materials and high-emissivity coatings were fabricated for reusable thermal protection systems (TPS). Alumina-silica fibers and boric acid were used to fabricate the insulation, which was heat treated at 1250 °C. High-emissivity coating of borosilicate glass modified with TaSi2, MoSi2, and SiB6 was applied via dip-and-spray coating methods and heat-treated at 1100°C. Testing in a high-velocity oxygen fuel environment at temperatures over 1100 °C for 120 seconds showed that the rigid structures withstood the flame robustly. The coating effectively infiltrated into the fibers, confirm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and X-ray diffraction analyses. Although some oxidation of TaSi2 occurred, thereby increasing the Ta2O5 and SiO2 phases, no significant phase changes or performance degradation were observe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these materials for reusable TPS applications in extreme thermal environments.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ne} and {je} in Korean dramas from the 1990s and 2010s in terms of gender and discourse situations. The research focuses on how male and female characters use {ne} and {je} differently in public and private contexts for each era, and how these patterns have changed over tim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1990s, men primarily used {je} in public settings and alternated between {ne} and {je} in private contexts, indicating a context-dependent usage pattern. Women, on the other hand, mainly used {je} in both public and private situations, but {ye} appeared more frequently in public settings, showing that women also adjusted their usage according to the context. Second, in the 2010s, men used both {ne} and {je} regardless of the discourse context, while women predominantly used {ne} across contexts. Third, compared to the 1990s, the use of {ne} in public situations increased for both men and women in the 2010s, indicating a notable change, while no change was observed in private settings.
중국인이 일상적인 의사소통 과정에서 간접부정을 완곡한 어조로 다양한 화행을 표현하여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살펴보았다. 간접부정은 형식과 전달되 는 의미의 불일치를 나타내며, 부정 의미는 있으나 고정된 부정 형태가 없다. 간접부 정의 특성으로는 맥락 의존성과 전제의 필요성을 들 수 있으며, 공손함을 나타내는 간접부정은 직접부정보다 상대방의 인지·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간접부정은 의문문, 명령문, 가정문 등 다양한 문형으로 유연하게 표현되며 그에 따른 추론도 다양하다. ‘为什么’, ‘怎么’, ‘什么’ 등을 사용한 의문문으로 간접부정을 표현하여 비난, 항의, 충고 등을 완곡하게 나타냄으로써 원만 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小心’, ’当心’, ’提防’ 등을 사용한 명령문으로 간접부정을 표현하여 예상되는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 완곡한 경고, 조언 등을 전달함으로써 상 대방으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如果’, ‘假如’, ‘要是’ 등을 사용한 가정문으로 간접부정을 표현하여 화자의 판단, 감정 등을 완곡하게 전달하여 의사소통에 활기를 더해준다. 이처럼 의사소통 과정에서 간 접부정의 사용은 원활하고 활기 있는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The number of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using wheelchairs is increasing, but research on clothing development for them remain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women in their 20s who have physical disabilities to investigate their wearing conditions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ailoring clothing to their needs. The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the primary considerations when purchasing clothing were in the order of size, design, ease of putting on and taking off clothes, and fabric. When purchasing clothing offline, they expressed that trying on clothes was uncomfortable, indicating that fitting rooms were often too small to accommodate a wheelchair. Conversely, in online shopping, they mentioned that the images of models typically standing made it difficult to assess the fit while seated. Regarding ready-to-wear for non-disabled individuals, interviewees were generally satisfied but expressed discomfort with the pants length, size, and fasteners. They found it difficult to put on and take off pants in daily life and the