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 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시에 거주하는 보 육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9월 1일부터 2023녀 9월 31 일까지 자기 기입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자료 분석에 26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과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소진이 높아지 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의 관계에 서 회복 탄력성이 부분 매개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 는 회복 탄력성이 소진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변인으로 보고 소진 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회복 탄력성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보육교사가 인지한 어린이집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직무만 족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보육서비스 질을 향상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실천적 방 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가 인지한 어린이집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직무스트레스가 매개변수로 작 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있어서 어 린이집 원장의 진성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으며, 사 회적지지를 통해 보육교사의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직 무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보육에 전념함으로써 보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국공립 보육교사의 감성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관계 를 분석하고, 그 영향 관계에서 심리적 웰빙과 직업적 웰빌의 매 개적 역할을 검증하여 보육사의 전문성 증진을 통해 보육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G시에 소재한 국공립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임의표집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으며,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스트레핑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결 과. 첫째,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성리더십이 높다고 인식 하는 교사일수록 직무열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국공립어 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성리더십과 직무열의 관계에서 심리적 웰빙 이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성리더십과 직무열의 관계에서 직업적 웰빙이 매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을 위 해 중요한 인적자원인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체계적인 인 적자관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원장의 리더십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사 회적지지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 제공과 실천적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원장리더십 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고, 원장리더십은 사회 적지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지지는 행복감에 유 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원장의 리더십과 행복감 사이에서 사회적지지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원장의 리더 십은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를 매개하여 행복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 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 을 밝혔다. 어린이집 원장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으 며, 보육교사의 행복감이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사회적지지로 즐거운 마음으로 업무에 임할 수 있도록 하여 보육교사가 영유아에게 행복하게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본 연 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급식설비 손잡이의 식중독 세균 오 염도를 측정하고, 분리 균주의 독소 유전자와 항생제 내 성을 분석하여 급식설비 손잡이에 의한 집단식중독을 예 방을 위한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실험 대상 은 전라남도 일부 지역 어린이집 101곳의 냉장고, 냉동고, 자외선 살균기 손잡이, 총 303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 이집 냉장고, 냉동고 손잡이에서 B. cereus 4 균주(1.3%) 가 검출되었고 어린이집 냉장고 손잡이에서 S. aureus 2 균주(0.7%)가 검출되었다. B. cereus와 S. aureus의 독소유 전자를 분석한 결과 B. cereus 4개 균주 모두에서 nheA, nheB, nheC, entFM, cytK가 검출되었으나, S. aureus의 2 개 균주의 경우 모두 sea, seb, sec, sed, see, seg, seh, sei, sej 독소유전자가 불검출되었다. B. cereus에서 설사를 유 발하는 장독소가 검출되어 B. cereus에 의한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상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B. cereus와 S. aureus의 항생제 감수성을 실험한 결과 B. cereus 4 균주 에서 AM, FEP 등 β-lactam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었 고 S. aureus 균주 모두 AM, P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 었다. S. aureus 균주는 OX 항생제에 각각 중간 내성 1 균주와 감수성 1 균주를 나타내었으나 MRSA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어린이집 급식설 비 손잡이의 교차오염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급식설비 손잡이에 대한 주기적인 살균 등 위생관리 방안을 강화해야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보통합에 관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인식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유보통합의 구체적인 추진방안과 미래 영유아교육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C시 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교사 100명과 어린이집 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총 220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카이제곱검정 등의 통계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유보통합의 의미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문항은 총 8개였으며 유보 통합의 필요성, 유보통합 선도 교육청 시범운영, 유보통합의 우선적 추진 작업, 교사자격기준, 교사양성기관, 유보통합 후 교육·보육시간, 연령별 분 리방법, 교사자격 통합 후 제일 먼저 조정해야 할 과제의 문항이었다. 차 이가 나타나지 않은 문항은 2개 였으며 유보통합의 의미, 유보통합 후 기 관 운영형태 문항이었다. 현재 일부 시행되고 있는 유보통합 정책과 향후 추진 방안등이 발표된 상황에서도 각 집단별로 유보통합에 관해 바라는 내용과 인식에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미래 유아교육의 발전을 위해 현장 의 목소리를 면밀히 살펴 각 집단간 갈등을 해소하며 영유아만을 위하는 유보통합 정책 수립에 시사점으로 제공되기를 바란다.
