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검색결과 62

1.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들 변인의 관계에서 조직윤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수도권 지역(서울, 경기, 인천)의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7.0과 AMOS 2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 의 기술통계와 연구모형에 대한 관계 규명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402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장기요양시설장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도덕성, 공정성, 사회적 책임성은 조직유효 성에 정(+)의 영향을, 개인적 책임성은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장기요양시 설장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윤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장 기요양시설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윤리는 매개효 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장의 윤리적 리더십을 통하여 장기요 양시설 종사자의 조직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6,900원
2.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신요양시설 생활인의 자기결정권이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22년 11월, 정신요양시설 생활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281부의 설문지 로 연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과 jamovi 2.5.22 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신요양시설 생활인의 자기결정권이 회복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β=.470, t=9.338, p<.001). 둘째, 정신요양시 설 생활인의 사회적 지지가 회복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β=.157, t=3.078, p<.01). 셋째, 정신요양시설 생활인의 자기결정권과 회복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β=.311, t=6.912, p<.001). 위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정신요양시설 생활인의 회복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천 및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6,700원
3.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D도시 소재 A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중인 요양보호사를 대 상으로 왜 대부분의 요양보호사는 여성이며, 특히 연령대는 왜 대부분 50~60대인지, 그리고 요양보호사로의 삶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문제들은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해석적 현상학을 활용하여 요양보호사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 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4가지 테마를 도출하였다. 1) 대다수가 여성인 이유 2) 요양보호사의 직업적 특성 3) 직업적 현실과 사회적 기대 4) 작업환경과 사회적 인식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요양보호사의 근로환경 개선 및 복지향상을 위한 정책 적 지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7,700원
4.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가 지각한 노인요양시설 원장의 코칭 역량과 사회적지 지가 자기효능감을 통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 충청, 강원을 비롯한 전국에 소재하는 노인요양시설 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424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 탕으로 SPSS와 AMOS 28.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모형의 타 당성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코칭 역량의 일곱 가지 하위요인과 사회적지지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 단일요 인인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하위요인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조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 해서는 원장의 코칭 역량과 사회적지지를 요양보호사가 받아들이고 분별하여 판 단할 수 있도록 원장과의 수평적인 입장에서의 인간적, 업무적 관계 형성 등을 통해 개인의 가치를 인정받는 직접적인 방법들의 실천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 돌봄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분위기 및 환경을 조성하여 요양보호사가 직무에 만족할 수 있는 방안 및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6,400원
5.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법 관련 시설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 그리고 근무안정성과 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며 특히 관련 시설 중 노인요양시설과 재가노인복지시설을 대표하는 주야간보호센터를 비교 분석하고 자 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법 관련 시설 요양보호사의 근무안 정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향상 및 고용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운영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 관 련 시설별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와 근무안정성과의 관계에 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노인 요양시설과 재가노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810명 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를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노인요양시설의 경우 학 력, 직무만족도가 근무안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 므로, 학력별 근무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직무만족도가 낮은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근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재가노인복지시설과 노인요양시설 모두 직무만족도는 근무안정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요양보호사의 근무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 무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시설 유형별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와 근무안정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가 나타났으므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 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노인장기요양 관련 시설별 요양보 호사들의 근무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직무만족도 수준의 향상과 자기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방안을 제언하였다.
8,300원
6.
202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사회는 노인인구와 기대수명의 증가로 인하여 노인 부양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고 있으며 그 책임이 사회와 국가로 이전되고 있다. 시설장의 진정성리더십은 종사자의 업무수행을 배려하고 인격을 존중하는 행동을 통해 긍정적 소통의 관계를 주고, 심리적으로 안정을 높여 줄 수도 있고, 직장 동료와 상사의 관계의 질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노인복지 서비스 질은 가장 일선에 서 일하는 종사자의 열정, 사명감과 리더의 리더십에 따라 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결 정지으며 질적 수준이 달라진다. 연구의 목적은 시설장의 진정성리더십이 서비스 질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적지지와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장기 요양 서비스 질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실천적, 이론적, 정책적 방안을 마련함에 있다.