restroom. They did not use the front or back pockets of pants, and while Velcro fasteners were convenient, their lack of durability made them stand out from non-disabled individuals. The preferred type of suit pants was black, straight pants made of stretchy, wrinkle-free fabric. Awareness and experience with purchasing ready-to-wea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almost non-exis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various clothing items for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목적 : 안과의원에서 근무하는 안경사를 대상으로 타각적·자각적 굴절검사 기기의 업무 요구도, 해당 교과과정 이 도움이 되는 정도, 교육의 필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경사 면허증을 보유하고 서울 소재의 안과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안경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 다. 일반적 특성과 타각적 굴절검사 기기(자동안굴절력계, 검영기, 각막곡률계)와 자각적 굴절검사 기기(시험렌즈/검안 렌즈와 포롭터)를 대상으로 업무 요구도, 해당 교과과정이 도움이 되는 정도, 교육의 필요도를 5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하여 성별, 근무경력, 그리고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평균나이는 29.73±3.62(범위: 24.00-37.00)세였으며, 성별은 남자가 17명(20.0%)이었고 여 자가 68명(80.0%)이었다. 타각적 굴절검사의 경우 자동안굴절력계, 각막곡률계, 검영기 순으로 업무 요구도가 높 았고, 자각적 굴절검사의 경우 시험렌즈/검안렌즈, 포롭터 순으로 업무 요구도가 높았다. 검영기를 이용한 검사를 하는 경우는 61명(71.8%)으로 그중에서 16명(26.2%)은 검영기를 이용한 검사 시 약제를 직접 점안하고 있었다. 대학에서 받은 교과내용이 업무에 도움이 되는 정도는 ‘도움이 된다’ 이상으로 응답한 경우가 32.90%로 낮았고, 교 육의 필요도는 필요하다 이상으로 응답한 경우가 62.30%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타각적 굴절검사와 관련된 안경사 업무영역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히니가 어떻게 저장소로서의 의미와 아일랜드의 집단적 기억이 퇴적된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늪의 이미지를 통해 북아일랜드에서 일어나는 폭력에 대해 사유했는지 보여주고 있다. 늪 시편에서 시인은 고고학자가 되 어 늪을 발굴하면서 늪에 있는 희생자를 다시 끄집어내어 이들이 자신의 행위에 대한 심판을 받게 한다. 이러한 발견의 과정은 또한 히니가 1974년 에세이 “Feeling into Words”에서 썼듯 시적 창작 과정에 대한 은유이기도 하다. “The Tollund Man,” “Punishment,”와 “Kinship”이라는 시에서 히니는 과거와 현재의 폭력을 나란히 비교하 면서 어떻게 두 시대에서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믿음에 기반한 폭력이 자행되는지 보여준다.
본 연구는 간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프리모비스트(Gd-EOB-DTPA) 조영제를 사용한 동적 동맥기(dynamic arterial phase)에서 호흡기 운동인공물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을 연구하였다. 연구는 총 세 집단으로 나누 어 진행되었으며, 첫 번째 집단은 별도의 사전 교육(pre-scan preparation, PSPP) 없이 촬영한 집단, 두 번째 집단은 사전 교육만 시행하고 촬영한 집단, 세 번째 집단은 사전 교육과 검사 중 숨 참기 보조 신호(breath-holding assistance signal, BHAS)를 제공한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각 집단의 촬영 결과를 비교한 결과, 사전 교육과 검사 시 숨 참기 보조 신호를 함께 시행한 집단에서 동적 동맥기 영상의 호흡기 운동인공물이 가장 적었으며, 영상의 품질 도 더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 MRI 촬영의 동적 동맥 단계 검사에서 사전 교육과 검사 중 숨 참기 보조 신호가 결합한 접근법이 환자의 숨 참기 협조를 강화하여 영상 품질을 개선하고, 정확한 진단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늘날의 디지털 업무 환경에서 직원의 창의성은 조직에 있어 대체할 수 없는 중요한 자원이며, 오랫동 안 직원의 업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인 기업 소셜 미디어를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지식관리와 피드백 추구행동을 통한 기업 소셜 미디어 사용이 구성원들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의 메커니즘을 조사하고자 한다. 사회인지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환경적 요인, 인지적 태도 및 행동 때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논문은 사회인지 이론을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 관점에서 기업 소셜 미디어 사용, 지식관리, 피드백 추구행동, 구성원 창의성 간의 이론적 모형을 구성하고 가설을 제시 한다. 본 논문은 2024년 1월부터 2월까지 중국에서 기업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구성원 242명 대상으로 중 국 WenJuanXing 앱에서 리커트 6점 척도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 업 소셜 미디어 사용이 구성원 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지식관리는 기업 소셜 미디어 사용과 구성원의 창의성 관계에 매개효과가 있다. (3) 피드백 추구행동은 기업 소셜 미디어 사용과 구성 원의 창의성 관계에 매개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기업 소셜 미디어 사용, 지식관리 및 피드백 추구행동 사이에 유효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시간과 경험의 문제로 인해 몇 가지 한계점과 향후 연 구방향 부분이 있다. 첫째, 현재 연구의 차원을 더 확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유형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연구 범위를 확대한다. 