우리나라는 고도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가치 관의 변화로 인하여 맞벌이 가정의 증가는 물론 일·가정양립으로 인한 자녀양육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어린이 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은 권리존중과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 (+)적 영향을 미쳤고, 권리존중은 서비스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변인의 하위영역 간 영향 관계를 검 증한 결과, 어린이집 원장 서번트리더십의 지혜와 청지기정신은 서비스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어린이집 원장 서번 트리더십의 지혜, 설득, 청지기정신은 권리존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어린이집 원장 서번트리더십의 이타적소명, 감정 적치유, 지혜, 청지기정신은 직무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권리존중의 근로환경권, 운영자율권, 운영참여권은 서비스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직무만족도의 상사만족도, 보수만족도, 동료만족도는 서비스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 쳤다.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서비스 질 사이에서 권리존중 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어린이집 원장 서 번트리더십은 권리존중을 매개하여 서비스 질에 간접적으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권리존중과 직 무만족도가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In this study, indoor air quality indices (IAQI-C and IAQI-E) were developed for child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centers based on health effects, and compared to the air quality index (CAI) for outdoor atmosphere. In addition, composite indices that integrate individual indices for each pollutant were developed to quickly and conveniently recognize the current air quality. Among all data, 71.2% and 35.6% belonged to the grades 'Good' and 'Moderate' for child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centers, respectively. This assessment is more stringent than the CAI's criteria.
현대사회는 가족의 유형이 다양해지고 핵가족화와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보 육 수요에 대한 요구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나 자녀양육에 대한 가족의 기능 은 약화되고 있어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아버지 450명을 대 상으로 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24.0과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변인 간 상관성을 확인한 결과, 아버지의 직무만족, 양육태도, 역할만족,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 변인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아버지의 직무만족은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아버지의 직무만족과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사이에서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역할만족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 되었다. 따라서 아버지의 직무만족은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역할만족을 매개하 여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변인의 하위영역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아버지 직무만족의 직업 안정성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 쳤고, 아버지 직무만족의 직업 안정성은 아버지 양육태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아버지 직무만족의 직업안정성과 급여만족은 아버지 역할만 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아버지 양육태도의 온정·격려와 한계설정 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아버지 역할만족 의 부모 됨의 만족감과 부모역할 수행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정(+)의 유 의한 영향을 미쳤다. 현대사회에서 가족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아버지의 양육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져 있는 상태에서 아버지의 직무만족이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와 양육태도와 역할만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manage total floating bacteria and fungi in the indoor air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total floating bacteria and fungi according to the indoor CO2 concentration of daycare centers. The sampling and analysis of samples was based on the indoor air quality process test method, and the resul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o perform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d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CO2 and total airborne bacteria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but airborne mold did not show relevance.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airborne mol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garding total airborne bacteria, PM10, PM2.5, HCHO, outdoor mold, I/O ratio, indoor temperature/ humidity, area per classroom and volum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airborne mold were I/O ratio, outdoor airborne mold, and total airborne bacteria.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2 and total airborne bacteria can be reduced and controlled by natural ventilation, and in the case of airborne mold, mechanical forced ventilation such as hoods will be necessary due to the introduction of outdoor airborne mol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O ratio criteria in order to confirm effective indoor mold contamin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effect of outdoor mold inflow.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어린이집 원장 85명과 보육교사 26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인식 차이는 어린이집 원장이 근무하고 있는 기관유형과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공립 어린이집 원장이 가정어린이집 원장보다 직무역량 인식이 더 높았고,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가진 원장의 직무역량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원장의 직무역량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민간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보다 가정, 직장, 국․공 립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가 원장의 직무역량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고, 원장과 보육교사 모두 원장의 위생 및 안전관리 영역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차이는 직무역량의 하위요인 중 비전 및 목표관리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어린이집 원장보다 보육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d occupational accidents of child care worker. We surveyed 392 childcare worker to investigate their experience of occupational accidents. Fifteen percent of the respondents from occupational accdients survey for child care workers reported that they had experienced more than one occupational accident, but mostly did not claim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nsurance. We suggested policy tasks to improve system for protecting child care workers.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 및 경기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7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보육교사의 행복 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장의 자기인식 및 자기관리능력은 전반적 행복플로리시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식 및 관계관리능력도 성취요인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의 구인 중 청지기정신 및 공동체 형성은 긍정적 정서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장지원 및 리더십 공유는 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전체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보육교사의 잠재력 개발을 통한 성장과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급식실 실내공기와 급식테이블 및 조리종사자 손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재료는 어린이집 조리 종사자 24명의 손과 어린이집 18곳의 급식테이블 및 93곳의 실내공기를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조리 종사자 손의 미생물 채취는 Glove juice법, 급식테이블의 표면 미생물 채취는 Swab 법에 따라 채취하였다. 