9,200원
7.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ulnerable populations in healthcare facilities are more sensitive to exposure to indoor air pollutants, and therefore are more affected by such pollutants than the general population. This was the underlying reason why studies of indoor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health risk assessment have been conducted targeting facilities, such as daycare centers, medical facilities, elderly care facilities, and postnatal care center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daycare and medical facilities for their research, and relatively speaking, studies conducted on the other venues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indoor air quality and perform a health risk assessment in regard to Formaldehyde exposure at postnatal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Here, the study focused on facilities that had undergone pollution level inspections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21. A total of 81 postnatal care centers and 48 elderly care faciliti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n, the study utilized concentrations of five elements (CO2, HCHO, PM10, PM2.5, TBC) to determine the status of indoor air quality of both postnatal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For health risk assessment, HCHO concentration was used. The investigation demonstrated that the yearly average concentration of the five elements stood within the indoor air quality maintenance standards, and the ratio of PM2.5 to PM10 in the two types of facilities was distributed as high as about 70%. In addition, the study showed that HCHO and TBC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 the five elements was examined. The health risk assessment showed that the cancer risk level of postnatal care center users stood below 10-6, below the level that is perceived as an acceptable risk. The cancer risk of workers from both postnatal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and elderly care facility users exceeded the acceptable risk level of 10-6, but was shown to be below 10-4, the maximum acceptable risk.
4,000원
8.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신요양시설은 정신보건법,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개 정의 과정에서 사회복지기능보다는 의료적 기능으로 인식되었다. 정부의 지역사회중심의 커뮤니티케어 정책 발표는 정신요양시설의 존재적 위기감을 가져왔고, 거주이용인의 요양과 사회복귀 목적의 서비스 를 제공하는 정신요양시설은 발전적 미래를 위하여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여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정신요양시설 미래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해 기존의 문헌과 자료를 탐색하여 정신요양시설의 일반 적 현황과 거주이용인의 특성 변화에 따라 제공된 현재의 정신요양시설 서비스가 거주이용인의 이용만 족, 거주이용인 회복의 성과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거주이용인의 회복지향을 위한 정신요양시설의 정체성 확립과 기능전환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이용인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사회 거주환경으로 인식제고, 둘째 지원주택의 특성을 적용 한 거주지원시설로 변화 지향, 셋째 사회복지성격의 지원서비스의 명시로 차별성과 정체성 확립, 넷째 거주이용인 회복지향 서비스의 충분한 제공이다. 연구의 한계점으로 나타난 정신요양시설의 물리적 환경, 중점 서비스 방향, 지역사회의 특성이 정신요 양시설 운영에 미치는 영향정도와 정신요양시설과 정신재활시설이 차별성과 통합여부에 대한 연구가 필 요하다.
5,700원
9.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국형 활동분류카드(Korean Activity Card Sort; K-ACS)를 통해 참여활동수준을 측정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 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1년 7월 1일부터 2021년 8월 31일까지 수도권 요양시설 거주 노인 78명을 대상으로 자 가 보고식 설문지와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참여활동수준, 우울, 자기효능감, 일상생활수행능력, 삶의 질과의 관계를 피어슨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으로 알아보았다. 결과 : 요양시설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참여활동수준을 측정한 결과 전체 참여활동수준 27.8%, 수단적 일 상생활활동수준 26.9%, 여가활동수준 36.5%, 사회활동수준이 21.0%로 나타났다. 전체 참여활동수준은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수준(r = .937, p < .01), 사회활동수준(r = .858, p < .01)과 높은 상관성을 보 였다. 또한 삶의 질에는 정신적 요소인 우울(β = -.514, p < .001)과 자기효능감(β = .266, p < .05) 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화를 돕기 위해 시설 내에 다양한 활동프로그램을 마련하고 노 인들이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시설 거주 노인의 우울감을 완화하고 자기효능감, 참여활동수준을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4,600원
10.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imulation-based patient safety performance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on caregivers’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toward safety. Methods: This study adopt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at applied before-and-after designs for the test and control groups. It was configured focusing on “infectious disease,” “fires,” “falls,” and “drug abus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and patient safety performa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safe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imulation-based patient safety performance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patient safety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apply and evaluate the simulation-based patient safety performance training program to enable caregivers to develop professional prevention and management capabilities within elderly care facilities
4,500원
11.