넷째, 기업 소셜 미디어 사용, 지식관리, 피드백 추구행동과 구성원 창의성 조사에 사용된 척도는 해외의 척도를 차용한 것으로, 문화와 환경의 차이를 고려할 때 국내외 실 제 상황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다섯 번째, 본 연구는 직장 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 사이의 균형을 고려해야 한다고 논의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selectivity of Octopus minor using the extended SELECT model in netpots.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ten sea trials conducted between 2009 and 2010 using cylindrical octopus traps with six mesh sizes (16, 18, 20, 22, 24, and 26 mm). The selec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wo models: the p-fixed split model and the p-estimated split model, depending on whether the encounter probability (split parameter) was estimated. The model fit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model deviation and AIC values. The results showed that octopus catch decreased as mesh size increased, with a general tendency for larger individuals to be caught. The 16 mm trap, which had the smallest mesh size, accounted for 25.9% of the total octopus catch by number of individuals while the 22 mm trap, a commercial mesh size, accounted for 14.1%. The CPUE based on weight was highest for the 18 mm trap. The selectivity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stimated split model provided the best fit, and the 50% selection length for the 22 mm trap was 64.57 mm. In this study, reliability of various models was considered in the mesh selectivity analysis, and the findings are intend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improving relevant regulations and deriving scientific research result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user experience with UV-C disinfection devices in clinical settings to obtain critica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devices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for efficient environmental disinfection in healthcare settings, particularly in terms of effective multidrug-resistant organism control. Methods: A qualitative approach was employed involving 21 participants (infection control nurses, staff nurses, and device manag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ive sessions of focus group interviews, and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was undertaken. Results: Four categories and 13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i) Introduction and usage status of UV-C disinfection devices, with ‘Surge in demand for rapid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and ‘Diversified application and management of UV-C disinfection devices based on needs’ subcategories; (ii) Advantages of using UV-C disinfection devices, with ‘Significantly reduced disinfection time,’ ‘Easy and simple operation,’ and ‘Providing a sense of reassurance from a visible confirmation of disinfection’ subcategories; (iii) Limitations of current UV-C disinfection devices, including ‘Ambiguous disinfection range and presence of disinfection blind spots,’ ‘Lack of standards for disinfection efficacy verification and management,’ ‘Safety concerns regarding ultraviolet radiation exposure,’ and ‘Issues related to maintenance of UV-C disinfection devices’ subcategories; and (iv) Expectations for domestic UV-C disinfection devices, including ‘Minimization of disinfection blind spots,’ ‘Variety in device sizes,’ ‘Auxiliary devices for enhancing usage efficiency,’ and ‘Clear protocols for device usage and maintenance. Subcategories.’ Conclusion: UV-C disinfection devices offer valuable benefits for infection control; however, improvements are needed to enhance their efficacy and usability. Practical recommendations include developing standardized safety protocols, enhancing UV-C coverage, and improving device mobility and maintenance to meet diverse healthcare needs. Such advancements in UV-C technology can significantly support effective infection control and operational efficiency in healthcare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