어린이집 실내공기의 미생물 오염도는 자연 방치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조리 종사자 손의 일반세균 오염도는 평균 5.8±1.9 log CFU/hand로 나타났고, 대장균군 오염도는 평균 4.0±2.4 log CFU/hand로 나타났다. 급식테이블의 일반세균 오염도는 평균 4.3±3.0 log CFU/100 cm2 로 나타났고, 대장균군 오염도는 평균 2.6±3.3 log CFU/ 100 cm2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조리 종사자 손과 급식테이 블에서 B. cereus가 각각 2건씩 검출되었다. 실내공기 중 일반세균수 오염도는 평균 28±7.2 CFU/plate, 대장균군 오염도는 평균 3.1±2.9 CFU/plate로 나타났다. 또한, 실내공기 중 B. cereus 오염도는 평균 1.7±0.2 CFU/plate, S. aureus 오염도는 평균 1.6±0.5 CFU/plate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어린이집 급식테이블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 오염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식사 전 소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실내공기 중 미생물 오염도 저감화를 위해 주기적인 환기와 급식 관계자들의 위생모, 마스크 및 위생복 등의 청결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assessed the nutrient consumption of children from lunch at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 total of 184 lunch plates were selected in two child day care centers and two kindergartens in Seoul. Weights of the menus in planned meals were measured and amount of served and consumed lunches were calculated using a digital photography technique. Nutrients of the planned, served, and consumed lunches were assessed using CAN-Pro 4.0 and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was calculated for each meal. Compared with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for lunch for 3-5 year old children, the planned meals of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contributed 42.8% and 98.8% of the daily energy requirements, respectively. At a child day care center, a served meal provided more nutrients than a planned meal since some children requested more servings after eating the served meals. This showed that the planned meal did not meet children’s needs as well as the nutrient requirements. At the other child care center, children were served less than the planned meal by 6.8%, which resulted in serving less energy, calcium, potassium, and vitamin C than the required nutrients for lunch. Kindergarten A served meals with the energy requirement for lunch of 101.8%, but Kindergarten B served a meal with the energy requirement of 83.5%. Since the served portions were too small to meet nutrient requirements of the children, they consumed almost all the food served, and their nutrient consumption was similar to the nutrients served. Even though they consumed all the food served, their nutrient consumption did not meet their nutritional requirements. When assessed by INQ, the quality of the meal was good; children could consume enough nutrients when served proper quantity.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serving meals need to be educated on proper portion sizes and how to encourage children to practice healthy eating. To promote healthy eating among children, parents need to provide children with messages consistent with what they have learned at institutions and to be a good role model in daily dietary life.
본 연구는 어린이집 조직건강성과 영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및 소진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영아교사 444명을 대상으로 조직건강성, 긍정심리자본, 소진 및 경력몰입이 측정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그 결과 첫째, 영아 교사의 경력몰입에 어린이집 조직건강성과 교사의 소진은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경력몰입에 긍정심리자본은 소진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경력몰입에 소진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어린이집 조직건강성이 높을수록 또한 영아교사의 소진이 적을수록 경력 몰입이 높음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영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은 소진을 완화하게 하여 경력 몰입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영아교사의 경력몰입을 위하여 무엇보다 소진의 감소가 우선되어야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어린이집 조직건강성의 강화와 교사의 긍정심리자본 함양을 위한 방안도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as conducted the Dietary Education Projects at Childcare Centers since 2015. This study provides preliminary data for early childhood dietary education programs, by evaluating the outcomes of the projects. This survey enrolled 212 participants whose children had participated in the projects, and 142 non-participants. Comparing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towards each educational program of the projects, dietary education program gained significantly higher importance than other subjects included,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rticipants than in non-participants. In the preference for food group survey for children, vegetable and seaweed preferences were higher among participants than non-participants, indicating that participation in the dietary education projects contribute towards increase in preferences for vegetables and seaweed, which children generally dislik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hildren’s dietary habits between participant and non-participant groups, thereby suggesting that the education projects were insufficient for inducing dietary habit changes. In order to accomplish effective improvement of dietary habits, the education projects need further improvements to achieve systematic and long-term plans.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어린이집 근무환경 속에서 받게 되는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 개인의 일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74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일상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유형과 근무시간, 보조교사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민간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8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와 보조교사가 없는 경우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상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연령, 근무시간, 보조교사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20대 보육교사의 일상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9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와 보조교사를 다른 반과 공유하는 경우에서 일상스트레스가 높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상스트레스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일상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직업 스트레스가 높을 때 일상스트레스도 함께 높아졌다. 일상스트레스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은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의 부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 어린이집의 근무환경을 개선하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은 일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