2022.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사회는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들로 인해 요양보호서비스 확대가 필요하고, 질 좋은 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해 요양 보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모두 고려하는 조직유효성이 제기되었으며,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요양보호시설과 같이 소규모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은 조직에서는 조직유효성에 원장리더십의 영향이 매우 크게 작용하면서, .소요양보호사의 소진은 조직유효 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연구되었는데, 연구변인 간 상관성을 확인한 결과, 노 인의료복지시설 원장리더십, 사회적지지, 조직유효성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 적재값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 관측변인 들은 해당 잠재변인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구조모형을 통해 연 구변인 간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노인의료복지시설 원장리더십은 사회적지 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지지는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사회적지지는 소진의 영향력을 완화하 여 조직유효성을 높이는 것으로 매개역할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요 양보호사가 사회적으로 존중 받으면서 질 높은 노인요양서비스를 제공하고, 원 장리더십을 통하여 조직유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있으며, 원장리더십과 요양보호사의 조직유효성 사이에서 사회적지지가 매개역 할을 하는지 살펴봄으로 요양보호사가 역할을 수행할 때 조직유효성을 높여서 업무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힘든 환경에도 잘 적응하여 대상자들에게 질 높은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고 조직유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 였다는 것에 있다.
8,700원
12.
2022.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의 이론에 근거하여,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원장리 더십이 요양보호사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조직유효성을 증진하여 노인의료복지시설의 노인들을 질 케어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본 연구에서는 원장리더십과 요양보호사의 조직유효성에서 직무스트레스의 인과관 계 구조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고,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 원장리더십과 요양 보호사의 조직유효성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결과를 바 탕으로, 원장리더십과 요양보호사의 관계에서 조직유효성을 향상하기 위한 실 증적 기초자료 제공과 실천적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6,100원
1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indoor air quality indices (IAQI-C and IAQI-E) were developed for child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centers based on health effects, and compared to the air quality index (CAI) for outdoor atmosphere. In addition, composite indices that integrate individual indices for each pollutant were developed to quickly and conveniently recognize the current air quality. Among all data, 71.2% and 35.6% belonged to the grades 'Good' and 'Moderate' for child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centers, respectively. This assessment is more stringent than the CAI's criteria.
4,000원
14.
2021.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과 요양보호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 지와 이직의도의 매개효과를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수도권 지역 소재 노인 장기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323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은 요양보호서비스 질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에서 직무, 동료, 기관만족은 요양보호서비스 질 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상사, 보수의 만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직무만족과 요양보호서비스 질과의 관 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직의도는 직무만족과 요양보 호서비스 질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을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제언과 이론적 제언 을 기술하였다.
5,800원
15.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요양보호사들에게 조직기반자긍심과 조직공정성을 심어줌으로써 주요 변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모델을 수립하고 분석하여 직무착근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하고 실제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성된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에 따라 노인요양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요양보호사의 직무착근도에 조직기반자긍심과 조직공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노인요양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요양 보호사의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변수로 작용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변수의 하위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들 간의 영향 관계를 조사하였다.
9,200원
16.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이 인터넷 뉴스에 어떻게 노출되었는지 알아보고자 2019년 1월부터 11월까지 인터넷 상에서 ‘노인요양시설’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노인요양시설 관련 기사를 분석할 때는 중복되지 않은 내용을 중심으로 총 47건의 인터넷 뉴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기사내용의 보도경향에 대해서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외형적 보도경향의 경우 노인요양시설 관련 기사가 10월에 가장 많았고, 기사는 뉴스의 형태와 인터넷 신문기사에 의한 정보전달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내용적 보도경향인 기사의 주제는‘인권⋅복지’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시설⋅설비’ 순으로 나타났다. 기사 논조는 긍정적인 기사 내용이 많았다. 이는 노인요양시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제시를 주로 다루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 관련 기사를 살펴봄으로써 시설 관리감독 철저, 종사자에 대한 인권교육, 입소 어르신의 자기 결정권, 종사자의 처우개선에 관심을 갖고 미래를 대비할 수 있는 노인복지가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5,200원
17.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ognitive functio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and nutrient intake of elderly women with dementia in a long-term care facility (EW-LCF) and a day-time care facility (EWDCF).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2015 to May 2017 on 73 elderly women with dementia (47 women in LCF and 26 women in DCF) in the city of Incheon. The data obtained from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and caregiver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The total score of the MMSE-DS and intakes of most nutrients in the EW-LCF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EW-DCF (p<0.05). The nutrient adequacy ratios (NAR) of protein, vitamin A, C, B6, B12, thiamin, riboflavin, niacin, folic acid, calcium and phosphorus in the EW-LCF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EW-DCF (p<0.05). However, the indexes of nutritional quality (INQ) of vitamin C, B6, thiamine, niacin, calcium, magnesium, and iron in the EW-LCF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EW-DCF (p<0.05). As a result, the subjects showed an unbalanced and insufficient nutrition intake status regardless of the type of care facility. Most nutrient intakes of the EW-LCF with lower cognitive function were very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EW-DCF (p<0.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cognitive function and nutritional status regularly at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omen suffering with dementia and to provide specialized individual nutritional management.
18.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령사회를 맞아 급증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노인장기요양시설에 인간중심 돌봄을 구현하기 위하여 스토리텔링 상담기법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장기요양시설, 인간중심 돌봄, 스토리텔링에 관한 용어를 검색하여 2011년 1월부터 2018년 3월까지 국내외에 발표된 73편의 관련 문헌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연구의 개념 틀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시설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노인돌봄 현황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인간중심 돌봄의 속성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스토리텔링 상담기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노인돌봄 현장에서의 스토리텔링 상담기법의 적용가능성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스토리텔링 상담기법은 노인과 돌봄제공자 간의 소통과 관계성을 증진시켜 양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인간중심 돌봄을 구현키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노인장기요양시설에 스토리텔링 상담기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보이며, 특히 시설문화의 특수성에 기초한 콘텐츠와 중재운영전략을 정련화할 필요가 크다고 판단된다.
6,100원
19.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험제도와 관련하여 현재 건강한 노인들이 시설 서비스에 대한 이용 의향과 노인들이 어떠한 서비스를 선호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의 필요는 장기요양급여의 이용이 노인 스스로의 선택보다는 주로 보호자나 요양비용을 지불하는 사람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노인들이 장기요양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상태가 될 경우, 노인들이 자력으로 요양기관을 선택하거나 이용하기 어려울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자신의 의사표현이 가능한 노인을 대상으로 시설 서비스 이용의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의도는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주관적 인 식의 정도에 따라 요양서비스의 선호를 파악함으로서 장기요양기관에서 제공 되어야 할 서비스 기준에 대한 제언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연구의 배경은 장기요양보험의 급여 서비스에 있어 필수적으로 제공하여야 할 규정이 없음으로 인해 시설별로 서비스의 차이가 발생하거나 이용자의 욕구가 아닌 공급자 편의적인 서비스가 제공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었다. 연구결과 급여 이용의사에 따른 서비스 선호에서 이용의사가 있거나 없는 경우 모두 기능회복, 의료지원, 취미ㆍ여가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 의료지원의 강화와 신체기능회복 프로그램 및 개인별 인지ㆍ건강수준에 따른 취미ㆍ여가 프로그램 제공을 규정함은 물론, 기본서비스인 신체, 위생, 개인서비스를 필수 서비스로 규정하여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갖추어야 할 것으로 확인 되었다.
5,100원
20.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70년대 미국에서 사회적으로 큰 이슈를 불러일으 킨 영화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에 대한 영화분석 연구 를 통해 그 당시 정신요양시설의 현실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것이 우리에게 주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찾아내 보고자 하는데 연구 의 목적을 두었다. 영화 속에 나타난 그 당시의 정신병원의 문제점을 분석해 보 면, 수용 위주의 시설운영, 수용인에 대한 비인격적 대우, 시설편 의적 프로그램과 운영, 개인적 폭력 등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은 40년이 더 지난 현재의 정신요양시설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 이고 있어 그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 다. 영화 속 문제점에 대한 개선책으로는, 수용위주의 기능 지양, 정신요양시설에 대한 감독 강화, 정신장애인 위주의 프로그램과 그 운영, 정신요양시설 근무자에 대한 체계적 교육 등을 제시하 였다.
5,700원
1 2 3 4